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교사평정용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의 타당화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평정용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8곳에서 표집된 유아 300명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본 측정도구는 자기정서의 불안정성, 타인정서의 침해성, 정서유연성, 정서우울성 혹은 활동성이라는 4개 하위요인(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의 하위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는 4개의 하위구성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구조임이 밝혀졌다. 또한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의 4개 하위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결과 r=.40~r=.59의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의 공인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며 정서지능과 상관을 산출한 결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정서조 절력 측정도구의 전체 문항내적 합치 신뢰도는 .76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타당도 및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교사평정용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는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ale that teachers can measure. The subjects were 300 preschool children in GyeongGi-do, Korea.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21 items in four factors were related to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e four factors were self-liability, intrusiveness for others, flexibility, and depression and activit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four factors were appropriate for explaining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area scores of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r=.40~r=.58, p<.01).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indicated by correlations between th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al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ale represented high reliability: Cronbach's α was .92 for total factor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scale is an appropriate tool to measur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 KCI등재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과 놀이특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구조분석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2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특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D광역시 어린이집 유아 235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변인에 대한 교사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과 AMOS 4.0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특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놀이특성에 대한 하위요인 중 언어영역이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유아의 놀이특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유아교육기관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적 또래놀이는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determine the effect of early preschool adjustment and other variables, children’s Play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ve Peer Play as the possible effec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8, 4 to 5 years old children in 13 preschools from Kyungbuk provide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7 and Amos 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early preschool adjustment, play characteristics, Interactive Peer Play. Second, Interactive Peer Play and Children’s early preschool adjustment: were the important predictors for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

      • KCI등재

        유아의 언어능력과 메타인지 간의 관계에서 놀이유형의 매개효과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언어능력과 메타인지 간의 관계에서 놀이유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77명이다. 유아의 언어능력, 놀이유형 그리고 메타인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붓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의 언어능력은 메타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유아의 언어능력은 놀이 유형인 인지놀이와 상상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의 유형의 매개효과에서는 상상놀이만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언어능력과 메타인지 간의 관계에서 놀이유형의 매개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linguistic abilities and young child" metacognition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style. The study was administered to 277 5-year-old children. A total of 277 teachers from 65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existing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linguistic abilities, play style, and metacognition. Second, linguistic abilities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metacognitiont using play style (children"s pretend play) as a mediat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and various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improve child"s pretend play through positive linguistic abilities to enhance a child"s metacognition.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교사- 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 ( Yoon Se Hw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0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및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강원도와 경상북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유아 286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변인에 대한 교사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기질 및 교사-유아관계 및 또래유능성의 하위요인들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 및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과의 관계에서, 기질과 교사-유아관계는 또래유능성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또래유능성 및 하위 구성요소들 전체를 예측하는 기질 및 교사-유아관계의 하위변인들은 기질의 적응성, 활동성, 반응성이며, 교사-유아관계의 전 영역-친밀감, 갈등, 의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질의 하위요소인 적응성은 또래유능성에 대해 관련 변인 중 가장 많을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were 286 Day care Center children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Second,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was positive factor in predicting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r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recurrently being discussed.

      • KCI등재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5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 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에 위치한 보육시설에 재원 중인 유아 28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에 대해서는 또래와의 관계, 자기통제, 그리고 자기정서의 이용이 첨가되므로 그 영향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ubjects in this study of young children's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in relation to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286 3- to 5-year-old children in Kangwon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using the SPSS Computer program, The major of th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young children's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xplained by "relationship skill with peers",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eacher",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in sub 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trol" and "self-assertion" in sub areas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인성발달 간의 관계에서 교사와의 친밀성과 또래유능성의 순차 매개효과

        황윤세 ( Hwang Yoon-s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과 인성발달 간의 관계에서 교사와의 친밀성과 또래유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충청 지역 유치원 만 5세 유아 357명있다. 교사와 부모의 평정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한 후 이에 대한 순차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연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유아의 기질과 인성발달 간의 관계에서 교사와의 친밀성과 또래유능성 간에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인성발달에는 교사와의 관계 및 또래와의 관계가 주요한 변인이라는 점과 더불어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과정에서 유아개인변인에 대한 고려 역시 중요함을 시사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on young children’s personalities. Specifically, the dual mediating role of by teacher-children close relationships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observed. A total of 300 children aged 4-5, and 15 teachers working at a kindergarten in Seoul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correlation,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analyses, employing SPSS 27.0 and AMO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temperament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personality. Second, young children’s temperament increased teacher-children close relationships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as well as young children’s personality.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ren close relationships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These findings indicate the critical role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on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ual mediated by teacher-children close relationships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 KCI등재

        유아의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창의적 성향의 놀이와 행동적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성향의 놀이행동과 행동적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33명이고, 실험집단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8주간에 걸쳐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창의적 성향의 놀이에서는 다양한 흥미와 도전에서 변화가 있었다. 둘째,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행동적 자기조절력 전체 및 그 하위요인인 자기통제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이 유아교육의 실제에서 의미있는 교육활동임과 동시에 추후 놀이 교수법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from young children"s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Fifty-six subjects of five-year-old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8 week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a pretest and posttest. ANCOVA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test on the behavioral self-regulatio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