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과의존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과 심리적인 변화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김선주(Kim, SunJoo),김선희(Kim, Sunhee K)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6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과의존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과 심리적인 변화 및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1, 2학기에 걸쳐 경기 지역 A, B 중학교 1, 2학년 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자는 실험집단의 학교를 매주 1~2회 방문하여 회기 당 90분씩 총 11회기 집단미술치료를 직접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 사후 검사로 한국형 인터넷 중독 검사(K-척도), 심리변화진단 검사 및 PPAT 그림 검사를 시행하였고, 두 집단 간 사전, 사후 점수 차이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9.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실험집단에서 인터넷 중독 점수가 감소하였고, 통제집단에서 점수가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실험집단에서 심리변화진단검사 점수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에서는 점수가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실험집단에서 PPAT 그림 검사 형식척도의 문제해결력 점수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에서는 문제해결력, 발달단계 점수가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group art therapy affects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psychological chang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ly on the internet. The subjects were 50 first- and second- graders from middle schools A and B in Gyeonggi, and the researcher visited these schools once or twice a week and conducted a total of 11 group art therapy sessions. The researcher conducted a Korean internet addiction test (K-scale), a psychological change diagnosis test, and a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PPAT) drawing test as pre- and post-test. Data were analyzed it using the SPSS 19.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ternet addiction scor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core improved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sychological change diagnostic test score was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core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oblem-solving ability score of the PPAT drawing test format scale was improved, and in the control group,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velopmental stage score decreased,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디지털 기기에서의 그림검사를 위한 Application 개발 연구

        김선희(Sunhee K. Kim),김선주(Sun-J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는 디지털기기에서 앱을 활용한 그림검사가 가능한지를 탐색해보고자 게임 중독군을 대상으로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이하 PPAT)’ 그림 검사를 바탕으로 진단을 확인하여 미술치료에서의 그림검사 앱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PPAT 그림검사는 사람이 사과를 어떤 식으로 따는지 문제해결력을 검증하는데 유용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 타당도가 높은 검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디지털 기기에서 앱을 활용한 PPAT 그림검사의 형식척도(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이하 FEATS) 항목 14개 중 ‘문제해결력’ 항목에서 인터넷 과몰입군이 일반사용자군 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과몰입군의 경우 사과를 향해 손을 뻗지 않고 있거나, 사과가 떨어지는 그림, 합리적인지지 기반 없이 사과를 따는 방법으로 사과를 따른 모습을 표현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내용은 디지털 기기에서 앱을 사용한 PPAT 그림 검사가 본래의 목적인 ‘문제해결력’을 유의미하게 드러내었다는 점은 앞으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인터넷 과몰입 대상자들을 위한 심리치료적 개입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기를 익숙하게 활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PPAT 그림검사 앱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PPAT drawing using an application can be developed on digital devices for game addicts. The PPAT drawing test is useful and reliable for verifying problem-solving skills in how people pick appl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ver-immersion group scored lower than the average user group in the problem Solving category of the PPAT drawing test using the PPAT drawing applicaion on digital devices, and expressed by not reaching for apples, or by picking apples without reasonable support.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PAT drawing test application on digital devices has significantly demonstrated its original purpose of problem resolution, as well as future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Internet over-immersion subjects as well as users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 KCI등재

        저소득 빈곤가정 아동의 심리정서지원을 위한 여름학교 집단미술프로그램(Mind Art Program)의 효과

        김선희 ( Sunhee K Kim ),김소정 ( Sojung Ki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저소득 빈곤가정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집단미술프로그램(Mind Art Program: 이하MAP)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 약200개초등학교에서 저소득 빈곤가정아동으로 분류되어 모집된 3,535명 중 사전-사후 검사를 모두 마친 2,125 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집단미술프로그램(MAP)은 여름방학 기간에 학교와 가정으로부터 적절한교육과 여가 활동의 기회를 갖기 어려운 저소득층 빈곤가정 아이들이 복지기관을 통해 참여하는 여름학교에서 담당 예비 사회복지사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집단 활동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MAP은 아동에게친숙한 미술이라는 예술 경험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탐색하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존감을높이고 집단에서 또래와 작품에 대해 나누고 협동하여 작업하면서 사회성을 기르도록 아동의 미술 발달단계와 심리정서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MAP의 실행은 여름학교 교사로 집단 활동을 제시할예비 사회복지사 및 복지관 직원 120명에게 프로그램을 먼저 교육시키고 이를 동일하게 진행하도록 하였다. MAP은 2015년 여름 방학 기간 중 7월 27일부터 8월 7일까지 2주간 8회로 회기당 60분씩 제공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첫 회기에 앞서 사전검사로서 자아존중감 검사(CSEI)와 사회성 검사지에 응답하였고 마지막 회인 8회 종결 후에 사후검사로서 동일한 검사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집단미술프로그램(MAP)에 참여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점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복지기관에서 저소득 빈곤가정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여름학교 집단미술프로그램(MAP)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하며 여름학교를 진행하는 기관과 교사에 따라 다양하게 진행되는 집단 활동이 아닌 선행 연구와 예비 연구를 바탕으로 구성된 동일한 프로그램을 전국 단위의 여름학교에서 실시하고 프로그램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살펴 본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미술프로그램(MAP)을 수정 보완하여 여름학교와 같은 단기 집단 활동 프로그램으로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교육이나 창의적 예술치료 영역에서는 양적 연구를 통한 효과성 검증뿐만 아니라 참여 아동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지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질적 방법의 후속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social skill from low-income family in South Korea. For the purpose, the study 3,535 children were recruited nationwide by one of the largest social welfare institutes in Korea from low-income family. The total 2,125 were selected who completed pre and post test after participating 8 sessions of the group art activity program, Mind Art Program(MAP) for two weeks during the summer break in 2015. The Mind Art Program is the program which was designed by art therapists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and provided for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employees and social workers with the training for the program. About sixty minutes of art therapy were undergone eight times for the group.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self-esteem and social skill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activity(MA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self-esteem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group art activity(MAP). Second, the study revealed a change of social skill after the group art activity(MAP).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art activity(MAP) on self-esteem and social skill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y. Thus, offering this outcome to a group art activity, Mind Art Program, for continuous research development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creative arts therapies, and social work.

      • KCI등재

        인터넷 과의존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김선주(SunJoo Kim),김선희(Sunhee K.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과의존 중학생이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 A, B 중학교에서 11회기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인터넷 과의존 중학생 12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A학교 2019년 4월부터 7월까지, B학교 2019년 1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주 1-2회, 회기 당 90분 씩 총 11회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11회기 종결 후 일주일 뒤에 참여자에게 1회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Glaser와 Strauss(1967)의 반복적 비교 분석 방법에 근거하여 총 5개의 상위범주와 총 14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다.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상위범주는 <집단미술치료 회기에 점진적으로 적응함>,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미술에 대한 인식이 변화됨>, <나의 모습과 감정을 마주함>, <연구자와 참여자간 소통을 통해 관계망이 확장됨>, <다각적인 자신의 모습을 수용함>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효과성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다루고 점진적인 변화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Internet-dependent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group art therapy. For this purpose, 12 Internet-dependent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11 rounds of group art therapy at A and B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an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held from April to July 2019 at school A and from November 2019 to January 2020 at school B, for a total of 11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 The researcher conducted one post-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a week after the end of the 11th session. Based on Glaser and Strauss (1967), it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five upper categories and a total of 14 sub-categories. The top categories of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are Gradually Adapted to the Session of Group Art Therapy , Perceptions on Art Change through Group Art Therapy , Facing Myself and Emotions ,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Expand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 and Accepting Multi-dimensional Being of Me .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address participants subjectiv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and understand the progressive process of change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group art therapy effectiveness studies with teenagers with Internet addiction.

      • KCI등재

        미술심리치료학에서 예술기반 연구의 활용에 관한 고찰

        박주연(Juyeon Park),김선희(Sunhee K. Kim) 한국심리치료학회 2021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연구방법인 예술기반 연구가 미술심리치료학과 어떠 한 연관성을 가지며, 미술심리치료학에서 새로운 방법론으로 적용 가능성과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예술기반 연구와 미술심리치료학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심리치료와 예술 기반 연구의 예술작업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예술기반 연구가 미술심리치료학의 특수성을 담아낼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 가능성을 가진다. 둘째, 예술기반 연구는 미술심리치료의 특수성인 시각언어, 즉 이미지를 담아내며 이는 미술심리치료의 임상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미술심리치료사는 질적연 구와 유사하면서도 예술을 사용한다는 특성을 지닌 예술기반 연구에서 연구자로서 강점을 가진다. 본 연구를 통 해 예술기반 연구는 미술심리치료학의 특수성과 고유성을 드러내며 양적 연구를 통해 밝히지 못한 미술심리치료 학의 본질을 드러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the new research method, art-based research, has some relevance in the field of art psychotherapy, and the possibility and application of art psychotherapy in art psychotherapy are investigated. Therefore, the literature on art-based research and art psychotherapy is stud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work of art psychotherapy and art-based research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this has the potential as a research method that allows art-based research to contain the specificity of art psychotherapy. Second, art-based research contains visual language, that is, an image, which is the specificity of art psychotherapy, which can be used as a method to explain the clinical practice of art psychotherapy. Third, art psychotherapists have strengths as researchers in art-based research that is similar to qualitative research and uses art.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at art-based research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research method that can contribute to revealing the specificity and uniqueness of art psychotherapy and revealing the essence of art psychotherapy that has not been reveal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비대면 미술치료 수퍼비전의 방법론적 개발에 대한 실행연구

        편지원(Jiwon Pyun),김선희(Sunhee K.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1

        본 연구는 비대면 방식의 미술치료 수퍼비전의 실제적인 실행을 통한 구조화와 방법론적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 과정에서 실제적인 문제점 파악과 이에 대한 개선 방법을 찾아가는 실행연구의 연구 방법이 적용되었으며, 비대면 미술치료 수퍼비전에 참여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총 3명의 실행 과정을 담은 질적 연구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그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미술작업 활용을 포함한 새로운 구조 설계가 요구된다. 둘째, 비대면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비전 관계는 변화하며, 수퍼바이저는 참여자이자 동행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재정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비대면 미술치료 수퍼비전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방법론적 논의와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미술치료사로서 post-COVID-19 시대에 대처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structuring and methodological development through practical implementation of non-contact art therapy supervision. For this purpose, the action research method was applied in which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dentify practical problems in the research process and find ways to address them. The qualitative research data was analyzed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non-contact art therapy supervision. The research result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non-contact art therapy supervision, a new structured design including the use of art work is required to effectively achieve its goals. Second, in the non-contact art therapy supervision, the supervision relationship changes, and the supervisor should redefine his or her role as a participant and companion. This study examines methodological discussions and applicability by sharing the vivid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non-contact art therapy supervision, and suggested a practical plan to cope with the post-COVID19 era as an art therapist.

      • KCI등재

        국내 미술치료 대학원 석, 박사 교과과정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최선남(Sun-Nam Choi),이계희(Ke-Hee Lee),황현주(Hyun-Ju Hwang),김선희(Sunhee K Kim)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6

        본 연구는 국내 미술치료 전공 대학원 교과과정의 현황을 조사하여 미술치료학의 정체성 형성과 미술치료사 교육 및 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미술치료 석/박사과정이 개설된 대학을 중심으로 석사 수료생 및 졸업생, 박사 재학생, 수료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2년 2월 26일부터 3월 10일까지 네이버 폼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석사용 설문 143부, 박사용 설문 77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기본적 인적사항, 미술치료 교과과정, 교과 운영 환경 및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 전공 대학원이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등으로 다양하게 개설되어 이수학점의 기준이 상이하였다. 미술치료 교과과정에 대해 응답자들은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는데, 교재, 교수자의 수업 진행, 교과목 항목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졸업 후 수강을 원하는 과목에서 박사과정 응답자는 치료사의 자기돌봄과 자기분석 과목을 중시하였고, 석사과정 응답자는 발달재활서비스 관련 과목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교과목에 대한 기초연구가 학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for art therapy major in Korea, and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art therapy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the graduate program of both art therapy master's and doctoral studies in Korea. From February 26 to March 10, 2022, a Naver Form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survey, and data both from 143 at the master’s level and 77 at the doctoral level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questionnaire based on respondents' personal information, art therapy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ursework satisfaction are as follows. The graduate art therapy programs in Korea were established in different formats, such as general graduate school,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and specialized graduate school, based on the coursework requirements. The results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art therapy curriculum in terms of the textbooks, the instructor’s class progress, and the curriculum of the studies. Regarding the coursework preference of the respondent who wanted to take it after graduation, the doctoral level emphasized the therapists’ self-care and psychoanalysis of self-related subjects. The master’s level presented high demands on developmentalrehabilitation service-related course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e effects on art therapy coursework research in graduate studies were discussed.

      •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인지행동이론 활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지혜, 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7 No.2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utilization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for a diagnostic category with alcohol use disorder.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researcher observed the current alcohol use disorder situation of inpatients in closed wards and provided group art therapies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by reflecting the inpati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anger control and perceived stress. For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anger and stress act as mediums that lead to drinking. Since it is known that a cognitive factor is contributing to this process, the researcher approached the stud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for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First,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helps to empower the ability to emit and control the anger expression of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in a positive direction. Second,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helps to relax the body and mind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nd to minimize the degree of distor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recall ability, thereby positively reducing perceived stress affect. Third, i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group art therapy are used together with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ho believe they can control alcohol themselves, they can realize that their thoughts are different from what they are currently seeing through images that can be viewed as objective perspectives. It is not easy to find studies regarding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 theory, which help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ho often show irrational ways of thinking, to reorganize themselves cognitively and to explore themselves with visual language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s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based on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the anger ex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nd also provides the im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본 연구는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인지행동이론 활용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알코올 폐쇄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의 알코올 사용 장애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의 심리적인 특성 중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관한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제시하였다.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에게 분노와 스트레스는 음주로 연결되는 매개의 역할을 한다. 이는 인지적인 요소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집단미술치료에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접근하였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 및 논의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이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분노 표현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산하고 조절 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에 도움이 된다. 둘째,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이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몸과 마음을 이완시켜주고, 개인의 회상 능력에 따른 왜곡의 정도를 최소화 하는데 도움을 주어 지각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스스로 술을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와 집단미술치료를 함께 활용하면 객관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현재 보여 지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비합리적인 사고를 가진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에게 인지적인 재정립을 시키고 시각적인 언어로 탐색해보는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이론적 고찰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사용 장애의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에 대해 살펴보고,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 의의를 가진다.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에서의 윤리적 이슈에 대한 고찰

        김선주, 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국외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이해하고 윤리적인 이슈 및 미술치료사가 고려해야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에 개정된 미국미술치료협회(AATA) 윤리강령과 2016년에 개정된 미술치료 자격심사위원회(ATCB) 윤리강령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으나 국내 미술치료 임상현장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를 위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에 왔다. 이에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는 내담자의 특성 및 치료목표를 고려하여 필요시에 어플리케이션, 태블릿 PC, 컴퓨터, 디지털 사진 등을 활용해 미술치료사와 내담자가 상호작용을 하고, 내담자의 감정, 생각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치유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둘째,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에서의 윤리적인 이슈로는 내담자 사생활 보호의 어려움, 내담자 및 미술치료사가 거주하는 주, 나라의 치료 서비스 제공에 관한 법과 규제, 내담자의 비언어적 표현 등을 적절하게 평가하지 못하는 미술치료사의 제약성 및 디지털 작품의 소유와 보관 및 공유 문제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미술치료사는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 할 때 내담자의 특성 및 치료목표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디지털 미디어가 기존의 전통적인 재료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다양한 임상경험과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전문성을 길러나가고 있는 미술치료사들은 일상생활에서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전문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고, 전문인으로서의 윤리적 지침을 지속적으로 고려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사는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특성과 치료 장면에서의 활용가능성을 이해하고 윤리적인 지침을 확인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previous studies on art therapy using digital media focused on the issues that art therapists should consider when using digital media and on ethical issues.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AATA) and the Art Therapy Credentials Board(ATCB) have added topics about using the digital media but need to be discussed further. The conclusion of the analyses of previous studies on art therapy utilizing digital media was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utilizing digital media will be designed to take into account client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goals, using applications, tablet PCs, digital photos, and more as an interactive tool for art therapists to practice as an effective solution, and Second, ethical issues in art therapy utilizing digital media are difficulties in protecting client privacy, poor law and regulations on the provision of care services by client and art therapists who reside in states, countries with limited care, and nonverbals. Finally, the art therapist considers the client's characteristics and needs the sensitivity to use digital media at the right time, and understands that digital media should not replace traditional materials well. Art therapists who develop expertise through various clinical experiences and prior studies will need to have professional attention to digital media as they are used in everyday life, and they will need to have professional attention to it. Through this, the art therapists intend to hav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nd its usability in the treatment process, and check for ethical guide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