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승옥 소설의 개인 연구

        김미영(Mee Young K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현대소설연구 Vol.- No.34

        The innovative gist of the novels written by Kim Sung Ok lies in the discovery of a new persona and the revolution of sensitiv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lications of the persona that Kim discovered in his novels based on the theory of subjectivity of Levinas. The personas in Kim Sung Ok`s novels that arguably represent 60`s of Koreans literary community show the transformation from the nihilistic beings to the capitalist beings. In other words, the personas that Kim found in his novels purely represent the severed beings that had to move down to the economic and political ground from the war-haunted beings. Ultimately the personas of Kim`s novels develop into ones pursuing for the transcendental beings by converging with other beings. His literary journey from Seoul, 1964 Winter, Travel to Moo Jin , to Moonlight Seoul, Chapter 0 reveals the writer`s transcendence from personal, anonymous self, to self-standing self, and finally to self-achieving self by making relations with other beings. In sum, the personas found in Kim`s novels can be said as a becoming being towards ontological diversity. These personas keep trying to transcend from vagueness of lives. Transcending, in this context, means a journey from being-what to being-who. The characters in Kim`s novels never enjoy successes in this journey. However, by the incessant failures of the characters, the writer tries to demonstrate the never-ending zeal of egoistic individuals towards and for other beings-in-the-world. In this respect,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the primary purpose of Kim Sung Ok`s literary works is to overcome the sarcasm and dispair of post-war era of 1960s and to construct a ``transcending, subjective being`` that pursue for the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of 1970s.

      • KCI등재

        「현대미술의 요람」의 필자 확정 문제

        김미영 ( Mee Young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 구- 경북어문학회) 2010 어문론총 Vol.52 No.-

        "The Cradle-land of Modern Art" is an important article published on May, 14th~23th, 1934 in Me-il-Shin-Bo, a famous daily news paper in Japanese Colonialists ruled Korean Peninsula. The name of writter`s that article is Kim-Hae-Gyeong, 金海慶with Chinese character. Kim-Hae-Gyeong was entirely unknown person in Korean Modern History. Yi-Sang is a very famous poet, novelist, painter & architect in Korean modern history. Yi-Sang is pen-name. His real name is Kim-Hae-Gyeong. But the Chinese characters of his real name is not 金海慶but 金海卿. This essay want to prove this article`s writer is Yi-Sang. "The Cradle-land of Modern Art" deals with how to be changed & improved from middle age`s art till modern art in Western culture. This article focused & emphasized role of Cezanne to develop the modernization of fine art. The writter said real modern art had begun cubism. In the future, cubism, vorticism. fauvism, surrealism, dadaism etc are going to be popular. Those are based on expressionism. In the same time, most Korean painter`s article about western art history was focused on impressionism. But the art book published Bauhouse emphasized role of Cezanne & expressionism. Yi-Sang was under the influence of Bauhouse as an architect & painter. In addition, the writing style of this article are very similar to Yi-Sang`s. Yi-Sang has liked using different pen-name, every different genre essay or literature. The conclusion of this essay is quite within the realms of possibility that the writter of "The Cradle-land of Modern Art" is Yi-Sang.

      • KCI등재

        호텔과 ‘강남의 탄생’

        김미영(Kim, Mee-you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6 서울학연구 Vol.- No.62

        본 연구는 1980년∼1990년대 강남 신도시 개발, 강남 중상층 형성, 그리고 강남지역 특급 호텔의 급증 사이의 시간적·물리적 동시성(concurrencty)에 주목하여, ‘강남의 탄생’에 있어 도시 인프라로서 호텔이 수행한 공간생산 및 사회문화 기능을 분석하였다. 우선 호텔은 공간생산 인프라로서, 1980년대 초 영동 시대 호텔은 강북 인구 전입의 교두보이면서 영동 개발을 이끌어내는 매개체였다. 1980년대 말 영동이 완연한 신도시 강남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테헤란로와 잠실에 들어선 대형 호텔들은 강남 건설을 본격적으로 선도하면서 공간생산 기능을 한층 강화하였다. 또한 호텔은 사회문화 인프라로서, 영동시대 호텔은 붐 타운의 영동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창출하는 공간적 거점이었다. 강남시대 호텔은 국가주도 공간생산 과정에서 경제적 우위집단으로 성장한 강남 신흥 중상층의 계급형성과 계급 재생산을 위한 사회문화적 매개 공간으로 작용하였다. Cities and hotels have a close spatial intimacy. With this consideration, hotels have been gradually understood as a sort of ‘urban infra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unctions and roles of hotel as an urban infrastructure by focusing on ‘the birth of Gangnam’ in the 1980’s and 1990’s. This paper discusses two functions of urban infrastructure, namely space production and socio-cultural transformation. As a function of space production, hotels performed as a bridgehead to move population into Gangbuk during the development period of Young-dong in the early 1980’s. In the late 1980’s while Youngdong area was transforming into a new town, hotels construction in Taeheran-ro and Jamsil led to a full-scal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throughout Gangnam. As a function of socio-culture transformation, hotels in Young-dong area showed a typical a boom town urban culture. In addition, hotels of the Gangnam era played a role as a socio-cultural space that formed and reproduced a new upper-middle class which grew into an economically dominant group.

      • KCI등재

        백낙청의 리얼리즘론과 로렌스, 하이데거, 불교의 관련성

        김미영(Kim Mee 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4

        백낙청 비평담론의 핵심은 ‘리얼리즘론’이다. 그런데 그의 현실 참여적 민족 문학론의 실질적 근간인 리얼리즘론은 로렌스의 소설론, 하이데거의 예술론, 불교적 진리관이라는 이질적인 세 요소에 기초해 있어 특이하다. 1969년 『시민 문학론』 이후 백낙청의 비평적 개성은 여기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 세 요소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그의 리얼리즘론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백낙청은 리얼리즘을 ‘창작방법’의 차원이 아닌, ‘정신’의 문제로 간주하고, ‘시적 인간’과 ‘역사적 인간’의 접점에서 문학의 리얼리즘이 실현된다고 보았다. 사실적인 묘사보다 현실에 대한 정당한 인식과 실천적 관심을 강조한 그는, 리얼리즘문학의 좋은 예로 한국의 한용운과 영국의 로렌스의 문학을 꼽았다. 그는 로렌스의 장편소설론을 하이데거의 예술론에 연결시키고, 또다시 이를 불교적 진리관에 연관시켜 리얼리즘론을 구성하였다. 로렌스는 장편소설에서 디테일한묘사, 즉, ‘살아있는’ 것들의 ‘생생한’ 상호관련 하의 형상화를 중시하였고, 하이데거는 진리란 선재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적 형상화를 통해 ‘현현’ 또는 ‘탈은폐’되는 것으로 본다. 백낙청은 하이데거의 형상화를 통한 진리(본질)의 현현을 로렌스의 ‘~임(Being)’의 찰라적, 직관적 제시라는 소설관에 연결시켰다. 로렌스는 절대적 진리의 부재를 주장하여 진리관에 있어서는 하이데거와 유사한 측면이 있는데, 백낙청은 이를 ‘지공무사’, ‘돈오’라는 불교적 진리관과 상통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백낙청의 이러한 비평적 개성은 그가 루카치의 재현론이나 엥겔스의 발자크론, 레닌의 톨스토이론을 수용하여 민중적 민족문학론을 주창할 때에도 지속되고 있어 이해가 쉽지 않다. 분명한 것은 백낙청이 후기로 갈수록 한국적 현실 속에서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실천들이나 예술작품의 창작과 종교적 수행을 동일시하는 관점을 보인다는 점이다. 『창작과 비평』의 수장으로서 그는 예술의 현실적 실천력의 획득이라는 목적달성이 수용자의 감응력을 매개 하지 않고는 불가하다는 입장에서 문학의 사회적 실천력과 예술성을 포괄하고자 하였기에, 이질적인 이 세 요소의 지난한 접합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how to be connected the theories of D. H. Lawrence, Heidegger, and Buddhism in Baek Nak-Cheong"s theory of Realism. These 3 factors are so different in kind, but Baek Nak-Cheong said those were the bases of his all theories of Literature. Baek Nak-Cheong"s theories of national literature were constructed on those, too. So this article is aimed to show us how to be constructed on those 3 very different parts are connected in the Baek Nak-Cheong"s speciality of realism. First of all, Baek Nak-Cheong"s dissertation of Ph.D was dealed with D. H. Lawrence in Harvard University in 1972. Before that He had announced "The Theory of Citizen Literature"(1969). The that essay he had evaluated master pieces of D. H. Lawrence were based realism, in western culture of literature tradition. After that he always proclaimed D. H. Lawrence"s liberty & Han Young Woon"s love, Kim Soo young"s liberty & engagement as the comtemporary citizen spirit. The other hands, he quoted from Heidegger"s aesthetics. He regarded D. H. Lawrence"s thoughts about a long novel that is the unique genre being represented somethings are connected the other things, and being revived every things vividly. In the Heidegger"s aesthetics, the truth is exposed from time to time by giving shape artistically to revive. Baek Nak-Cheong said those truths are similar to thought of Buddhism"s truth. In the later period, He emphasized "Ji-gong-moo-sa 至公無私" as the supreme fairness and impartiality. That means his realism is located over the literature. Baek Nak-Cheong regards aesthetical creative works, participating in some social problems & some religious performances are same. That"s why Baek Nak-Cheong"s theory about literature are evaluated having aspects some metaphysical idealism.

      • KCI등재

        병상(病床)의 문학, 김유정 소설에 형상화된 육체적 존재로서의 인간

        김미영 ( Mee Young K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4

        소설가 김유정의 작품 활동은 그가 육체적 질병인 폐결핵과 치질, 늑막염과 정신적 질환인 대인기피증, 우울증을 앓던 시기에 주로 이루어졌다. 때문에 질병은 김유정 문학의 주제를 현격히 “육체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한계와 비극성으로 치우치게 만든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김유정 소설에 형상화된 인물들은 매우 일차원적인 인간들인데, 이들은 절대적 궁핍으로 인해, 식욕과 성욕의 존재들로 화하여 자기중심적이며 폭력적인 성격으로 제시되어 있다. 도덕적 파탄에 육박하는 한계적 상황 속에 놓인 인물들의 모습은 그가 즐겨 선택한 “봄”이라는 배경의 싱그럽고 생기 넘치는 이미지에 대비되어, “육체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한계와 비참함을 더욱 극명하게 보여준다. “병상의 문학”으로서 김유정 문학이 복사(모사)하고자 한 진실은 인간은 그다지 형이상적 존재가 아니며, 먹고 마시고 섹스하며 그날그날 살아가는, 그야말로 동물과 별반 다르지 않는 “육체적 존재”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이런 비극적인 인간 이해는 김유정 특유의 해학적인 구어체 문장과 풍자의 기법,순 한국적인 흥취와 어우러져 「동백꽃」, 「산골」 등에서 일제강점기 궁핍한 조선의 모습을 선명하게 담아내고 있다. 채색 한국화의 정조와 색감을 닮은 김유정의 소설에는 1930년대 중반, 향토성, 혹은 “조선적인것”을 찾으려는 조선화단의 영향도 감지된다. 김유정이 관여했던 “구인회”가 서양화의 도구와 재료로 “조선적인 것”을 형상화하고자 노력했던 화가그룹인 “목일회”와 교류가 빈번했으며, 1939년에 두 그룹이 “문장파”로 합쳐진 사실은 김유정 단편들의 표현과 분위기가 해학과 흥이어우러진, 가장 한국적인 이미지들을 담아 낼 수 있었던 원경에서의 계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Kim Yu-Jeong wrote 31 short stories during his illness. He suffered from tuberculosis, pleurisy, hemorrhoids, depression, and anthropophobia from 1933 to 1937. He also had been a stammerer in youth. So in this sense, it is possible to regard his novels as a form of “sickbed literature”. The main subject of Kim Yu-Jeong”s novels is the limitation and tragedy of a human being as a physical existence. In the novels, the complexityof Kim Yu-Jeong`s diseases are reflected very well. He uses humor as amethod of enduring the bad situations which may face a human being. Hiswriting style has been revealed to be very Korean. His novels contain imagery of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and the landscapes of mountain villages in Korea. He was a member of Group Gu-In. The members of this group were very close to the members of Group Mook-Il, which had looked for Korean style in modern fine arts. The efforts of the Korean painters to find “local colour” in art in the mid-1930s may have been abig influence.

      • KCI등재

        1960-70년대 이어령 에세이에 묘사된 유럽 이란 심상지리

        김미영 ( Mee Young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2 No.-

        글은 이어령의 유럽기행산문집 『바람이 불어오는 곳:이것이 서양이다』(1966)와 『서양에서 본 동양의 아침:현대문명과 동양문화』(1977)에 나타난 유럽 의 심상지리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어령이 구성한 유럽 은 희랍의 석조건축양식이 대표하듯, 화려한 문화유산들을 자랑하는 과거의 곳’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반면, 동양 은 동방의 빛 이란 표현이 상징하듯, 밝아오는 아침 같은 곳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에 따르면, 현대의 유럽은 물질문명과 기계주의로 인해 개인주의와 환경 오염의 문제를 앓고 있는 바, 동양문화는 그 대안으로 거론된다. 그는 한국문화를 동양문화로 확대 해석하면서, 유럽의 몇몇 선진국의 문화와 문명을 서구문명, 나아가 현대문명 일반으로 해석하여 양자를 견주고 있다. 그가 본 동양(한국)문화의 장점은 융합적 사고, 방법보다 정신을 중시함, 관계 중심의 공동체 의식과 경험중심성에 있고, 병폐는 관료주의적이고 정치지향적인 문화, 권위의식과 허례허식, 소극적이고 여성적인 문화, 정지와 체념의 정서 등이다. 그는 자문화 중심주의에 대해 비판적 자각을 내비치지만, 실제 서술에서는 어느 한쪽의 비교우위를 밝히는 방식을 이어가면서, 서구문화에 대해 극단적인 찬사와 폄하를 오간다. 또 한국문화에 대해서는 아전인수 격의 해석을 자주 내어 놓고 있다. 그는 문화란 비교 불가한 대상이란 인식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유럽기행산문 집에는 한국에 대한 생래적인 애정과 서양 중심의 근대화에 대한 저항감, 단시간 안에 한국문화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려는 조급함 등이 짙게 배어 있다. 그가 구성해 낸 유럽 이란 심상지리는 결국 한국문화의 정체성 찾기와 새로운 발전방향 수립을 위한 담론으로, 서구-동양의 위계화된 이분법을 극복하려는 의지와 문화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을 보여주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전 이후 미군문화의 도래로 한국문화가 급격히 미국화 일변도로 치닫던 무렵, 유럽 이란 새로운 타자를 제시함으로써 그런 흐름에 제동을 걸었고, 군사정권에 의한 경제개발논의로 인해 등한시되었던 한국문화에 대한 재검토와 문화선진국을 향한 주체적인 도약에의 첫걸음으로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revealed for Korean people in 1960 70`s how to recognize the european culture & how to understand Korean cultural identity in those times, too. with analyzing to the Imagined Geographies about Europe in Lee Ea Ryeung`s Essay. Lee Ea Ryeung was a famous essayist & literary critic. He wrote A Place of the Wind :This is the West(1966) and the Morning of the East Looking at in The west :Modern Civilization & East Culture(1974). He emphasized european culture were based on Greece & Christianism, so there were splendid relics of ancient times in the west. But nowadays The western civilization revealed mechanism of materials, so that the western culture would have some problems as like as environmental pollution, alienation of human beings & potentialities of war. On the other hand, Korea or the east had civilized less than the west and did not sparkled culturally in those times. But the eastern culture is an alternative plan to solve the problems in modern times. The essences of the eastern or Korean culture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the speciality of the eastern or Korean culture are focused on relationship of human-beings, based on the experiences, emphasized spiritual aspects. Lee Ea Ryeung said he eastern or Korean culture had the key of human being`s future, but still those are the seed not plant. The essays on the western culture & civilizations by Lee Ea Ryeung showed us cultures were developed through exchange between the one and the other. And said for us that 1960 70`s Korean culture must had seen self identifications & the other`s.

      • KCI등재

        1920년대 계몽적 남성 지식인의 여성 담론 연구

        김미영(Kim Mee-Young) 한국국학진흥원 2004 국학연구 Vol.4 No.-

        본고의 목적은 1920년부터 1924년까지 발간된 《동아일보》에 수록된 여성관련 연재기사와 논설을 고찰하여 당시 남성 인텔리 중심의 지배적 담론(dominant discourse)에서의 여성에 대한 인식의 구체적 모습을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1920년대 초기 《동아일보》의 여성관련 주요 기사에 관한 전체 목록을 작성하고, 둘째, 그 주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며, 셋째, 그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의 일제하 여성담론이나 신여성에 관한 연구들은 지배담론에 대한 하위주체의 저항담론으로서 연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실 지배담론의 여성문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근대화 초기, 미디어와 민족계몽담론간의 긴밀한 연계성에 착목하고, 《동아일보》가 당시 민족주의적 지배세력의 대표적 문자문화공간이었음을 토대로, 《동아일보》에 게재된 여성관련 기사의 분석을 통해 지배 담론의 여성을 매개로 한 근대에 대한 인식의 경향성도 유추해 보고자 하였다.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치하는 정치의 길이 차단된 상태였기에 일간지는 일상적 근대체험의 담론적 구성물이자, 그것 자체로 저항민족주의의 실천이었다. 둘째, 반反식민주의를 표방한 당시 남성 엘리트 중심의 저항적 민족주의 세력에게 있어 신문이라는 미디어는 가부장제적 지배논리를 여성의 내면에까지 각인시켜 여성에 관한 지배적 이데올로기가 설정한 상상적 관계로서의 민족적 현실과 개별 여성의 현실을 연결시켜 사고하게 하는데 기능적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동아일보》의 여성관련 시설과 기사는 양적으로 볼 때, 전체지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다. 논설이나 연재기사, 혹은 해설성 기사에서는 계몽주의적 교육론이 주로 강조되고 있으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여성에 의한 여성담론과는 달리, 여성의 역할을 가정 내로 한정시키며, 전통적인 현모양처의 역할론으로 채워져 있어 현격히 가부장성을 드러낸다. 이 같은 사실은 당시 남성 인텔리 중심의 지배담론은 그 내부에 성별화된 인식의 한계, 즉 가부장제적 인식을 지닌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the main, especially men, intellectuals saw the appearance of "Women" in early stages of Korean modernization. To purse the purpose of the study an approach of Discourse Analysis using news articles published in major news paper, Dong-A Ilbo. Dong-A Ilbo was chosen as the source of the discourses since she was regarded as the major arena where most enlightened intellectuals voices out their ideas and perspectives. The 150 article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carefully selected by the subject and throughly studi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ree folded : 1) Dong-A Ilbo, a major journal in 1920s, not only was a major journalistic entity but also actively served as an arena of political struggles for national liberation against Japanese Imperialists, 2) However nationalistic, the Dong-A Ilbo stood out for the traditional patriarchism. In other words, the enlightened and nationalistic intellectuals were still for the men-oriented dominant discourse and against the women-oriented counter discourse, 3) In some cases, the Dong-A Ilbo righteously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educating Women. However, her orientation toward gender was still biased and this was the limitation of her.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ominant discourse monopolized by the men intellectuals was basically against the recognition and appreciation of the coming of the Women in 1920s. They might be modernized, and enlightened, but were not able to overcome their traditional patriarchical perspectives.

      • KCI등재

        이상(李箱)과 브라크(Braque)

        김미영 ( Mee Young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글은 이상의 그림과 문학에 나타난 큐비스트 브라크의 영향을 살펴, 이상문학이 갖는 현대성이 회화에서의 큐비즘적 요소들을 문학에 창조적으로 변용함으로써 가능했음을 보이려 한다. 건축가 출신의 화가기도 했던 이상은 「현대미술의 요람」에서 현대예술을 싹틔운 요람은 세잔느이며, 그 출발은 큐비즘임을 강조했다. ‘이상’이란 필명의 ‘상자 箱’자도 큐비즘의 큐브(cube: 상자)에서 온 것일 수 있다. 이상은 소설과 시에서 다시점적 구성을 하고, ‘파피에 콜레’나 ‘꼴라쥬’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숫자나 도형을 활용한 타이포그래피적인 시를 썼는데, 이들에서 브라크의 영향이 감지된다. 그의 월미도 삽화는 브라크의 그림과 흡사하고, 선전에 출품한 자(화)상은 실제 자신의 모습보다 브라크의 자화상을 더 닮아 있다. 브라크는 이상과 마찬가지로 건축가 출신인데, 세잔느의 획기적인 공간인식을 가장 지적으로 발전시켜 큐비즘을 창안한 화가이다. 이질적 소재를 이어 붙인 ‘파피에 콜레’를 최초로 시도하여 꼴라쥬 양식을 만들었으며, 건축가 출신 이라 촉각의 중요성을 간파하여 회화에 촉각적 리얼리티를 구현하였고, 투시도적 구도나 공간의 물질성도 회화에 도입했다. 이로써 브라크는 회화가 자연의 재현이나 모사가 아닌, 작가의 창조적 구성물임을 천명하여 추상미술에의 길을 열었다. 소설 <날개>, <지주회시>, <동해>, <종생기>, 연작시 <오감도>, <파첩>, <역단> 등에는 브라크의 실험적 시도들을 문학에 창조적으로 접목시켜 현대성을 구현한 이상의 모습이 담겨 있다. This article purposed to reveal how to success Lee Sang(李箱)``s literature to get modern specialities those are still useful. The conclusion is that his masterpieces are based on the techniques of creativities are from the formative arts, specially, cubist painter Georges Braque. G. Braque is the originator of cubism. He had worked on to develop cubism with Picasso. He was also created ‘papier colles’ and collage. He had put some letters or numbers on the paintings. Lee Sang(李箱)`` had borrowed from Georges Braque some skills of cubist expression, and he created transformation process of Braque’s in his consecutive poems & novels. For examples, <the Wing>, <Dong-Hae(童骸)>, <Gi-Ju-Hey-shi(지주회시)>, <O-Gam-Do(烏瞰圖)>, <Ruk-Dan-destiny or fortune(易斷)>, <Pa-Cheop(破帖)> are thoses. Also Lee Sang(李箱)`` had painted his self portrait and illustration of Wol-Ni-Do as like as G. Braque’s self portrait & painting, “Reclining Nude”(1925). That’s why Lee Sang(李箱)`` who is the best famous modernist writer in Korea could be a cubist in Korean modern literature, like as Braque or Cezanne in European fine arts.

      • KCI등재

        민진 리의 『파친코』와 찰스 디킨스의 『데이비드 코퍼필드』의 비교 검토 - 인물형상화와 서사구성의 방법 및 작품의 정신적 기조를 중심으로

        김미영(Kim, Mee 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5

        이 글은 민진 리의 『파친코』와 찰스 디킨스의 『데이비드 코퍼필드』의 유사점을 인물형상화와 서사구성의 방식 및 작품의 정신적 기조의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이 연구는 『파친코』의 시작이 디킨스의 문장이고, 마지막 장면에 『데이비드 코퍼필드』가 등장하며, 민진 리가 이 작품을 쓸 때 가장 많이 참조한 작품으로 『데이비드 코퍼필드』 를 꼽았기에 가능하였다. 『파친코』는 20C 초, 조선에서 일본으로 이주한 선자 일가가 일본에 정착하기까지의 가족사를 담고 있고, 『데이비드 코퍼필드』는 19C 영국에서 데이비드라는 한 남성이 불운을 딛고 행복에 도달하는 30년간의 성장스토리를 담고 있다. 전자에는 이민 1.5세대 코리안 아메리칸 작가 민진 리의 이민자의 삶에 대한 인식이 담겨 있고, 후자는 디킨스의 자전적 스토리여서 그의 인생관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초반 서사가 후반에 비해 강렬한 편인 두 작품은 모두 주인공과 그 가족들의 이야기를 시간 순으로 풀어내어 이야기성이 강한 장편들로, 인물의 성격이 서사를 추동하고 있어 인물소설적인 성격이 강하다. 또 시대적 배경 탓인지, 여성에 대해서는 보수적 인식이 감지된다. 서사 구성상으로는 두 편 모두 장편임에도 건축물의 뼈대에 해당하는 중심 갈등이 없이 에피소드가 선적으로 나열된 구성이고, 유머로써 불운으로 점철된 주인공의 삶을 덜 어둡게 끌어가고 있는 특징이 있다. 주인공들은 반(反)정치주의적이며, 경제적 성취를 우선시하는 통속적 세계관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이 두 작품의 정신적 기조를 이루고 있다. 『파친코』는 재일조선인 일가가 이민 2세대에 파친코 사업으로 경제력을 확보함으로써 현지인의 차별을 견뎌낼 내적 힘을 얻는 이야기이고, 『데이비드 코퍼필드』는 자본주의화로 계층 간 대립이 심각하던 빅토리아 시대에 중산층 남성이 하층민으로 전락했다가 상류층으로 도약하는 서사이다. 두 작품은 모두 불운을 극복하고 자력으로 성공하는 가계나 인물의 서사라는 점에서 매우 닮아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between Min Jin-Lee"s Pachinko (2017) and Charles Dickens" David Copperfield (1849). The reason for planning this study is that the beginning of Pachinko is a sentence by Charles Dickens, David Copperfield appears in the last scene, and David Copperfield was cited as the most referenced work by Min Jin Lee when had been writing Pachinko. Pachinko and David Copperfield, both are the novel that tell the story of the protagonist and his family in chronological order. The characters of main persons lead the narrative, so both of them are a kind of character novel, and the conservative consciousness of women stands out. In addition, the narrative at the beginning parts are more strong & clear, the main character is anti-political, and has a popular world view that prioritizes economic achievement. Even though it is a novel, the episodes are arranged in lines without a central conflict corresponding to the framework of the building. Also, with humor, the author expresses the dark life of the main character in a less dark way, which is dotted with bad luck. David Copperfield is a story about an orphan boy from the middle class who is dotted with bad luck against the background of 19th century England, where conflicts between classes were severe, and the process of becoming a high-class gentleman through his own efforts rather than yielding to his fate. Pachinko tells the story of a Korean virgin from Far East Asia in the 20th century who immigrated to Japan while pregnant with the baby of a married man and soon became a single mother with two children. It contains the story of landing safely in the Both works have in common that they contain the success story of a historical figure or family who prioritizes economic achievement.

      • KCI등재

        미국영화 「날개(Wings)」를 패러디한 李箱의 소설 「날개」고찰

        김미영(Kim, Mee 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8

        소설 「날개」는 李箱이 1936년 9월 『朝光』에 발표하였는데, 이 작품은 1929년에 조선에서 상영된 미국영화 「날개(wings)」의 패러디로 볼 수 있다. 그 근거는 양자의 제목이 동일하고, 서사의 근간이 모두 청춘남녀의 연애담을 ‘오해’라는 코드를 중심으로 풀어가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양자의 시각적 이미지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李箱의 소설 「날개」에 있어서 시각적 이미지란 이 작품에 수록된 李箱의 자작삽화들을 말한다. 그러나 미국영화 「날개(Wings)」는 전쟁을 배경으로 청춘남녀가 오해를 解消하고 사랑을 성취해 가는 과정을 그린 해피엔딩의 "코메디"라 할 수 있는 반면, 李箱의 소설 「날개」는 싸워 지켜야 하는 ‘국가’도 없고, ‘자동차’나 ‘비행기’ 등, 근대적 문명의 기기도 갖추어지지 않은, 즉, 근대화의 초입에 머물러 있는 식민지 조선의 젊은이가 골방에서 ‘손님을 맞는’ 아내에 寄生해 살면서 그녀의 직업이 무엇인지를 알면서, 아내의 정체에 대해 의심하는 척(?) 하면서 비참한 현실을 견디기 위해 ‘자기위조’의 이야기를 꾸미는 내용의, 일종의 ‘블랙코메디’라 할 수 있다. 패러디와 블랙코메디는 로만 야콥슨에 의하면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의 지배소인데, 패러디는 외부에 실재하는 절대적 진리로서가 아니라, 주체의 해석 여하에 따라 전혀 다르게 인식될 수 있는 세계를 형상화하는데 유용하며, 풍자의 한 방식으로서 블랙코메디는 보편적 도덕률 대신 자유로운 정신의 미학적 실험을 추구하는 탈근대적 에토스에 뿌리를 내린 탈근대적 예술의 주요 창작기법이다. 소설 「날개」는 미국영화 「날개(wings)」를 패러디하여, 근대문명에 기반을 둔 자본주의의 최강국인 미국의 젊은이들의 현실과, 식민지 조선의 젊은이들의 현실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극명하게 보여줌으로써, 비동일한 세계의 동시공존이라는 현실에 저항하고 동일성에 근거한 근대성 논의를 비판함으로서 탈근대로 비월해가는 작가 李箱의 의식적 저항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런 맥락에서 李箱의 「날개」의 근저에는 세계가 明證한 사실관계와 역사적 因果法則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하고도 우연적인 관계망에 의해 드러나기에 어떤 인식도 하나의 가능한 해석일 뿐, 객관적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 니체의 철학이 자리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assumes The Wings written by Sang Lee in Korea is works as a parody of American movie Wings by directed William A. Wellman in 1927. So This research purposed to show how to be similar The Wings written by Sang Lee and American movie Wings. And What is different between the novel The Wings written by Lee Sang and American movie Wings. And Why Sang Lee made a parody works from American movie Wings. First of all, the name of two are same. Secondly, the power of the narrative of two masterpieces are misunderstanding of main characters, male and female. The story of two masterpieces are based on love story of youngsters. But movie Wings is kind of comedy, but novel The Wings is black-comedy. Because The Wings written by Lee Sang in Korea was revealed severe satire on the ages and society as a colonialized state. That was a kind of parody of American movie Wings. Parody is a method of recreative and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hat means the recognition of something is kind of interpretation of something, and there are nothing unchangeable truth. Parody seems to show us to be available something was born in the past as a different meaning. So parody was appeared in post-modern arts. Thirdly, The Wings written by Sang Lee in Korea has two cuts of illustration. Then those are very similar to scenes of American movie Wings. Sang Lee drawn by himself those illustration. Because he gave the descendents some hint to understand or solve his abstruse masterpiece as an parody of American movie Wing. Also it seems to be Sang Lee want to show us how far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ituations on thos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