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시조 한역 자료의 현황과 그 성격

        김명순(Kim Myoung-su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0 No.-

        본고의 연구 목적은 한국 전통시가의 대표적인 장르인 시조를 한시로 번역한 시조한역시 자료의 전체 현황을 정리하는 것이다. 시조의 한역은 주로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이루어졌다. 본고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시조를 한역한 문인은 120명 정도이다 한역 된 시조는 작품이 밝혀진 것이 759수이고 원시조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 135수이다 따라서 900여수에 가까운 시조가 한역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시조 l수가 여러 편의 한역시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제 시조 한역시는 더 많다. 본고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전체 한역시는 1356수애 달한다. 결국 시조 900여 수가 한시 1400여 수로 한 역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시조의 한역은 한두 편씩 단편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10여수에 서 100수가 넘는 작품에 이르기까지 연작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연작시에는 유행하는 시조 가운데서 임의로 수집에서 한역한 경우와 원래 연작형을 이루고 있는 특정 작품이나 특정 인물의 작품만 한역한 경우가 있다. 전자는 신위의 〈소악부〉를 비롯해서 22인의 한역시 연작 27편이 있고 전체 한역시는 652수이다. 후자는 송시열이 번역한 <고산구곡가번문> 10수를 비롯해서 30인의 연작 26편이 있고 전체 한역시는 525수이다. 그리고 1수에서 5-6수 정도로 단편적인 형태를 이루고 있는 시조 한역시 단편은 70여 인의 작품에 한역시는 180수 정도가 된다. 본고를 통하여 방대한 시조한역시의 규모와 자료 문헌적 성격이 드러났다. 한 시 양식으로 번역되어 전승된 시조 한역시 자료는 시조의 창작과 전승과정 동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며 국문문학과 한문학이 상호작용한 교섭양상과 조선후기 한시사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데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will find out and understand of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the material status about the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genre in Korean traditional poetry. Most of the work was done from 17th 19th century, and there are about 120 literary men who translated Sijo. 759 work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poetry and we cannot find 135 works' original poetry. Therefore about 900 work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poetry. One Sijo can be translated into more than 1 Chinese poetry, so there are more translated works.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are 1356 translated works in total. Many works are done in piece by piece, however most of them are in series with many poems from 10 to 100. First, some popular Sijo was translated into series. Second. some serial Sijo or some Sijo of particular writer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works. In first case. there are 22 writers' 27 works of Sijo along with Shinwi's "Soakbu" and 652 translated works. In the other case. there are 30 writers' 26 works of Sijo including 10 "Kosangugokgaj. which was translated by Song shiyul, There are 511 translated works. A lot of translations of Sijo into Chinese poetry are in various documents. They are in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such as 「Beonbanggok」, in Narnguman s 『Yakchunjip』. The works are in books of poems such as Hong yangho's "Chunggudangok, and Shinwi's r Jahasoakbu.. In collection of SUo like Shin heum's 「Bangongshiyeo」in 『Chungguyoungwon』. there are some translated works as well. We can understand Sijo which we do not know the lyrics now by studying the materials about the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The materials about the translation of Sijo into Chinese poetry have necessary value for studying the creation and tradition process of Sijo. In addition. with the materials. we can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Chinese one. and also we can study about the changing aspects of Chinese poetry in Late Chosu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에 따른 군집별 유아 실외놀이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

        김명순 ( Kim Myoung Soon ),김지연 ( Kim Ji Yeon ),최지예 ( Choi Ji Yea ),윤선영 ( Yoon Sun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에 따른 군집별 유아 실외놀이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유아교육기관 12개소의 실외놀이터와 해당 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실외놀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 평가 척도와 실외놀이 교사 인식 척도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계층적 군집분석 및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은 유아의 실외놀이 정도에 상관이 있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의 군집별 유아의 실외놀이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실외놀이를 장려하기 위해 실외놀이터 환경과 교사의 인식 개선에 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outdoor pla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of child center an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1 teachers, who worked at 12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Korean Outdoor Playground Quality Assessment Scale(K-OPQAS; Kim, Choi, & Kim, 2018) and Outdoor play perception scale(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 were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OVA, Post-hoc test, hierarchical clustering, and K-means clustering via SPSS 21.0 program.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of child cente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and the degree of outdoor play of children.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luster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of child center an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were found in the degree of outdoor play of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rovement of the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and teacher perception were proposed to encourage outdoor play of children.

      • KCI등재

        기획 2 : 한국 한시의 특징과 전개 (1) ; 기속시의 성격과 조선후기의 양상

        김명순 ( Myoung Sun Kim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기속시는 민풍 토속을 채집하여 기록한다는 분명한 창작의식을 바탕으로, 민간의 풍속과 민중의 생활상을 집중적으로 수용하여 다양한 양식으로 형상화한 한시를 말한다. 기속시의 창작 전통은 멀리 최치원, 김극기, 이규보 등에서부터 고려말을 거쳐 조선전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지다가 조선 후기에는 기속시가 대량으로 출현하였으며 특히 장편 연작시가 크게 유행하여 이전 시대와는 판이하게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조선후기 기속시는 그 소재와 내용에 따라 歲時紀俗詩, 漢陽紀俗詩, 鄕村紀俗詩, 農家紀俗詩, 女性紀俗詩, 演戱紀俗詩, 外國紀俗詩 등으로 분류되며, 각각 특정 지역과 계층의 민중을 대상으로 조선후기 사회현실의 다양한 면모를 반영하고 민족적, 민중적 정서를 형상화하였다. 조선후기 기속시에 나타난 표현형식상의 특징으로는 한국적 시어와 전고의 사용, 민요적 표현기법의 수용, 다양한 양식적 모색과 형상화 기법의 추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토속적 정서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민중의 정서와 생활상을 생동적으로 그려내었다. 그리고 이들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식은 민족주체의식, 민중에 대한 관심과 애민의식, 현실비판의식 등으로 요약된다. 이와 같은 조선후기 기속시는 ``朝鮮詩`` 정신을 구현한 대표적인 한시 경향으로서 한국한시의 민족문학적 위치를 확고히 정립하고 높은 현실주의적 성취를 뚜렷이 보여주었다는 문학사적 의미를 갖는다. Keesokshi is the Sino-Korean poetry which intensively accepts the people`s lives and customs and on the base of distinctive creative mind represents them with a wide variety of forms. The history of Keesokshi is lasted from Shilla and Goryeo Dynasty and Chosun Dynasty. In the late Chosun Dynasty, Keesokshi was intensively produced especially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According to the materials, the works are divided into Seshi Keesokshi(歲時紀俗詩) treating the annual occasions, Hanyang Keesokshi(漢陽紀俗詩) dealing with folkways in the capital, Hyangchon Keesokshi(鄕村紀俗詩) reflecting the folkways of rural areas, Nongka Keesokshi(農家紀俗詩) describing the social manners and lives of farmers, Yeosung Keesokshi(女性紀俗詩) focusing on the social manners and lives of women, Yeonhee Keesokshi(演戱紀俗詩) treating singing and dancing performances and Woegook Keesokshi(外國紀俗詩) describing foreign customs. It is a very important that a lot of Keesokshi are produced in Late Chosun. The Keesokshi at that time are deal with Koren folkways and customs of their lives. Furthermore, Keesokshi realize the spirit of Chosunshi(朝鮮詩) in the content and the form as well, plays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the status of Sino-Korean poetry as a folk literature.

      • KCI등재

        조선후기 한시의 가사 수용 양상

        김명순 ( Myoung Sun Kim ) 東方漢文學會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7

        이 논문은 조선후기의 한시 창작에서 가사를 수용하여 작품의 소재나 주제로 활용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한시의 가사 수용은 가사와 관련된 소재를 수용하여 한시를 창작한 경우와 가사를 한시 양식으로 번역한 경우로 나누어진다. 먼저 가사와 관련된 소재를 시화한 가사 수용 한시는 작자 18인의 작품 34수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작품은 17세기와 18세기에 주로 지어졌는데, 정철의 송강가사와 관련된 한시가 많이 지어진 것이 큰 특징이다. 이는 송강가사가 사대부들 사이에 널리 유행했고, 그 내용과 주제의식이 보편적으로 공감되는 바가 컸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작품의 작자는 학맥, 가문, 당파가 정철과 관련이 깊은 인물이 많다. 이들은 정철의 문인과 후손 및 그들의 주변 인물, 그리고 서인 계열에 속하는 인물들이었다. 그 중에서 당대의 대표적 시인들이었던 임전, 권필, 이안눌의 작품은 특히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후대까지 회자되었다. 홍양호와 심락수는 변방 관리로 밀려난 자신들의 처지를 「사미인곡」의 내용과 주제 및 정서를 수용하여 장편 고시와 연작시를 창작함으로써 개성적인 작품을 남겼다. 이러한 작품들은 기녀가 송강가사를 가창하는 것을 듣고 지은 경우가 많은데, 작품의 가창 장면에 대한 소감, 가사 작자의 풍류에 대한 회고와 추모의 감정, 작품 세계에 대한 공감 등을 한시로 표현하였다. 작품 양식은 칠언절구, 율시, 고시, 초사체 등 다양한 시 형식이 사용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높이 평가 받았던 작품은 칠언절구였다. 이는 칠언절구가 가사의 가창 장면을 압축하여 보여주면서, 가사의 가창적 성격을 살려서 낭송하거나 가창하기에 적합한 한시 양식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시의 가사 수용의 또 다른 방식인 가사를 번역한 경우는, 번역한 인물은 19명이고 한역시는 25편이며, 17세기경 시작되어 18세기에서 19세기까지 지속적으로 많은 작품이 나왔다. 가사의 한역은 정철의 작품이 집중적으로 한역되었는데, 한역자 12인이 「장진주사」,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등 5편을 한역시 16수로 한역하였으며, 송강가사의 한역자에는 서인 계열에 속하는 인물이 많다. 가사한역시에는 송강가사의 한역시 외에도 역자 미상의 「신번면앙정장가」, 정희진의 「우희국사가」, 심액의 「번매호별곡」, 김형수의 「월여농가」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성격의 작품들이 있다. 가사 한역에 사용된 한시 양식은 전통적인 고시체를 비롯해서 초사체, 장단구체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작품의 규모가 방대해서 100여 구에서 수백 구에 이르는 장편을 이루고 있다. 조선후기 문인들이 가사를 한역한 목적은 국문으로 되어 있고, 노래로 불리는 가사 작품들이 인멸되어 없어지게 될 것을 염려하여 특별히 한문으로 기록해서 후세에 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과, 교훈적인 내용의 가사를 번역하여 신하들이나 백성들을 교화하고 경계하기 위함에 있었다. 가사 수용 한시와 가사 한역시는 일차적으로 문학사에서 가사의 수용과 전승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적 가치를 지닐 뿐 아니라, 국문문학과 한문학이 교섭하여 상호작용한 결과로서, 한국 한시가 가사의 양식적 특성을 받아들여 그 폭을 확대하였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thesis studies the accepting and using aspects of the traditional poetry, Gasa in the creation of Chinese poetry in Late Chosun. These works are devided into two types. One is the translated type of Gasa into Chinese poetry style and the other is Chinese poetry with the scenes of singing Gasa, the respect and memory of Gasa writers and the worth of Gasa. First, Chinese poetry with Gasa was mainly created in 17th and 18th century, and there are 34 works of 18 writers. Among them, many works are related with Jungchul such as "Kwandongbyulgok" and "Samiingok." This means these works were popular and won the sympathy from the contents and the topics. Many writers are related with Jungchul in school, family and party ways. They were Seoin which was the powerful party in political and ideological ways in Late Chosun. Most works were created by listening to gisaengs` singing of Jungchul`s Gasa. They show the feeling of the singing scenes, memories of loyalty and elegance of the writers, and the sympathy about the works. There are various styles, but Chilunjulgu, seven-word line style is the most frequent and highly evaluated. This is because Chilunjulgu style is a proper style for showing and singing the characteristic od Gasa as a song. Second, a translated type of Gasa into Chinese poetry style was created in 17th, 18th and 19th century. There are 19 people who translated Gasa, and there are 25 works. In this type, there are many works that are related with Jungchul. 12 people translated Jungchul`s Gasa into 16 Chinese poems and many of the people are Seoin. There are Chilungoshi, Chosache, and Jangdangu styles in this type. From 100 to 500 long poems of this type were created. Literary men in Late Chosun translated Gasa into Chinese Poetry because they had wanted hand down Gasa written in Chinese letters worrying Korean version could be disappeared. They also wanted to educate retainers and people by translating instructive Gasa. These works are very valuable because they show the accepting and transmissive aspects of Gasa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y help Korean Chinese poetry to extend the styles with accepting the characteristics of Gasa by meeting and interacting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朝鮮前期 紀俗詩 硏究

        김명순(Kim Myoung-Sun) 대동한문학회 2004 大東漢文學 Vol.21 No.-

        기속시는 '민간의 풍속을 시화한다는 뚜렷한 창작의식을 바탕으로, 민간의 풍속과 민중의 생활상을 집중적으로 수용하여, 다양한 한시 양식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이는 기속악부와 죽지사로 분류되는 작품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조선전기의 기속시는 작품 양이 적고 내용도 다양하지 않다. 세시풍속을 묘사한 작품은 단편적으로 발견될 뿐이고, 여성의 생활상을 다룬 작품도 극히 드물다. 특히 서울 시정의 풍물과 세태를 묘사한 작품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반면에 지방의 민간 풍속을 수집한 작품이 많고, 특히 농민의 풍속을 다룬 것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조선전기와 조선후기 사회의 전반적 성격 차이에서 가장 큰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조선전기에는 연작형 작품이 본격적으로 출현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방의 풍속을 다룬 연작시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국내의 지방을 배경으로 한 죽지사들이 등장한 것은 매우 중요한 변화라 할 수 있다. 조선전기 기속시는 작가의식에서 조선전기 문인 계열의 성격과 관련하여 일정한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서거정, 강희맹, 성현 등 관료문인의 작품은 현실감이 떨어지고 농민의 고통의 원인에 대한 진단이 피상적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 김종직, 유호인, 조위 등 김종직 계열의 문인들은 죽지사체를 비롯한 연작시를 채택하여 지방의 민풍 토속의 다양한 국면을 다채롭게 묘사함으로써 연작시가 기속시의 핵심적 양식으로 자리잡는 선례를 마련하였다. 김시습은 민중의 삶의 현장에 밀착하여 그들의 참상을 폭로하고 문제의 핵심을 파해침으로써 가장 예리한 현실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삼당파 문인과 임제는 여성과 농민들의 생활상을 민가적 정취를 살려서 정감있게 그려내고 지방의 민풍 토속과 여류감정을 낭만적으로 잘 살려내었다. 조선전기 기속시는 작품양이 적고 경향도 단조롭지만 고유의 전래풍속을 제재로 수용하여 자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표현하고 민족정서를 형상화하였다. 그리고 지방의 지역적 특징과 지역민의 생활상을 본격적으로 한시 제재로 수용한 점은 한시사에서 매우 의미 있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농민과 봉건지배계층의 대립 구조를 드러내면서 농민들의 고통을 대변하고 관의 수탈을 폭로 비판하는 작품이 광범위하게 확인되는 점은 조선전기 기속시의 의미 있는 성취라 할 수 있다. Kisok-poetry is the poetry that is written in the style of Chinese Poetry, expecially including the culture and life of people, based on a distinctive consciousness of creation, the poetization of civil customs. It is a general concept of works that classified into 'Kisokakbu' and 'Jukjisa'. Kisok-poetry mostly describes customs of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in realistic way, like the original customs of people, the local life style of each region, and the life of farmers and women. Therefore, it shows the emotion and the mood of people and regional atmosphere strongly. In Early Chosun Dynasty, there are a few Kisok-poetry, and their contents are not various. The works of description of customs are founded only fragmentarily, and there are not many works about life of women. Especially, there are few works about the things and the social conditions of Seoul. There are a lot of collections of customs of provinces and the works about the farm. This i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Early Chosun and the Late Chosun society. In Early Chosun, there are not much 'Yeonjak-poems(the several sub-poems related with the theme of a certain poetry)'. Therefore, generally there are more long 'Goche-poetry' than 'Geunche-poetry'. However, there are more and more Yeonjak- poetry, which is about the customs of provinces. Particularly, it is a very important change, the advent of Jukjisa that are about regional customs. In Early Chosun, Kisok-poetry represents the racial emotion and the pride of their culture by using traditional customs as a theme, there are not much Kisok-poetry and the trend is simple though. In addition, it is very significan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the life in there were used as the theme of the Chinese poetry in earnest. Particularly, it i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Kisok-poetry in Early Chosun that there are many works, which expose and criticize the extortion by government and speak for peasants` painful life showing the antagonism between peasantry and the ruling class of the fuedal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시조 〈삼동에 베옷 입고〉의 문헌 전승 양상 연구

        김명순(Kim Myoung-Sun) 한국시조학회 2006 시조학논총 Vol.24 No.-

        시조 〈삼동에 베옷 입고〉는 30여 종의 가집에 수록되어 있고 10여 종이 넘는 문집류 문헌에 시조 원문, 한역시, 작가, 창작 배경 등에 관한 기록이 들어 있다. 오랫동안 조식의 작품으로 알려져 온 이 시조의 작가가 김응정이라는 주장이 제기었으나 일부 학술논저와 대부분의 교양도서 및 학습참고서류에서는 조식의 작품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작가 시비가 논의되고 있다는 이유로 교과서에서 삭제되었다. 가집류의 대다수에 이 시조의 작가가 조식으로 표기되어 있고 일부에 양응정으로 나오지만 이를 객관적 자료로 삼기는 어렵다. 문집류 문헌에는 吉再, 金麟厚, 李夢奎, 金應鼎, 金? 등이 작가로 나오는데, 저마다 해당 인물의 생애와 창작 배경 등을 제시하며 서로 다른 주장을 내세우고 있어서 혼란스럽다. 가집류의 경우는 원작자 김응정이 양응정으로 잘못 기록되고, 행적과 명성이 〈삼동에 베옷 입고〉의 내용과 배경에 가까운 조식으로 바뀌어 전승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집류 문헌의 경우는 대상 인물의 생애와 행적, 일화와 명성, 시문 창작, 시대 배경과 역사적 사건 등이 〈삼동에 베옷 입고〉의 내용 및 배경과 쉽게 결부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행적이나 일화가 전승되면서 이 시조의 작가로 알려지게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이 시조의 작가로 내세워진 인물의 가문의 후손, 향리 후배, 학파나 정파의 후진 등이 선조나 선배의 절의를 드러내기 위해 집안이나 향리, 학파 등에 전승되던 〈삼동에 베옷 입고〉 창작설을 특정 기록으로 정리하였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관련된 문헌자료를 광범위하게 검토한 결과 이 시조는 김응정이 명종의 승하시에 지었다는 사실을 구체적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삼동에 베옷 입고〉의 원문 표기, 창작 배경, 어휘 풀이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시조 〈삼동에 베옷 입고〉와 관련된 다양한 문헌자료의 전승은 해당 시조 뿐 아니라 시조문학의 수용과 전승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로서의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One of the famous Korean verses, Sijo 'In hemp clothes in winter(삼동에 베옷 입고)' is in thirty kinds of anthologies and ten kinds of Chinese writings. The major point in literary transmission of this work was the writer. The writer of this verse is Cho Sik(조식) in most anthologies. The writer of this work is recorded as Kil Jae(길재), Kim In-hoo(김인후), Kim Eung-jung(김응정), Lee Mong-gyu(이몽규) or Kim Ryung(김령) in Chinese writings. These people were famous for their studies and virtue, but they did not take office and retired from the world until they die. They were faithful to their principles serving their kings, though the country had wanted them to take a position in the government. Even though they did not in government service, they left some anecdotes and stories of lamentation after hearing their king's death. Because these stories and anecdotes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In hemp clothes in winter' which is about mourning over death of a king, they were known as the writer of this poem. Especially, their offsprings, juniors and followers often wrote these people as the writer of this work to represent their honor. Throughout the studies of several literary documents, this poem is written by Kim Eung-Jung, who lived in Kangjin(강진) in Jeonla province(전라도) and did not take office in all his life. He made this poem when he had heard the King Myoungjong(명종)'s death. Various transmission of literary documents with the records about "In hemp clothes in winter" have a significance that can show the aspects of noble men's acceptance and transmission of Si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