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읽기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정서이해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두희 ( Du Hee Kim ),이지혜 ( Ji Hy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마음읽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가 자폐성 장애 아동의 정서이해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는 부산시 소재의 일반초등학교에 다니는 자폐성장애 아동으로 IQ 50 이상, 마음이론을 통과하지 못한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재는 마음읽기 프로그램의 5단계로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중재기간은 20주 동안 40회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진행과정과 프로그램 전·후 대화과정을 수집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읽기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자기 인식 표현 능력, 타인 인식 능력, 자기 조절 능력의 정서 이해에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마음 읽기 프로그램이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대인관계 형성 능력, 학교적응 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폐성장애 아동의 정서이해의 변화와 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알아보았으며 이를 근거로 추후 연구를 위한 활용방안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we have applied the “Theory of the Mind” Intervention Program to evaluate its effect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behavior of autistic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utistic children enrolled in a regular elementary school in Busan. Subjects are children with a minimum IQ of 50; children who are diagnosed with autistic disorder and children who have failed to pass the intervention test of Theory of the Mind. The results areas follows. Firstly, the ability of autistic children to recognize others` controllability showed the most growth. It shows that the “Theory of the Mind” interven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autistic children to express self-awareness skills, self-regulation skills, awareness of others, and especially the awareness of the emotional states of others through words and expressions. Secondly, the individual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motional regulatio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behavior,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children`s ability to adapt to the school`s social environment is interpreted as circumstantial. We have looked into this program specifically in the area of vari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Basis of the proposed changes in the long run shall be on the result and outcome of the study.

      • KCI등재

        그룹음악활동 프로그램에 따른 장애아동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김두희(Du-Hee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그룹음악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아동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변화된 행동 특성과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6명을 대상으로 그룹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그룹음악활동은 방과 후 40분 수업으로 10주 동안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어머니의 면담, 특수교육실무원의 면담, 아동 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할 때 사례 간 의미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그룹음악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이 경험한 내용은 2개의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그룹음악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이 변화한 내용은 3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음악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이 경험한 내용으로 ‘즐거운 그룹음악활동’과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룹음악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이 변화한 내용은 ‘서로에 대한 관심’, ‘자기 조절력’, ‘주의집중력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그룹음악활동이 장애아동의 잠재력을 발산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학교 현장에서 함께하는 다양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일반학급 내에서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group music activity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meanings. A group music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for 6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group music activity was conducted for 10 weeks with 40-minute class after school.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journals of researcher’s observation, interviews with mothers, interviews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ids, and interviews with children. When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it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eaningful cont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group music activities were derived into two themes, and the behavior chan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group activities were derived into three t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hrough group music activity,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of enjoyment and confidence that ‘I can do it’. Second, behavior changes were found to be interest in each other, self-regulation, and increased concentration of attention. This study showed that group music activities are program that can release the potentia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xperience social interaction.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opportunities of various music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ren at the school together.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사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

        김두희(Kim, Du Hee)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에서 스마트러닝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바람직한 스마트러닝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 현장에서 스마트러닝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사 6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개별 면담과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개별 면담과 집단 면담의 내용을 전사하여 인식과 활용실태에 관한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4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스마트러닝의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교육과 스마트기기 보급에 따른 교육 형태 변화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러닝의 활용 실태는 학업에 활용하는 것과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활용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러닝의 문제점은 제한적인 스마트기기 보급과 교사들의 가중한 수업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넷째, 효과적인 스마트러닝에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교사의 관심과 의지, 실제 교육현장에 적합한 스마트러닝 연수, 스마트러닝을 위한 핵심장비 확보 등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각 주제를 토대로 향후 스마트러닝 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과 시사점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actual condition about smart learning,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In order to do this, the interview were administered with 6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using the smart learning. The interview are given to individuals with one-on-one and group.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4 topics and 9 sub-topics were extra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 : First,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bout concept of smart learning are education using smart device and the changing type of education. Second, the actual conditions of smart learning are for educational and for making social network. Third, the problem of smart learning are limited smart device and stress of teachers. Fourth, As for the effective smart learning, the interest and willingness of teacher, appropriate teachers training to educational field and the core device equipment for smart learning are required. The suggestion was about the improvement and implication of smart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에서 스마트러닝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바람직한 스마트러닝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 현장에서 스마트러닝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사 6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개별 면담과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개별 면담과 집단 면담의 내용을 전사하여 인식과 활용실태에 관한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4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스마트러닝의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교육과 스마트기기 보급에 따른 교육 형태 변화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러닝의 활용 실태는 학업에 활용하는 것과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활용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러닝의 문제점은 제한적인 스마트기기 보급과 교사들의 가중한 수업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넷째, 효과적인 스마트러닝에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교사의 관심과 의지, 실제 교육현장에 적합한 스마트러닝 연수, 스마트러닝을 위한 핵심장비 확보 등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각 주제를 토대로 향후 스마트러닝 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과 시사점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actual condition about smart learning,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In order to do this, the interview were administered with 6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using the smart learning. The interview are given to individuals with one-on-one and group.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4 topics and 9 sub-topics were extra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 : First,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bout concept of smart learning are education using smart device and the changing type of education. Second, the actual conditions of smart learning are for educational and for making social network. Third, the problem of smart learning are limited smart device and stress of teachers. Fourth, As for the effective smart learning, the interest and willingness of teacher, appropriate teachers training to educational field and the core device equipment for smart learning are required. The suggestion was about the improvement and implication of smart learning.

      • KCI등재

        2015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김태림(Kim, Tae-Rim),김두희(Kim, Du-h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과서를 통한 장애이해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어교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5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12종을 대상으로 장애 유형, 장애 관련 내용의 주제 분석, 장애인관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 유형은 건강장애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자폐성장애, 학습장애는 분석되지 않았다. 둘째, 장애 관련 내용의 주제 분석에서는 개인 차이와 인권 존중의 내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교과서에서 개인의 차이를 인정하고 인권존중의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장애인관은Ⅰ차원 개인-의존적 모형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Ⅰ차원은 장애를 개인의 문제로 보며 의료적 치료와 주변의 도움을 받는 의존적 이미지로 묘사한 사례가 다수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향후 교육과정 개편 시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은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 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제시되어야 하며, 장애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갖지 않도록 국어교과서의 내용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집필진 및 연구진들은 장애관련 내용을 선정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장애관련 연수 등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현장에서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바람직한 장애이해 및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high school and present the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so that education on understanding disabilities through textbooks can be successfully conducted. Method: 12 typ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for high schools as types of disabilities, subjects related to disabilities, and center for the disabled. Results: First, the type of disability was analyzed the highest level of health disability, and autism and learning disabilities were not analyzed. Second, The subjects of disability related contents were analyzed most frequently by personal differences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It was found that Korean textbooks recognized individual differences and dealt with many contents of respect for human rights. Third, the perspective on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reflected the individual-dependent model of I- dimension. In the first dimension,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a disability was considered as a personal problem and it was often described as a dependent image with medical treatment and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Suggesition: When the curriculum is reorganized in the future, disability-related cont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presented in various ways. Also, writers and researcher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need to receive disability-related training to help them select and improve disability-related information. And, 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 desirable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and awareness of the disabled us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t school sites.

      • KCI등재

        CE-PBL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비대면 수업에서의 대학생 경험 분석

        유은정(Yoo, Eun Jung),김두희(Kim, Du hee),김미진(Kim Mi jin),구원회(Gu Won ho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CE-PBL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비대면으로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비대면 현장 연계 PBL수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I대학교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28명이며, 2020년 3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총 4개월(15주)간 비대면 CE-PBL 방식으로 운영되는 [캡스톤디자인]과목 수업에 참여했다. 연구참여자들의 성찰일지, 토의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으며, 연구참여자 가운데 5명을 선정하여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했다. 결과 첫째,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학습’과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을 경험했으며, ‘이론과 실제 연계의 중요성’과 ‘지식의 활용 가능성 및 가치’를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대면 수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팀 활동 방식’과 ‘대안적 현장 연계’를 경험했으며, ‘교수자-학습자의 관계를 재정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비대면 현장연계 PBL 수업에서의 자기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의 가능성을 시사하며, COVID-19상황에서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pre-teachers’ on the online class of ‘Capstone Design’ applied CE-PBL (Community Engaged Problem Based Learning) and to suggest the way about untact field based PBL clas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8 college students who were junior majoring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t I University. They were participate on the class of [Capstone Design] that was run by CE-PBL(Community Engaged-Problem Based Learning) from March 2020 to June 2020 (i.e. fifteen weeks). To analyze their experiences, reflectional journals and discussion reports were gathered and FGI were administered. Results First, the pre-teachers have experienced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ey have recognized ‘importance of connec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the possibilities and values of knowledge appli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untact class, they also recognized ‘a various of team activities’, ‘alternative field connection’ and ‘redefining the teacher-learner relationship’. Conclusions The implication of this results is the possibility of the self-directed and creative learning even though in the untact field connection class, so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situation of COVID-19.

      • SCOPUSKCI등재

        Canine herpesvirus(CHV) 감염증의 자연발생예 관찰과 감염실험

        김옥진,박응복,안수환,김두희,신진호,Kim, Ok-jin,Bak, Ung-bok,An, Soo-hwan,Kim, Du-hee,Shin, Jin-ho 대한수의학회 1992 大韓獸醫學會誌 Vol.32 No.2

        Five puppies, 14 days old in the same litter showed acute symptoms such as painful crying, anorexia, abdominal pain and depression with fatal terminations. Necropsy of a puppy revealed hemorrhagic and necrotic foci in the lungs and kidney. The histological lesions were characterized with fibro-necrotizing foci in the lungs, nonsuppurative encephalitis and intranuclear inclusions of liver cells. A cytopathogenic agent was isolated from the thoracic fluid of a dead puppy by cell culture with primary dog kidney cells. The puppies inoculated with the field isolate showed the same clinical signs and lesions as those of the spontaneous cases. Viral particles were observed in suspension of the isolated agent by electron microscopy. The primary dog kidney cells infected with the field isolate showed fluorescent foci against anti-CHV monoclonal antibody after FA stain. On these findings of the disease it was diagnosed as CHV infection. The report signifies the first description of an epizootic of CHV infection in Korea.

      • KCI등재

        장애아보육시설 행동치료사의 직무관련 만족도 및 요구조사

        이상복 ( Sang Bok Lee ),문현미 ( Hyun Mi Mun ),김두희 ( Du Hee Kim ),이은정 ( Eun Jung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전국 장애아보육시설에 종사하는 행동치료사 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에서 임금, 근무환경과 재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욕구를 분석함으로써 전문성과 자격을 갖춘 행동치료사 양성과 재교육에 대한 국가적 지원 및 정책 개선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행동치료사들은 자신의 임금에 대해 다소 불만족하고 있으며, 연령과 학력에 따른 임금만족도 차이를 보였다. 근무환경에 있어 장애아전담보육시설이 장애아통합시설에 비해 개별 업무공간, 개별 업무시간, 휴식공간의 확보가 보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시설에 종사하는 행동치료사들 모두 개별 업무시간의 확보를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근무환경으로 보았다. 재교육은 관련 전문학회를 통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받고 싶은 재교육 내용은 새로운 교수방법에 관한 내용이었다. 결론에서는 보육현장에 전문성 있는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임금을 상향조정하는 방향으로의 근본적인 임금체계를 개선과, 종사자의 근무환경 관련 내용을 보육지침서나 평가인증제 규정사항으로 포함할 것, 마지막으로 자격 있는 행동치료사 양성과 재교육을 담당할 학회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위임 및 공인화와 현장 적용 가능한 새로운 교수법을 재교육내용에 우선적으로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ationwide survey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needs for wages, working conditions, and retraining on behavior therapists working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daycare cent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84 behavior therapists and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70% of the respondents were on the level of some dissatisfaction about their wag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 and/or their education background. Secon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behavior therapists on inclusive daycare centers and specialized daycare centers were working under significantly different working conditions such as, individual working space, individual working time, and refreshing space. Most of behavior therapists on both daycare centers wanted to be guaranteed working hours for planning and evaluating for quality behavior therapy within regular working hours. Finally the findings showed that behavior therapists had opportunities of retraining provided by academic associations and prioritized new teaching methods to be included on the training program. The conclusion suggests the following: 500,000 won wage increase on monthly paid basis, inclusion of working conditions into regulations for specialized daycare centers, and the development of workshop programs related to new teach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