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정치적 이념, 정부신뢰 그리고 정책지지

        금현섭 ( Hyun Sub Kum ),백승주 ( Seung Ju Baek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0 行政論叢 Vol.48 No.4

        본 연구는 정부지출(정책)지지에 있어서 정부신뢰의 역할을 이념적 희생이론(ideological sacrifice theory)을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념적 희생이론은 정부지출 지지에 대한 정부신뢰와 이념적 희생의 교환논리를 바탕으로, 정책으로 인해 개인이 받는 이념적 희생에도 정부 정책에 대한 지지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높은 신뢰수준에서 찾는다. 시민인식도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2009년도와 2010년도 자료에서 보수성향의 집단에서 이념적 희생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정부신뢰의 역할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정부신뢰에 대한 규범적 중요성과 함께 성공적인 정책수행을 위한 과제라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political trust, and public support for government spending. Based on the sacrifice theory originated by Heatherington (2005) and Rudolph and Evans (2005),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is ideological sacrifice spurred by political trust in support for government spending. Consistent with the theory,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effects of political trust are significantly more pronounced among conservatives than among liberals, which means the effect of ideology on support for government spending is moderated by political trust. This finding suggests that political trust has a normative importance as well as practical consequences in understanding the policy process.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제적 불평등과 정부신뢰: 불평등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금현섭 ( Hyun Sub Kum ),백승주 ( Seung Ju Baek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5 行政論叢 Vol.53 No.1

        소득불평등 문제는 정부가 대처해야 할 중요한 정책과제 중 하나로서 다양한 정책영역에서 그 원인과 심화가 가져올 사회 경제 정치적 변화와 양태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부신뢰와의 관계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모호한 연구영역으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정부신뢰에 대한 다양한 평가준거를 바탕으로 소득불평등 수준이 정책과정에서의 절차적 분배적 공정성 측면에서, 그리고 산출물로서 정부성과적 차원에서 평가의 대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심화는 정부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탐색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 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불평등에 대한 태도와 인식은 결코 동일하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여, 불평등에 대한 기피 또는 선호 정도에 따라 소득불평등과 정부신뢰 간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국가 간 비교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소득불평등과 정부신뢰 간의 관계는 국가의 경제발전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선진국에서는 소득불평등이 증가할수록 정부신뢰는 낮아지지만, 불평등에 대한 선호(즉, 용인정도)가 높은 사람들에게서는 소득불평등의 심화에 따른 정부신뢰의 하락이 훨씬 완화되고 있었고, 개발도상국에서는 소득불평등과 정부신뢰 간의 특정한 패턴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불평등에 대한 선호(즉, 용인정도)를 고려하는 경우에도 정부신뢰의 상승과 하락이 상쇄되는 현상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정부신뢰를 정부에 대한 신뢰와 관료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선진국의 경우 양자의 구별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는 반면, 개도국의 경우 오직 정부관료의 경우에서만 불평등과의 관련성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부신뢰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소득불평등 문제에 대한 고려 필요성을 제기할 뿐 아니라 이들간의 관계가 해당 국가의 경제발전수준 및 사회 구성원이 갖고 있는 불평등에 대한 선호 회피태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신뢰 제고를 위한 다차원적인 정책적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 한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trust and economic (income) inequality.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hypothesized because income inequality is an of important evaluation criterion for the procedural and distributional fairness as well as economic performance of government. Furthermore, since all members of a society have a different degree of inequality-aversion preference, we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trust and economic inequality will be moderated by citizen`s attitude toward inequality which would reflect the preference. For this purpose, a series of compar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World Values Survey and the Europe Values Survey, focusing on OECD countrie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income inequality has a negative impact on political trust only in developed countries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tempered by the attitude toward inequality (inequality aversion or preference) of members of society. No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and political trust was found in developing countries. The results suggest that more effort is needed to manage economic inequality for enhancing political trust in recently-emerged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Moreover, attitude toward inequality is a key component in preventing the decline of political trust, which suggests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to assess how attitudes toward inequality are formed and changed in particular.

      • KCI등재

        일반논문 : 공적연금, 사적이전 그리고 주관적 후생: 소득안정화 역할을 중심으로

        금현섭 ( Hyun Sub Kum ),백승주 ( Seung Ju Baek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4 行政論叢 Vol.52 No.1

        공적연금제도의 목표가 안정적인 소득보장을 통한 수급자의 경제적 생활안정과 복리증진에 있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공적연금제도의 효과는 빈곤완화와 소득재분배 측면에 집중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공적연금제도가 갖고 있는 소득안정화 기능에 초점을 두고, 우리나라 노인가구들이 경험하고 있는 공적연금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소득불안정성(income instability) 완화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양자의 기능이 노년층의 후생(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불안정성을 가장 많이 완화하는 소득원천은 사적이전소득이었으나, 공적연금을 수급하는 가구들로 한정하는 경우 공적연금소득의 역할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들이 경험하고 있는 소득불안정성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적이전과 공적연금의 역할은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적연금의 소득안정화기능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 사적이전소득의 소득안정화기능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공적연금제도가 갖고 있는 소득안정화 기능, 그리고 이를 통한 차별적인 심리적 편익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Various studies about the public pension system has focused on poverty reduction and the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even though the public pension system aims at improving well-being and ensuring economic security for the elderly by providing ongoing pension payments. Instead,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public pension income, together with private transfer income, on the reduction of elderly household income insecurity, and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reduction in insecurity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results show that, first, private transfer income lowers the income insecurity of the elderly most, but public pension income lowers income insecurity more when the elderly receive a pension payment. Second, income insecurity of the elderl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but there are noticeable differentials. The impact of private transfer income on reducing income insecur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hile the impact of public pension income has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is work underscores the public pension role in securing income grounded on this evidence and emphasizes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public pension income to the elderl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지역 내 소득불평등도에 따른 주민참여

        현승숙 ( Seung Sook Hyun ),금현섭 ( Hyun Sub Kum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2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과 주민참여 간 관련성을 기초지방정부 수준에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주민의 지역사회 공공문제에 대한 참여 정도가 해당 지역의 소득불평등 수준에 의해 일정부분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설을 중심으로 주민참여의 유형을 사회참여와 정치참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참여공간과 공공문제의 직접해결방식에 있어 양자 간에 차이가 나며, 이에 대한 소득불평등의 영향 역시 상이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치참여에 대한 사회참여의 관련성도 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역 내 소득불평등 수준에 따른 주민참여 정도는 참여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불평등 수준은 사회참여 중 봉사단체의 수와 긍정적(+) 관련성이 있으며, 정치참여 중 지방선거 투표율과 긍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그리고 사회참여는 정치참여 중 지방선거 투표율과는 긍정적(+) 관계가 있었지만, 주민의 공직자접촉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ome inequality and the citizen participation on the local government level.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citizens concerning public interests of the community will partially be influenced by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of the relevant area, the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were classified into civic engage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efore examination. This is because there may be a disparity among both sides with regards to the direct solution methods of participation capacity and public interests, and the influence of income inequality regarding such may be different. Moreover, the relevance of civic engagement regarding political participation was examined. Our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citizen participation pursuant to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within the area was found to manifest a disparity depending on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volunteer associations in terms of the civic engagement,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s in term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Furthermore, in terms of civic engagemen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 concern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but concerning the degree of citizen-initiated contact,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was not found.

      • KCI등재

        소득불평등과 범죄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 광역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최낙범 ( Nak Bum Choi ),금현섭 ( Hyun Sub Kum ),오윤이 ( Yu Ni Oh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5 行政論叢 Vol.53 No.2

        Socio-structural causes of crime have been examined through the years and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one of the suspects, income inequ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many different types of crime has been studied within different contexts and through different approaches. In spite of the growing body of literature on this issu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Korean context. This study explores several possible links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crimes across 13 regions.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many different types of crime using a fixed-effects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with a control of unobserved group effects and other determinants of crime such as poverty and policing. Several findings emerge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operty crime and income inequality as measured by the Gini coefficient. Theft, in particular among property crimes, showed a stronger relationship that leads us to expect that increased income inequality in a region may induce a person to commit a crime due to profit-seeking motives. Furthermore, assault seems to be related to poverty rather than inequality, which suggests different motivations work differently across crime types. These results are not sensitive to an alternative model using crime rate as a dependent variable.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교육조직의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중학교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전영한 ( Young Han Chun ),금현섭 ( Hyun Sub Kum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1 行政論叢 Vol.49 No.2

        기존 해외 선행연구에 의하면 주요 교육조직 성과결정요인은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과업환경의 곤란도, 재정자원 규모와 인적자원의 질, 관료제화와 분권성 등 조직구조적 특성, 그리고 학교관리자의 관리능력과 노력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조직 성과연구의 실정을 감안하여, 상기한 성과결정요인을 망라한 종합적 설명모형을 구축해 보고, 그 중 교육당국이 정책변화를 통해 직접적인 통제가능성이 높은 교육조직의 구조적 및 관리적 특성에 주목하여 학교정책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조직성과에 관한 개념모형(conceptual framework)을 제시하고, 각 요인에 대한 측정지표(measurement)를 전국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한 우리나라 전체 중학교 중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종단조사 및 실태조사의 표본집단에 표집되어 있는 중학교(296개)를 대상으로 구축하여, 학교간 학업성취도 차이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가정배경, 과업환경의 제약, 구조, 관리역할 등이 모두 현재의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 부분적으로 학업성취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지만 재정투입확대나 교사증원과 같은 학교자원의 경우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 단년도 횡단면 분석이라는 제약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는 두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첫째, 교육조직성과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의 지속적 생산이 중요하다는 점과, 둘째, 그 동안 강조되어 온 학교자원의 규모에 못지않게 자원의 활용방식에 대한 새로운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performance in Korean educational organizations with a sample of 296 middle schools. This study suggests and tests a conceptual model of school performance in Korea using data colle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and the National Evaluation Project of Academic Achievement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in 2008. The major components of the model include such factors as the socio-economic status (SES) of parents, school resources, environmental constraints,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chool managemen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ully or partially support the significant effects of SES,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management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iddle schools. However, there was little evidence supporting the influence of school resources or organizational structure on school performance.

      • KCI등재

        재산세공동과세제도의 수평적 재정형평성 효과에 관한 연구 : 공급비용과 배분방식을 중심으로

        최정열 ( Jeong Yeol Choi ),금현섭 ( Hyun Sub Ku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2008년 서울시에 도입된 재산세공동과세제도가 서울시 25개 자치구 간 재정 격차를 완화하여 수평적 재정 형평성을 개선하고 있는지를, 그리고 현행 공동재산세 배분방식인 균등배분방식이 다른 배분방식(인구기준방식, 재정력기준방식, 조합방식)과 비교할 때 더 효과적인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자치구 간 인구와 면적으로 결정되는 서비스 공급비용의 차이를 고려한 비용지수를 도출하고, 도출된 지수를 자치구의 재원에 반영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재산세공동과세제도는 2008년 이후로 일관되게 자치구간 재정 격차를 완화함으로써 수평적 재정형평성의 개선에 일정부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배분방식에 있어서는 현재의 균등배분방식에 비해 재정력기준 배분방식이 상대적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n the horizontal fiscal equity of the shared property tax system(revenue sharing) initiated by Seoul Municipal Government since 2008 with respect to two distinguished points; first, it compares the equal allocation method of the shared property tax revenue in progress with other allocation methods(the financial power index, the population size index, and mixed index), second, it takes into account the service supply cost differentials among 25 autonomous districts. Analysis shows that 1) the shared property tax system in Seoul has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horizontal fiscal disparity but the effect size is a pretty modest rather than significant, and 2) a allocation method by the financial power seems better than the current equal allocation method.

      • KCI등재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양지숙(Yang Ji Sook),이수연(Lee Su Yon),금현섭(Kum Hyun Sub) 서울행정학회 201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1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disabled employees. Especially, it examines whether social support including specific aids or services from others moderates the impact of job stress from work environment, role demand,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The empirical results based on the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during the years of 2008 to 2009 show that social supports could alleviate or exacerbate the impa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while job stress itself has negative effects. These bifurcated effects of social support depend on the type of job stressors: for instance, social support seems to have buffering effect when the stress stems from work environment while reverse-buffering effect is found when the stress is related to the role demand and organizational justice.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ources of job stress when social support is designed and provided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disabled employ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