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nging Industrial Relations and Labor Market Inequality in Post-Crisis Korea

        Hyunji Kwon(권현지)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5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4 No.3

        Since the Asian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Korea has developing one of the most unequal labor markets among OECD countries. The proliferation of nonstandard employment and the precarious working conditions of nonstandard workers have contributed to the polarizing labor market. Some of the main reasons to explain this change are the declining labor unions and the extremely fragmented bargaining structure with which the results of collective agreements have affected unionized workers only. Labor unions, once powerful, have been declining constantly and significantly since the early 1990s and their presence has increasingly been skewed toward the large-firm sector. Accordingly, Korean society has formed a strong public perception that unions, staying comfortably in a wealthy firm boundary, have protected exclusively their own members who are in a better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and ignored others who are the vast majority of wage earners. This paper examines this view, the so-called the insider-outsider divide, of labor unions. It pays attention to the roles that labor unions have played in the processes of restructuring the country’s post-crisis labor market. Using a brief description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post-crisis employment systems and a small set of case studies on the role of the unions in the period of major restructuring, I attempt to examine if (and to what extent) unions exclude periphery workers and thus take part in creating labor market segmentation.

      • KCI등재

        저임금 서비스 노동시장의 젠더 불평등

        권현지(Hyunji Kwon),김영미(Young-Mi Kim),혜원(Heiwon Kwon) 비판사회학회 2015 경제와 사회 Vol.- No.107

        이 연구는 서비스경제화의 과정에서 확대되고 있는 여성의 일자리가 주로 저임금부문에 집중되어 불평등한 상태로 유지·강화되는 현재의 노동시장 현상에 주목하고, 이에 대해 분석틀을 마련하려는 시도다. 견고하게 지속되고 있는 서비스 경제하 여성노동의 저임금화와 불평등의 유지를 틸리(C. Tilly)의 장기지속 불평등이라는 개념틀을 차용해 이해해 보려고 하였다. 즉, 노동조직내부의 경계와 사회규범이 배태된 사회적 범주의 차이가 결합되어 시장 합리성의 논리로는 설명되기 어려운 젠더 불평등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 이러한 불평등을 생성하고 유지시키는 주요 행위자로 기업에 주목하고, 기업 구조와 정책이 이 과정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1) 기업내 성분절적 고용관리 정책, (2) 기업 간 전근대적 위계 분업 관계, (3) 신분제적 고객관계를 강화하는 대고객서비스 전략이 어떻게 사회적 위계로서의 젠더 범주와 결합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여성서비스노동자의 불평등한 노동경험을 유지 강화하는지 그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This study looks into recent labor market changes in the growing service economy, applying a gender perspective. Rather than increasing high value added industries, the new economy creates extensively low wage services where women are increasingly overrepresented, which consolidates gender inequality. In trying to explain the sustained gender inequality and widespread low wage jobs for women in the contemporary labor market, this article builds upon the concept of ‘duarable inequality’ proposed by Charles Tilly. It explains the relational process in which gender inequality has endured over time by the combination of organizational boundaries and the categorical distinction in which social norms are embedded. This process cannot solely explained by the market principles. Focusing on the key role played by firm organizations as a major actor, we discuss how a firm’s structure and policies have influenced the process of durable inequality. Specifically, it explains the interactiv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unequal labor conditions and disadvantaged status of women service workers are sustained and fortified by the intersection of firm practices and the hierarchical social category of gender. Those firm practices include: 1. employment practices of firms that creates and consolidates gendered segmentation, 2.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in multifirm production networks, 3. the customer service strategies based on ‘customer sovereignty’ that creates and strengthens the feudality of customer relations.

      • KCI등재

        연공성임금을 매개로 한 조직내 관계적 불평등: 내부자-외부자 격차에 대한 분석

        권현지 ( Kwon Hyunji ),함선유 ( Ham Sunyu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7 산업노동연구 Vol.23 No.2

        이 연구의 목표는 1990년대말 이래 비정규직 확대와 함께 `위기후 한국노동시장`에서 심화되어 온 불평등의 조직적 메카니즘을 설명하는데 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확산, 심화되고 있는 불평등은 개인이 아니라 젠더, 고용지위 등 개인이 속한 범주의 위치에 좌우되는 경향이 농후하다. 정규-비정규로 구분되는 고용형태는 단순히 특정 고용계약관계에 대한 지시어가 아니라 불평등 담론의 지형내에서 지위범주로 제도화되었으며, 젠더 등 오랜 기간 노동시장 격차에 작용해 온 여타 사회 범주와 결합해 노동시장 불평등을 고착하는 데 기능하고 있다. 이 연구는 희소한 조직자원에 대한 접근능력을 기초로 자원접근과 보상의 배타성을 주장(claims making)하는 기존 내부자집단과 주변적 지위로 분류되고 배제된 외부자 집단간 관계적 불평등(relational inequality)에 주목하고, 한국의 맥락에서 관계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실질적 조직 관행(practices)으로서 연공성 임금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조직이 연공성 임금에 의존할수록 해당 조직의 비정규, 특히 여성비정규직의 비중이 체계적으로 증가하며,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역시 의미있게 증가한다는 점을 분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내부자가 이익 재생산을 위해 명시적 혹은 암묵적으로 요구하는 연공 임금체계가 노동시장 분절에 관계한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plaining organizational mechanisms of inequality that has been rising rapidly alongside the proliferation of irregular employment in the post-crisis Korean labor market. It argues that inequality is not sufficiently explained by individual gap in human capital or widespread marketization as such. Social categories into which each individual worker falls seems more important as a source of labor market inequality. Employment types that are composed of regular and irregular employment do not simply indicate the different economic meanings of employment contracts but have rather been institutionalized as a social category of status in the context of inequality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y are also often matched with other social categories such as gender that have created and reproduced greater labor market inequality. We pay attention to the organizational practice of dominant incumbents who make claims for advantages of return based on their exclusive accessibility to limited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explain how that particular practice plays a role to increase relational inequality between those insiders who achieve advantageous returns and outsiders mostly irregular workers who are excluded from those resources because of the social categories that they belong to. In this study, we identify seniority based pay as the key organizational practice that justifies categorical differences within the workplace and examine how that particular practice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level segmentation and income ineqaulity.

      • KCI등재

        ‘소셜과 혁신’을 바라보는 대학생의 양가적 시선: 사회학 실습 교육 사례

        권현지 ( Kwon Hyunji ),이상직 ( Lee Sang-jic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2 한국사회 Vol.23 No.1

        이 글은 사회학 실습수업 수강생의 연구 활동을 매개로,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일을 하는 청년의 활동과 그 활동을 관찰하는 수강생의 인식을 좇는 액자 구조의 보고다. 지난 10여 년간 청년이 사회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담론이 형성되면서, 정부와 기업, 관련 NGO는 ‘기업가정신’과 ‘실험성’을 강조하고 ‘사회혁신’을 목표로 내건 다양한 청년 중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지원해 왔다. 그러나 정작 사회혁신의 주체가 되는 청년이 누구인지, 이들의 활동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리 많지 않다. 이 연구는 2017년과 2018년에 서울 소재 A대학 사회학 실습수업에 참여한 사회학 (부)전공생의 눈으로 본 청년 사회혁신가 및 사회혁신 활동의 특성을 기술하고, 청년-사회혁신의 장(場) 밖에 있는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강생이 관찰한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일은 활동 주체의 성격과 참여의 맥락, 실천 방식에 따라 ‘비즈니스’와 ‘활동’, 그리고 ‘운동’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둘째, 대체로 졸업을 앞둔 수강생들은 자신과 연구대상자를 서로 다른 사람들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연구를 진행한 학생들은 불확실성을 수용하고 기업가정신을 적극적으로 내면화한 혁신(사업)가의 정체성 이면에 강도 높은 불안감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청년 사회혁신 활동의 지속가능성을 소극적으로 평가했다. 나아가 수강생들은 ‘청년’을 동질 집단으로 규정하는 사회적 시각에, 청년을 ‘사회혁신’을 마땅히 이루어내어야 할 존재로 전제하는 사회적 기대에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activities of young people who are doing ‘socially meaningful work’ that are reflected by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projects on social innovation activities. Over the past decade, a discourse has been formed that emphasizes the subjectivities of the youth carrying out social innovation.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relevant NGOs have been planning, facilitating and supporting various youth-centered projects that incorporate the notion of ‘entrepreneurship’ and ‘experiment’ and promote social innovation. However, less is known about what sorts of people are (or can be) actually engaged in the social innovation and what their actual activities are. The well-known success stories of a few high-profile social ventures are biased, with little reflection of reality. In addition, most analysis of social innovation experiments led by young people have been done mainly by policymakers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from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NGOs. Against this backdrop, less is documented about how young people ‘in general’ perceive the ongoing youth-centered social innovation practices.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social innovators and social innovation programs seen through the eyes of under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sociology practice classes at a university in Seoul from 2017 to 2018. The main findings include: First, we classified the young peoples practices of ‘socially meaningful work’ into three categories: ‘business’, ‘activity’, and ‘move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tioners discovered by the students, seem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ntext of their participation, and the nature of their activities. Second, the students tend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ose social innovators devoted to socially meaningful work in various ways. Third, the students also tended to evaluate the sustainability of the young people’s social innovation activities somewhat negatively. They found that intense anxiety coexisted behind the innovative entrepreneurs who accepted uncertainty in their activities and actively internalized their entrepreneurial identity.

      • KCI등재

        대학도서관의 독서교육 사례 연구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비교과 프로그램 BOOKCLUB:Y를 중심으로

        권현지 ( Kwon¸ Hyunji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60

        대학도서관은 교육과 연구라는 2대 기능을 지닌 곳이자, 책과 사람이 만나는 공간이다. 독서, 글쓰기, 토론 등의 개별 교과 과목과 달리 대학도서관에서는 통합적인 비교과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개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이 실현할 수 있는 독서교육 방안을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독자, 텍스트, 상황 요인을 검토한다. ‘읽기’보다 ‘보기’의 방식을 취하고 기능적 독서에 매몰된 오늘날의 대학생 독자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적합한 텍스트를 검토한다. 단편 소설을 비롯하여 그림책, 사람 책, 수필, 시 등을 다루고자 하였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시기와 맞물린 감염병 확산에 따른 온라인 비대면 상황 요인을 살펴보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구체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후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의 비교과 프로그램 BOOKCLUB:Y를 계획하고 실행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의 독서교육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개별 독자가 혼자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토론과 글쓰기로 나아가며 대화주의에 기반한 응답적 이해로 나아가는 과정을 제시한다. 읽기와 쓰기가 통합된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 독자들에게 의미 있는 독서경험을 제공하고 전 생애에 걸친 평생 독자로 이끌 수 있을 것이다. The university library has two major functions of education and research. It is a space in which books and readers meet. Unlike regular courses that focus on individual subjects such as reading, writing, and discussion, university libraries can autonomously implement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ading education plan that can be achieved by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actual cases. First, I examine the three factors that influence reading: reader, text, and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university students who adopt “screening” rather than “reading” methods, and are immersed in functional reading. To this end, it examines suitable texts. I suggest various texts: short novels, picture books, living library, essays, and poetry. Additionally, the factors of online non-face-to-face situations caused by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terlocked with the timing of the program were examined, as well as methods for enabling specific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Then,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reading educ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was examined by planning and executi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 BOOKCLUB:Y of Yonsei University Wonju Library. It presents a process not only to enable individual readers to read and understand the text alone, but to proceed to discussion and writing, and to a responsive understanding based on dialogueism. Through an integrated program of reading and writing,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meaningful reading experiences to university students and lead them toward becoming lifelong readers

      • KCI등재

        여성변호사 경력구축 과정에서의 젠더불평등

        혜원(Kwon, Heiwon),권현지(Kwon, Hyunji) 한국여성학회 2018 한국여성학 Vol.34 No.2

        이 연구는 여성들의 전문 직종 진출이 증가하면서 성별 불평등이 완화되고 있다는 통념에 도전한다. 법학전문대학원 도입과 함께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고 법률 서비스시장에 진입하는 여성이 크게 늘고 있지만, 변호사 직종에도 성별분리(gender segregation)와 진입과 승진 과정에서의 차별 관행에서 비롯된 젠더 불평등이 유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문직 노동시장에서 지속되고 있는 젠더 불평등의 메커니즘을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성별 분리와 여성배제적 패턴을 지속적으로 재생산하는 조직 차원의 공식적・비공식적 메커니즘과 실천은 무엇인가? 공식적인 채용절차와 승진제도로 국한되지 않는, 비가시적이지만 체계적인 차별은 어떠한 규범적, 관계적 과정을 통해 재생산되는가? 이 연구는 다양한 법률서비스 조직에서 일하는 남녀 변호사들로부터 수집한 질적 자료를 이용해 변호사 직종 내 성별분리와 불평등의 견고하고도 지속적인 패턴과 그에 작용하는 요인을 관계적 불평등(relational inequality)의 개념을 차용해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오랜 기간 남성중심적 조직에서 공고화된 이상적 노동자 규범이 조직의 제반 프로세스와 실천을 통해 젠더 규범과 결합함으로써 젠더불평등을 공고화하는 관계적 과정에 주목하였다. This study challenges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assumes that the growth of women’s share in the traditionally male dominated professional occupations will automatically lead to the reduction of gender disparity. In reality, despite an exponential increase in th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egal practice in Korea, gender inequality has remained solid due to the persistent gender segregation in the legal profession.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reason for such enduring inequality in the professional labor market by raising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formal and informal organizational mechanisms that constantly reproduce gender segregation and the exclusionary patterns in the legal profession? What sorts of organizational norms and social relations contribute to creating intangible but systemic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we gathered from male and female lawyers working in various types of legal service organizations, we analyze the enduring patterns of gender inequality and its underlying causes drawing upon the concept of relational inequality. We argue that the ideal worker norm, which has long been established in the male dominant organizations, has intersected with gender norm to consolidate gender inequality through a series of organizational practices. Such relational process explains the enduring gender inequality in the legal profession.

      • KCI등재

        대학 청소 용역 서비스 작업조직 내 범주적 불평등의 지속과 균열

        혜원(Heiwon Kwon),권현지(Hyunji Kwon),김영미(Youngmi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2

        본 논문은 청소업종 내 남녀 간 직종분리와 남녀 임금격차가 온존 및 확대되고 있는 현상을 Tilly와 Tomaskovic-Devey가 분석한 착취, 기회매점, 자원통합에 의한 불평등의 장기지속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청소업종 내 일자리 질 악화와 젠더불평등 확산의 과정을 젠더 차이에 대한 사회적 범주가 조직 내 범주와 결합됨으로써 범주적 불평등이 더욱 고착되는 과정으로 분석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자의적 독단적 현장관리 시스템에 기초한 기회매점에 의해 여성 청소노동자들이 조직 내 자원과 의사결정으로부터 체계적으로 배제되어 더욱 주변화되는 과정에도 주목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청소서비스업 내의 장기지속 불평등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데 머물지 않고, 서경지부 대학 청소사업장을 중심으로 한 노조 조직화와 초기업 단체교섭이 이와 같은 불평등 구조에 균열을 야기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노동조합의 발언권 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성공 사례는 저임금노동자에 대한 법적・제도적 보호체계가 취약하고 산업수준에서의 중앙교섭이 부재하는 제도적 제약요인 속에서도 노동조합이 국지적 차원에서 불평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gender wage gap has widened over time in Korean janitorial sector by drawing upon the analyses of Tilly and Tomaskovic-Devey on the mechanism of exploitation, opportunity hoarding and resource pooling that reinforces durable inequality. It tries to explain the occupational degradation and gender inequality in janitorial services by relying upon Tilly’s analysis on the process whereby matching the social categorical boundaries of gender differences with interior organizational categories reinforces inequality at the workplace. Also,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mechanism of opportunity hoarding linked to the arbitrary managerial despotism that systematically excludes women janitorial workers from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decision making, which further contribute to the marginalization of those female workers. Yet, this article does not confine itself to the analysis of the reinforcement of durable inequality. It extends the analysis to the union effects on changing categorical workplace inequality. In this respect, it tries to explain how recent Korean janitorial union organizing and collective bargaining played significant part in shifting categorical relations at some Seoul-area universities by making changes in prevailing patterns of workplace inequality. The union cases point to the possibilities of reducing inequality at local level, albeit the national institutional limitations that come from weak legal protection for low wage service workers and the absence of peak-level coordinated bargaining system.

      • KCI등재후보

        비정규 일자리 결정의 동태성과 성별 비정규직 비중의 격차분석

        김우영(Wooyung Kim),권현지(Hyunji Kw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8 여성연구 Vol.74 No.-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규 일자리 결정의 상태의존성(state dependence)을 확인하고, 남녀간 비정규직 비중의 격차를 설명하는데 상태의존성이 지니는 중요성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한국노동패널(KLIPS)을 이용, 개인의 관측되는 이질성과 관측되지 않는 이질성을 모두 고려하여 비정규직의 결정모형을 동태적으로 추정한 결과, 현재 비정규직의 여부와 과거 비정규직 여부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비정규직의 상태의존성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월등히 높으며, 특히 기혼여성과 저학력 여성의 비정규직 고착성이 더 높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남녀간 비정규직 비중의 격차를 분해한 결과, 비정규직 근로형태에 대한 남녀간 상태의존성의 차이가 남녀간 비정규직 비중의 격차를 50% 이상 설명한다는 점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state dependence of contingent work and to explain the gap in contingent work between males and females, focussing on the role of state dependence. We have used KLIPS (2002-2006) to estimate a dynamic model of determination of contingent work, with controlling not only worker"s observed characteristics but also unobserved heterogeneity. It is found that the current status of contingent work is closely related to the past status of contingent work. In particular, the state dependence is found to be more serious for females than males. Among females,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and women with low level of education are found to have strong dependence on contingent work. We have also decomposed the male-female gap in the proportion of contingent work and shown that male-female difference in state dependence on contingent work can explain more than 50% of the proportion of contingent work between males and fem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