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교량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무선 전력 및 통신 기술 기반 교량 장기 계측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권태호,정규산,박기태,김병철,김재환,Tae-Ho Kwon,Kyu-San Jung,Ki-Tae Park,Byeong-Cheol Kim,Jae-Hwan Kim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7 No.4

        A bridge health monitoring technology is under development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aged bridges. The bridge health monitor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mainly for single bridge management at a large scale, so it uses wire-based systems for power supply and data transfer. However, the wire-based systems need to be improved for the sporadically distributed small-sized bridges on local roads. This study proposed a wireles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small-sized bridges. The proposed monitoring system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wired systems by providing wireless power through solar power and utilizing LTE technology to transmit measurement data. In addition, a remote control system and power management plan were propos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bridge measurement system. The proposed measurement system was installed on 32 bridges on fields and verified the operability by collecting 80.6% of measurement data for one year. The proposed system can support the health monitoring of aged bridges on local road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사방댐 리모델링 대상지 상류의 계상 환경 변화

        권태호 ( Tae Ho Kwon ),이헌호 ( Heon Ho Lee ),오세욱 ( Sewook Oh ),임광현 ( Gwang Hyun Yim ),이기환 ( Gihwan Lee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홍수 및 토석류 조절기능 강화를 위한 사방댐의 리모델링 현장에서 우기를 전후한 계상 상태 등의 계류 환경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사방댐 상류 계상의 종단선형의 변화는 우기를 전후하여 큰 변화는 없으나 좌우 계류가 합류하는 +295m 지점을 경계로 상부에서는 계상 재료의 침식과 유실이, 하부에서는 유입과 퇴적이 두드러진 것으로 추측된다. 반면 횡단선형에서는 일관된 경향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3D로 복원한 계상 지형에서는 우기를 거친 가을의 기복량이 더 큰것으로 확인되었다. 우기를 전후하여 변화된 누적 퇴사량은 총 15,113m3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방댐 상류의 계상석력 분포는 사방댐에 가까워질수록 표층 석력의 크기가 유의하게 감소하며, 우기후의 측정치가 전반적으로 큰 경향을 보였다. 계상에 퇴적된 하층재료는 입도시험 결과 사방댐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동일입경의 중량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하층재료의 중앙입경(D50)과 분급계수(Sc)는 상류로부터 사방댐에 가까워질수록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중앙입경의 경우가 더욱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hanges of stream-bed condition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on the upper region of remodelling site of erosion control dam. The changes in the vertical alignment of the upper stream-bed of erosion control dam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were surveyed negligibly, but the noticeable changes, like erosion and loss of the sediment materials on upper stream, and inflow and deposition on lower stream were assumed by the confluence of +295 m from dam. On the other hand there couldn``t be found clear trends in the cross-sectional alignment, but the relative reliefs on 3-dimensional terrain map were greater after the rainy season. Sediment volume accumulated during rainy season was turned up total amount of 15,113m3, respectively. In relation to distribution of stream-bed materials on the upper region of dam, size of surface sediment materials deposited were significantly reduced closer to erosion control dam, and the measurement after the rainy season was generally tended to be larger than that beforer the rainy season. For the underlayer materials, farther away from dam tended to reduce the weight ratio in same particle size, and particle size for 50% of cumulative distribution(D50) and sorting coefficient(Sc) were exponentially reduced closer to dam, the trend line of D50 was more explicable than sorting coefficient.

      • KCI등재후보

        성장하는 세계도시의 주거양극화?

        권태호(Tae Ho Kwon) 한국아시아학회 2007 아시아연구 Vol.10 No.2

        세계화의 구현은 공간적 이슈이다. 동남아시아의 거대도시들이 세계화하는 과정에서 관찰되는 뚜렷한 경향의 하나는 저소득층의 주변화 문제이고, 도시공간의 재구조화 측면에서 보면 이는 곧 주거양극화와 밀접히 관련된다. 해외직접투자 유치와 산업단지개발로 대변되는 거대도시 경제세계화는 소득과 주거의 양극화 문제를 극복하지 못할 경우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관련 문헌분석과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방콕의 경제세계화와 관련한 게이티드 커뮤니티 (gated community: GC)와 비공식 주거지를 분석함으로써 동남아 수위도시들의 주거환경 양극화 문제를 이해하고, 관련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i) 세계화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을 주거양극화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와 관련한 GC와 비공식 주거지 문제를 분석한 다음 (2장), ii) 방콕의 GC인 니차다 타니(Nichada Thani)와 타클롱(Tarklong)지역 비공식 주거지를 설명하고 (3장), iii) 저소득층주거 해결을 위한 태국정부의 최근 노력과 관련 정책 함의를 제시 한다 (4장). In a sense, the realization of globalization is seen as a spatial issue. A salient feature observed under the process of the mega-cities` economic globalization in Southeast Asia would be low-income people`s marginalization which, in turn, is closely related to housing polarization from the angle of mega-urban spatial restructuring. Economic globalization, incarnated not only by accommoda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but by construction of mega-projects and industrial complexes such as free export zone, is likely to endanger mega-urban social sustainability unless it could vanquish or at least mitigate deepening level of polarizations among socio·economic groups. This article, through the analyses of gated communities(GC) and informal housing under the light of economic globalization in Bangkok Metropolitan Area(BMA), is to understand the issue of housing polarization in the globalizing mega-city. For the purpose, Nichada Thani GC at Samakee Road and informal housing in Tarklong area were selected for the case studies. The article also brings out some useful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하노이의 개발과 도시계획: 역사적 과정과 정책적 함의

        권태호(Tae Ho Kwon) 한국아시아학회 2009 아시아연구 Vol.12 No.1

        베트남은 1986년 대내개혁과 대외개방을 근간으로 하는 개혁개방 쇄신정책을 채택한 이후 활발한 해외투자유치 및 기술도입 그리고 양질의 풍부한 노동력활용 등에 힘입어 지속적인 도시화와 경제성장을 경험하고 있다. 베트남의 시장지향적 경제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도하노이(Hanoi)는 남부 중심지 호치민(Ho Chi Minh)시와 함께 국가 경제 발전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하면서 급속한 도시개발과 공간적 팽창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동남아의 여러 대도시 경험에서 나타나듯이 하노이의 이러한 경제적 성취와 개발의 효과가 긍정적 측면만 노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노이는 프랑스 식민시대 이후 계속된 계획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특히 성장관리의 측면에서, 주택 및 기반시설, 부동산, 시가지 환경 및 교통 등 여러 부문에서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관련 문헌분석과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첫째, 하노이의 개발과정을 식민지 시기(1875-1944), 사회주의 개발시기(1945-1985) 그리고 혼합경제시기(1986-현재)로 구분하여 이해하고, 둘째, 하노이의 도시종합계획과 계획 체계를 분석한 다음, 향후 도시개발의 주요 쟁점과 문제점을 제시하여 관련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Vietnam, since the adoption of `Doi Moi` policy in 1986, has undergone continuous urbanization as well as remarkable economic growth based upon the benefits raised by, among others, growing invita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and of technology. Over 20-year`s gradual accommodation of market-oriented economic planning, the Capital, Hanoi, along with Ho Chi Minh City, has been a leading space for the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socio·cultural transformation. Yet, Hanoi`s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development has simultaneously caused a series of urban problems. Throughout the process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accompanying spatial expansion, the city has faced with many challenges in such aspects including housing, infrastructure, land price, environmental quality and transport. Nonetheless, the current distresses should be seen as hurdles to be possibly overcome or mitigated by realistic policies and programs. In the vein, the study attempt i) to provide an explanation of Hanoi`s development process, ii) to analyze its major comprehensive plans and planning system, and iii) to discuss primary issues/problems in order to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태국의 근대화와 방콕의 변화

        권태호(Tae Ho Kwon) 한국아시아학회 2011 아시아연구 Vol.14 No.2

        시간과 공간은 인간경험의 근본적 토대라는 점에서 도시성장과 변화를 이해 하는 데 매우 적절한 틀이다. 도시라는 장소는 역사적 과정 속에서 이해될 때 비로소 현재의 ``풍경``을 만들어 낸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층위를 잘 이 해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도시공간에 내재된 상징적, 표상적 의미를 읽을 수 있게 된다. 도시연구를 특정 관점이나 하나의 분과 학문에만 의존하는 경우 대상 도시의 특정 측면만 강조되어 절름발이식 이해에 그칠 수 있다. 그러므로 균형 잡힌 도시이해를 위해서는 도시사적이고 학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방콕은 1782년 라따나꼬신(Rattanakosin) 왕조의 개조와 함께 절대왕권의 상징공간으로 서 그 위상과 역할이 강화되었고, 1855년 영국과의 보우링(Bowring) 조약을 계 기로 서양의 제도와 문물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면서 제도정비와 도시기반이 구 축되어 동남아시아의 교역과 상업중심지로 성장하였으며, 1932년 입헌군주국이 되면서 민족주의의 확산과 함께 민족주의적 근대화 공간으로 우뚝 서게 된다. 이 글은, 1782년부터 1940년대 초반까지를 태국의 근대화시기로 보고, 이 기간 의 방콕이 국가발전의 선도공간으로서 태국역사와 대내외적 여건 변화 속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성장하여 왔는지 거시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글의 전반부는 크룽텝(Krung Thep)으로 불리던 방콕이 라따나꼬신 왕조의 개조 후, 성채도시가 구축되고, 1855년 보우링 조약을 계기로 동남아 교역의 중심도시로 부상하던 세기 초반까지의 도시성장을 절대왕권의 확립과 이민자 20 중심의 교역증대라는 관점에서 설명한다. 후반부에서는 입헌군주제가 도입되어 군부 및 관료 엘리트가 주도하는 내향적 근대화가 추진된 1940년대 초반까지의 도시성장과 변화를 민족주의적 근대화라는 측면에서 분석한다. City is a tapestry woven by strands of latitudes of space and longitudes of time. By latitude, it is more than sum of people, institutions and settlements. It is rather understood as a place cum cumulative process articulated by myriad decision-makings of human beings revolving around political, socioeconomic, cultural, and religious activities. By longitude, it is seen as a reservoir of time. Urban landscape would be reasonably grasped through the lens of historical processes, and then more legiable for obtaining its representative as well as symbolic meanings. In the sense, when viewed from a singular perspective or discipline, our comprehension on the city is likely to remain crippled or at least biased. By the same coin, the risk of biased urban perception is also raised by overlooking time dimension, particularly in case of mega-cities which have grown up and been transformed over the long history of human prosperity. This initiates the very necessity of historic as well as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urban studies. Krung Thep (Bangkok), since it had emerged as the capital city of Rattanakosin Dynasty in 1782, has strengthened its role and status as the epicenter for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s in Thailand. This paper employ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order to understand how Bangkok has been transformed and evolved with changes in circumstances internal as well as external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of Thailand. For the purpose, it highlights such concepts as king-centered polity, international trading with immigration, and nationalistic modern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자연재난 극복을 위한 아시아 비정부기구(NGOs)의 연계,협력

        권태호(Tae Ho Kwon) 한국아시아학회 2014 아시아연구 Vol.17 No.3

        지구면적의 30%에 걸쳐 세계인구의 69.3%가 거주하는 아시아는 최근의 대형 재난경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연재난에 가장 취약한 대륙중의 하나이며, 여러 재난현장에서 ‘재난관리의 정부실패’가 관찰되고 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대응 및 복구를 위해 현장중심의 거버넌스 접근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비정부기구(NGO)의 역할과 그들 간의 연계ㆍ협력은 구호와 복구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NGO의 역할 및 그들 간 연계ㆍ협력의 방향을 논의함으로써 재난거버넌스 연구축적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커뮤니티의 입지와 지형, 도시화 및 비공식 주거를 중심으로 ‘장소의 취약성’을 분석하고(2장), 이재민의 ‘대응의 취약성을 설명함으로써 (3장), NGO 간 연계ㆍ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한다. 4장에서는 거버넌스 측면에서 재난NGO의 역할을 논의한 다음, 아시아 주요국의 재난NGO 현황을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연계ㆍ협력의 핵심가치와 주요 원칙을 제시한다. Government failures revolving around disaster management in Asia have been largely recognized in many devastated areas, and thus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new approach, namely disaster governance paradigm. In particular, activities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and their networking and cooperation with other NGOs would play a leading role to improve efficiency of relief and recovery performances. In the ve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knowledges of disaster governance by discussing role of disaster NGOs and the strategic orientations for the networking and cooperation among NGOs. For the purpose,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as place’ is discussed from the aspects of location and topography, urbanization and informal settlements, and then provides some qualitative analyses of vulnerability as people`s response plausibly characterized as ‘disrupted humanitarian space’. It also elaborates the strengths of NGOs at the stage of relief, then discusses five core values - beyond border, good governance, mutual help, field-oriented), transparency - and primary principles such as communication and sharing, collaboration and coordination, nondiscrimination, demand responsiveness, promptness/timeliness and practice by which networking and cooperation among NGOs would be realistically improved as well as internally strengthe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