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수준과의 관련성

        김순영(Kim, Soon-Yeong),권인선(Kwon, In-Sun),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한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피로수준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 및 직무스트레스 내용과 피로수준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의 한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전체 간호사 726명을 대상으로 계통추출법에 의해 추출한 450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0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 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의 피로수준의 분포는 정상 군이 75.1%, 고위험 피로 군이 24.9%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 내용별 고위험피로수준의 분포는 업무요구도가 높을수록,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 상사의 지지도가 낮을수록 유의 하게 높았다. 또한 피로수준은 업무요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 상사의 지지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다른 변수를 통제한 다변량 모델에서 업무요구도는 가장 낮은 군(Q1)에 비해 높은 군(Q3, Q4)에서, 고위험 피로 군에 속할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업무의 자율성은 가장 낮은 군(Q1)에 비해 높은 군(Q3, Q4)에서 고위험 피로 군에 속할 위험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조 사대상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 내용은 독립적으로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measure the level of fatigue symptoms among nurses working for a university hospital and to reveal its related factor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450 nurses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1st to 31st, 2010. As a results, the level of fatigue symptoms were 75.1% in normal group, and the high-risk group 24.9%. The level of fatigue symptoms reflected in job stress contents were higher as job demand was higher, and the autonomy of job and the supervisor support was lower. In correlations, fatigue symptoms were found to be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demand, whereas in negative correlation with autonomy of job and supervisor support. The adjusted odds ratio of fatigue symptoms on job deman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igh risk group than in low group, but autonomy of jo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igh risk group than in low group.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fatigue symptoms is independently influenced by job stress contents.

      • KCI등재

        우리나라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와 관련요인

        임경태(Lim, Gyeong-Tae),권인선(Kwon, In-Sun),김순영(Kim, Soon-Yeong),조영채(Cho, Young-Chae),남해성(Nam, Hea-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측정하고, 이러한 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년-2009년) 자료를 이용 하여 20-69세 성인 7,992명을 대상으로 성별로 층화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인 EQ-5D index의 사회계층별 분포를 보면, 남자에서는 신중간층(II계층)이 0.96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위 및 중상위계층(I계 층)이 0.965점, 노동계층(IV계층) 0.958점, 구중간층(III계층) 0.955점, 하위계층(VI계층) 0.941점, 농촌자영자층(V계층) 0.918점 순이었다. 여자에서는 신중간층이 0.95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위 및 중상위계층이 0.955점, 노동계층 0.936 점, 구중간층 0.932점, 하위계층 0.908점, 농촌자영자층 0.866점 순으로 계층 간 차이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사회계층별 차이에 기여하는 요인은 남성의 경우 만성질환, 업무스트레스, 교육, 소득수준 등이었 고, 여성의 경우 이들 변수와 함께 건강행태가 기여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낮은 사회계층일수록 낮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보이며, 교육과 소득수준을 제외하면 만성질환 유병이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social classes and explore the factors that may explain it. Study subjects were 7,992 Korean adults aged 20-69 from the 4th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data. We described mean value of EQ-5D index as a HRQOL by class and perform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factors. The result was as follows. In the distribution of EQ-5D index level among social classes, new middle class (class II) had the highest score (0.966 in men and 0.955 in women); upper and middle-upper class (class I) 0.965 in men and 0.936 in women; working class (class IV) 0.958 in men and 0.936 in women; old middle class (class III) 0.955 in men and 0.932 in women; low class (class VI) 0.941 in men and 0.908 in women; and rural self-management class (class V) the lowest score (0.918 in men and 0.866 in women). In men, chronic disease, job stress, education and income level were found to make the difference i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cial classes; in women, those factors and health behavior explained the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lower social class has lower HRQOL. Except for education and income level, chronic disease may be the major factor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cial classes.

      • KCI등재후보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요실금 유병률과 관련요인

        윤현숙(Hyun-Suk Yoon),권인선(In-Sun Kwon),배남규(Nam-Kyou Bae),조영채(Young-Chae Cho)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4 No.1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요실금의 출현빈도를 조사하고 요실금과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2007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기간에 충청남도의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464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요실금 경험률을 보면「매일 실금」이 9.5%,「가끔 실금」이 35.5%로 요실금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이 45.0%이었다. 성별로는 남자(29.8%)보다 여자(58.5%)에서, 연령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교육수준이 높은군보다 낮은 군에서, 월수입이 높은 군보다 낮은군에서 요실금 경험률이 높았다. 일상생활습관별 요실금 경험률은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음주군보다 비음주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요실금 경험률은 건강하다는 군보다 건강하지 않다는 군에서, 건강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는다는 군보다 한다는 군에서, 신체부 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건망증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ADL과 IADL별로는 도움이 필요 없다는 군보다 도움이 필요하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비율이었다.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요실금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 성별, 연령, 흡연습관, 건강에 대한 걱정유무, 신체부자유 유무, 건건망증 유무, IADL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농촌지역 노인들의 요실금 출현빈도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고연령일수록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일상생활습관이나 주관적 및 신체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을수록 요실금 출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따른 노인들의 적절한 건강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requency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the rural elderly people and its related factors. Methods: Informations have been obtained through interviews from the 464 rural residents of advanced age over 65 years on September 1st through November 30th, 2007, in Chungnam Province. Results: As for the rate of experiencing urinary incontinence, the group with the experience rate of 「every day」were 9.5% and 「occasionally」35.5%, with the total of 45.0%. The higher rates of urinary incontinence were in the elderly women(58.5%) than in the elderly men (29.8%), in the more advanced in age, in the higher educated, and in the groups with higher monthly income. Based on life styles, the rate of experiencing urinary incontin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moking groups and non-drinking groups. Based on subjective senses of health, it was mo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groups who reported that they were not healthy, that they concerned themselves about health, that they had physical disability, that they had forgetfulness, and they needed assistance in terms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and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than their respective counterparts. By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ex, age, smoking status, anxiety, physical disability, amnesia, and IADL was indicated the affecting factors to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reveal that the rate of urinary incontinence was higher in the elderly women than the elderly men, and in more advanced age. Moreover, its rate increases in the groups with undesirable life styles or lower senses of subjective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s. It is highly suggested that efforts to manage urinary incontinence of the elderly need to be narrowed to the more advanced, especially those with lower standards of health conditions.

      • KCI등재

        보조호르몬요법을 받는 여성 유방암 환자의 모발 변화와 치료 실태에 대한 기초 연구

        이재경 ( Jae Kyung Lee ),김창현 ( Chang-hyun Kim ),홍동균 ( Dongkyun Hong ),정경은 ( Kyung Eun Jung ),서영준 ( Young-joon Seo ),김창덕 ( Chang-deok Kim ),이진선 ( Jin Sun Lee ),권인선 ( In Sun Kwon ),박상현 ( Sanghyun Park ),이영 대한피부과학회 202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9 No.7

        Background: Hormone therapy, which includes tamoxifen and aromatase inhibitors, is the most common adjuvant therapy used for breast cancer.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reported endocrine therapy induced alopecia.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ong-term adjuvant hormone therapy on hair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addition to patients’ concerns and current treatment for hair loss. Methods: Pati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information on self-perceived hair changes after each adjuvant therapy session, distress, and current treatment for hair loss. Using a folliscope, we measured hair density and thickness in each patient and in healthy controls. Results: The study included 93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an age 51.9±9.8 years). The density and hair thickness were 106.36±21.85 hairs/cm2 and 0.07±0.01 mm in the patient group and 147.86±30.67 hairs/cm2 and 0.07±0.01 mm in the control group (n=98, mean age 52.10±8.40 years), respectively. The mean hair dens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ti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in hair thickness. Among 76 patients who perceived hair changes after adjuvant therapy, 71.1% (n=54) were distressed with regard to hair changes. However, only 7.8% of the patients, including two who were treated by dermatologists, currently received treatment for hair changes. Conclusion: Dermatologists should be familiar with hair change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to encourage patients to consult dermatologists for hair loss and thinning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 (Korean J Dermatol 2021;59(7):521∼526)

      • KCI등재

        대전 ․ 충남지역의 암 발생률 추이와 질적 평가에 대한 연구

        박운제(Park, Un-Je),남해성(Nam, Hea-Sung),김광환(Kim, Kwang-Hwan),박창수(Park, Chang-Soo),권인선(Kwon, In-Sun),김정아(Kim, Jung-A),이태용(Lee, Tae-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3

        대전지역과 충남지역의 2000-2009년의 암등록 자료를 근거로 암 발생률 변화 및 지역간의 차이와 암등록 자료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두 지역의 조발생률과 연령표준화 발생률을 비교하였고, 암발생 자료의 타당 도는 연령미상률(Age UNK%), 조직학적 확진(HV%)과 DCO%로 보았고, 충실도는 M/I ratio로 평가하였다. 연령표준 화 발생률의 발생률 차이는 포아송 분포로 평가하였고, 95% 신뢰구간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성별, 연령별, 지역별 차 이는 발생률 곡선으로 비교하였다. 암종별 발생분율에서 위암은 대전이 18.8%, 충남이 21.5%로 가장 높았다. 대전지 역 남성의 2000년 연령표준화 발생률은 322.1명, 2009년은 323.9명으로 10년간 0.6% 증가하였다. 여성의 경우 2000 년 203.9명에서 2009년 326.8명으로 60.3%의 증가하였다. 충남지역의 남성은 2000년 294.7명에서 2009년 336.97명으 로 14.3% 증가하였고, 여성은 2000년 156.5명, 2009년은 267.1명으로 70.7%의 증가하였다. 타당도의 연령미상률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두 지역 모두 0.0%이었고, 조직학적 확진%는 남성은 71.8%에서 88.5%로 증가하였으며, 여 성은 78.1%에서 93.2%로 증가하였다. DCO%는 남성에서 6.4%에서 0.7%로 낮아졌고, 여성은 5.4%에서 0.8%로 낮아 졌다. 충실도의 MI%는 15.3%에서 62.1%로서 두 지역 모두 좋은 등록수준을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en years cancer incidence based on diagnosis years 2000-2009, and to evaluate the quality of cancer registry in Daejeon City and Chungcheongnam-Do, Korea. Crude incidence rate and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 (ASR) in these two regions were compared, and validity of incidence data was assessed by three indicators; age unknown (Age UNK%), histological verification (HV%), and death certificate only (DCO%). Mortality/incidence ratio (M/I ratio) was used to evaluate completeness of incidence data. Incidence rate differences were assessed using Poission distribution and calculate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 of ASR, and those by sex, age, and region were compared by incidence rate curve. As a result, the highest cancer site during 2000-2009 was stomach in both regions, and incidence prpportion were 18.8% in Daejeon, 21.5% in Chungnam. The overall cancer incidence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ASR of total cancer in Daejeon increased 0.6% (from 322.1 to 323.9 per 100,000) for men and 60.3% (from 203.9 to 326.8) for women, that in Chungnam increased 14.3% (from 294.7 to 336.9) for men and 70.7% (from 156.5 to 267.1) for women. The Age UNK% during 2000-2009 were 0.0% in both regions. MV% for men was increased from 71.8% to 88.5% and that for women was increased from 78.1% to 93.2%. DCO% for men was decreased from 6.4% to 0.7% and that for women was decreased from 5.4% to 0.8%. M/I ratio was ranged from 15.3% to 62.1% and can be evaluated fairy good registr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장기요양 인정자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 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

        김형선,배남규,권인선,조영채,Kim, Hyeong-Seon,Bae, Nam-Kyou,Kwon, In-Sun,Cho, Young-Chae 대한예방의학회 2010 예방의학회지 Vol.43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quality of life (QOL) according to the grade of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people who were admitt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o reveal its association with the physical and mental functioning such as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the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nd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Methods: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 to May 31, 2009, for 958 elderly people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various indices such as the ADL, IADL, CES-D, and MMSE-K,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dex of QOL, as the dependent ones. For statistical analysis, t-tests were used for the mean scores of QOL according to gender and the grade of long-term care services, and Spearman's correlation was used for each variable. The effects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ing for QOL were assessed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The mean scores of QOL among all the subjects was $55.4{\pm}15.62$ (Grade I: $49.7{\pm}14.17$, Grade II: $56.8{\pm}14.62$, Grade III: $59.4{\pm}16.36$), and it was lower according to the higher grade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 QOL and the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factors, the QO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DL, IADL and MMSE-K, while it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On the analysis of covariance, mental functioning (depression and the MMSE-K)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level of QOL than the physical functioning (ADL and IADL). Conclusions: The level of the QOL in the elderly people who were admitt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was lower according to higher the grade of long-term care insurance. Also, the mental functioning (depression and MMSE-K) was more influential on the level of the QOL than the physical functioning (ADL and IADL).

      • KCI등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사무직 공무원의 직업관련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조영채(Cho, Young-Chae),권인선(Kwon, In-Sun),배남규(Bae, Nam-Kyou),박재영(Park, Jae-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는 공무원들의 스트레스나 피로수준과 같은 사회심리적 건강상태가 그들의 직급, 근무경력 등의 직 업관련 특성이나 업무요구도, 업무자율성, 직장 내에서의 사회적 지지와 같은 직무스트레스 내용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검토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의 5개 정부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일반 사무직 행정공무원 805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09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무원들의 스트레스 및 피로수 준은 직급, 근무경력, 업무만족도, 업무자율성, 상사의 지지도 및 동료의 지지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년 간 결근일수, 업무요구도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들 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직업관련 특성 요인보다 사회심리적 건강상태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가 높 을수록 사회심리적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레스와 피로수준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업관련 특성의 인지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무원들의 스트레스나 피로를 감소시키기기 위해서는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내용의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할 것 으로 생각된다. The effects of job related factors on psychosocial health status were examined by taking job stress into account.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between Oct. 1st, 2009 and Nov. 30th, 2009, to 805 individuals in the service of general administration located in Daejeon City.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job related factors, job stress, and, psychosocial health status were examin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finding as follows: For correlations of such indices of psychosocial health status as PWI and MFS with various studied items, all of these two indices were found to be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job position, job career, satisfaction in job life, autonomy of job, supervisors support and coworkers support, whereas in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xperience of sick absence per year and job demand. Wit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degree of job stress factors was more influential on the level of psychosocial health status than job related factors in such a manner as that the greater the job stress, while the lower the job related factors, the higher the psychosocial health status(PWI and MFS). Moreover, it was found to have the inter-relational effects that the greater the job related factors, the lower the job stress factors. Thus the effective strategy for stress and fatigue symptoms reduction among governmental employees requires additional programs focusing on innovated job specifications.

      • KCI등재

        종합건강검진 수검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요인

        조영채(Cho, Young-Chae),권인선(Kwon, In-Sun),박재영(Park, Jae-Young),신민우(Shin, Min-W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인자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 요인과의 관련성을 검토하며, 진단기준 인자의 군집화를 통해 대사증후군 위험의 분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30세 이상의 지역주민 1,388명을 대상으로 허리둘레, 중성지 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수축기혈압, 확장기혈압, 및 공복 시 혈당 등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인자를 측정하였다. 분석은 이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대한 유병률을 파악하고 위험인자의 군집화를 통해 대사증후군 위험의 분포를 파악하였으며, 관련요인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위험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대사증후군의 유병율은 21.7%로 나타났으며,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별 유병률은 HDL-C, 혈압, TG, 허리둘레, FBS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련변수에 따른 위험비에서 BMI, 흡연습관, 식품섭취 및 당뇨에 대한 가족력 등이 대사증후군의 위험비를 높이는데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의 위험 관리를 위해서는 모든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평가와 중재가 필 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the clustering of the metabolic risk factors, and we wanted to evaluated the related factors in urban areas. 1,388 adults of 30 years and over, not recognized as taking medicines for or having cardiovascular diseases, who underwent health package check-up a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All subjects were measured by height, weight,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and blood chemistry(lipid profile). As a results, the prevalence rates of metabolic syndrome of study subjects were 21.7%, and the rates of metabolic risk factors were HDL-C, blood pressure, TG, abdominal obesity and FBS in that order. And the factors such influencing on metabolic syndrome as age, BMI, smoking habits, vegetable consumption and family history of the diabetes.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lifestyle factors may be needed in order to the risk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 KCI등재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수면의 질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이광성(Lee, Kwang-Sung),권인선(Kwon, In-Sun),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8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수면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전광역시에 소 재하고 있는 한 대학병원의 간호사 4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4월 1일부터 2011년 5월 31일까지 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은 업무요구 도가 높은 군일수록, 업무의 자율성, 상사 및 동료의 지지도가 낮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면의 질은 업무요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 상사의 지지도 및 동료의 지지도 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하였던 변수를 통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업무 요구 도는 가장 낮은 군(Q1)에 비해 높은군(Q3)과 매우 높은 군(Q4)에서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 하게 증가한 반면, 상사 및 동료의 지지도는 가장 낮은 군(Q1)에 비해 매우 높은 군(Q4)에서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업무요구도가 높을수록, 상사 및 동료의 지지도가 낮을수 록 수면의 질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직무스트레스 내용이 독립적으로 수면의 질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 하고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measure the quality of sleep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ontents among nurses working for an university hospital.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482 nurses employed in an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st to July 31st, 2011. As a results, the quality of slee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higher job demand, lower job control, lower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In correlation, the level of quality of slee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demand, but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control,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djusted odds ratio of the quality of slee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igher group of job demand than in lower group. But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igher group of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The study results may explain that the quality of sleep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job stress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