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위적 방사선 수술에서 물팬텀을 이용한 목표점 및 전달 선량확인

        영남,이동준,수일,,Kang, Young-Nam,Lee, Dong-Jun,Kwon, Soo-Il,Kwon, Yang 한국의학물리학회 1996 의학물리 Vol.7 No.2

        정위적 방사선수술 (Stereotactic radiosurgery) 은 병소(region)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고 치료에 요구되는 방사선량이 정확히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실험적으로 확인할 목적으로 특별히 고안된 물팬텀 (water phantom)을 개발하여 Leksell 정위기구 (Leksell Stereotactic Frame; LSF)에 부착하여 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수술에는 Leksell 감마나이프 (Gamma Knife Unit; GKU) 와 LSF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개발된 팬텀은 1mm 두께 플라스틱의 직경 160mm의 구형으로 물을 채울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측정장치로서는 목표점 설정(target localization)을 위한 필름과 전달 선량(dose delivery) 측정을 위해 이온 전리함(ionchamber) 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팬텀의 목표점에 각각 위치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목표점 확인은 허용 오차범위인 $\pm$0.5 mm 이내에서의 값을 보였으며 선량전달값은 $\pm$3% 정도의 오차로 허용값내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팬텀으로 측정된 값이 모두 허용 오차범위 내에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로인해 GKU 및 LSF의 주기적 QA(Quality Assurance)에 계속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되었다. It is important that the precise decision of the region and the accurate delivery of radiation dose required for treatment in the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this research, radiosurgery was carried with Leksell streotactic frame(LSF) which is especially developed water phantom to verify in experiment. Leksell Gamma Knife and LSF are used in radiosurgery is the spherical water phantom has the thickness of 2 mm, the radius of 160mm. The film for target localization and ionchamber for dose delivery was used in measurement instruments We compare the coordinate of target which is initialized by biplannar film with simple X-ray to the coordinate of film measured directly. The calculated dose by computer simulation and the measured dose by ionization chamber are compared. In this research, the target localization has the range ${\pm}$0.3mm for the acceptable error range and the absolute dose is :${\pm}$0.3mm for the acceptable error range.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values measured by using the especially manufactured phantom are included the acceptable error range. Thus, this water phantom will be used continuously in the periodic quality assurance of Gamma Knife Unit and Leksell Stereotactic Frame.

      • KCI등재

        동적 팬톰을 이용한 사이버나이프 호흡동기 추적장치의 위치 정확성 평가

        서재혁,영남,장지선,신헌주,정지영,최병옥,최일봉,이동준,수일,임종수,Seo, Jae-Hyuk,Kang, Young-Nam,Jang, Ji-Sun,Shin, Hun-Joo,Jung, Ji-Young,Choi, Byong-Ock,Choi, Ihl-Bohng,Lee, Dong-Joon,Kwon, Soo-Il,Lim, Jong-Soo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정위방사선수술시 움직이는 목표점에 대한 사이버나이프 호흡동기추적장치의 위치 정확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움직이는 목표점을 재현할 수 있는 동적팬톰을 사용하였으며 움직이는 목표점 추적을 위하여 사이버나이프의 호흡동기추적장치인 $Synchrony^{TM}$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움직이는 목표점의 치료계획을 위하여 4D CT를 이용한 영상획득을 하였고 움직이는 목표점에서의 선량분포와 점선량 측정을 위하여 gafchromic EBT 필름과 0.62 cc 이온 전리함을 사용하였다. 호흡동기추적장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팬톰의 목표점을 움직였을 때와 정지 상태일 때 목표점에서의 선량분포(처방선량기준 선량분포의 80%)를 비교하였으며 목표점에서의 점선량을 측정하였다. 위치추적장치와 호흡동기추적장치 상호간의 동기화에 의한 정확성은 동기화 되지 않을 경우 평균 $11.5{\pm}3.09\;mm$였으며 동기화 되었을 경우 $0.14{\pm}0.08\;m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목표점 정지상태시의 영상과 4D CT를 이용한 움직이는 목표점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상의 정확성은 평균 $0.18{\pm}0.06\;m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호흡동기추적장치의 정확성은 1 mm 이하로 나타났다. 호흡동기추적장치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움직이는 목표점에 대하여 호흡동기추적장치를 중지하여 측정한 결과 평균 $17.39{\pm}0.14\;mm$였으며 가동하였을 때 $1.37{\pm}0.11\;mm$로 나타났다. 목표점에서의 선량값을 비교한 결과 목표점이 정지상태일 때 $0.68{\pm}0.38%$, 호흡동기추적장치를 이용한 움직이는 목표점에서는 $1.31{\pm}0.81%$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위치추적장치와 호흡동기추적장치 상호간의 동기화에 의한 정확성 확인에서 장치사이에서 동기화가 매우 정확하게 수행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움직이는 목표점에 대한 정위방사선수술시 호흡동기추적장치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하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이버나이프의 호흡동기추적장치인 Synchrony 시스템의 유용성과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매우 정확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accuracy and usefulness of CyberKnife Respiratory Tracking System ($Synchrony^{TM}$, Accuray, USA) about a moving during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this study, we used moving phantom that can move the target. We also used Respiratory Tracking System called Synchrony of the Cyberknife in order to track the moving target. For treatment planning of the moving target, we obtained an image using 4D-CT. To measure dose distribution and point dose at the moving target, ion chamber (0.62 cc) and gafchromic EBT film were used. We compared dose distribution (80% isodose line of prescription dose) of static target to that of moving target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Respiratory Tracking System. We also measured the point dose at the target. The mean difference of synchronization for TLS (target localization system) and Synchrony were $11.5{\pm}3.09\;mm$ for desynchronization and $0.14{\pm}0.08\;mm$ for synchronizati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static target plan and moving target plan using 4D CT images was $0.18{\pm}0.06\;mm$. And, the accuracy of Respiratory Tracking System was less 1 mm. Estimation of usefulness in Respiratory Tracking System was $17.39{\pm}0.14\;mm$ for inactivity and $1.37{\pm}0.11\;mm$ for activity. The mean difference of absolute dose was $0.68{\pm}0.38%$ in static target and $1.31{\pm}0.81%$ in moving target. As a conclusion, when we treat about the moving target, we consider that it is important to use 4D-CT and the Respiratory Tracking System.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Respiratory Tracking System in the Cyberknife.

      • KCI등재

        소조사면에서의 불균질 물질 보정 계산의 평가

        신헌주,영남,장지선,서재혁,정지영,최병옥,최일봉,이동준,수일,Shin, Hun-Joo,Kang, Young-Nam,Jang, Ji-Sun,Seo, Jae-Hyuk,Jung, Ji-Young,Choi, Byung-Ock,Choi, Ihl-Bohng,Lee, Dong-Joon,Kwon, Soo-Il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4

        정위방사선수술시 소조사면에서의 불균질 물질에 따른 보정 계수를 구하고, 치료계획 시스템의 선량계산 값과 실제 조사된 선량값을 비교, 분석하여 불균질 물질 보정에 의한 선량계산의 정확성을 평가한다. 본 실험을 위하여 12가지 종류의 불균질 물질과 필름 및 이온 전리함을 장착할 수 있는 팬톰(Inhomogeneity Correction Phantom, ICP)을 제작하였다. 각각의 불균질 물질의 전자밀도값을 치료계획 시스템에 입력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선량분포와 임의의 위치에서의 절대선량 측정을 위해 EBT 필름과 0.125 cc 이온전리함을 이용하였으며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 적용과 비적용에 따른 치료계획의 차이와 필름에 조사된 선량값 및 이온 전리함의 절대 선량값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의 적용과 비적용시 각각의 치료계획과 측정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평균 1.63%, 10.05%이었고, 각 경우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평균 10.09%이었다. 또한, 임의의 위치에서의 절대선량값을 비교한 결과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의 비적용시에는 평균 2.90%, 적용시에는 평균 0.43%의 차이를 보였다. 본 실험 결과 직경 1 cm의 목표점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 적용 전의 선량분포 및 임의의 위치에서의 절대 선량이 적용시보다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본 실험에서 사용된 소조사면의 치료계획시스템은 불균질 물질 보정이 정확하게 수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1% 이하의 정확도를 가지고 시행하는 소조사면에서의 정위방사선수술의 경우 불균질 물질에 대한 보정이 일반적인 조사면에서의 적용 보다 더 정확하게 수립이 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estimated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in small field. And, we evaluated accuracy of treatment planning and measurement data which applied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or not. We developed the Inhomogeneity Correction Phantom (ICP) for insertion of inhomogeneity materials. The inhomogeneity materials were 12 types in each different electron density. This phantom is able to adapt the EBT film and 0.125 cc ion chamber for measurement of dose distribution and point dose. We evaluated comparison of planning and measurement data using ICP. When we applied to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or not, the average difference was 1.63% and 10.05% in each plan and film measurement data. And, the average difference of dose distribution was 10.09% in each measurement film. And the average difference of point dose was 0.43% and 2.09% in each plan and measurement data. In conclusion, if we did not apply the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in small field, it shows more great difference in measurement data. The planning system using this study shows good result for correction of inhomogeneity materials. In radiosurgery using small field, we should be correct the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more exactly.

      • KCI등재

        중,고등학생들의 컴퓨터 환경, 활용도 및 활용능력 실태 분석

        장윤옥 ( Yoon Ok Jang ),권영남 ( Young Nam Kw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3 중등교육연구 Vol.5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uter setting utilization and practical use ability in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25 students who selected at random from the middle and high school in Daegu.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survey method.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crosstab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94.7%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capabilities of more than 486 computers in their home and also have internet access in each computer. Seco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e computers in their home and cyber cafes. And it is extremely rare that the time they use for computers during off-class. Thir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y use computers for games, e-mails, chatting, and web-searching in order. Fourth, for male students, they use computers for games, for female students they use computers for e-mails and chatting, the rate of utilization appeared high in games, e-mails and chatt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rate appeared high in searching inform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Fifth, male students spend much more time to use computers than femal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spend much more time to use computers than high school students. Sixth, male students evaluate themselves that they can utilize computers much more than female students. And ability to utilize computer in most part showed up higher for male students. Seventh, the ability to utilize computers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Eighth, or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 spending for computers and ability to utilize computers.(Kyungpook National Univ./Kyongil Girls High school)

      • 급성뇌졸중 양상으로 발현된 췌장암의 연수막 전이

        나부석,송수진,송종민,우호걸,권영남,이도경,안태범,Boo Suk Na,Soo Jin Song,Jong Min Song,Ho Geol Woo,Young Nam Kwon,Dokyung Lee,Tae-Beom Ahn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5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3 No.2

        Pancreatic cancer is commonly presented with distant metastasis. However metastasis to central nervous system (CNS) of pancreatic cancer was rarely reported. 79-years-old man was hospitalized with sudden onset right arm dysesthesia and weakness. In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ultifocal high signal intensity lesions in cerebral and cerebellar cortices were observed. Leptomeningeal and parenchymal enhanced lesions were also noted in contrast-enhanced T1 images suggesting a metastasis from the pancreatic cancer. Stroke like manifestation of CNS metastasis of pancreatic cancer is extremely rare. Careful history taking and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to find the origin of the sudden neurologic deficit.

      • KCI등재

        사이버나이프 출력인자 분석: 전리함, 다이오드 검출기 및 필름

        장지선,신동오,최병옥,이태규,최일봉,김문찬,수일,영남,Jang Ji-Sun,Shin Dong-Oh,Choi Byung-Ock,Lee Tae-Kyu,Choi Ihl-Bohng,Kim Moon-Chan,Kwon Soo-Il,Kang Young-Nam 한국의학물리학회 2006 의학물리 Vol.17 No.1

        사이버나이프에 대한 정확한 선량측정은 정위방사선수술 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검출기를 이용하여 사이버나이프의 상대적인 출력인자 값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이버나이프는 12개 조준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조준기에 대한 출력인자 값은 6개의 검출기(다이오드 검출기, X-Omat V 필름, Gafchromic EBT 필름, 0.015 cc, 0.125 cc, 0.6 cc 전리함)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이오드 검출기와 전리함은 물팬텀을 이용하여 선원과 표면 간의 거리 80 cm, 최대선량깊이인 1.5 cm에서 측정하였고 필름은 고체팬텀을 이용하여 물팬텀과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하였다. 각 조준기의 출력인자는 사이버나이프의 최대 조사면의 크기인 직경 60 mm 조준기의 출력인자 값에 대하여 규격화하였다. 조준기의 크기가 30 mm 이상인 경우 0.6 cc 전리함을 제외하고 다른 검출기에서 0.5% 이내로 상호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15 mm 이하의 조준기에서는 출력인자 값이 검출기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다이오드 검출기와 Gafchromic 필름 경우 5 mm 조준기의 출력인자는 각각 $0.656{\pm}0.009$와 $0.777{\pm}0.013$이었다. 전리함과 다이오드 검출기에서 이러한 차이는 깊이에 따라 선량률 변화가 급격하고 측방쪽으로의 전자평형상태(lateral electronic equilibrium)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기인된다. 그러므로 Gafchromic EBT 필름이 사이버나이프 출력인자 값을 결정하는데 다른 검출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하다고 사료된다. The accuracy of the dosimetry in the Cyberknife system is accomplishing important role from all processes of the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this study, we estimated relative output factors for Cyberknife. All measurements were peformed by six different detectors: diode detector, X-Omat V film, Gafchromic EBT film, 0.015 cc, 0.125 cc and 0.6 cc ionization chamber The diode detector and three ionization chambers peformed using water phantom at 80 cm SSD and 1.5 cm depth. When the film measurements were peformed, the water phantom was replaced with a solidwater phantom. Each collimator normalized with respect to the output factor of the largest collimator (60 mm). For the collimators over than 30 mm, the output factors from the different detector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in 0.5% except 0.6 cc ion chamber For the collimators less than 15 mm,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output factors among different detectors. That is, the value of output factor for the 5 mm collimator of a diode and Gafchromic film was each $0.656{\pm}0.009$ and $0.777{\pm}0.013$. In the ion chamber and diode detector, those difference were due to the presence of large dose gradients and lack of electronic equilibrium in narrow megavoltage x-ray beams Therefore, the Gafchromic EBT film were considered more accurate than the others det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