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화기암에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활용한 의료기술 비교평가 방법

        권소현,손낙훈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4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2 No.3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연구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같은 주제로 연구를 진행해도 다른결과가 도출되기도 한다. 같은 문제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연구 결과를 체계적이고 계량적으로 통합하는 연구 방법이 메타분석(meta-analysis)이다. 메타분석은 임상 연구뿐만 아니라 심리학, 정보 시스템 등의 영역에서도 사용된다. 특히 메타분석은 출간된 연구의 정보를 결합하여치료 효과와 이점을 추정하고 연구 간의 변동성을 평가하는 데도 유용한 도구이다[1,2]. Wallace 등[3]의 논문에서 근거의 계층구조에 따르면 인과관계 추론이 가장 높은 영역으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이 존재한다. 그 아래로 무작위 대조 시험(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RCT) 연구, 코호트(cohort) 연구, 사례-대조(case-control) 연구가 있고, 가장 낮은 인과관계 추론의 영역에는 사례 보고(case report)가 존재한다. 이때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해 통계적 방법으로 메타분석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메타분석을 사용하지 않고 체계적 문헌고찰을 제시하기도 하며[4], Campbell 등[5]의 연구에서도 정량적 데이터의 서술적 문헌고찰(narrative synthesis of quantitative data) 비율은 56%이며 메타분석을 사용한 문헌고찰 비율은 44%였다.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이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메타분석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앞선 연구들을 계량적으로 통합할 수 있고 강한 근거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의학 연구에서 추천된다[3]. 따라서 국내에서 빈번하게 발병하는 소화기암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기존 논문들의 결과를 통합한 근거를 기반으로 의료기술을 계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메타분석을 하기 앞서 알고자 하는 연구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과 경험이 풍부해야 하며, 문헌 탐색과 선정이 중요하다. 문헌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연구의 목적과 대상자,평가 방법, 연구 디자인을 고려해야 하고, 선택된 문헌들을 통해 메타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메타분석을 위한 문헌을 탐색하고 선정하는 방법으로 메타분석을 위해 수집되어야 하는 통계치, 메타분석의 모형 선택과 결과 해석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This article highlights the role of meta-analysis as a statistical method for quantitatively summarizing existing research and reconciling conflicting findings. It discusses literature search methods for meta-analysis, the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models, and publication bias. Meta-analysis allows for the statistical consideration of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mong studies. Determining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s crucial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meta-analysis model.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ovide a high level of evidence on treatment efficacy, especially when they include multicenter and multinational studies. In the case of well-researched disorders such as digestive cancer, meta-analysis can be useful in generalizing findings from existing papers, draw conclusions, and evaluate related medical technologies. Furthermore,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propose or enhance standards of care.

      • 소화관 폐색을 동반한 대장암 환자에서 중재적 치료의 역할

        김은수,Eun Soo Kim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3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1 No.1

        서구화된 식생활 등의 영향으로 국내에서 대장암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대장내시경 기술의 발달 및 건강검진의 영향으로 조기대장암의 진단 또한 증가하고 있지만, 상당수의 대장암 환자들이 대장 폐쇄의 임상적 증상을 호소한다. 이러한 환자들은 진행된 병기, 고령, 동반 질환 등으로 수술을 시행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고 대장이 불결한 상태에서의 응급 수술은 수술과 관련한 심각한 사망률 및 합병 이환율을 초래한다. 악성 대장 폐쇄에서 스텐트가 도입된 이래 최근 10여 년간 많은 연구들이 있었고 고식적 목적, 수술 전 감압 목적으로 그 역할이 인정되고 있는 듯하다. 대장 스텐트의 역할이 좀 더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향후 잘 디자인 된 무작위 전향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장기간에 걸친 연구 결과들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담도암 면역치료 및 표적치료의 최신 지견과 전망

        이정욱,강화평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4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2 No.3

        담도암은 지난 20년간 유병률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사망률 또한 상승하고 있다[1,2]. 담도암은 간내 담도암, 간문부 담도암, 간외 담도암, 담낭암으로 분류되며, 다른 암과 달리 고유한 해부학적 및 분자 생물학적 특성을 가진다. 대부분의 환자가 진단 시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단계에서 발견되어 치료의 한계가 크고 예후가 불량한 암으로 분류된다[1-3].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유전자 분석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 성과를 통해 담도암의 분자적기초가 밝혀지고, 면역학적 및 분자적 접근법이 발전하면서 진단과 치료에 있어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1]. 특히 담도암의 면역학적 특징이 밝혀지고 분자 생물학적 연구가 발전하면서 담도암 또한 특징적인 면역 미세 환경을 가진 종양으로 재평가되고 있으며 면역치료의 개발에 있어서 면역 미세 환경 고려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2]. 또한, 담도암 관련 섬유아세포의 다양성과 기능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고, 순환 유리 종양 DNA (circulating tumor DNA) 분석 기술이 발달하면서 담도암 진단 및 치료반응 평가의 유용성이 부각되고 있다[2]. 담도암에 대한 분자 표적치료는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2, FGFR2) 융합과 이소시트로산 탈수소 효소 1 (isocitrate dehydrogenase 1, IDH1)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약제를 중심으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더불어 durvalumab 또는 pembrolizumab 같은 면역 관문 억제제와 gemcitabine-cisplatin의 병용 요법이 생존율 개선 효과를 보이며 진행성 담도암 1차 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본 종설에서는 최근 담도암의 면역치료와 표적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을 검토하고, 이를 국내 임상 환경에 적용하여 담도암 치료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Biliary tract cancer (BTC) is a rare malignancy with increasing incidence and mortality over the past two decades. Despite its unique anatomical and molecular features, BTC is typically diagnosed at advanced stages, thereby limiting treatment options and resulting in poor prognosis. Recent advances in molecular profiling and immunotherapy have revolutionized the BTC management, illustrating its molecular and immunologic underpinnings.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such as durvalumab and pembrolizumab, when combined with gemcitabine/cisplatin, provide considerable survival benefits, with phase 3 trials such as TOPAZ-1 and KEYNOTE-966 demonstrating improved overall and progression-free survivals with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emcitabine/cisplatin therapy. Therapies targeting FGFR2 fusions, IDH1 mutations, and HER2 overexpression have further expanded the therapeutic landscape, offering precision medicine opportunities for patients with actionable mutations. However, challenges persist owing to the rarity of BTC and inherent limitations of small cohort studie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large, multicenter, prospective trials, establish new treatment paradigms, and expand therapeutic applications. In addition, integrat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into routine practice will enhance molecular-based treatment approaches. This review explores the latest advancements in BTC immunotherapy and targeted therapies, emphasizing their clinical applicability in improving patient outcomes.

      • KCI등재후보

        악성 췌장 병변 진단에서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초음파내시경의 응용

        안재희,정회훈,박재근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4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2 No.1

        췌장암(pancreatic cancer, PC)은 가장 치명적인 암으로 5년 전체 생존율(5-year overall survival rate)은 모든 병기에서 9%로 4기 질환의 경우 3%에 불과하다[1]. 현재 악성 췌장 병변의 진단에는 CT 스캔,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초음파내시경(endoscopic ultrasound, EUS) 등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중에서도 초음파내시경(EUS)은 췌관 암종(pancreaticductal adenocarcinoma) 및 췌관 선상세포 암종(pancreatic acinar cell carcinoma)과 같은 외분비계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뿐 아니라 신경내분비 종양(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s, PNETs), 췌장 낭포성 병변(pancreatic cystic lesions)과 같은 내분비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췌장 병변의 진단에도 매우 유용하다[2]. 하지만, 만성 췌장염(chronic pancreatitis,CP)이 동반된 경우 EUS는 특이도가 낮아 감별 진단이 어렵고[3], 또한 시술자의 의존도가 높아 진단이 주관적일수 있어 아직까지는 초음파내시경 유도하 세침 흡인 생검술(endoscopic ultrasound guided fine needle aspiration)을 이용한 세포학적 진단이 췌장암 진단의 goldstandard이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생물학적 두뇌를 학습하고 모방하기 위해 개발된 모든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로 특히,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ML)은 대량의 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패턴을 찾아내는 AI의 한 형태다(Fig. 1) [4]. 이러한 ML에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reinforced learning)의 세 가지 유형이 있는데, 이중 지도 학습은 의학, 특히 진단 분야에서 연구되고 응용이 되고 있다. 특히, EUS에서는 신경망(neural networks, NN)이라고도 불리는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과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지도 학습 방법이 연구되었다[5]. 딥 러닝(deep learning, DL)은 ANN에서 유래한 고급 개념으로, 인간 두뇌의 뉴런에서 영감을 받아 ANN의 여러 복잡한 층을 사용한다. 최근 널리 쓰이는 DL 알고리즘의 중 하나인 합성 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은 데이터에서 지식을 추출해 학습이 이루어졌지만,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들의 패턴을 파악하는 알고리즘이다. 반면, support vector machine (SVM)은 이미 입력 및 출력으로 훈련된 매우 많은 양의 데이터가 공급되는 지도ML 유형으로 훈련을 위해 더 많은 데이터 입력 없이는 더 많은 범주 지식을 자체 학습할 수 없다[6]. 지난 몇 년 동안 인공지능(AI) 활용이 의료 전반에 걸쳐 급격히 확대되었으며, Xu 등[7]은 EUS 영상을 이용하여 췌장암에서 예후 평가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발표하였다. 실제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PubMed 검색에서 인공지능, 췌장암을 핵심 용어로 조사해보면 발표된 연구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Fig. 2). 본고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한 췌장 악성종양 진단에 대한 EUS 기반 AI 연구에 대한 효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Pancreatic cancer is a highly fatal malignancy with a 5-year survival rate of < 10%. Endoscopic ultrasound (EUS) is a useful noninvasive tool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pancreatic malignancy and treatment decision-making. However, the performance of EUS is suboptimal, and its accuracy for differentiating pancreatic malignancy has increased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EUS-based AI models can facilitate early and more accurate diagnosis than other preexisting methods. This article provid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EUS-based AI studies of pancreatic malignancies.

      • KCI등재후보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고찰: 계량서지학적 분석 및 시각화된 분석

        박재근,황지웅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4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2 No.1

        췌장암(pancreatic cancer, PC)은 진단과 치료가 가장 어렵고 까다로운 암이다. 그중에서도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BRPC)은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종양으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절제 가능한 췌장암과 질병이 너무 광범위하게 진행되어 수술이 불가능한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 사이의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1]. 일반적으로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BRPC)은 종양이 주변 혈관을 약간 침범했지만 적절한 수술 전 치료 후 수술로 제거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말하며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 환자(BRPC)의 치료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수술만 아니라 다양한 의학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5]. 서지학(bibliometric analysis)은 특정 연구 분야의 출판물의 성과와 영향력을 양적, 질적 관점에서 조사하는 문헌 분석 방법으로써 주요 연구 동향, 새로운 주제 및 해당 분야의 진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며, 과학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한다[6]. 또한 서지학은 과학 및 학술 커뮤니티에서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과 전략적 계획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의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7-10]. 그러나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에 대한 서지학적 분석은 아직 발표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최근 10년간의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주요 특징을 평가함으로써 해당 연구의 현황과 동향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a completely resectable state and an unresectable state,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treatment approach.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recent research trends regarding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to gain further insights into them. Data from published papers about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were collected from Web of Science (2014–2023) for the analysis. This study included 355 papers; data on major countries, publishing organizations, and keywor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urthermore, R studio and VOSviewer were used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keywords. Publication of papers on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was observed to be increasing annually by 12.8%, with the United States and Japan being the main publishing countries. In 2014, keywords related to surgery and chemotherapy were dominant; however, a shift toward more integrative approaches, such as neoadjuvant therapy, was observed over time. This study demonstrates rapidly evolving trends and paradigm changes in the research and management of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future research strategies and improving patient treatment outcomes.

      • KCI등재후보

        위암과 미생물총

        김유진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4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2 No.1

        위암은 한국에서 2020년 기준 암 발생 순위 4위(10.8%)이며 세계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은 암이다. 위암의 주원인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H. pylori )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를 1994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였다. 최근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률 감소가 위암 발생의 감소가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을 보였으나, 미국 등 일부 지역에서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률 감소에도 불구하고 위암 발생률이 증가하였고[1,2], 제균 치료가 위암 발생을 완전히 막지 못하였다[3]. 자가면역위염, 분문부 위암 등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와의 연관성이 낮으나, 비분문부 위암에서도 이를 완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외에 다른 원인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촉진시켰다. 지난 20년 동안 배양 외에 DNA sequencing을 이용한 미생물 군집의 검출 방법의 도입과 2007년 시작된 Human Microbiome Project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발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위는 위산, 담즙 역류 등의 영향으로 가장 세균이 존재하기 힘든 장기로 생각되어 왔으나 2006년 상부위장관 내시경 조직 생검으로 채취한 조직에서 DNA sequencing을 시행한 연구에서 128개의 phylotype이 발견되어[4] 생각보다 위내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후 위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어 왔다. 여기에서 최근까지 발표된 위 마이크로바이옴의 발견, 연구 방법, 위암의 발암 기전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Gastric cancer is the 4th leading cause of death worldwide. The primary cause of gastric cancer is known to be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The advancement of molecular biology has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microbiomes that could not be confirmed through cultivation, and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microbial communities vary among normal mucosa, atrophic gastritis,intestinal metaplasia, and gastric cancer.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the microbial community differ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 pylori. Whether changes in the microbiome are causative factors in the carcinogenesis process is not yet clear. Experiments using animal models and in vitro studies on the role of microbes other than H. pylori in the carcinogenic process are underway, but the data is still insufficient.

      • 전이성 대장암에서 표적치료와 면역치료

        김재현,박선자,Jae Hyun Kim,Seun Ja Park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8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6 No.2

        Colorectal cancer (CRC) is the third most common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in the world. Although the long-term outcome of patients with metastatic CRC is still poor, target therapy including anti EGFR agents and anti VEGF agents and immunotherapy including anti PD-1 antibody and anti CTLA-4 antibody have shown clinical benefits in the treatment of patient with metastatic CRC. In the future, the personalized treatment strategy based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 features of patients with metastatic CRC will be necessary.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mechanisms and clinical evidences of target therapy and immunotherapy, and the guideline of clinical practic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CRC.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위식도역류질환

        김연지,Yeon-Ji Kim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2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10 No.2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gastroduodenal diseases such as gastritis, peptic ulcer diseases, gastric adenocarcinoma, and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Furthermore, various extragastroduodenal diseases have been suggested to be related with H. pylori infection. Although no single factor has been considered the caus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a negative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prevalence of H. pylori and GERD severity. Additionally, the role of eradication therapy of H. pylori in reflux esophagitis is controversial,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uccessful H. pylori eradication rate and reflux esophagitis development. H. pylori infection remains an inconclusive and important issue in GERD. Thus, more experimental studies are necessary to elucidate the potential mechanisms.

      • 대장암 선별검사 권고안

        박동일,Dong Il Park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6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4 No.1

        Colorectal cancer is the 2<sup>nd</sup> most common cancer in men, and the 3<sup>rd</sup> most common cancer in women in Korea. This incidence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since the data analysis began in 1999. Guidelines from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recommend annual or biennial fecal occult blood test as a national colorectal cancer screening program, however, colonoscopy, stool DNA test, double contrast barium enema, and sigmoidoscopy are recommended in some countries. I will summarize the Korean National Screening Guideline for colorectal cancer revised by multi-society expert committee in Korea last year. They recommend annual or biennial fecal immunochemical test between 45 and 80 year-old asymptomatic average risk people. Selective use of colonoscopy is recommended,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individual preference and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There is no evidence for the risks or benefits of double contrast barium enema or computed tomographic colonography for colorectal cancer screening.

      • 위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양희찬,김상욱,Hee Chan Yang,Sang Wook Kim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8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6 No.2

        The incidence of gastric cancer has steadily declined and the overall mortality rate from gastric cancer has similarly decreased. However, compared to other malignancies, the quality of life and life expectancy remain relatively poor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For gastric cancers, surgical resection is the main treatment, but the optimal therapeutic strategy for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remains undefined. For man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not only chemotherapy but also radiotherapy plays a crucial role in both the curative and palliative settings.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evidence for the different treatment paradigm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role of radio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