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의 규명

        권성연,강명희 한국교육학회 2003 敎育學硏究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 요인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과정에 적합한 학습전략 및 학습환경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토대로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을 가정하여 자기조절학습의 개념적틀을 상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단계별 설문지를 개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조절학습은 전사고, 수행, 평가의 세 단계로 구분될 수 있었으며 전사고 단계에서는 8개, 수행단계에서는 3개, 평가단계에서는 단일 요인이 산출되어 각 단계의 특성을 규정하였다. 또한 요인간의 경로분석 결과 전사고 단계의 자기효능감 요인이 이후 수행 및 평가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입증되었으며 수행 단계의 전략 요인들은 평가단계에서 긍정적 자기평가를 형성하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 가운데 인지전략은 자기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의지조정전략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나타났다. 목차

      • KCI등재

        기업 e-learning 운영표준화 방안 연구

        권성연,나현미,임영택 한국기업교육학회 2004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6 No.2

        e-Learning 운영은 실질적인 교수,학습할동이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기업의 e-Learning 성과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e-Learning 운영 지침(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e-Learning 운영표준화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분석

        권성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이 가진 어떠한 목표지향성 유형이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 이에 따라 대학의 교육 환경에서 적응적 목표지향성을 유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개발하였으며, 대학의 교직수업을 듣고 있는 수강생들에게 자신이 수강하고 있는 과목의 맥락에 비추어 설문을 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숙달목표지향성, 수행접근목표지향성, 과제회피목표지향성 순으로 목표 성향을 나타냈고 해당 과목에 대해 비교적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과제회피목표지향성은 부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목표지향성간의 관계를 보면,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고 과제회피목표지향성은 숙달목표지향성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수행접근과 과제회피 목표만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 형성에 적응적일 수 있음을 나타냈다. 아울러, 중다목표지향의 관점에서 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을 모두 높게 가진 것이 어느 한쪽만을 높게 가지고 있는 목표유형에 비해 높은 자기효능감을 형성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적응적인 목표지향성 형성과 자기효능감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학의 수업 환경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research, 79 college students made up a questionnaire of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and 71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mastery goal was higher than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that of task-avoidance goal was the lowest of all. The correlations between mastery goal and self-efficacy,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self-efficacy were positive, however, task-avoidance goal was related with self-efficacy negatively. Also, there were no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goal and work-avoidance goal. In the regression analysis, only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positive influential factor to form a self-efficacy positively, the adaptive function of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revealed. As an aspects of multiple-goal orientation, the differences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oal profile was analyzed, then, the group of high mastery, performance-approach and low work-avoidance goal was the highest in self-efficacy. From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o form an adaptive goal-orientation and enhance self-efficacy in college instruc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e-Learning 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학습시간 계획 실천 수준에 따른 학습참여, 학습지연, 학습시간, 학업 성취 차이 분석

        권성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3

        e-Learning 환경에서 시간관리는 성인학습자들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학습시간계획표를 근거로 학습시간 계획과 실천 내용을 확인하고 e-Learning 환경에서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관련 변인 간의 관계 및 학습시간계획 실천 수준에 따른 학습참여도, 학습지연, 학습시간, 학업성취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격대학원 수업을 듣고 있는 성인학습자 60명에게 한 학기동안의 학습시간계획을 학습시간대, 학습 횟수, 한번 학습 시 지속시간의 측면에서 작성하고 실천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학습시간계획의 실천 수준이 높지 않았으며 특정 학습시간대에 일정하게 학습하지 않고, 계획한 학습 일수보다 적게, 계획한 지속 시간보다는 오랫동안 학습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학습참여도에 해당하는 토론과 답변수, 접속수는 학업성취도와 정적 상관이 있었고 출석점수, 주당 학습일수도 학업성취도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시간계획의 실천 수준이 높은 집단은 대체로 학습참여가 높고 학습지연을 보이지 않으며 주당 학습 일수가 많고 학업성취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시간의 요소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주당 학습 일수를 준수한 학습자는 학습 지연을 덜 하고 학습시간대와 학습지속시간을 준수한 학습자는 주당 학습 일수가 많고 학습지속시간은 짧으며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e-Learning 환경에서 보다 적응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학습시간과 시간관리의 관점에서에서 제안하였다. In e-Learning environments, time management is the essential factor to succeed learning for adult learners. By this point, This research was purposed to identify learners time schedule and its action,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tion of learning activities, procrastination of learning tasks, learning time and achievement, and finally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ose variab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adherence to learning time schedule. For this research, 60 adult learners in graduate school of e-Learning made time schedule and recorded the actual learning time during the semes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adult learners level of action according to the time schedule was low, specifically, they did not keep the time zone consistently, studied e-Learning course for fewer days, continued longer time than those of time schedule. The second,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number of discussion, response, connection, score of attendance, number of study day and achievement. The third, the group of higher level of adherence to time schedule did not procrastinate the learning tasks, learned more days, and made better score than group of low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made some suggestions to make e-Learning more effectively by aspects of time management. Key Words : time management, learning time planning of learning time, learning time, study learning, procrastination, participation.

      • KCI등재

        전문대학의 교수ㆍ학습 방법 우수사례 분석 및 시사점

        권성연,장명희 한국직업교육학회 2007 職業 敎育 硏究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 the trends and features of instructional methods in vocational college. For this study, we analyze 70 good practices of instructional methods in vocational college submitted to the KRIVET(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from 2002 to 2006 for Research Competition of Instruction and Learning of Vocational College. As a result, The most frequent instructional method is project or problem based learning, and the next is practice in the LAB, and also on-line learning is blended into the classroom learning. The backgrounds of implementing these instructional methods are 1) developing executive ability required by business, 2) fostering problem solving skills, 3) enhancing learner's motivation and interest, 4) encouraging learners' engagement in their learning process 5)complementing individu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partments of vocational college, frequently used instructional methods are project-based learning to develop practical ability in engineering department, collaborative learning including group discussion to foster cooperative work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social-practical department, problem-based learning to enhance the problem solving skill in authentic context, project-based learning to develop creativity and producing ability. The results of implementing good learning and instructional methods are improving learner's motivation, establishing the learner-directed learning system, and consequently, enhancing the learning results. and also, by aspect of instructor, enhancing the instructional competency, making more efforts to preparing an instruction systematically, bringing about the learner-centered classroom.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and learning quality in vocational college environments. 이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주관해 온 전국 전문대학 교수학습연구대회 수상작 사례를 중심으로 전문대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과 계열별 특성을 파악하고 수상자들이 인식하는 성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수사례에 대한 내용 분석과 면담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전문대학의 교수학습 우수사례에서 주로 사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프로젝트학습, 문제기반학습, 실습 등 학습자 중심적인 방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된 배경으로는 첫째, 산업체가 요구하는 수준의 실무능력 배양, 둘째, 실제적인 문제해결 능력 함양, 셋째, 학습자의 동기 제고 및 적극적인 수업참여 유도, 넷째, 학습자 주도적 학습 환경 조성, 다섯째, 학습자의 개인차와 기초수학능력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었다. 계열별 특성에서도 적용 배경은 유사하였고 공학계열은 프로젝트학습, 사회실무계열은 협동(협력/토론)학습, 자연보건계열은 문제기반학습, 예체능계열은 프로젝트 및 실습이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었다. 또한 수상자들이 인식하는 성과로서 학습자 측면에서는 학습동기가 신장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체제가 확립되었으며 궁극적으로 학습효과가 향상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교수자 측면에서는 전반적인 교수능력 개발이 향상되었고 수업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자 하는 노력이 증가되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고자 하는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의 교수학습을 개선하기 위한 주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대학에서 우수한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권성연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class in university by analyzing the conceptions of excellent online classe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this end,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with eight instructors and eight learn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had the common belief that an excellent online class is one with active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Second, it was also asserted that excellent online classes have various interesting contents, promoting active interaction and student participation, along with dynamic online communication and feedback with students, an evaluation of students’ thoughts and performance. Third,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presented separate additional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online class. Fourth, the ability to use media and technology and to facilitate students’ participation was commonly noted as being part of the role of instructor. Fifth, self-directed learning and time management skills were commonly presented as being part of the role of learners. Sixth, learners wer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in the future than their instructors. From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online classes in university were presented. 이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후 우수한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대학 온라인 수업의 질적 제고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교수자와 학습자 각 8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 및 1:1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수한 온라인 수업은 활발한 상호작용과 학습활동에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는 수업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수자와 학습자가 공통적으로 인식한 우수한 온라인 수업의 특성은 다양하고 흥미로운 콘텐츠 구성,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학생 참여의 효과적 유도, 학생과의 온라인 소통과 피드백 활성화, 학생의 생각과 수행을 확인하는 평가가 도출되었다.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가 각각 강조하는 우수한 온라인 수업의 특징이 추가로 제시되었다. 넷째, 우수한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수자의 역할로 매체와 기술의 효과적 활용, 학생 참여 촉진이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다섯째, 학습자의 역할로 적극적인 자기주도 학습, 시간 관리 능력이 중요하게 제시되었다. 여섯째, 교수자에 비해 학습자의 향후 온라인 수업 참여 의사가 더 높았으며 학습자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되는 온라인 수업의 효율성과 개별화 가능성, 반복학습 등의 이유로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온라인 수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토론수업에서 학습자의 협동적, 경쟁적 학습스타일과 자기주도성이 동료평가와 토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성연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1

        As the advantages and values of discussion were recognized,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lement discussion class effectively. This research wa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ollege students' collaborative and competitive learning style, and self-direction as learner characteristics on level of satisfaction and peer-evaluation. For this research, learners'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t first, then 4-times discussions by groups were implemented in a class during a semester, after that, students took part in a survey related with level of satisfaction in discussion and evaluated their peers in the same group.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er-evaluation and level of satisfaction, but competitive learning style didn't have any correlation with peer-evaluation and level of satisfaction, and also there was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ion and level of satisfaction. The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the only influential factor on peer-evaluation and satisfaction in discussion class was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By these results, we can identify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in discussion class, so this research suggested the facilitate the learners'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in aspects of creating a instructional environments. 본 연구는 토론수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습자 특성으로서 협동적 학습스타일, 경쟁적 학습스타일, 자기주도성을 상정하여 이들 변수가 동료평가, 토론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의 협동적, 경쟁적 학습스타일과 자기주도성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토론수업을 진행 한 후 토론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같은 조 동료들의 참여 수준과 기여도 등에 대한 동료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협동적 학습스타일이 동료평가, 토론만족도와 절적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경쟁적 학습스타일은 동료평가, 토론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자기주도성은 토론만족도와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협동적 학습스타일과 경쟁적 학습스타일 모두 자기주도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경쟁적 학습스타일과의 상관계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협동적 학습스타일만이 동료평가와 토론만족도를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토론수업에 있어 협동적 학습스타일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습자의 협동적 학습스타일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