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은천미≸에 나타난 서술방식의 통속적 양상과 그 의미 -<김영낭용지가귀문>과 <봉황대회금강춘월>의 사례를 중심으로-

        권기성(Kwon, Ki-su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9

        본고는 ≷양은천미≸에 나타난 통속적 서술방식이 나타난 사례와 그 의미를 살폈 다. 20세기 초 야담집은 대체로 전대의 고담을 그대로 답습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양은천미≸는 20세기 초에 산출된 야담집임에도 불구하고 ‘단순전재’라는 서술방 식을 취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양은천미≸에 수록된 <김영낭용지가귀문> 과 <봉황대회금강춘월>의 이야기를 대상으로, 전대의 야담집과 달라진 부분을 추적하는 한편, 당대의 다른 문학작품들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양은천미≸의 편찬자는 ≷쇄어≸나 ≷선언편≸, ≷성수총화≸에 나타나는 <조생-도 우탄의 딸> 이야기를 큰 골자로 하면서도 ≷기문총화≸ 소재 <이만원> 이야기에 나타나는 모티프를 활용하여 <김영랑용지가귀문>의 서사가 더욱 풍부해지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여인들의 재지를 강조하고, 자유연애를 갈망하던 당대의 시대적 분위기를 우회적으로 제시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당대 이해조가 ≷제국신문≸에 연재한 ≷원앙도≸에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봉황대회금강춘월>은 명대의 소설집 ≷경세통언≸에 수록된 <소지현나삼재 합>과 유사한 면모를 보이고, 이를 번안한 <월봉기>, <강릉추월전>류의 작품과도 닯아 있다. 그런데 <봉황대회금강춘월>에는 기존의 작품에 존재하던 주인공의 영웅적 면모를 제외하고, 남녀 결연담 부분을 대폭 축소하는 한편, 가족의 이산과 같은 부분은 대폭 확장하였다. 이를 통해 열강의 각축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 익숙 했던 가족의 피난기를 형상화하였다. 이 두 작품이 공히 근대적 세계를 전경화 했다고 평가할 수는 없을 터다. 다만 ≷양은천미≸의 편찬자는 당대의 문학적 동향과 시대적 변화에 촉각을 세우면서, 대중들에게 익숙한 통속적 문학양식을 통해 야담집을 편찬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양은천미≸는 고담을 전재하던 여타의 야담집과는 다른 방식을 표방했음을 의미하며, 이에 20세기 초 필사본 야담집으로서의 독특한 위상도 인정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vulgar descriptions found in ≷Yangeuncheonmi≸. The early 20-century collections of historical tales mostly tended to follow the practice of old tales of the previous time, but ≷Yangeuncheonmi≸ did not accept the descriptions of ‘Dansunjeonjae’ though it is a collection of historical tales produc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ories of <Kimyeongrangyongjigagwimun> and <Bonghwangdaehoegeumgangchunwol> contained in ≷Yangeuncheonmi≸ and trace how it is different from the collections of historical tales of the previous time while seeking how it is associated with other literary works of the time. <Kimyeongrangyongjigagwimun> has the story of <Josaeng-Dowootan s Daughter> found in ≷Swaeeo≸, ≷Seoneonpyeon≸, or ≷Seongsuchonghwa≸ as its main gist but richens the narrative even further by using the motif found in the story of <Imanwon> contained in ≷Gimunchonghwa≸. ≷Yangeuncheonmi≸’s compiler stressed women’s wisdom through <Kimyeongrangyongjigagwimun>, suggested the atmosphere of the time pursuing free love indirectly. But this tendency is similarly found in ≷Wonangdo≸ which Lee Haejo wrote in ≷Jeguksinmun≸ serially, too. <Bonghwangdaehoegeumgangchunwol> is similar to <Sojihyeonnasamjaehap> contained in ≷Gyeongsetongeon≸, one of the novels from Ming, and it is also similar to the translated works of it like <Wolbonggi> or <Gangreungchuwoljeon>. In <Bonghwangdaehoegeumgangchunwol>, however, the main characters’ heroic aspects existing in previous works were gotten rid of, and the stories of un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reduced much while the parts about family separation increased greatly. And it embodied the stories of family harborage which was common in the background of the time full of heated competition between powers through <Bonghwangdaehoegeumgangchunwol>. These two works may not be evaluated to have placed the modern world to the foreground. Yet, ≷Yangeuncheonmi≸’s compiler paid attention to the trends of literature and changes of the time while compiling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tales grounded on the modes of vulgar literature familiar to the public. To wit, ≷Yangeuncheonmi≸ supported the wa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way that other collections of historical tales based on old tales adopted, so its unique status is recognized as a collection of historical tales transcribed in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골프장 유형에 따른 핵심성공요인 분석: 국내 골프장 산업 중심으로

        권기성 ( Ki Sung Kwon ),강준호 ( Joon Ho Kang ),김지연 ( Ji Hyu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3 체육과학연구 Vol.24 No.4

        골프장 산업에 부정적 산업 환경이 도래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전략과 방향성에 대한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산업 환경에서의 개별 골프장 유형에 적합한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 산업과 관련된 9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국내 골프장 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골프장 유형 확인 측면과 개별 골프장 유형별 각 측면의 핵심성공요인 도출 측면에서 3단계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골프장 유형은 골프장 사용 자격을 기준으로 회원제, 준회원제 그리고 비회원제로 유형이 분류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개별 골프장의 유형에 따라 전략, 마케팅, 재정, 지원, 인사, 회원 그리고 운영 측면 간의 중요도, 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하는 핵심성공요인 그리고 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하는 핵심성공요인 간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장 유형별 각 측면의 대표적인 핵심성공요인을 살펴보면 회원제의 경우는 사업 전략, 회원 수준, 재정적 안정성, 고객 요구 충족, 차별화 요소, 직원 능력, 시설 수준이 제시되었으며 준회원제의 경우는 수익 모델, 마케팅 이벤트, 매출 관리, 운영 효율성, 시설 위치 그리고 직원 판매 능력이 제시되었다. 또한 비회원제의 경우는 고객 분석, 경쟁 전략, 운영 효율성, 매출 관리, 시설 위치 그리고 직원 판매 능력이 핵심성공요인으로 제시되었다. The golf course industry is faced with negative market environments and it has brought up the necessity to establish a long-term strategy and directivity. With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lassification of the golf course type with considering Korean golf industry and analyze the Key Success Factors that depends on each type of golf course. This study applied tri-level delphi research methods with 9 golf course industry experts for two aspects: the classification of the golf course type and analysis Key Success Factors(KSFs) that depends on each type of golf course. To conclude, private, semi-private, and daily-fee golf courses are proposed for the types of golf course in Korea and there are differences among Key Success Factors(KSFs) related to aspects of strategy, marketing, finance, supporting, human resource, membership and operation. With considering typical Key Sucess Factors(KSFs) by each aspects, in the case of private golf course, study proposed business strategy, quality of membership, financial stability, satisfy customer needs, differencing element, general ability of employee and quality of facility. For semi-private golf club, there were revenue model, marketing event, revenue management, operation efficiency and location of facility. For public golf course, this study proposed customer analysis, competition strategy, operation efficiency, revenue management, location of facility and sales ability of employee.

      • KCI등재

        필기·야담 속 ‘기혼 여성’의 불온한 형상과 탈맥락적 흔적 : 고전문학 속 아줌마의 원형성 탐색을 위한 시론

        권기성(Kwon, Ki-s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조선 후기 필기·야담집에 나타나는 ‘기혼여성’들의 불온한 형상화를 살펴, 그들의 존재 양상과 서사적 기능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아줌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특정한 원형 심상으로 전승된 것임을 밝히고, 남성 주체에 의해 굴절된 아줌마라는 표상이 일종의 집단적이고 가상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살펴본 바, 필기 야담 속 기혼여성은 주로 억척스럽거나 푸념을 하는 존재로 그려지고, 무지하거나 사치스럽고 간교한 인물로 그려지고 있었다. 이런 불온한 형상화는 일차적으로 남성 사대부의 시선에 의해 선택적으로 채록된 결과일 텐데, 그 출발점은 당대의 역사사회적 배경 하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그러한 모습은 어느 순간 역사적 맥락과 분기하거나 서사의 개연성에서 탈각한 채 전형적 인물로 주조되기도 한다. 이는 곧 기혼 여성의 불온한 형상이 당대의 여성성과 모성성이라는 헤게모니에서 벗어나는 순간, 경계해야 할 무엇으로 그려지고 이것이 사회적 개념으로 재생산·강화된 흔적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불온한 여성의 이미지가 위태롭게 형상화되는 것은, 비단 공시적인 당대의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여성성과 모성성의 경계에서 부유하고 있는 기혼여성의 이미지가 오늘날 아줌마라는 용어로 현존한다면, 여전히 이 같은 작업은 유효하게 진행되고 있을 것이다. 여성성과 모성성의 합은 아직까지 당대의 여성을 규범짓는 하나의 기준틀로, 수많은 기혼여성을 타자화하고 있는 상황이고, ‘기혼여성’으로서 아줌마의 존재는 역사 속에서 늘 존재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들은 오늘날 언어의 생성과 변화에 따라 만들어진 개념으로 이해될 뿐, 그들만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제대로 부여 받지 못했다. 본고는 이러한 ‘아줌마’의 흔적을 고전문학 속 기혼여성을 그려내는 방식에서 찾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sturbing embodiments of married women appearing in Pilgi and Yad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amines how their existence and narrative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he work.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middle-aged woman(A-jum-ma) was transmitted through a specific circular image, and it was attempted to argue that the representation of an middle-aged woman(A-jum-ma) refracted by a male subject formed a kind of collective and virtual identity. As we have seen, married women in Pilgi and Yadam were mainly depicted as oppressive or complaining beings, and as ignorant, extravagant, and sophisticated characters. This disturbing figure would be primarily the result of being selectively recorded by the gaze of the male nobleman, and the starting point is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starting point. However, at some point, such a figure diverges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r is cast as a typical character, deviating from the probability of narrative. This shows the signs of reproduction and reinforcement as a social concept, as soon as the disturbing shape of married women deviates from the hegemony of femininity and motherhood of the tim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recarious image of an uneasy woma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of the public time. If the image of a married woman who is wealthy at the boundary between femininity and motherhood exists in the term ‘middle-aged woman(A-jum-ma)’ today, this work will still be effective. The sum of femininity and motherhood is still a framework for standardizing women of the time, and it is true that many married women are differentiated, and that the presence of middle-aged woman(A-jum-ma) as married women has always existed in history. However, they are only understood as concepts created by the creation and change of language today, and have not been properly given their own historical and identity.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traces of this ‘middle-aged woman(A-jum-ma) in a way that depicts married women in classical studies.

      • SCOPUSKCI등재

        $ {\alpha}$-Cyano-$ {\beta}$-Piperonylacrylic Acid에 대한 Hydrogen Cyanide의 친핵성 첨가반응에 관한 연구

        권기성,김태린,Ki Sung Kwon,Tae Rin Kim 대한화학회 1974 대한화학회지 Vol.18 No.6

        The rate constant of the addition of hydrogen cyanide to $ ${\alpha}$-cyano-\beta-piperonylacrylic$ acid (CPA) were determined by UV spectrophotometry at various pH and a rate equation which can be applied over wide pH range was obtained. From this equation, one may conclude that below pH 3 the reaction is started by the addition of hydrogen cyanide molecule to CPA, however, at pH 6~8, hydrogen cyanide is added to $ {\alpha}$-cyano-$ {\beta}$-piperonyl acrylate anion. From pH 3 to 6, these two reaction are competitive. Above pH 9, the reaction is proceeded by the addition of cyanide ion to $ {\alpha}$-cyano-$ {\beta}$-piperonyl acrylate ion. From pH 3 to 9, the complex reaction mechanism can also be fully explained by the rate equation obtained. $ {\alpha}$-Cyano-$ {\beta}$-piperonylacrylic acid(CPA)에 대한 hydorogen cyanide의 진핵성 첨가 반응속도 상수를 측정하여 넓은 pH범위에서 잘 맞는 반응 속도식을 구하였다. 이 식에 의하면 pH3이하에서는 CPA에 대해 hydrogen cyanide분자의 첨가 반응이 일어나지만 pH6에서 8사이는 hydrogen cyanide가 $ {\alpha}$-cyano-$ {\beta}$-piperonyl acrylate ion에 첨가함을 알수 있고, 또 pH 3과 6사이에서는 이들 두 반응이 경쟁적으로 일어난다. 그리고 pH9이상에서는 $ {\alpha}$-cyano-$ {\beta}$-piperonyl acrylate ion에 cyanide ion이 첨가하는 반응이 일어나며 pH3에서 9까지의 모든 복잡한 반응 메카니즘도 이식으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음을 알았다.

      • KCI등재

        <잡극 심청왕후전>의 계열 추정과 개작의 의미

        권기성(Kwon, Ki-sung)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이 연구의 목적은 여규형의 저작인 <잡극 심청왕후전>의 계열을 추정하고 이에 따라 개작의 의미를 밝혀내는 것이다. <잡극 심청왕후전>은 <심청전>의 한문유일본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지 않았고, 여규형의 <춘향전> 연구와 함께 언급되는 정도에 머물렀다. 그 이유로는 다른 장르로의 변환이 이루어진 2차 창작물이기 때문에 <심청전>의 새로운 이본으로 보기가 어렵거나, 판소리 문학에서의 위치를 설명하기가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우선 <잡극 심청왕후전>과 기존의 저본으로 알려진 송동본을 54개의 대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잡극심청왕후전>과 송동본의 친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특징은 세세한 숫자의 일치이다. 그런데 <잡극 심청왕후전>의 54개의 대목 중 송동본과는 다르게 대목이 축약, 확장되거나, 기존의 내용에서 두드러지게 변개되는 장면들을 살펴보면 총 32개로, 전체의 대략 60%에 해당하는 대목이 달라졌다. 이에 <심청전>의 130여 종에 해당하는 판본, 필사본, 활자본, 창본 중, 개작시기가 후대인 본들을 제외하고 앞서 살펴본 변이 양상들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심청의 작명’, ‘화주승의 득몽’, ‘뺑덕어미와의 결연 양상’ 등 몇 가지 화소에서 송동본과는 다른 경판계 및 다른 본들과의 관련성을 증명해낼 수 있었다. 밝혀진 변이양상을 토대로 <잡극 심청왕후전>의 개작의도를 여규형의 개인적 의식뿐만 아니라 당대의 사회적 분위기와 연관시켜 논의해 보았다. 이를 통해 ‘해학성의 제거와 유교이념의 강화’, ‘합리적 사고에 입각한 개작의식의 발현’, ‘잡극의 형식을 차용한 작품의 설정’ 등의 개작의 의미를 밝혀내었다. <잡극 심청왕후전>은 형식적으로는 창극을 표방하고, 내용면에서는 판소리 <심청전>의 골자를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어, <심청전>의 창극사적 혹은 소설사적으로 독특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작품을 한문연본이라는 창극사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잡극의 형식을 차용하면서도 그 미학적 지점까지는 완전히 수용하지 못했던 한계점을 지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20세기 초 <심청전>의 다양한 개작양상을 보여주는 선례이며, 또 유일한 한문연본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계서잡록』 4권 소재 야담의 서사방식 -『동패락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권기성 ( Kwon¸ Ki-sung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80

        본 논문은 일사본 『계서잡록』 4권에 수록된 야담 중 18세기 『동패락송』과 동일한 유화를 공유하는 23편의 이야기의 문장 표현 및 서사 구성 방식을 비교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계서잡록』이 『동패락송』에 비해 소설적 변용을 꾀하고 있다 분석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동패락송』 대비 『계서잡록』을 축약과 생략, 추가와 확장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비교하였다. 이에 따라 『계서잡록』은 『동패락송』과 서사의 전개 방식은 동일하나 현실적 문맥은 서사적 도구로 간단히 처리하고 있으며, 상황 설정이나 묘사 및 대사의 확장 등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계서잡록』이 『동패락송』을 직접 수용하였다 보기 어려울만큼 큰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며, 『계서잡록』이 당대 사대부 가문의 이야기판에서 벌어지던 야담의 구연화를 반영한 결과로 인식할 수 있다. 『계서잡록』의 편찬자 이희평은 당대 야담을 향유하던 노론 가문과 교유하였기 때문에 『동패락송』을 접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고 이 경험이 그의 글쓰기 전략과 연동되면서 『계서잡록』에 나타난 것으로 파악된다. 요컨대 『계서잡록』 4권의 이야기들은 전대 야담의 기억 및 견문경험이 특정 작가를 만나며 발현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the sentence expressions and narrative compositions of 23 stories that share the same oil paintings as the 18th century Dongpae-RakSong among the four books of the book, Gyeseo-Japrok.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that Gyeseo-Japrok is trying to make a novel change compared to Dongpae-RakSong. In this paper, however, Gyeseo-Japrok was compared in two dimensions: abbreviation and omission, addition and expansion. Accordingly, Gyeseo-Japrok said that although the way the story unfolds and the narrative is the same, the realistic context is handled simply with narrative tools, and that the setting of the situation, description, and expansion of the lines are taking place actively. This involves a change that is hard to see from the direct acceptance of Gyeseo-Japrok in Dongpae-RakSong which can be recognized as a result of the narratives of the family. Lee Hee-pyeong, the editor of Gyeseo-Japrok is likely to have encountered Dongpae-RakSong because he was associated with the Noron family who enjoyed the yakdam of the time. And it was found that this experience appeared in Gyeseo-Japrok in conjunction with his writing strategy. In short, the stories in the fourth book of the Book of the Book of Worthies are the result of the creative expression of the memory experience expressed when the narration of Yadam meets a certain writer.

      • KCI등재

        1930년대 야담잡지 소재 연성흠의 야담 기술과 의미

        권기성(Kwon, Ki-Sung) 우리문학회 2023 우리文學硏究 Vol.- No.79

        1920년대부터 야담은 동화와 긴밀히 접촉하고 있었다. 다만 그 방법은 동화가 야담을 활용하는 정도였으며, 연구자의 관심도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그런데 1930년대부터 야담 잡지의 기획자는 동화작가들을 소환하여 그들이 지닌 소재의 유사성 등을 활용하여 야담을 작성하도록 한다. 그 차이를 살피기 위해 본고에서는 연성흠이 『월간야담』과 『야담』 잡지에 남긴 작품에 주목했다. 연성흠의 야담은 대개 전시기 야담집에 수록된 작품을 준용하는 특징을 보이지만, 필요한 경우가 있다면 적극적 변개도 주저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런 편찬과 서술의 특징은, 한결같이 선한 인물의 시혜와 보은이라는 지점을 강조하면서 ‘공동체 윤리’를 강조한 주제적 지향을 견인했다. 이는 그의 동화작법과 퍽 유사한 것이었다. 한편 야사를 토대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낼 때는 통속과 비극이라는 당대의 ‘애사’ 글쓰기를 답습하는 경향도 보였다. 곧 야담과 야사의 글쓰기 방식이 미세하게 달랐던 셈이다. 논문에 제시된 연성흠의 작품을 통해 두 잡지의 기획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독자를 유인하는 기획의 소산이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이는 곧 야담 집필진 저변의 다양화를 통해 활로를 모색한 가운데, 아동문학과의 접속이 주요한 역할을 했던 것이다. 그 저변에는 지면의 확대에 따른 다양한 글쓰기의 가능, 개인의 경제적 사정, 친분 등 여러 이유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30년대 동화작가들이 야담 잡지에 참여하고 다양한 야담 기법을 시도하면서, 당시 야담의 흥행을 견인하는 일익을 담당하고 있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Since the 1920s, Yadam has been in close contact with fairy tales. However, the method was to the extent that fairy tales used night stories, and the researcher’s interest did not deviate from this. However, from the 1930s, the organizers of Yadam magazine summoned fairy tale writers to write Yadam by utilizing the similarity of their materials.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this paper focused on the works left by Yeon Sung-heum in 『Wolgan-Yadam』 and 『Yadam』 magazines. Yeon Sung-heum’s Yadams usual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mutatis mutandis to the works contained in the exhibition’s Yadams, but he did not hesitate to actively transform himself if necessary. And these characteristics of compilation and description drove the thematic orientation that emphasized “community ethics” while emphasizing the point of the benefit and complement of good characters. This was very similar to his fairy tale writing. On the other hand, when creating a new story based on wild events, there was also a tendency to follow the writing of the “Sad-history” of the time of popularity and tragedy. In other words, the writing methods of Yadam and Yasa were slightly different. Through the work of Yeon Seong-heum presented in the paper, it was possible to guess that the planning of the two magazines was carried out in various forms, and that it was the product of the planning that attracted readers.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with children’s literature played a major role while seeking a way out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the base of the Yadam writers. There were various reasons at the base, such as the possibility of various writing due to the expansion of the space, individual economic circumstances, and friendship.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in the 30s, fairy tale writers participated in Yadam magazines and tried various Yadam techniques, playing a role in driving the success of Yadam at that time.

      • KCI등재

        한 · 중 〈허씨 삼형제 이야기〉의 관련 양상과 비교 연구

        권기성(Kwon, Ki-Sung)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본고는 조선 후기 야담집에 널리 수록되어 있던 〈허씨 삼형제 이야기〉 유형의 이야기들이 중국의 『금고기관』에 수록된 이야기와 유사함에 주목하였다. 그간 한 • 중의 서사교류와 전승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있어온 바, 본고의 연구는 이러한 서사교류의 사례를 일면(一面) 확인한 것이다. 〈허씨 삼형제 이야기〉는 18세기 말에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 『동패락송』에 처음 보이기 시작하여 『계서잡록』, 『계서야담』, 『기문총화』, 『청구야담』, 『동야휘집』, 『차산필담』 등 조선 후기 주요 야담집에 대부분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각 작품 간의 변이는 크지 않은데, 이는 해당 작품이 지니는 이야기의 구조성이 비교적 완결된 형태로 전승되어 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허씨 삼형제 이야기〉는 명나라 포옹노인이 엮은 『금고기관』에서도 확인되는데, 한국의 야담집에 실린 이야기들과는 일정 부분 동이(同異)를 가진다. 이 이야기들은 ① 주인공의 성이 ‘허씨’라는 점, ② 아버지 사후 삼형제의 주요 행적이 ‘가문 부흥’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 ③ 삼형제 중 한 명이 집안의 재산을 다른 형제들에게 숨겼다가 나중에 알려주는 모티프 등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 이야기가 한국에서는 ① 서사의 주인공이 첫째에서 둘째로, ② 작품의 주제가 형제간의 우애담(友愛談)에서 치부담(致富談)으로 ③ 결말부의 처리가 달라지는 점에서 일정 부분 차이를 가진다. 이 같은 양상은 각 이야기가 전승되면서, 각국의 시대와 문화에 맞게 일정부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해당 작품이 조선 후기 야담집에 전승되는 과정을 살펴보았을 때, 이는 반드시 문헌전승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구전전승에 의한 서사교류의 흔적으로 여겨질 가능성도 있다. 결국 이러한 양상은 동아시아 서사의 전승과 공유의 일면을 확인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Narratives such as “The Story of the Three Huh Brothers”, were included in historical storybooks of the late Jo-seon era, and are similar to stories included in Geumgogigwan of China, a book of quaint stories handed down from antiquity. This study adds to the diverse stock of studies of the exchange and transmission of narrative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Story of the Three Huh Brothers” first appeared in Dongpaeraksong, a book that was writte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was included in major historical story books of the late Jo-seon era such as Gyeseojaprok, Gyeseoyadam, Gimoonchonghwa, Cheongguyadam, Dongyahuijip, and Chasanpildam. The variation among these works is not great, which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of the stories was passed down in a relatively complete form. Concurrently, “The Story of the Three Huh Brothers” also appears in Geumgogigwan, which was written by an elderly man, Po-ong, of the Ming Dynasty;it has similarities to the stories found in the Korean historical story books, in addition to differrences from them. These stories are thought to be related in the following aspects: ① the surname of the main character is Huh, ② the main activities of the three brothers after the death of their father are focused on the financial rise of the family, and ③ the common motif is one brother hiding family property from the other two and revealing it later. The differences created the stories in Korea were these: ① the main character is switched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brother, ② the theme is changed from familial love to the gaining of wealth, and ③ the ending of the story is differ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 narratives are thought to have arisen when the stories were accepted in Chinese and Jo-seon and parts of them were changed to suit the time and culture of Each nation. Considering that the story was handed down in the historical story books of the late Jo-seon era, the story is more likely the trace of an exchange of narratives though oral transmission rather than transmission through literature. In the end, the kind of influence illustrates the transmission and sharing of narratives in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