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스템 통합 관점의 복합 무기체계 기술성숙도 평가 프레임워크 개선에 관한 연구

        구지,정석재 사단법인 한국국방기술학회 2023 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5 No.2

        RA(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quantitatively assesses the current level of domestic technology and is used as a key tool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omestic R&D and risk management. However, since the current TRA utilizes hardware-oriented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 it is suitable for independent assessment of each technologies, but has limitations in evaluation from a system integration perspective. In addition, the checklist-based assessment is highly likely to involve subjective evaluation. This study proposes an enhanced TRA framework by redefining TRA procedures and criteria from the systems integration perspective of system engineering. We focused on developing a framework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TRL/TRA and enables easier and more intuitive assessment. The proposed framework distinguishes between TE(Technology Element) and CTE(Critical Technology Element) in terms of HW, SW and interface and redefines TRL. TRA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RL redefined from the above three points of view, and the lowest evaluation value is used as system maturity level in consideration of risk management. The proposed CTE selection method minimizes the intervention of the evaluator by utilizing the quantitative goal of the key ROC(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development difficulty, and application of COTS(Common Off The Shelf) technology. The effectiveness of this framework was confirmed through a case study of the TSS(Target Surveillance System). It is hoped that starting with this study, research at the framework level will be activated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TRA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토지 모자이크(Land Mosaic) 시나리오 평가를 통한 자연보전과 수재해 저감과의 상관성 분석

        구지나(Ku, Ji-na),나정화(Ra, Jung-Hwa),김진효(Kim, Jin-Hyo),이순주(Lee, Soon-Ju),권오성(Kwon, Oh-Sung)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5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9 No.1

        & &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가치 있는 자연자원을 보전하고 보호하기 위한 평가 및 방법론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이러한 공간의 생태적 특성을 보전하고 지켜나가는 것이 수재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가치 있는 자연자원의 훼손 및 파괴에 대응하기 위해 경관의 자연적 특성을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관생태학적 연구와 각종 자연재해, 특히 수재해의 관점에서 피해를 개선하고 저감하고자하는 수문학적 측면의 연구는 서로 독립적으로 인식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은 대적접이거나 혹은 연관성이 적다고 여겨졌지만, 자연보호와 수재해 예방은 현대사회에서 필수적인 개념으로서 서로간의 조합, 통합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보호와 더불어 토지이용계획 차원에서 수재해 대응에 관한 연구는 현 사회의 필수적 과제이며, 이러한 각 관점은 서로 대비되는 것이 아닌 상호복합적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관점의 평가를 기반으로 바람직한 토지이용 시나리오 설정에 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From a Landscape Ecological perspective, various studies have been done on assessment and methodology of preservation of valuable natural resource.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whether it has positive effects on flood preserving characters of ecosystem or not and on a correlation of nature conservation and flood prevention. In addition, landscape ecological studies on preserving natural characters of landscape to cope with damages and destruction of natural resource by large-scale development are recognized seperately from researches on improving and reducing the flood damages at the Hydrologic aspect. Although such two perspectives have been considered to b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or to have little connection, both are commonly essential concepts in society and can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Studies on coping with flood damage at a land use plan level together with a nature conservation are essential task of modern society and considered to have a conne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relation analysis of them based on assessments from two perspectives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setting up scenario of desirable land use plan.

      • KCI등재후보

        대구광역시 앞산공원 자연탐방로 만족도 분석

        이순주,구지나,조현주,권오성,나정화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3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7 No.1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앞산 자연탐방로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활동특성 및 일반적특성 분석 및 만족요인 분석, 지속적 방문의도 분석을 실시하여 자연탐방로 개선을 위한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있다.만족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물리적 요인(탐방로 폭·길이·노면상태·형태·경사도, 안내판의 적정배치), 경관적요인(주변경관의 다양함, 특정경관이 뛰어남, 자연자원의 보존, 자연자원의 다양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물리적 요인이경관적 요인보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자연탐방로 이용 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경관자원 다양, 탐방로 길이, 탐방로 형태, 탐방로 폭, 안내판적정 배치, 자연자원 다양의 순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자연탐방로 계획 시 자연탐방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며 일례로 노선을 선정함에 있어서 경관자원의다양, 탐방로 길이, 탐방로 형태, 탐방로 폭, 안내판 적정 배치, 다양한 자연자원의 요소 등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지속적 방문의도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gener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factors, and intention to visit continuously of users of the mountain nature trail near Daegu and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nature trail. After the satisfaction factors were analyzed, they were divided into physical factors (width, length, road condition, form, slope, correct signs on the trail) and landscape factors (variety of surrounding landscape, excellence of a particular landscape, protection of natural resources, variety of natural resources). Physical factors influenced satisfaction than landscape factors. The variables that had the most effect when using a nature trail were variety of landscape resources, length of trail, form of trail, width of trail, correct signs, variety of natural resources, etc., in that order. The results are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main variables that affect the use of a nature trail when planning future nature trails. For example, variety of landscape resources, length of trail, form of trail, width of trail, correct signs, variable factors of natural resources, etc., can be used for selecting the course. Finally, since satisfaction was higher, the intention to

      • KCI등재

        토지의 경관유형분류와 이에 기초한 입지타당성 평가

        나정화,구지나,이현택,조현주,Ra, Jung-Hwa,Ku, Ji-Na,Lee, Hyun-Taek,Cho, Hyun-Ju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5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로 계획되어 있는 경상북도 약목면 일대 약 14.0$km^2$를 대상으로 개발 이전에 어느 지역이 공원유형별 입지로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입지타당성평가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1차, 2차, 3차 설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먼저 1차 설문분석은 문헌분석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23개 평가지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며, 2차 설문분석은 각 공원유형별 평가지표항목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3차 설문분석은 공원유형별 선정된 평가지표 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로서, 평가지표 항목의 중요도 평균을 기준으로 합이 10이 되도록 표준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차 평가 시, 각 지표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최종 평가에 활용하였다. 각 공원유형별 입지타당성 평가는 1차 평가와 2차 평가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1차 평가는 분류된 모든 경관유형을 대상으로 공원유형별 최소요구조건의 충족정도를 파악해 보는 단계로서, 최소요구조건은 중요성 분석결과, 중간등급 이상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들의 가치등급기준과 사례지 현장조사의 상대적 비교를 통하여 설정하였다. 2차 평가는 최소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유형만을 대상으로 부지평가를 실시하는 단계로서, 2차 평가지표항목들에 대한 가치등급은 모두 3등급으로 정량적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해서 공원유형별 평가지표항목들의 점수를 산술합산 하였다. 각 공원유형에 따른 산술합산 점수는 가장 높은 점수의 평균치에서 가장 낮은 점수의 평균치까지 균등 분할하여 최종 3등급으로 가치등급화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공원유형별 입지타당성 평가모델은 공간의 면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공간을 등급화 하였던 바, 차후에는 공간유형의 점, 선, 면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간체험 루트, 네트워크 연결 등에 대한 내용을 반영한 평가모델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sites being considered for development of different types of parks in the vicinity of yangmock-myun kyoung buk, where a large project(as large as about14.0$km^2$) has been plan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ree surveys for select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performed. ${\cdot}$ The first survey analyzed the importance of 23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based on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review and an on-the-spot research. ${\cdot}$ The second survey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for each park type. ${\cdot}$ The third survey computed additive values of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by the park types. It used a method of standardizing the average importance of indicators by making their sum equal to 10. These additive values were then multiplied by each grade of indicators to make a final evaluation. An evaluation of the site-suitability of park types was performed twice. The purpose of the first evaluation was to figure out how much each type met the minimum requirements targeted for all landscape types. The minimum requirements were derived by using a relative comparison between the standard of value rating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hich was over the medium magnitude on the importance analysis, and the result of field research. A second evaluation estimated the targeted sites that met the minimum requirements. Value ratings of second assessment indicators were quantitatively divided as 1 to 3 grade and the evaluation scores were added, giving an additive value for each assessment indicator. The evaluation score on each park type was rated on a scale of 1 to 3 according to their averages, (from lowest to highest). Since this evaluation model of the site suitability on park types only focused on the 'face' of space in this study, additional analysis is necessary for setting the evaluation model and incorporating the overall impact of space, network connection and other factors, considering 'spot', 'line' and 'face' aspects of space.

      • KCI등재

        농촌 및 자연지역의 경관 다양성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나정화,이용은,조현주,구지나,권오성,Ra, Jung-Hwa,Lee, Yong-Eun,Cho, Hyun-Ju,Ku, Ji-Na,Kwon, Oh-Sung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6

        최근 경관훼손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사전 예방적 차원에서 우수한 경관지역을 선정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경관 다양성은 경관 구성요소를 평가하기 위한 핵심적인 방법으로 보존가치가 높은 지역의 경관 질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 경관 다양성 평가모형을 설정해 보고, 이를 연구대상지에 적용해 봄으로써 평가모형을 검증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국내 외 문헌 및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관 다양성 평가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지표로서 지형, 식생, 토지이용형태, 특이경관 등 총 4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지형의 다양성은 지표면 기복정도와 지표면 형태의 다양성을 세부지표로 선정하였으며, 식생의 다양성에서는 식물군락과 층위구조의 다양성을 세부지표로 선정하였다. 각 평가지표의 다양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Shannon의 다양성 지수(SHDI)를 응용하였으며, 작성된 각 지표별 유형분류도면에 귀속되는 출현유형과 면적을 Fragstats 4.0에 대입하여 결과값을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부지표별 결과값의 표준화 및 합산과정을 거쳐 최종 경관 다양성 지수값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경관 다양성 평가의 초기 연구 단계로서 방향제시 및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데 의의가 있었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하여 경관 구성요소를 평가하는 핵심 방법으로서, 우수한 경관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관 다양성 평가모형은 4가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던바, 우세성을 가지는 세부지표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각 평가지표의 결과값을 표준화하는 과정에서 차후 평가지표별 최대값에 대한 축척된 자료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다양한 면적과 유형의 사례지들을 분석하여 객관성을 높여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o prevent damage to the landscape, outstanding landscape areas have been designated in advance. In particular, as a fundamental way to evaluate landscape elements, landscape diversity is an important criterion to assess an area with a high conservative val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of landscape diversity based on landscape elements and to verify the model by applying it to the study sites. The assessment indicator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analysis are topography, vegetation, land-use pattern, and unusual landscape. Topography diversity is subdivided into land undulation and land-form. Vegetation diversity is subdivided into plant community diversity and stratification diversity. To quantitatively analyse each indicator's diversity, SHDI was selected as the central metric. All of the quantitative measures were implemented by using the statistical tool, FRAGSTATS. Through the process of each indicator's standardization and summary, the final landscape diversity index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ignificant as it was the initial study of landscape diversity evaluation to seek applicability. However, the results of the Landscape Diversity Evaluation Model in this study based on 4 indicators synthetically demonstrate that more than one or two outstanding indicators can be underrated. Therefore, each 4 assessment indicator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individually. Furthermore, using the maximum value for each indicator's standardization reflects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se various examples to obtain higher objectivity l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