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ECD DAC에서의 개발협력 논의 현황

        고형권 ( Ko Hyoung-kwon ) 한국외교협회 2021 외교 Vol.138 No.0

        우리나라는 2010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하면서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로 공식 전환하였다. DAC는 공적원조 통계 수집 및 분석, 국제 규범 수립, 국제 규범 확산이라는 3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DAC에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5개의 중요 이슈를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우리가 채택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한 부산글로벌파트너십 현대화 작업이 있다. 부산선언 이후 개발협력의 변화된 사항을 고려하여 개발효과성 원칙을 업데이트하는 작업이다. 둘째, 인도적 지원-개발-평화(HDP) 연계에 관한 DAC권고(2019) 이행 문제이다. 셋째, DAC은 혼합금융 원칙(2017) 및 가이드라인(2020) 채택을 통해 ODA를 촉매제로 민간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논의를 활발히 하고 있다. 넷째, 기후변화 대처와 관련하여 ODA 통계지침 개정을 논의중이며, 개도국의 기후재원 마련에 있어 혼합금융의 역할을 확대시키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마지막으로, DAC는 시민사회 공간 증진, 시민사회 지원 강화, 시민사회단체 효과성, 투명성, 책무성 강화 등을 위한 권고를 금년 중으로 채택할 계획이다. DAC에서 합의되는 권고, 가이드라인, 성명서들은 우리나라의 개발협력 정책과 제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DAC에 가입한 지 10년이 조금 넘은 우리나라는 2차례의 동료검토를 수검하며 개발협력 정책과 제도를 빠른 속도로 선진 공여국 수준으로 개선하고 있다. Korea officially transformed from a recipient to a donor country by joining th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The DAC carries out three major functions: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statistics, establishing international norms o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sharing these norms. This paper will analyze five major policy issues which have been discussed at the DAC. Firstly, the modernization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a discussion on which Korea took a leading position in 2011 at Busan. This work aims to update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by reflecting the recent change of the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of development cooperation. Secondly, the implementation of DAC recommendations on the Humanitarian-Development-Peace (HDP) nexus. Thirdly, blended finance, which has been accelerated by the adaptation of the Blended Finance Principles in 2017 and Guidance in 2020. Fourthly, in order to cope with climate change, updating statistical reporting directives and ways to enlarge the role of blended finance for climate responses of developing countries. Lastly, a new recommendation for civil society to be adopted, which aims to promote civic space, support civil society, and incentivize civil-society organization (CSO) effectivenes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The DAC’s recommendation guidance and communiqué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policy and institutions of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Ten years after joining the DAC, Korea has improved its policy and system to the level of other DAC members.

      • KCI등재

        난소의 경계성 종양 및 침윤성 암종에서 p53 , Rb 유전자 발현과 Apoptosis 에 관한 연구

        강기주,윤만수,설미영,하명완,고형권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3

        목적 : 난소의 악성 종양의 발생에서 종양억제 유전자인 p53과 Rb 단백의 발현과 apoptosis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들 인자들이 경계성 종양의 악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30예의 양성, 경계성 및 악성 난소 종양에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이용하여 p53 및 Rb 단백의 발현을 조사하고 TUNNEL method를 이용하여 대상 조직에서의 apoptosis 형태를 관찰하였다. 결과 : 양성, 경계성 및 악성 난소 종양에서 p53의 발현은 각각 0, 28 및 94 %로 악성 종양에서 발현율이 높았으며, 항암제에 내성을 보였던 경우 (2/3)와 술 후 잔존 종양이 있었던 경우 (4/5) 및 재발의 경우 (2/2)에서도 고도의 발현을 보였다. Rb 단백은 양성 종양에서부터 소실을 보였으며, 경계성 종양과 악성 종양에서 Rb 단백의 소실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poptosis는 양성 종양에 비하여 악성 종양에서 더욱 활발하게 일어남을 보였으며 p53에 의한 apoptosis의 유도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나 Rb 단백과 apoptosis 사이의 연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결론 : p53 및 apoptosis는 난소의 악성 종양과 양성 종양을 구별하는 인자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종양의 재발 등의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난소의 악성 종양의 진행 및 재발 등의 예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ole of tumor suppressor genes, p53 and Rb gene, as well as apoptosis in the carcinogenesis of ovarian epithelial tumors. And the value of these factors as prognostic markers to tell the transformation of borderline tumors to overt carcinomas is also studied. Method: Thirty cases of ovarian epithelial benign and borderline tumors and invasive carcinoma were used and the expression of the p53 protein and Rb gene protein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The apoptosis was evaluated by TUNNEL method. Results: Positive rate of p53 expression in benign, borderline and invasive tumors were 0, 28, and 94 %, respectively. And also, p53 was highly expressed in chemoresistant cases (2/3), in residual tumor (4/5) and in recurred cancer (2/2). Rb protein was partly lost in the borderline tumors, but the rate of Rb protein loss in both borderline tumors and invasive carcinomas were similar. Apoptosis were more active in overt carcinomas than in borderline and benign tumors. In borderline tumors, p53 protein was expressed as 28.6% positivity, and apoptosis was expressed as 28.6% negativity, which showed indirectly that there was apoptosis induction effect of p53. In ten cases of invasive carcinomas showing highly expressed p53, apoptosis revealed all positive reaction except 2 cases, and Rb protein revealed variously. This result supported the apoptosis imduction effect of p53,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association of expression degree between the two tumor supressor genes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values of p53 is a discriminating factor of malignancy from benign and the expression of p53 is related with clinical aggressivity such as recurrence and residual cancers. Apoptosis are more active in overt carcinoma than in benign & borderline tumor, and in borderline tumor the expression of p53 is related to apoptosis induction which results to carcinomatous change.

      • KCI등재

        인간 난관상피세포의 공배양이 생쥐 초기배아의 체외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규섭(Kyu Sup Lee),고형권(Hyeong Gweon Ko),신병섭(Byeong Sub Shin),이영아(Young A Lee),김상우(Sang Woo Kim),나용진(Yong Jin Na)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6

        목적 : 공배양술이 생쥐 초기배아의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 공배양을 초기배아의 유전자 활성화 시기인 1-세포기 배아 전후에 적용하여 공배양의 시작시기와 기간이 배아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과배란 유도 후 얻은 ICR 계통의 생쥐 1-세포기 배아를 인간 난관상피세포와 96시간동안 CO2 배양기(37 ℃, 5 % CO2)에서 공배양하였으며, 대조군으로 1-세포기 배아를 0.4 % BSA를 함유한 HTF 배양액에서 단독배양하였다(실험 1). 생쥐 1-세포기 배아를 인간 난관상피세포와 공배양 후 hCG 주사시간을 기준으로 36, 44, 52, 60시간째 각각 0.4 % BSA를 함유한 HTF 배양액으로 옮겨 계속 배양하였으며(실험 2), 반대로 생쥐 1-세포기 배아를 0.4 % BSA를 함유한 HTF 배양액으로 먼저 배양한 후 hCG 주사시간을 기준으로 36, 44, 52, 60시간째 각각 난관상피세포와 공배양하였다(실험 3). 배양 24, 48, 72, 96, 120, 144시간 후에 각 배아의 난할 정도를 관찰하여 2-세포기, 4∼8 세포기, 상실배 및 포배 등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실험 1에서 2-세포기로 발생한 경우는 공배양군과 배양액 단독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그렇지만 4-세포기 이후의 발달율은 공배양군에서 배양액 단독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실험 2에서 4-세포기 이후의 배아발달율은 공배양의 처리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hCG 주사 후 60시간군에서 포배까지의 배아발달율은 포배까지 계속 공배양을 한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hCG 주사 후 60시간 이전에 공배양의 효과를 제거한 나머지 3개군은 포배기배아 발달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실험 3에서 4-세포기 이후의 배아발달율은 공배양을 초기부터 시작할수록 높았으며, hCG 주사 후 52시간부터 공배양 했을 때 4-세포기 이후 포배까지의 배아발달율은 지속적으로 공배양을 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 배아의 발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초기부터 공배양을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배아의 2차 핵분열이 일어나는 기간동안 공배양 환경을 지속시켜 주어야만 공배양에 의하여 2-cell block을 극복하여 포배이후까지의 배아발달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s of coculture with human oviductal cell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1-cell stage ICR mouse embryo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uration and start time of coculture. Materials and Methods: ICR mice were superovulated with PMSG/hCG and 1-cell stage mouse embryos were recruited. 1-cell mouse embryos were cocultured on human oviductal cells in a CO2 incubator(coculture group) and were cultured on 0.4 % BSA+HTF media(control group)(Experiment 1). 1-cell mouse embryos were cocultured on human oviductal cells for 36, 44, 52, 60 hours after hCG IP respectively, and then were transferred to 0.4 % BSA+HTF media(Experiment 2). In comparison, 1-cell mouse embryos were cultured by using 0.4 % BSA+HTF media, and then were transferred to human oviductal cell coculture system using the same schedule(Experiment 3). Afterward, they were examined regarding the development to 2-cell, 4∼8 cell stage mouse embryos, morulas and blastocysts. Results: In experiment 1, the developmental rates to 2-cell embryos of coculture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97.3 % and 98.7 %, respectively. After 2-cell embryos, cocultu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velopmental rate than control group (p<0.05). In experiment 2, the developmental rates after 2-cell embryo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groups with coculture effects removed before post-hCG 60 hou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velopmental rates (p<0.05). In experiment 3, the developmental rates after 2-cell embryos were higher when the coculture started at an earlier stage. Furthermore, the groups which were cocultured from post-hCG 52 hours exhibited significant lower developmental rate than the groups which were cocultured continuously (p<0.05). Conclusion: The coculture with human oviductal cell could improve the development of the embryos in vitro and might mimic the natural physiological condition better than media environment. The degree of improvement was more pronounced when the coculture started at an earlier stage and the duration of coculture was longer. More importantly, the changes of culture condition at post-hCG 52 hours in which secondary mitosis occurs, have significant detrimental effects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 KCI등재

        자궁 경부의 원발성 Signet Ring Cell Carcinoma 1례

        배은지(E .J. Bae),고형권(H. G. Ko),안영도(Y. D. Ahn),강기주(G. J. Kang),윤만수(M.S. Yoo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Signet ring cell adenocarcinoma of the cervix is most commonly considered to be metastatic in origin. We describe one case of primary signet ring cell adenocarcinoma of the cervix occurring in 33 - year - old patient. The lesions were located at the anterior lip of the cervix and about 3 cm in size. This case was negative for HPV type 18 and 16. Postoperative chemotherapy was done for FIGO stage IB adenocarcinoma with two of the pelvic nodes containing metastasis. The patient died 6 months after diagnosis. Although autopsy was not performed, absolute proof obtained of the absence of a gastrointestinal tract tumor, support this case for a primary cervical origin of signet ring cell form of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 KCI등재

        자궁 경부암에서 골반 임파절 전이의 예측 인자로서 SCC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의 가치에 대한 연구

        강기주,오한진,윤만수,설미영,박창수,고형권,염상탁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3

        목적: 자궁경부암에서 치료전 SCC와 임상적 병기, 종양의 크기, 병변의 범위와의 연관성은 이미 밝혀진 바 있고 또 항암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시에 SCC치의 감소는 좋은 예후와 관계됨이 밝혀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치료전 SCC치와 골반 임파절 전이, 종양의 크기, 침윤 정도와의 상관성 유무를 밝히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1995년 3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에서 선행항암요법 없이 자궁경부암으로 양측 골반 임파절 절제를 포함한 양측 골반 임파절 절제를 포함한 광범위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수술전 SCC치가 검사된 1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반 임파절 전이 유무에 따른 치료전 SCC치 차이를 통계적 증명하기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으며, 치료전 SCC치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수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골반 임파절 전이가 없는 125명의 90%에 해당하는 SCC치 2.9 ng/ml를 기준으로 했을때 SCC치 2.9ng/ml 이상의 환자군 중 골반 임파절 전이가 있을 확률은 60.7%로 2.9미만에서 골반 임파절 전이 양성확률보다 5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SCC치와 종양의 크기, 침윤의 깊이, 골반 임파절 전이 유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종양의 크기(p=0.04)와 골반 임파절 전이(p=0.002)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침윤의 깊이(p=0.31)는 SCC치와 통계적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종양의 크기보다 골반 임파절(p$lt;0.01)전이유무가 SCC치와 더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궁경부암에서 치료전 SCC치가 2.9 ng/ml이상의 경우 골반 임파절 전이의 고위험 인자로 생각되며, 명확하게 정해진 환자군의 범위 내에서 연구가 대규모가 이루어진다면 치료전 SCC치의 기준과 그 타당성의 정도가 좀더 구체적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clinical value of preoperative serum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SCC) in relation to clinical stage, tumor volume, disease extent and prognosis has already reported in many pap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operative SCC level and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Matrials and Methods: From March 1995 to December 1998, 157 patients who examined pretreatment SCC levels before undergoing radical hysterectom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were included. The effect of pelvic lymph node status on the SCC level was examined by comparing 125 cases with cancer limited uterus or upper vagina and 32 cases with cancer confined to the uterus (including upper vagina) and pelvic lymph node using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90% of patients without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showed SCC levels of 2.9ng/ml or below. 60.7% of patients with serum SCC level more than 2.9ng/ml exhibited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The marker values exceeding 2.9ng/ml increased risk of nodal metastasis 5 times compared with serum level 2.9ng/ml or below. Multivariat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had a large impact on the marker level than did tumor size or depth of stromal infilteration. Conclusion: SCC levels greater than 2.9ng/ml can be considered a high risk zone for nodal metastasis.

      • KCI등재

        골아세포내 소포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이규섭,김기형,황인섭,원석,김원희,고형권,김경리 대한폐경학회 1998 대한폐경학회지 Vol.4 No.1

        "The exact cause of bone loss in menopausal women is not known, but both increased bone resorption and decreased bone formation have been responsible. Theoretically, these effects may result from either increased activity of osteoclasts or decreased activity of osteoblasts, or both. In vitro, various kinds of substances administered either leads to activation or suppressicn of osteoblasts. We studied the ultramicroscopic structure of osteoblast-like cells by means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RCB cells (osteoblast from Riken Cell Bank) were grown in DMEM media with 10nM dexamethasone for 6 days, After t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dexamethasone. Matrix vesicles have been well documented as a unique type of extracellular structure. And these vesicles are the initial site of the mineral deposition. Akisaka et al. has classified these matrix vesicles into three categories, eg, granular type, flocculent type and amorphous type while Yoshida et al. did into four types eg. empty, amorphous, crystalline and ruptured type. These vesicles, already with calcium and other minerals, produced and released from osteoblast form procollagen and collagen and other cellular differentiation including ultimate necrosi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cells. Author observed vesicles present in the cells by means of TEM as not much observations could be found in the literature as the matrix vesicles. Interestingly enough, vesicles both in and outside the osteoblasts showed some differences. Rather light and homogeneous vesicles which might be the source of empty type of matrix vesicles were in young and less necrotic cells. Second types were those with granular type in which diffuse granules seen without any shape. There were also vesicles with homogeneous dark color as well as with shapes of stripes, lamination or needle-like crystals. These findings suggests the vesicles that is the precursors of the matrix vesicles in the osteoblast shows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density of electron microscopic illumination depending of the mineral content and shape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