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명 교류의 허브 ‘교역항’에서의 수공업 생산

        고일홍(Ilhong K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9 아시아리뷰 Vol.8 No.2

        교역항은 물자의 집결과 해상·육상 유통을 위해 마련된 공간이지만, 종종 수공업 공방지가 함께 조성되는 경우도 있으며, 그러한 공방지의 성격도 매우 다양하다. 교역항에 조성된 수공업 공방지의 성격이 그 교역항의 성격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에, 본고에서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고대 교역항인 사천 늑도 유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목적으로 그곳에서 일어났던 수공업 활동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늑도에서 확인된 철기 및 토기 생산의 직·간접적 증거를 검토하였다. 그런 다음, 일종의 경험적 도구(heuristic tool)를 확보하기 위해 교역항에서 철기 및 토기 생산이 이루어졌던 다른 시기, 다른 지역의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교역항에서 철기/토기 생산이 일어나는 세 가지 시나리오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는 ‘항해’라는 특수한 활동의 결과로 발생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물품의 생산이다. 둘째는 새로운 물자 및 기술의 유입이 일어나는 ‘교역항’의 특수한 환경 속에서 발생한 물품의 생산으로, 이렇게 생산된 물품은 흔히 내륙으로 유통되었다. 셋째는 ‘해상교역’을 위한 교역품의 생산으로, 이 경우에는 항해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주요 자원에 대한 접근성 측면에서도 교역항은 유리한 입지를 점하고 있었다. 결국, 이와 같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확인함으로써, 비록 본고에서 늑도에서 진행된 수공업 활동의 목적을 명확히 규명하지는 못했을지라도, 그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앞으로의 연구에서 어떠한 사항들을 고려해야 하고, 또한 어떠한 방법론을 도입해야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Ancient trade ports were intended for the gathering and circulation of goods but some were also accompanied by crafts workshops, the presence of which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nature of these trade ports. In order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Korean portof-trade, Neukdo, this paper examined, in detail, the nature of the crafts activities that may have taken place, with particular focus on iron and pottery production. In addition, examples of other regions and time periods in which crafts production took place at trade harbors were also examined; this was done in order to construct a heuristic tool through which the phenomenon observed at Neukdo could be better understo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ree different scenarios were identified for crafts production at trade harbors. The first was the production of goods that were required is association with maritime activities. The second was the production of goods generat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oreign goods and technologies, which were ultimately intended for local consumption. The third was the production of goods as trade items for maritime trade. These three scenarios provide a basis for carrying out future research on crafts production at Neukdo.

      • KCI등재

        고고학 자료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래유물 유통망 검토: 영남지역 무덤 출토 오수전의 해석을 위한 융복합적 시도

        고일홍(Ilhong K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아시아리뷰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영남 내륙지역의 무덤 출토 오수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화폐’를 ‘외래유물’의 일종으로 접근하였다. 즉, 영남 내륙지역의 ‘외래유물’ 유통망에 대하여 검토하고, 그 유통망 속에서 오수전의 존재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고고학 자료의 패턴을 확인하고 시각화하는 새로운 방법론인 ‘네트워크 분석’을 도입하였다. 그 결과 오수전이 외래유물 유통망 연결성이 높은 유적(다호리, 용전리), 중간인 유적(양지리), 그리고 낮은 유적(임당) 모두에서 발견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앙성이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오수전이 지점별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화폐와 시장경제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소위 ‘야만세계’에서 발견된 로마 화폐의 다양한 발견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이와 같은 해석의 근거를 보강하였다. 이로써 한반도 출토 고대 화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아울러 고고학 자료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의 유용성을 논의할 수 있었다. Ancient Chinese wushu coins recovered from burials of the Yeongnam region were regarded foremost as a kind of ‘foreign object’ in an attempt to arrive at a new interpretation of this artifact type. Network analysis, which allows for new ways of identifying and visualizing patterns of archaeological data, was undertaken on a data set consisting of all foreign objects from Yeongnam region buria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wushu coins were present at sites of high centrality (Daho-ri, Yongjeon-ri), middle centrality (Yangji-ri), and low centrality (Imdang). It was suggested that the wushu coins had been circulated from sites of high centrality to sites of low centrality, and that in this process, these foreign objects gained different meanings and undertook different function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cy and the market economy was explored and various cases of Roman coins discovered in the ‘barbaric world’ were examined to support such an interpretation. The present study not only proposes a new interpretation of ancient Chinese coins excavated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llustrates the usefulness of network analysis on archaeological data sets.

      • KCI등재

        북한의 발해 연구사 서술을 위한 새로운 접근 ― 북한 학술지 목록화 사업 결과물을 활용한 내용분석

        고일홍 ( Ko Ilh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4

        Previous attempts to trace North Korean research trends have relied heavily on qualitative analysis, resulting in subjective narratives, and limited attempts at quantitative analysis have been one-dimensional in nature. In order to address this need for the diversification of methods for the study of North Korean Balhae research, ‘digital data analysis’ methods widely used in the social sciences were adopted.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undertaken on the titles of articles on Balhae published in six North Korean research journal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as was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e former revealed diachronic insights on the publication of Balhae articles,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undertaken on different journals. The latter involved the use of NetMiner 4.0 software to produce a sematic network, to create ‘content clouds’, and to undertake degree centra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contributed to a better under- taking of North Korean Balhae research trends, presented a way of utilizing data on North Korean research journals accumulated through DB construction projects, and provided an example of applying digital data analysis techniques to humanities research.

      • KCI등재

        선사 및 고대 울릉도의 역사지리적 위치 검토 -환동해 교류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고일홍 ( Ko Ilhong ),한지선 ( Han Jisun ),최영은 ( Choi Youngeu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1 한국문화연구 Vol.41 No.-

        울릉도는 부속된 44개 섬과 함께 동해 유일의 도서군을 이루어, 그 지정학적 위치나 교통로 상에서의 중요성이 주목되어 왔다. 다른 한편으로는 동해상에 격리되어 망망대해의 한 가운데 고립된 섬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관점을 도입하여, 이처럼 ‘고립된 노드’로 볼 수 있는 울릉도로 ‘링크’가 만들어져 환동해 서쪽 구역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성이 어떻게 증대되어 ‘작은 세상’이 만들어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울릉도가 포함된 환동해 서쪽 해역에서의 해상 교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확보하기 위해 동해안을 따라 진행되었던 고대 교류의 증거들을 통시적으로 조망하였으며, 그 결과 동해안을 따라 일어났던 교류의 동인, 역학 등에 대한 시사점을 확보하였다. 그런 다음, 울릉도의 연결성에 초점을 맞추며 울릉도의 고고학 자료와 문헌 자료를 재검토하여, 환동해 교류 네트워크에서 울릉도의 위상을 재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울릉도에 분포하는 신라 고분 자료에 대한 분석과 그 등장 배경 및 계통에 대해 고찰하고, 512년 이사부(異斯夫)의 출항지에 대한 제설과 신라 진출 이전 울릉도 선주민의 양태를 다룬 문헌을 검토하고, 울릉도와 독도를 경유하는 동해 항로에 대한 연구사와 관련 물질자료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울릉도의 소통성·연결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환동해 교류의 역학에서 이 섬의 역할에 대한 제고를 도모했을 뿐만 아니라, 울릉도 문화유산의 가치 함양을 위한 전략도 제시하였다. Ulleungdo, along with its 44 attached islands, constitutes the only island group in the East Sea, and its importance in terms of its geopolitical location its role in the maritime transportation network have been noted. On the other hand, it has also often been regarded as an isolated island in the middle of the wide East Sea. This paper adopts a network perspective in order to explore how the creation of a ‘link’ to Ulleungdo, which can be viewed as an ‘isolated node’, may act to increase network connectivity in the western region of the Pan East Sea region and therfore create a ‘small world’. First, in order to secur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maritime exchange in the western part of the Pan East Sea region (which includes Ulleungdo), a diachronic examination of the evidence of ancient exchange that took place along the East Coast was carried out. Then, focusing on Ulleungdo connectivity, the archaeological and textual evidence relating to Ulleungdo was reviewed, and Ulleungdo’s status in the Pan East Sea exchange network was reconfirmed. In particular, the Silla tombs distributed in Ulleungdo were analyzed and the background or their appearance, as well as their lineage, were reviewed. Isabu’s conquest of this island in 512 CE and the state of the indigenous people of Ulleungdo prior to interaction with Silla was reviewed. Finally, the research history and related material evidence concerning the Pan East Sea route passing through Ulleungdo and Dokdo were reviewed. Through this, the understanding of the communication and connectivity of Ulleungdo was enhanced, and the role of the island in the dynamics of the East Sea exchange was promoted. In addition, a strategy for expanding the value of Ulleungdo’s cultural heritage was suggested.

      • KCI등재

        한국 고고학의 고대 국가형성 연구를 위한 일 검토

        고일홍(Ilhong Ko) 중부고고학회 2014 고고학 Vol.13 No.1

        본고에서는 한국 고고학의 국가형성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유럽 고고학의 연구경향을 중심으로 고대 국가의 형성에 관한 다양한 해석적 접근을 검토하고 있다. 유럽 고고학에서 진행된 고대 국가형성에 관한 연구는 한국 학계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두 지역에서 고대의 국가가 유사한 환경적, 지정학적 조건 속에서 성장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두 지역의 고고학자들은 사회과학의 시각 보다는 역사학의 시각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 왔다. 그간 한국에 소개된 고대 국가형성에 관한 세계 고고학의 연구사례들은 주로 유럽 이외의 지역을 대상으로 한 것들이었기에, 유럽 고고학의 해석적 시각을 다루고 있는 본고의 시도는 한국 고고학의 학문적 저변을 넓히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의 제II장에서는 지금까지 한국 고고학에서 고대 국가형성에 관한 논의들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바를 밝히고 있다. 제III장에서는 고대 국가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유럽 고고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이론적 틀을 살펴보고 있다.‘사회발전단계론적 국가 모델’,‘국가에 관한 구조주의적-마르크스주의 시각’,‘국가에 관한 정통 마르크스주의 시각’,‘헤테라키적(heterarchical) 국가’가 그것이다. 제IV장에서는 국가에 관한 각각의 이론적 시각을 견지할 때 실제 고고학 자료에 대한 해석이 어떤 방식으로 진 행되고, 또 어떤 성격의 설명으로 이어지는지를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이 사례연구들은 유럽 중부지역 켈트족의 국가형성,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 걸친 북부 유럽지역에서의 국가형성, 청동기시대 스페인 남동부 지역에서의 국가형성, 그리고 철기시대 남부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의 국가형성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V장에서는 이런 유럽 고고학의 논의가 한국 고고학의 고대 국가형성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국가의 등장을 양적 발달이 아닌 질적 전환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또 유럽의 사례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연구 계발적(heuristic) 도구로서의 가능성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interpretative approaches that have been used in archaeological studies of ancient state formation in Europe in order to consider new pathways for research on the state in Korean archaeology. The reason that archaeological research undertaken in the European context can provide new insights for Korean archaeology is because state formation in the two regions occurred in similar environmental and geopolitical conditions. Therefore, an overview of previous studies on ancient state formation carried out by Korean archaeologists is first undertaken in order to illuminate the potential merits of the current study. Then the various theoretical frameworks that have been used in the study of the state in ancient Europe are considered. They comprise the‘social evolutionary concept of the state’,‘the structural-Marxist concept of the state’,‘the traditional Marxist concept of the state’, and‘the heterarchical state concept’. Following this is an examination of four case studies on ancient state formation in Europe which have adopted, respectively, each of these state concepts. They explore the formation of the Celtic state, state formation in Iron Age Northern Europe, the Bronze Age Argaric state, and the South Scandinavian heterarchical state. Finally,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the interpretative approaches adopted in these case studies (which are meant to be used as a heuristic tool by Korean archaeologists) are discussed.

      • KCI등재

        고대 그리스 식민시 마살리아와 서부 할슈타트 권역의 문명 상호 교류

        고일홍(Ko, Ilhong) 호서사학회 2016 역사와 담론 Vol.0 No.78

        본 논문에서는 원사시대 문명의 중심지와 주변 집단들의 관계설정문제를 다루었으며 그 사례로 철기시대 지중해 문명권과 유럽 대륙의 ‘미개한’ 켈트족 집단들 사이에서 진행된 상호교류의 양상을 새롭게 검토했다. 문헌기록에 기반을 둔 기존의 시각에서는 식민시 마살리아가 그리스 문명의 선진문물을 토착사회에 일방적으로 전달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필자는 고고학 자료를 이용해서 주변 집단들의 능동성을 부각시켰으며 수용자의 입장을 강조하고자 했다. 특히 마살리아 근방의 론 강 하류 지역에서는 포도주와 포도주 섭취를 위한 음용기를 제외하고는 마살리아로부터 지중해 문명의 문화요소를 거의 수용하지 않았다는 점과, 서부 할슈타트 지역의 경우에는 마살리아 상인을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이는 포도주와 그 음용기의 사회적 역할이 과도하게 평가되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철기시대 유럽의 사례연구는 문명과 그 주변의 상호교류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 고고학이나 여타 지역의 연구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이와 관련해서 필자는 고대 식민지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선진문물의 선택적 수용에 대한 인식 그리고 ‘위세품 경제체제’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마살리아에 관한 원사기록과 실제 고고학 자료 간의 괴리를 지적함으로써 ‘미개한’ 타자를 바라보는 ‘선진사회’의 원사기록에 대한 신중한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periphery in proto-historic Europe, and aims to reconsider the nature of the exchange that took place between the Mediterranean zone and the Celts of the Iron Age. The perspective based on literary sources that the cultural elements of Greek civilization were unilaterally transmitted to the barbarian Celts was challenged and the active agency of the Celtic communities in adopting those elements was stressed. In addition, it was maintained that the insights gained through this case study, such as a re-evaluation of the nature of colonialism, the acknowledgement of the selective nature in adopting foreign cultural elements, and a re-assesment of the ‘prestige goods system’ model, could contribute to the discourse on the iss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and periphery in areas outside Europe as well.

      • KCI등재

        “사회적 시간”의 고고학적 연구 -한국 청동기시대 농경사회로의 전환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고일홍 ( Ilhong Ko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4

        This paper considers possible ways in which the archaeological study of the ‘social time’ of past societies may take place. Focus is placed upon the notion of ‘social time’ because if it is acknowledged that ‘time is socially constructed’, then time may come to be regard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understanding past societies. An examination of previous archaeological studies involving time reveals that the notion of ‘time as social’ was accepted as a given without further investigations into why it may be regarded as such. Therefore, the discourse on social time that was undertaken within the disciplines of anthropology and sociology is reviewed. In addition, anthropological and sociological case studies on social time are examined and used as heuristic devices in formulating a methodology for the archaeological study of social time. Finally, possible changes in time reckoning systems that may have occurred as a result of the transition from a hunter-gatherer to farming society are explored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he study of social time may contribute to the broader discourse on the transition to farming society in Bronze Age Korea.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전기의 농경방식 재조명

        고일홍(Ko, Ilhong) 한국상고사학회 2010 한국상고사학보 Vol.67 No.-

        본고는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의 농경방식에 대해 재조명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우선 이시기의 주된 농업전략으로 상정되어 온 화전농경의 실시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화전농경의 개념적 측면을 검토하였고, 민족지적 사례들을 중심으로 화전농경의 다양한 운용방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화전농경이 기존의 통념과 달리 대단히 넓은 범주의 개념임이 밝혀졌고, 또한 화전농경과 함께 나타나는 거주 전략의 다양성이 강조되었다. 이를 통해 화전농경에 대한 한국 고고학의 기존의 인식이 재고되어야 함을 주장했고, 농경과 관련된 직접적 증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취락 패턴 분석에 주로 의존하여 이 시기의 화전농경 가능성을 상정하는 경향에 대해 비판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선사시대 농업전략의 구체적인 양상을 규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분석적 접근들(예를 들어, 경작지 조성 증거 분석, 경작 증거 분석, 삼림의 제거 및 재생 증거 분석, 그리고 취락 관련 증거 분석)을 검토함으로써 전기 청동기시대 농경방식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nature of farming in the Korean Bronze Ag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slash-and-burn farming, generally regarded as the main farming method of this period, was indeed practiced, a detailed and unbiased definition of this strategy was provided, and its actual practices were considered through ethnographic case studie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slash-and-burn farming' is a broad concept which comprises a diverse range of practices, in particular relating to modes of settlement. Thus, it was argued that the understanding of slash-and-burn farming present within Korean archaeology was too narrow and that settlement patterns could not be used as a valid means of interpre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is strategy.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a series of interpretative methods which may be used to study evidence relating to the creation of agricultural fields, farming practices, and the cutting and regeneration of forests. Through this, new and alternative ways of approaching the issue of Early Bronze Age farming strategies is suggested.

      • KCI등재

        ‘아시아 문화유산’ 출판물의 키워드 분석: 서구적 관점에서 아시아를 해석하는 또 하나의 방법론

        조민재(Minjae Zoh),고일홍(Ilhong Ko)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아시아리뷰 Vol.11 No.2

        그동안 아시아를 바라보는 서구 시각의 검토가 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본고는 실증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이 주제에 접근하고 있다.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새로운 방법론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아시아 문화유산’을 주제로 한 서양 출판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아시아 문화유산 관련 서양 출판물에 등장하는 아시아 지역단위의 현황과 관련 키워드를 파악하였다. 둘째, 아시아의 일부 국가에 대해서도 아시아 문화유산 관련 서양 출판물에 등장하는 연관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셋째, The Routledge Handbook of Heritage in Asia에 대한 검토를 통해 서구의 아시아 인식에 대한 단서를 확보하였다. 이렇듯 분석단위와 접근방식이 서로 다른 세 종류의 연구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아시아를 바라보는 서구의 시각에 대한 시사점을 확보하였다. 또한 파일럿 스터디인 만큼, 이와 같은 연구 방법론의 전망도 모색해보았다. The way in which Asia has been perceived by the West has predominantly been discourse-based. This article approaches the topic of Asia through empirical data analysis. New methods of data analysis were applied to assess what it can reveal in terms of what has been published in the West regarding Asia’s heritage. First, recent and frequently appearing keywords were grasped within what has been published by Western publishers. Second, a more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keywords that frequently appear in published materials for selected Asian countries regarding their heritage. Third, the Routledge Handbook of Heritage in Asia was examined to gain a broad idea of Western approaches and perspectives regarding Asia and its heritage. Through this pilot study, our partial aim was to test out this research method and its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