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소종양 및 Residual Ovary Syndrome에 대한 임상병리학적 고찰

        고승권(SK Koh),조창현(CH Cho),노의선(YS Rho),남주현(CH Nam),정좌구(JK Chung),권순욱(SW Kwo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

        1976년 1월 1일부터 1985년 12월 31일까지 본 한림대학부속 한강성심병원에서 체험하였던 411예의 난소종양에 대하여 임상병리학적 고찰을 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소종양을 크게 비종양성 난소낭종, 양성 난소종양 및 악성 난소종양으로 대분하였을 때, 전 난소종양중 비종양성 난소낭의 빈도는 34.3% 이었으며 이중 단순낭이 30.5%, 황체낭이 28.4%의 순이었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20대에서 48.9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30.6세이었다. 2. 양성 난소종양은 전 난소종양의 58.2%이었으며 그중 낭성 기형종이 61.1%로 가장 많았다. 연령분포는 역시 20대에서 41.4%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32.6세이었다. 3. 악성 난소종양은 전 난소종양의 7.5%이었으며 점액성 낭선선암이 41.9%, 장액성 낭선선암이 22.6%를 차지하였다. 연령분포는 20대가 29.0%, 40대가 19.4%의 순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7.3세이었다. 4. 난소 종양환자에서의 분만경력을 살펴보면 분만경험이 없었던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평균 분만횟수는 비종양성 난소낭에서 1.5, 양성 난소종양에서 1.8, 그리고 악성 난소종양은 역시 1.8이었다. 5. 난소종양의 수술방법으로는 비종양성 난소낭종 및 양성 난소종양환자의 74.2%에서 낭종적출술 또는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 14.7%에서 전자궁 및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 10%에서 전자궁 및 양측 자궁부속기절제술을 각각 시행하였으며 수술방법에 따른 각각의 평균연령은 27.5세, 39.3세, 48.8세이었다. 6. 악성 난소종양환자중 41.9%에서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 19.4%에서 전자궁 및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 19.4%에서 전자궁 및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 35.5%에서 전자궁 및 양측 자궁부속기절제술을 시행하였고, 각각의 평균연령은 31.9세, 40.0세, 43.2세이었다.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는 20세이전의 미혼여성이며 임상분류상 제 1기 난소암 이거나, Borderline malignancy인 경우 및 과거에 전자궁적출술 및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을 받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7. 동 기간에 일측 및 양측 난소를 남기고 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하였던 917예이었으며, 과거에 남긴 난소에서 종양이 발생하였던 "residual ovary syndrome"이 4예로서 그 빈도는 0.43%이었다. A clinico-Pathological study was made on a series of 411 cases of ovarian tumors, which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Hangang Sacted Heart Hospital,Hallym University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 1976 to December 31, 1985.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mong 411 cases, the incidence of non-neoplastic ovarian cysts, benign ovarian tumors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were 34.3%(141 cases), 58.2%(239 cases) and 7.5%(31 cases) respectively. 2. Among the non-neoplastic ovarian cysts, simple cyst(30.5%, 43 cases) ranked first, followed by corpus luteum cyst(28.4%, 40 cases), and lutein cyst(22.0%, 31 cases). The highest incidence of non-neoplastic ovarian cysts showed in 3rd decade group(48.9%). The mean age of non-neoplastic ovarian cysts was 30.6 years. 3. In benign ovarian tumors, cystic teratoma(61.1%, 146 cases) was most common, followed by mucinous cystadenoma(23.4%, 56 cases) and serous cystadenoma(12.1%, 29 cases) in order of frequency. The highest frequency of benign ovarian tumors was found in 3rd decade group(41.4%). The average age of genign ovarian tumors was 32.6years. 4. As to the frequency of malignant ovarian tumors, mucinous cystadenocarcinoma was found in 41.9%(13 cases), serous cystadenocarcinoma in 22.6%(7 cases). The highest incidence of malignant ovarian tumors including borderline malignancy was observed in 3rd decade group(29.0%). The age of malignant ovarian tumors averaged at 37.3 years. 5. In the frequency of parity, nulliparous was most common(35.0%). The mean parity of non-neoplastic ovarian cysts, benign ovarian tumors, and malignant tumors were 1.5, 1.8 and 1.8 respectively.

      • KCI등재

        임신주수에 따른 태아 심박동수의 계산도표

        고승권(SK Koh),박문일(MI Park),이재억(JA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4

        산과 영역에서 분만전에 태아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한다는 것은 임신부의 산전검사에서 거 의 필수적인 과정이며, 또한 현대산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그동안 이러한 목적으로 `전자태아심박동 자궁수축감시법`이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외국에서는 특히 태아심박동변이 도의 추출에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함께, 컴퓨터를 이용한 객관 적인 판정을 하는 논문들이 발표되어 있는 바, 현재 일부 국가에서는 세계 최초로 이러한 기기의 상품화에도 성공한 바있다. 그런데 이렇게 연구된 `태아심박동 분석자료`는 그 특성 이 외국의 증례어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이를 구내에 그대로 적용시키기에는 약간의 무리가 따를 것으로 생각된다. 즉 국내환경에서 는 국내의 임산부 및 태아의 자료로서 `태아심박동의 표준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본교실에서 개발된 컴퓨터를 이용한 태아심박동분석시스템을 이 용하여 수집된 3,206예를 대상으로 기본태아심박동수, 기록손실도, 태동, 변이도, 태아심박동 중가수 등의 제 변수에 대한 주수별 분석을 실시하였던 바 우선 1차적으로 기본태아심박동 수에 대한 표준계산도표를 제시하였다. 각 변수에서 주수별 분석은 각각의 임신주수(임신 20-임신 45주)별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만삭전 (N=1,754), 만삭(N=1,394), 만삭후 (N=58)의 임 신주수별로 나누어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태아 심박동수는 (bpm / 20 min) 는 만삭전은 144.86, 만삭은 143.05, 만삭후는 140.02 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2. 기록손실도는 만삭전은 8.28% 만삭은 6.1%, 만삭후는 5.63%로 점차 감소추세를 보인다. 3. 태동수 (No. / 20 min) 는 만삭전 9.54 만삭은 8.49, 만삭후는 6.86으로 점차 감소추세를 보인다. 4. 변이도(amplitude, bpm / 20 min)는 만삭전은 19.28, 만삭은 19.81, 만삭후는 18.81로서 만 삭임신에서 가장 높다. 5. 태아 심박동 증가횟수는 증가폭 (bpm) 과 지속시간( sec)에 따라 4가지 조합으로 분류하 여 분석하였던 바, 모든 조합에서 만삭시 태아심박동증가 횟수가 가장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얻었던 바, 기본태아심박동수의 표준적인 기준곡선이 얻어졌으며 임신 주수별 NST의 결과 분석 등에서 판독의 보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러한 컴퓨터 를 응용한 자료가 기본이 된다면, 육안적으로도 더욱 정확한 검사판독 결과를 얻을 수 있으 리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 자료는 태아심박분석 소프트웨어의 작성에서 중요한 data base로 활용되어 질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더욱 많은 자료로서 정상 및 비정상 임신에서의 기준 곡선을 분류하면 각 질환별 해당환자에서 각변수의 백분위수 (percentile)를 측정하는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Nonstress test(NST) using electronic fetal heart rate monitor has become popular method of assessing fetal well-being. Most results of NST were interpreted with visual methods. However, this visual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a FHR record is unacceptably inconsistent, varying between different observers on the same occasion or even between the same oberves on different occasions. Fetal heart rate(FHR) records should be presented as measurements derived from numerical analysis. Such analysis requires computerized sysetems. Among each varialbes of FHR data, baseline FHR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analysis of NST. However, there were only few reports concerning normal distribution of baseline FHR data according to each gestaional weeks. Using HYFM-1 software which already developed for comupterized analysis of FHR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3,206 normal preterm (N=1,754), term (N=1,394) and postterm(N=58) pregnancies were entered to this study for nomogram of baseline FHR. Each variables including signal loss rate, base line FHR number of fetal movements, variability, and number of FHR accelerations were analysed for 20 minutes of first NST. With increasing gestational weeks, the mean baseline FHR was decreased (144.86bpm at preterm, 143.05 bpm at term and 140.02 bpm at postterm pregnancies). With increasing gestiational weeks, the mean signal loss rate (8.28% at preterm 6.1% at term and 5.63% at postterm pregnancies )and number of fetal movement (9.54 at preterm, 8.49 at term and 6.86 at postterm pregnances )were also decreased. However, the variability(19.28 bpm at preterm 19.81 bpm at term, and 18.81 bpm at postterm pregnancies) and number of FHR accelerations revealed the highest value at term pregnancies. In this study we could extract nomogram of baseline FHR according to each gestiational weeks using on line computerized FHR analysis system. This result would be helpful in the visual analysis of NST in each gestational weeks.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also useful in the computerzied FHR analysis system, epecially in the field of automated analysis as a background data base of FHR.

      • KCI등재

        초음파 아두대횡경치와 대퇴골길이에 의한 태아연령에측의 정확도에 관한 통계적 비교

        노의선(YS Rho),고승권(SK Koh),김현식(HS Kim),이용우(YW Lee),남주현(CH Nam),정좌구(JK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3

        월경력이 정확한 임신 제 25주에서 42주까지의 임부 269명을 대상으로, 태아연령을 예측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BPD와 FL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주수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볼 때 FL(r2=0 8955)가 BPD(r2=0 8255)보다 태아연령을 예측하는 척도로서 더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2 FL가 GA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중 직선방정식(r2=0 8955, t=48 7, P<0 01) 보다는 2차방정식(r2=0 9006, t=3069, P<0 01)이 태아연령의 예측에 더 정확한 model이었다 그러나 BPD에서는 직선방정식과 2차방정식(r2=0 8273, t=1 679, P>0 05)간에 태아연령예측의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다 3 FL와 BPD를 함께 조합하여 산출한 새로운 방정식은 GA=-5 77+(1 8126) FL-(0 008372) FL2-(0 7453) BPD+(0 002966) BPD2으로써 r2=0 9106이었다 즉 태아연령의 예측에 있어서 FL나 BPD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둘을 조합하였을때가 더 정확한 예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4 GA에 대한 logarithmic function을 도입하여 산출한 회귀방정식은 LogGA =2 0068+ (0 0576) FL-(0 000288) FL2-(0 0172) BPD+(0 000065) BPD2으로 r2=0 9285로써 태아연령예측에 가장 적합한 공식이었다 Ultrasonic measurements of biparietal diameter(BPD) and femur length(FL) for estimation of gestational age(GS) were performed in 269 pregnant women between the 25th and 42nd weeks of ges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emur length(r2=0 8955) was found to provide a more accurate index than BPD(r2=0 8255) for prediction of gestational age in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2 The linear quadratic function for describing the relation between FL and GA was a more accurate model than the linear function(r2=0 9006, t=3 69, P<0 01) But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ccuracy for predicting GA was observed using the linear quadratic fun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BPD and GA(r2=0 8283, t=1 679, P>0 05) 3 Combining the FL and BPD, the the new regression equation is GA=-5 77+(1 8126) FL-(0 008372) FL2-(0 7453) BPD+(0 002966) BPD2(r2=0 9106, P<0 01) It was found that this formula provided more accurate prediction of GA than that of using either FL or BPD 4 The multiple regression of log(GA) on EL, FL2, BPD and BPD2, Log(GA)=2 0068+(0 0576) FL-(0 000288) FL2-(0 0172) BPD+(0 000065) BPD2 showed the highes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0 9285) So it is concluded that this is the most accurate formula for prediction of GA

      • KCI등재

        만삭임신에서 태동이 태아심박동 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박문일,고승권,황정혜,김선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

        태아심박동의 여러 변수중에서도 특히 변이도가 최근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는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시스템이 응용되기 때문인데, 실제로 태아심박동의 변이도를 육안적으로 분석하기는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만삭임신에서 완전 성숙된 태아의 심박동에 대한 여러가지 변수를 조사하여 보았다. 1988년부터 1995년까지 7년간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내원하여 NST를 실시한 산모중 만삭 임신 1,394예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NST의 결과 분석은 컴퓨터를 응용한 HYFM-1(Hanyang Fetal Monitoring System-1) software를 사용하였으며 만삭임신에서 각 주수별분포는, 임신 38주가 337명, 39주가 467명, 40주가 300명, 41주가 189명, 42주가 101명 이었다. 각 태동수에 따른 태아심박동 변이도는 태동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의의있게 증가하고 있는데, 통계학적으로 Y=17.53+0.298*X의 식으로 표현된다(Y=태아심박동변이도, X=태동수; r=0.826,p=0). 상기결과로 미루어보아, 향후 위양성 NST의 판독에서 태동과 관련된 태아심박동 변이도의 컴퓨터를 이용한 측정은 위양성의 감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생리적인 무반응성 NST와 병리적인 무반응성 NST의 구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nalysis of fetal heart rate(FHR) variability has become a cornerstone in the antepartum and intrapartum evaluation of fetal well-being. The source of FHR variability suggets intact autonomic feedback betwee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sinoatrial node. From a clinical standpoint, computerized analysis of FHR is required for analysis of FHR variability using computerized FHR analysis system at term pregnancy. One thousand three hundred ninty-four normal term pregnancies were entered to this study for 7 years. The standard 20-minutes nonstress test(NST)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using HYFM-1 software which already developed for computerized analysis of FHR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With increasing numbers of fetal movements, the mean FHR variability was increased (16.98 bpm at no fetal movement, 17.51 bpm at 1-5 fetal movements, 20.59bpm at 6-10 fetal movement, 22 bpm at 11-15 fetal movemens, 23.62 bmp at 16-20 fetal movement, 24.26 bmp at $gt; 20 fetal movements). In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mber of fetal movements and FHR variability with the equation of Y=17.53+0.298X(where Y=FHR variability, X=number of fetal movements; r=0.826, p=0). We also suggest nomogram of FHR variability according to each number of fetal movement. This result could reduce the high error rate associated with standard NST criteria.

      • KCI등재

        제대혈 Leptin : 출생 체중 , 임신성 고혈압 , 태아 성별 , 산모의 비만도 , 분만 주수와의 상관 관계

        송은섭,고승권,이병익,임문환,임영구,전용훈,김종화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6

        목적: Leptin은 비만 유전자에 의해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음식 섭취와 에너지 대사 조절을 통해 체중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신중 태아의 leptin은 산모의 leptin과는 달리 태아의 지방 세포 뿐만 아니라 태반 조직에서도 만들어져 태아의 성장과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대혈 내 leptin치가 태아 상태를 나타내는 태아의 체중과 성별[남녀], 태반 상태를 나타내는 임신성 고혈압, 산모의 체질량 지수와 분만 주수에 따라 어떠한 상관 관계를 보이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분만 직후 제대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원심 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청을 분리한 다음 -70℃에 냉동 보관하였다. Leptin의 측정은 RIA using human recombinant leptin[Linco Research, St. Charles, MO, USA]을 사용하였다. 전체 115명중 임신성 고혈압 군은 28명이었다. 남아가 63명, 여아는 52명이었다. 결과: 전체 115명의 leptin치는 6.27±4.90 ng/mL[range 0.9-21.70] 이었다.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 제대혈 leptin치와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인 것은 출생 체중이었다[γ= 0.6125, P $lt; 0.001 ].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 52명의 여아에서의 제대혈 leptin치는 7.35±5.03 ng/mL로 63명의 남아 5.37±4.64 ng/mL보다 높았다[γ= 0.3849, P $lt; 0.001 ]. 분만 주수도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 제대혈 leptin치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γ= - 0.1132, P = 0.105 ]. 임신성 고혈압 환자에서 출생한 28명의 태아의 제대혈 leptin치는 5.98±5.27 ng/mL로 87명의 대조군 6.36±4.80 ng/mL에 비해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γ= - 0.006, P = 0.950 ]. 산모 체질량 지수는 제대혈 leptin치에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γ= 0.1732, P = 0.069 ]. 결론: 태아 요인인 출생 체중과 성별이 태반 요인인 임신성 고혈압이나 산모 요인인 산모의 체질량 지수보다 제대혈 leptin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Objective: Leptin is a 16-kD protein encoded by the ob/ob gene and produced mainly by adipocytes. Leptin signals the amount of fat stored in the body to the brain and affects food intake, energy expenditure, and thermogenesis to maintain a constant amount of stored body fat. In pregnancy, it was demonstrated that leptin is produced by non-adipose cell line, i.e. by placental trophoblasts as well as fetal adipocyt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irth weight, fetal sex, preeclampsia, maternal body mass index[BMI] on cord blood leptin concentrations. Methods: We determined serum leptin levels using radioimmunoassay[RIA] in cord veins of 115 pregnant women that included 28 preeclampsia. Fetal sex were 63 male and 52 female. Results: Cord lep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in multivariate analysis controlling potential confounders[γ= 0.6125, P $lt; 0.001 ]. Leptin levels in female fetus[ 7.35±5.03 ng/mL ] were significantly elevated than male fetus[ 5.37±4.64 ng/mL ][ γ= 0.3849, P $lt; 0.001 ], independent of obesity. But preeclampsia, maternal BMI, and gestational weeks on deliver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ord blood leptin levels[ preeclampsia: γ= -0.006, P = 0.950, maternal BMI: γ= 0.1732, P = 0.069, gestational weeks on delivery: γ= -0.1132, P = 0.105, respectively ].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effect of fetal birth weight and sex on cord leptin level was more pronounced than utero-placental and maternal effect.

      • KCI등재

        원발성 후복막 장액암 1 예

        이우영,조숙,고승권,황성욱,김준미,박지현,원영석,이정례,지용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6

        저자들은 세계적으로 드물며, 우리 나라에서도 보고된 예가 없는 후복막에 발생한 원발성 장액성 암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rimary retroperitoneal serous carcinoma is extremely rare tumor. It is histologically identical to ovarian serous papillary carcinoma but without any evidence of ovaries, pancreas, gallbladder, appendix or abdominal origin. Histogenesis of this neoplasm remains uncertain. Ectopic ovarian tissue or coelomic metaplasia of retroperitoneal mesothelium has been proposed as its origin. W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retroperitoneal serous carcinoma in an 53-year-old woman. Therefore, we presen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Misoprostol을 사용한 초기 및 중기 임신중절 13 예 보고

        이우영,조숙,고승권,박성민,임문환,황성욱,박지현,김우성,원영석,이정례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1997년 3월부터 1997년 9월까지 인하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misoprostol로 치료적 유산을 시행한 13명의 환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isoprostol은 의사의 처방 하에 적절히 사용하면 초기 및 중기 임신의 임신중절 약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불완전 유산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때로는 자궁 소파 술등 산과적 처치를 요한다. 2. 초기 및 중기 임신중절 13예에서 평균 miso prostol 948.62 g이 사용됐으며, 처음 삽입 시간부터 유산까지의 평균 시간은 10.76시간이었다. 3. 부작용은 구토[23%], 고열[15%], 자궁파열[8%]의 빈도로 나타났다. 4. misoprostol의 사용은 다른 방법에 비해 유산과 관련된 이환을 줄이고 치료에 대한 경비를 줄인다. Misoprostol is an inexpensive synthetic prostaglandin[PG]E1 analogue [methy1 11, 16-dihydroxy-16 methyl-9 oxoprost-13E-en-1-oate], marketed as an oral tablet, which is stable at room temperature and is availabl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induced gastric and duodenal ulcers. Intravaginal as well as oral administrations of misoprostol have been shown to effect cervical ripening and induction of labor. Our study reveals that the use of intravaginal misoprostol 800 g for medical abortion is at least as effective as more infectious, risky laminaria and metreurynter and is a promising method for medical abortion. Based on our study, it is tempting to conclude that misoprostol is as safe as other abortifacients, but the number of patients was too small to establish safety conclusively. Future studies should further clarify improved dosing regimens, efficacy and safety. Lastly, another problem is the potential of misoprostol to be used as an illicit first or second trimester abortifacient. Physicians should be worry about patient initiated requests for the drug and close monitoring should be considered if misuse of misoprostol becomes a problems.

      • KCI등재

        임산부에서 양수천자법에 대한 조사

        송은섭,정재근,고승권,이병익,임문환,임영구,박지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3

        Amniocentesis was first performed for genetic studies in the 1950s. Serr and colleagues, and Fuchs and Riis were the first to report the use of amniocentesis for antenatal sex determination. From the 1970s, genetic amniocentesis became one of the most useful techniques of the prenatal detection of genetic disorders. Because the application of population-based maternal serum screening to prenatal diagnosis is now widespread, we can estimate the trend change of amniocentesis indications. So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y 1996 to April 1997 on 74 pregnant women who underwent amniocentesis in an university hospital in order to analyse the indications, age distribution, gestational age at the time of amniocentesis, frequency of needle insertions, color of amniotic fluid, outcome of pregnancy, and result of chromosome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amniocentesis was abnormal maternal serum marker. 2. Two earl amniocenteses were performed. 3. 55 cases were single needle insertion and 6 cases were 3 or more needle insertions. 4. 11 discolored fluids[9 bloody, 2 brownish] were obtained during genetic amniocentesis of 74 patients. 5. Chromosomal abnormality was detected in one case of the 74 total cases.

      • KCI등재

        선행 제왕절개 후의 경질분만에 대한 임상적 연구

        조숙,김구상,고승권,한신교,정강우,김우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1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has been increased over the past twenty years. Recently, however, several problems with cesarean section have been reported. Many attempts to reduce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have been performed. One of them is vaginal delivery subsequent to cesarean section: Trial of Labor(TOL). We attempted TOL from August 1986 to April 1996 at Seongnam Inha hospital. It was a voluntary program for patients with a documented previous low-transverse cesarean section and no recurring indications. One hundred one cases from 1,706 pregnant women with previous cesarean section state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Ninty five cases(94.1%) among 101 cases succeeded in vaginal delivery. The success rate of TOL was not influenced by the indication for previous cesarean section. There was no maternal death or uterine rupture in TOL. PG E2 or Oxytocin was administered for the induction or augmentation of labor in 20 cases and vaginal delivery was successful in 17 cases without complication. In conclusion, vaginal delivery subsequent to cesarean section may be safe, be encouraged in the patient with previous section under the adequate indication.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이우영,조숙,고승권,이병익,황성욱,박지현,김우성,원영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2

        Hormonal replacement therapy(HRT) prevents postmenopausal bone loss by inhibiting bone resorption. Several case-control studies have shown that HRT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for older women than early menopausal women, and women who had low bone mineral density(BMD) were better responded than women had high BMD on HRT.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whether the later postmenopausal use of HRT was more effective. BMD was measured prior to HRT and 1 year after the treatment in 83 menopausal women.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10 women who didn`t take HRT. Spinal BMD was increased in HRT users by 4.23%(p=0.0001), but decreased in nonusers by 2.1%(p= 0.232). The difference according to HRT regimen didn`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longer the duration of menopause and the lower the initial bone mineral density, the highr the effectiveness of HRT was noted. Two(33.3%) of 6 women who had taken HRT within 3 years after menopause lowered the fracture risk, but only one(5.2%) in 19 women who had taken HRT after 3 years from menopause improved the bone mineral density above the fracture threshol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arlier HRT might be more effective to keep the spinal BMD above the fracture threshold and to prevent osteoprosis in menopausal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