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 평활근종 1 예

        이재억(JA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8

        저자는 한양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근종 수술의 과거력이 잇는 45세의 부인에 발 생한 세계적으로 드문 질평활근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leiomyoma of the vagina is a rare tumor and has been reported less then 250 cases in the world literatures. A case of leiomyoma of the vagina in a 45year old woman who has a history of hysterectomy for myoma of the uterus is experienced and presented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자궁적출술에 관한 임상적고찰

        이진호(JH Lee),이재억(JA Lee),송상환(SW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2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 1972년 5월부터 1973년 8월까지 시술하였던 90예 의 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하여 임상적 관찰을 하였다. 90예 중 복식전자궁적출술예는 67, 질상부자궁적출술예는 4, 그리고 질식전자궁적출술의 예가 19였다. 수술 후 감염율의 정의는 산욕열의 정의를 인용하였고 본 연구에서 비교연구의 목적으로 수 술 후 첫 24시간을 제외한 감염율과 수술 후 첫 72시간을 제외한 감염율을 조사하였다. 1) 수술 후 감염율은 첫 24시간을 제외하였을 때 47%(43예)였으며 첫 72시간을 제외하였을 때는 21%(19예)였다. 수술시에 이미 감염이 되었거나 수술 전 감염의 기회가 많았던 16예를 제외하였을 때 첫 24시간 이후의 감염율은 41%(31예)이고 첫 72시간 이후의 감염율은 16.2%(12예)였다. 2) 원인을 찾을 수 없었던 예에서 첫 24시간을 제외한 감염은 10명이었으나 첫 72시간을 제 외하면 1명뿐이었다. 3) 복식자궁적출수술과 질식자궁적출술의 경우 첫 24시간을 제외한 감염율은 각각 43%, 36%였으며 첫 72시간을 제외한 감염율은 각각 20% 및 5.2%였다. 4) 수술 후 감염율의 가장 많은 원인은 뇨로기관의 감염이었고 첫 24시간을 제외한 감염은 13예이었고 첫 72시간을 제외하였을 때는 9명이었다. 5) 수술 후 첫 72시간을 제외한 감염율 중에서 가장 많은 원인은 뇨로감염으로 12명 중 9명 이었다. 6) 본 연구의 결과로 수술 후 첫 24시간을 제외한 감염율의 경우 알려진 원인이 없었으며 특별한 치료가 없이도 정상으로 회복하는 예들로 보아 수술 후 감염율 조사를 위하여서는 수술 후 첫 72시간을 제외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되었다. 본 논문의 요지는 1973년 10월 5일 제31차 대한 산부인과학술대회에서 발표하였음. A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postoperative morbidity in 90 hysterectomies from May 1972 to August 1973 at the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Han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inety cases include 67 abdominal hysterectomies, 4 subtotal abdominal hysterectomies, and 19 vaginal hysterectomies. Definition of postoperative morbidity was quoted from the definition of puerperal morbidity except for a condition that authors arbitrarily divided morbidity into group A(excluding first 24 hours postoperatively) and group B(excluding first 72 hours postoperatively).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Postoperative morbidity was 47%(43 cases) in group A 21%(19 cases) in group B. When 16 cases who were already infented or who had chances of infiction at time of operation were excluded, the morbidity in both groups was 41.8%(31 cases) and 16.2%(12 cases) respectively. 2) Postoperative morbidity fue to unknown cause was 10 cases in group A whereas group B had only one case. 3) Postoperative morbidity in abdominal hysterectomy and vaginal hysterectomy was 43% and 36% in group A, and 20% and 5.2% in group B respectively. 4) Urinary tract infection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morbidity and showed 13 cases in group A and 9 case in group B. 5) Postoperative morbidity in group B was mainly due to urinary tract infection, 9 out of 12 cases. Authors felt that for the evaluation of postoperative morbidity, excluding postoperative first 72 hours tends to give better insight.

      • KCI등재

        원발성 난관암의 1예보고

        노대식(DS Ro),이재억(JA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3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여성생식기에 드물게 발생하는 악성종양 중의 하나이며 희유한 원발성 난관암 1예를 체험하였기에 보고하고 관계되는 문헌을 고찰하였다. Primary 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is very rare among female genital tract cancers. A case of primary 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was reported in view of its rarity, and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and discuss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임신주수에 따른 태아 심박동수의 계산도표

        고승권(SK Koh),박문일(MI Park),이재억(JA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4

        산과 영역에서 분만전에 태아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한다는 것은 임신부의 산전검사에서 거 의 필수적인 과정이며, 또한 현대산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그동안 이러한 목적으로 `전자태아심박동 자궁수축감시법`이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외국에서는 특히 태아심박동변이 도의 추출에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함께, 컴퓨터를 이용한 객관 적인 판정을 하는 논문들이 발표되어 있는 바, 현재 일부 국가에서는 세계 최초로 이러한 기기의 상품화에도 성공한 바있다. 그런데 이렇게 연구된 `태아심박동 분석자료`는 그 특성 이 외국의 증례어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이를 구내에 그대로 적용시키기에는 약간의 무리가 따를 것으로 생각된다. 즉 국내환경에서 는 국내의 임산부 및 태아의 자료로서 `태아심박동의 표준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본교실에서 개발된 컴퓨터를 이용한 태아심박동분석시스템을 이 용하여 수집된 3,206예를 대상으로 기본태아심박동수, 기록손실도, 태동, 변이도, 태아심박동 중가수 등의 제 변수에 대한 주수별 분석을 실시하였던 바 우선 1차적으로 기본태아심박동 수에 대한 표준계산도표를 제시하였다. 각 변수에서 주수별 분석은 각각의 임신주수(임신 20-임신 45주)별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만삭전 (N=1,754), 만삭(N=1,394), 만삭후 (N=58)의 임 신주수별로 나누어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태아 심박동수는 (bpm / 20 min) 는 만삭전은 144.86, 만삭은 143.05, 만삭후는 140.02 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2. 기록손실도는 만삭전은 8.28% 만삭은 6.1%, 만삭후는 5.63%로 점차 감소추세를 보인다. 3. 태동수 (No. / 20 min) 는 만삭전 9.54 만삭은 8.49, 만삭후는 6.86으로 점차 감소추세를 보인다. 4. 변이도(amplitude, bpm / 20 min)는 만삭전은 19.28, 만삭은 19.81, 만삭후는 18.81로서 만 삭임신에서 가장 높다. 5. 태아 심박동 증가횟수는 증가폭 (bpm) 과 지속시간( sec)에 따라 4가지 조합으로 분류하 여 분석하였던 바, 모든 조합에서 만삭시 태아심박동증가 횟수가 가장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얻었던 바, 기본태아심박동수의 표준적인 기준곡선이 얻어졌으며 임신 주수별 NST의 결과 분석 등에서 판독의 보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러한 컴퓨터 를 응용한 자료가 기본이 된다면, 육안적으로도 더욱 정확한 검사판독 결과를 얻을 수 있으 리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 자료는 태아심박분석 소프트웨어의 작성에서 중요한 data base로 활용되어 질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더욱 많은 자료로서 정상 및 비정상 임신에서의 기준 곡선을 분류하면 각 질환별 해당환자에서 각변수의 백분위수 (percentile)를 측정하는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Nonstress test(NST) using electronic fetal heart rate monitor has become popular method of assessing fetal well-being. Most results of NST were interpreted with visual methods. However, this visual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a FHR record is unacceptably inconsistent, varying between different observers on the same occasion or even between the same oberves on different occasions. Fetal heart rate(FHR) records should be presented as measurements derived from numerical analysis. Such analysis requires computerized sysetems. Among each varialbes of FHR data, baseline FHR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analysis of NST. However, there were only few reports concerning normal distribution of baseline FHR data according to each gestaional weeks. Using HYFM-1 software which already developed for comupterized analysis of FHR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3,206 normal preterm (N=1,754), term (N=1,394) and postterm(N=58) pregnancies were entered to this study for nomogram of baseline FHR. Each variables including signal loss rate, base line FHR number of fetal movements, variability, and number of FHR accelerations were analysed for 20 minutes of first NST. With increasing gestational weeks, the mean baseline FHR was decreased (144.86bpm at preterm, 143.05 bpm at term and 140.02 bpm at postterm pregnancies). With increasing gestiational weeks, the mean signal loss rate (8.28% at preterm 6.1% at term and 5.63% at postterm pregnancies )and number of fetal movement (9.54 at preterm, 8.49 at term and 6.86 at postterm pregnances )were also decreased. However, the variability(19.28 bpm at preterm 19.81 bpm at term, and 18.81 bpm at postterm pregnancies) and number of FHR accelerations revealed the highest value at term pregnancies. In this study we could extract nomogram of baseline FHR according to each gestiational weeks using on line computerized FHR analysis system. This result would be helpful in the visual analysis of NST in each gestational weeks.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also useful in the computerzied FHR analysis system, epecially in the field of automated analysis as a background data base of FHR.

      • KCI등재

        유착태반의 1예

        정한종(HC Chung),김숙희(SH Kim),이재억(JA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7

        과거 4회의 인공임신중절술을 받았던 경산부가 최종분만후 1년 5개월후에 자궁출혈로 자궁 근종의 임상적 진단하에 자궁적출술을 시행하였으나 유착태반이었던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One case ofvery unusual adhesive placenta which was encounted 17 months after term delivery is reported in view of its rarity and literature concerned are reviewed briefly.

      • KCI등재

        융모종양

        곽현모(HM Kwak),이준환(JH Lee),이재억(JA Lee),송찬호(CH Song),김형식(H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6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0 No.7

        1. 빈도: 임신수 및 분만수에 대한 빈도는 포상기태가 1:113, 1:100, 침윤성기태가 1:1244, 1:1099, 그리고 융모암이 1:124, 1:110이었다. 2.호발연령 및 평균연령은 포상기태에서는 20-29세가 56.6%, 29세이고 침윤성기태는 포상기태와 비슷하였으나 융모암은 30-39세가 40%에, 36세이었다. 3. 중류 및 하류의 경제상황하의 부인층에서 빈도가 단연 높았다. 4. 주요증상; 가장 주요한 증상은 출혈로서 성기이상출혈이 포상기태에서는 96%, 침윤성기태에서는 전예 그리고 융모암에서는 80%였다. 5. 융모암의 최종선행임신은 정상분만이 37.5%, 유산이 20%, 포상기태가 40%, 자궁외임신이 2.5%였다. 6. 전이; 포상기태에선 1예에서 폐전이의 의심이 있었고 침윤성기태에선 2예(50%)에서 폐전이를 발견하였다. 융모암의 경우 87.5%에서 전이를 발견했으며 장기별 전이순은 폐, 질, 골반내장기, 뇌 및 피부 등의 순위 이였다. 7. 치료 : 포상기태; 대부분이 소파술 이었으며 자궁적출술이 11.3%, hysterotomy가 4.5%, 그리고 Methotrexate 사용이 4.5% 였다. 침윤성기태; 3례에서 자궁적출술을 1례에서 Methotrexate를 사용하였다. 융모암; 7.5%에서 자궁적출술, 2.5% 례에서 X-선요법, 25%에서 Methotrexate 요법 그리고 47.5%에서 수술 및 Methotrexate 병합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치료를 받지 못한 예가 17.5% 였다. 8. 예후 : 포상기태; 근원당시 사망한 1예(2.3%)를 제외하고는 모두 양호하였으나, Follow up 이 환자들의 불협조로 불량하다. 악성률은 4.5% 였다. 침윤성기태; 근원시 모두 양호하엿으나, 그 중 1례가 재발하여 지입원치료하여 완치되었다. 융모암; 6개월-4년간의 생존률이 30%, 상망률이 45%, 재발률이 15% 였다. This article is the report by th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une 1,1959 to October 31, 1966. A total of 88 cases were seen with the following distribution: Hydatidiform mole 44, Cho- rioadenoma destruens 4 and Choriocarcina 40. The following features were noted among the patients with hydatidiform mole. Hydatidiform mole occured once in about 113 precancies and 100 diliversies. Patients ranged in age from 22 to 49 of which majority were between 20-29. The average duration of pregnancies was 3 months. The shortest was 28 days from LMP and longest was 7 months. Toxemia was seen in 36% of patients, of which one case died of eclampsia. All cases of toxemia were occured in those moles in which uterus was elarged above the umbilicus. Half of the patients when first seen had uterine enlargement greater than expected by dates while 20% were consistent with their dates and the rest were smaller than their dates. 28% of the patients developed theca lutein cysts. The vast majority of patients were ma- naged by D & E, while hysterectomies were done in 11.3% and methotrexate therapies in 4.5%. 4.5% of patients developed true malignancies. Choriocarcinoma occured once in about 124 pregnancies and 110 deliveries. Patients with choriocarcin- oma ranged in age from 23 to 62. The average age was 36.40% of patients developed after hydatidiform moles, 37.5% after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20% after abortions, and 2.5% after ectopec pregnancr. 22.5% of patients developed theca lutein cysts. 87.5% of cases showed metastatic lesions those were found in the lung in 70%, vagina in 25%, pelvic and adnexa in 10%, and brain in 7.5% Patients were managed by combined therapies as surgery and chemotherapy with methotrexates in 47.5%, chemotherapies with methotrexates alone in 25%. 17.5% of patients could receive no specific therapy for choriocarcinoma. At present 6 months to 4 years survival rate was 30%, mortality rate was 45% and recurrent rate was 15%.

      • KCI등재

        임신부사망및 페리네탈사망에 관한 임상적 고찰

        문영기(YK Moon),오성규(SK Oh),이재억(JA Lee),양인환(IW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6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8 No.9

        14 cases of maternal deaths were encountered among 2864 deliveries and 151 prenatal cases. Average maternal mortality was 50.5. There were 80 cases of stillbirths and 92 cases of neonatal deaths among the 2914 births. Average perinatal mortality was 62.1. These were seen at Yonsei University Hospital between February, 1959 and August 1964. Rate of maternal mortality decreased rapidly in comparison to perinatal mortality. The majority of preinatal deaths were in the premature group. Prenatal care controlled the maternal mortality and perinatal mortality. All of the maternal deaths had not been under prenatal care. Maternal mortality committee and perinatal mortality committee are needed for control maternal mortality and perinatal mortality.

      • KCI등재

        HPL-HAIR Test Kits 에 의한 HPL측정

        조수용(SY hough),이진호(JH Lee),이재억(JA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2

        hPL-HAIR test kits를 이용하여 정상 및 이상 임신의 각 시기의 임산부 47예와 19예의 태 아제대혈청을 반정량법으로 hPL량을 측정하였다. hPL-HAIR test kits의 감도는 0.1㎍/ml이고 정상 남자의 혈청이나 HCG와는 반응이 없었고 영향을 받지 않았다. 임신 28주 이전까지는 대체로 2㎍/ml이었으며 28주 이후에는 정상임신에서 6∼8㎍/ml로 점 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다른 hPL-Kobe radioimmunoassay 성적과 비교하여 조금 높은 듯 하나 거의 일치하는 성적이었다. 자궁 내 태아사망이나 조산의 경우에는 임신 32주 이후에서 hPL치가 4㎍/ml 또는 그 이하 치를 나타냈는데 Spellacy(1970) 등도 4㎍/ml 이하일 때는 태반기능의 부전증을 의심한다고 발표하였다. 저자 등이 이 kits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도 비슷하다. 많은 예의 실험으로 임 신말기에 정상 하한점을 정확히 판정할 수 있도록 하면 한 번의 hPL 측정치로서도 태반기 능의 부전을 지적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임신중독증과 자궁근종, 난소종양 및 심장질환이 합병된 임신의 경우 36주 이후에는 hPL치 가 6∼8㎍/ml로서 정상의 범위였다. 태아제대혈청의 hPL치는 대부분 O이고 임산부혈청의 hPL농도와 태아체중과의 관계는 본 실험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 Plasma levels of human placental lactogen have been measured by hPL-HAIR test kits in 47 pregnant women, in normal and abnormal state, and in 19 cord bloods. 1) Sensitivity of hPL-HAIR test kits was to 0.1㎍/ml of hPL plasma level, had no cross reaction to the HCG or to the male serum, and was not affected by the HCG or by the male serum. 2) hPL value was around 2㎍/ml in first 28 week of pregnancy and was 6∼8㎍/ml after 32 week of pregnancy in normal group. 3) hPL value in intrauterine fetal death or premature labor after 34 week of pregnancy was less than 4㎍/ml. 4) Pregnancy complicated by myoma of the uterus, ovarian tumor, and heary disease showed normal range of hPL at term. 5) hPL value in cord blood was negligible.

      • KCI등재

        자궁내 태아사망시의 혈액응고 장애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병주(BJ Kim),김동일(DI Kim),박문일(MI Park),정성노(SR Chung),이재억(JA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5

        1977년1월 1일부터 1986년 12월31일까지 만 10년동안 한양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 산부인 과에 입원한 분만환자중 자궁내 태아사망 247예를 대상으로 혈액응고장애를 측정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내 태아사망의 발생빈도 연도별 추이변화에는 특성이 없었으며 연구기간중 총 빈도는 1.29%(19184예중 247예)를 나 타내었다. 2. 혈액응고장애검사에 동원된 각검사의 결과 1) 혈소판수 혈액 1cc당 15만이하를 정상하한치로 할 때 8.1%에서 비정상치로 나타났으나, 실제로 임 상적출혈을 일으킨다고 하는 5만이하는 한 예도 없었다. 2) 출혈시간 (BT) 및 응혈시간(CT) BT가 5분이상 되었던 경우는182예중 8예로서 4.4%를 나타내었으며, CT 가 10분이상 연장되 었던 경우는 181에중 13예로서 7.1%를 나타내었다. 3) 프로트롬빈시간(PT) 및 부분트롬보프라스틴시간(PTT) PT가 14초이상 연장되었던 경우는 102예중 14예로서 13.7%, PTT가 45초이상 연장되었던 경 우는 51예중 1예로서 2%를 나타내었다. 4) 혈장섬유소원치 혈장 섬유소원 분해산물치(FDPs) 혈장섬유소원치가 100mg% 이하인 경우는 167예중 2예로서 1%, 150 mg% 이하인 경우에는 7.8%(13/167) 200mg%이하는 13.2%(22/167)나타내었으며 FDPs가 40ug/ml이상을 나타낸 경우 는 146예중 6예로서 4.1%를 나타내었고, 10ug/ml이상을 나타낸경우는 20.5%(146예중 30예)이 었다. 3. 임상적 출혈과 각 응고검사의 비교 임상적으로 출혈을 나타낸 경우는 산전에는 1예도 없었고 산후출혈을 나타낸 예가 30예로서 12.1%를 점하였다 또한 전체적으로 자궁내 태아사망 247예중 한가지 이상의 응고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것은 64예로서 27.5%를 나타내었다. 한편 각 응고검사에서 양성을 나타내 었던 환자중 실제로 임상적 출혈이 있었던 경우를 보면 PTT양성이었던 경우 100%로소 가 장 높았으나 1예로서 비교하기 힘들었고, BT, CT 및 섬유소원치가 각각양성이었던 경우 모 두 50%이사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The intrauterine fetal death is defined as a death of a fetus prior to the complete expulsion or extraction from its mother of a product of conception after the fetus has reached 20 weeks gestation or fetal weight over 500g. The hemostatic failure subsequent to intrauterine fetal death is a complications of extraordinary concern to the physician . In order to evaluate this complications the author reviewed the intrauterine fetal death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duirng 10 years from January .1, 1977 to December. 31, 1986 . There were 247 intrauterine fetal deaths among 19184 deliveries in our hospi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indence of intrauterine fetal death was 1.29%. 2. The incindence of abnormal coagulation tests were listed below. 1) Low platelet count (<15000/ml); 8.1% (16/198) 2) Prolonged bleeding time (>5 min) ; 4.4% (8/182) 3) Prolonged coagulation time (>10min) ; 7.1%( 13/181) 4) Prolonged prothrombin time (>14sec) ; 13.7%(14/102) 5) Prolonged partial thromboplastine time (>45 sec) ; 2% (1/51) 6) Hypofibrinogenemia (<200mg/100ml) ; 13.2%(22/167) 7) Elevated fibrin or 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s (>10 ug/ml) ; 20.5% (30/146) 3. Among all patients 12.1% (30/247)presented postpartum bleeding and 64 cases (27.5%) revealed one or more abnormal coagulation tests . 4. Among the coagulation tests that used in this study, abnormal results of bleeding time , coagulation time and plasma fibrinogen have 50% or more correlation with clinical bleeding.

      • KCI등재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에 의한 유도분만 효과에 관한 임상적 고찰

        박진익(JI Park),박성철(SC Park),조삼현(SH Cho),황윤영(YY Hwang),문형(H Moon),이재억(JA Lee),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산모 312예를 자연적으로 분만한 113예를 대조 군,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을 투여한 99예를 연구 1군, 옥시토신 정맥내 점적투여한 100예 를 연구 2군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군을 Bishop score <=4 와 =>5그리고 초산모와 경산모를 분류하여 이들의 임상적 양상으로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의 효용성을 비교 평가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Bishop score 에 따른 분만 제 1기의 소요기간 1) bishop score 4점 이하 ; (1) 초산모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연구 1군 (p=0.000)과 연구 2군 (p=0.005)에서 유의한 분만시 간 단축이 잇었으나 두 연구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따. (2) 경산모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연구 1군(p=0.046)과 연구 2군(p=0.000)에서 유의한 분만시 간 단축이있었으나 두 연구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Bishop score 5점이상; (1) 초산모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연구 1군(P=0.002) 과 연구 2군(p=0.033)에서 유의한 분만시 간 단축이 있었다. (2) 경산모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연구 1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의한차이가 없었으나 연구 2 군(p=0.003)에서는 유의한 분만시간 단축이있었다. 2. Friedman curve에 의한 비교관찰 연구1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적 단축은 있었으나 그 양상이 대조군과 유사한 반면 연구 2군은 시간적 단축뿐 아니라 그 양상도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다. 즉 옥시토신 투여군에 비 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 투여군에서 자연진통 과 유사한 분만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유도분만을 위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 투여는 비교적 간편하여 큰 부작 용이 없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Induction of labor with prostagladin E2 vaginal suppositories offers the advantage of inducing further cervical ripening as well as promoting myometrial contractility . A retrospective randomized study was undertaken comparing the efficacy of a 3mg prostagladin E2 vaginal suppository (study group1 , n=99) with intravenous oxytocin for the elective induction of labor (study group 2, n=100) between May 1986 and April 1988. the results of above two study group were also compared with normal spontaneous labor group (control group n=113) as a contr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labor was significantly shortened in the group 1 and 2 parturient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p=0.000 p=0.033, respectively, for nulliparous) who had a Bishop`s score of 5 or more. And the d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labor was also shortened in the group 2 among the parous parturients (p=0.003). 3. The pattern of Friedman`s curve in the group 1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 Above results show that local prostagladin E2 administration by means of vaginal suppositories was a simple, nonivasive method , and may be a useful alternative to oxytocin for induction of lab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