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팝 트위터 소셜 네트워크 분석 - 하위 그룹 비교를 중심으로 -

        고명지,안형준 한국예술경영학회 2022 예술경영연구 Vol.- No.61

        The group BTS (BTS) that represents the current K-Pop and K-Culture has formed a very successful global fandom, which is also a contemporary phenomenon, by actively utilizing social media.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BTS’s Twitter network, especially focusing on the subgroups in the network. More specifically, we tri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network made up of BTS and fans, to identif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subgroup, and to derive insights on how we can effectively use social media reflecting on such differences. For this, we collected the data of BTS's Twitter network using the NodeXL 1.0.1.418 program, and three major sub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a clustering algorithm. Each subgroup was analyzed in two perspectives, structure and content. The analysis revealed that BTS' Twitter network contains three major subgroups: the agency-centered group 1, the member-centered group 2, and the horizontal fan-centered group 3. We could also observ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conclusion, this analysis suggests that even for a fandom that shares the same interests, it can be necessary, for example, to provide targeted content and distinguished support for each subgroup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social media. K팝을 대표하는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BTS)은 적극적인 소셜미디어의 활용으로하나의 시대 현상과도 같은 매우 성공적인 글로벌 팬덤을 만들어 냈다. 이와 같은배경에서 본 연구는 BTS의 트위터 네트워크, 특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하위 그룹들의 특징과 차이점을 면밀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BTS와 팬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를 넓힘과 동시에, 각 그룹 별로 구분되는 특징을 파악하고, 그러한 특징을 반영하는 소셜미디어 활용 방안에 대한 통찰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드엑셀(NodeXL 1.0.1.418)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BTS 트위터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통해 주요한 3개의 하위 그룹을 파악하여 각각을 구조 및 내용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BTS의 트위터 네트워크에는 소속사 중심의 그룹 1, 멤버 중심의 그룹 2, 그리고 수평적 팬 중심의 그룹 3 등 세 개의 주요 하위 그룹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 그룹에서 네트워크 참여자들 간 상호작용의 구조, 커뮤니케이션의 내용 등이 뚜렷하게 구분된다는점을 파악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같은 관심사를 갖고 있는 팬덤이라고 해도 네트워크 세부 그룹 별로 각각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각기다른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지원하는 등, 효과적인 소셜미디어 활용 방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 유도를 위한 스마트 홈 조명 디자인 시나리오 제안: 국내 1인가구를 중심으로

        고명지,이길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4

        연구배경 최근 에너지 절약에 대한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소비에 대한 해결책과 인식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필 환경 시대에 있어 늘어나는 가전기기들과 이에 따라 에너지 소비 주체자의 에너지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디자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제품을 정의하고 스마트홈 제품의 개념과 시장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속 가능한 제품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하슨의 어포던스를 토대로 고찰하였다. 둘째, 온라인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고객여정지도를 분석하였고, 이에 기반하여 소비자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페르소나 방향을 도출하고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 유도를 위한 스마트홈 조명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과 심층 인터뷰에 기반하여 1인가구의 스마트홈 조명 디자인을 위한 페르소나 컨셉을 도출하고 하슨의 어포던스 이론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행동 유도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세 개의 시나리오는 첫째, 신체적 휴식활동, 둘째, 수동적 휴식활동, 셋째, 적극적 휴식활동으로 나뉘어 해당 활동에 적합한 지속 가능한 행동을 유도하는 스마트홈 조명제품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홈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 유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행동유도 디자인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지속가능한 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In the era of essential environments, there is a need for design research that can induce energy savings for increasing home appliances and energy consumption subjects. Methods First, the concept and market trends of sustainable use and smart home products were examined in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 methods that can induce the use of sustainable products were examined based on Harson's affordance. Second, customer travel guidance was analyzed through onlin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nd consumer insights were derived based on this. Finally, we derive a persona and propose a smart home lighting scenario for sustainable lifestyle induction. Results Based on onlin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 derived a persona concept for smart home lighting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roposed sustainable behavior-inducing design directions based on Harson's affordance theory. The three scenarios derived from this were divided into physical rest activities, passive rest activities, and active rest activities, suggesting a smart home lighting product scenario that induces sustainable behavior suitable for the activity.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a behavior-inducing design scenario that can induce a sustainable lifestyle of users using smart home technology.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ustainable design develop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조력자 활용에 따른 잠재 유형 분류와 특성 비교

        고명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5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조력자 활용에 따른 잠재 집단을 확인하고, 각 잠재 집단을 분류하는 영향 요인과 각 집단별 사회자본과 디지털 정보화 수준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진행한 결과, 디지털 조력자 활용 정도에 따라 3개의 잠재집단 유형이 도출되어, 각각 ‘고활용집단’, ‘중활용집단’, ‘저활용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어 R3STEP을 통해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 교육 수준, 지역 규모, 거주 기간, 출신 국가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DU3STEP을 사용하여 각 유형 간 사회자본과 디지털 정보화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사회자본의 경우 세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디지털 정보화 수준의 경우 고활용집단 및 중활용집단과 저활용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 요인을 명확히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년세대 문화와 경계짓기: 청년세대 공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고명지(Ko Myoung J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20 문화와 사회 Vol.28 No.2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문화를 공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각 시대별 신문기사를 살펴보았으며, 한국사회에 존재해온 청년세대 문화 공간의 변화를 살펴보고,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한국사회의 청년세대 공간은 신촌(1970-80년대) - 압구정·홍대(1990년대) - 삼청동·이태원·가로수길(2000년대)로 이동하고 있었으며, 각 시대별 청년세대는 자신들의 공간에서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고 타 집단과 자신들을 구별짓는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었다. 또한 청년세대 공간을 수식하는 형용사를 살펴본 결과, 시대가 변함에 따라 청년세대의 공간이 이동하고 있음에도 ‘개성 있고 특색 있는 새로운’ 공간이라는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오늘날 밀레니얼 세대 공간의 특성을 ‘핫플레이스’를 통해 확인한 결과, 다음 세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청년세대의 공간은 파편화 및 유목화를 통해 확장되고 있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둘째, 파편화된 장소들은 온라인이라는 공간에서 해시태그(#)를 통해 새로운 집합을 형성하고, 새로운 장소성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셋째,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이 빠른 주기로 이동하고 있지만 그 안에 담겨있는 장소성은 결국 ‘개성 있음’과 ‘새로움’이라는 지금까지 청년세대 공간이 가지고 있던 이미지의 연속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의 특징은 미디어의 발달이라는 사회적 현상과 청년세대가 갖는 노마디즘적 특징의 발현으로 설명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youth culture with a focus on the changing spaces of youth gener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s contents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f the 1970-1980s, 1990s, and the 2000s respectively. Results indicate that the cultural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in Korean society change over time, going from Sinchon in the 1970-1980s, Apgujeong in the 1990s, and to Samcheong-dong, Itaewon, and Garosu-gil in the 2000s, consisting of a unique youth culture and collective identity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adjectives that describes the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and found that the images of unique, special, and new appeared repeatedly even though the space was constantly changing over time. Next, this study identifies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millenials by the keyword hot place. First, the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is expanding in a fragmented and nomadic way. Second, fragmented places were forming a new collective through hashtags(#) online, creating new placeness. Third, although the youth space today is fragmented, the placeness contained in it is in line with the images of the youth space that was identified before, such as unique and new.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space today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change in society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nd the nomadic traits of the youth generation.

      • KCI등재

        청년 문화공간과 다문화 소비 코드: 2000년대 사례를 중심으로

        고명지 ( Myoungjee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주의가 어떠한 방식으로 소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대 청년세대들이 자신들의 문화 공간에서 수행하는 문화적 실천들의 방식을 확인하였다. 분석 대상은 2000년대 가로수길, 이태원, 삼청동을 다룬 기사이며, 질적 내용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세 지역 모두 문화다양성의 소비를 주요 정체성으로 담지하고 있었다. 다만 가로수길은 서구적이고 낭만적인 방식으로, 이태원은 다문화적 방식으로, 삼청동은 전통과의 조화라는 방식으로 재현된다는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전략적 다문화주의의 생산 및 소비 논리가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현실에서, 그 시작점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논리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식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are consumed by youth. To this end, we identified the ways of cultural practices carried out in their cultural spaces among youth generation in the 2000s. Subjects include articles about Garosu-gil, Itaewon, and Samcheong-dong in the 2000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According to the study, all three regions containe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diversity as their main identit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ultural spaces as Garosu-gil was reproduced in a Western and romantic way, Itaewon in a multi-cultural way, while Samcheong-dong in harmony with Korean th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way to understand the logic of reproducing strategic multiculturalism by looking at the starting point of i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logic.

      • KCI등재

        ‘#핫플레이스’를 통해 알아본 청년세대의 소비문화

        고명지 ( Myoungjee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재현되는 핫플레이스는 어디인지, 그리고 각각의 영역이 포스팅이라는 문화적 실천을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생산되고 소비되는지 살펴보았다. 데이터의 수집은 해시태그 ‘#핫플레이스’, ‘#힙플레이스’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선별된 인스타그램 게시물 데이터를 인터넷 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스타그램에서 핫플레이스로 포스팅되는 영역은 크게 ‘맛집 탐방’, ‘복합 문화 공간 경험’, ‘여행 경험’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험적 소비를 재현하는 방식에서 공통적으로 ‘탈경계성’, ‘과시성’, ‘유희성’, ‘자기중심성’이라는 네 가지 특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수행되는 문화적 실천들을 분석함으로써 청년세대가 새롭게 만들어가는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나아가 오늘날 청년세대가 처한 현실과 온라인 공간에서 드러나는 문화적 실천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looked at where hot places are reproduced on Instagram and how each area is produced and consumed through the cultural practice of posting. Data collected through Instagram posts including hashtags ‘#hot_place’ and ‘#hip_place’, was analyzed through internet ethnograph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reas posted as hot places on Instagram could be classified as ‘gastroventure’, ‘complex cultural space experience’, and ‘travel experience.’ Also, four characteristics were found: ‘trans-boundary’, ‘conspicuousness’, ‘amusement’, and ‘self-centerednes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research on cultural practices on Instagram, and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new youth generation culture. Moreover,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above, identifies the cause of the gap in cultural practices between the reality today’s youth generation is facing and within the virtual space.

      • KCI등재

        가정간편식(HMR) 소비자 잠재 유형 분류와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 분석

        고명지(Myoung Jee Ko) 한국소비문화학회 2023 소비문화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HMR 구매 품목과 빈도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의 유형 분류를 시도하고, 소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구조적 요인과 각 유형에 따른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1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형태에 따라 ‘높은 HMR 소비 집단’, ‘중간 HMR 소비 집단’, ‘낮은 HMR 소비 집단’, ‘즉석식품 소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R3STEP을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대한 영향 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가구 형태, 월가구 소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DU3STEP을 사용하여 각 잠재프로파일 집단 유형 간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편의 및 다양성 추구, 건강 추구, 가격 및 품질 비교 등 세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HMR 소비의 양과 폭을 고려한 집단 분류를 시도하고, 사회구조적 요인 및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과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세분화된 HMR 시장을 살펴볼 수 있는 심층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classify the types of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HMR purchase items and frequenc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lated social structural variables, and to identify food-related lifestyles according to each type. The <2021 Processed Food Consumer Attitude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high HMR consumption group’, ‘medium HMR consumption group’, ‘low HMR consumption group’, and ‘instant food consumption group’.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tent profile group were examined using R3STEP.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typ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Then, using the DU3STEP method, differences in food-related lifestyle between each latent profile group type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file types in three items: ‘convenience and diversity’, ‘health’, and ‘price and quality comparis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in-depth data to examine the more detailed HMR market by attempting group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quantity and breadth of HMR consumption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structural factors and food-related lifestyle.

      • KCI등재

        청년세대의 새로운 문화적 실천과 구별짓기: 인스타그램 ‘전시 관람’을 중심으로

        고명지 ( Myoungjee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청년들의 문화 소비의 실천 양상과 구별짓기 전략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시 관람’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데이터의 수집은 해시태그 ‘#문화생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선별된 인스타그램 게시물 데이터를 인터넷 문화기술지 및 이미지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년세대는 ‘자기 전시’, ‘고급문화의 과시적 소비’, ‘장소성 소비’를 구별짓기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전시 관람 활동이 인스타그램 장에서 중요한 문화적 실천으로 행해지고 있는 원인으로는 경제적으로 쉽게 접근 가능한 고급문화의 영역이자, 동시에 생산 영역인 미술관의 기능적 변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문화적 실천들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청년세대가 만들어가는 문화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러한 행위를 세대 내 구별짓기 전략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exhibition’ to examine the trend of the practical aspect of the youth generation’s cultural consumption and strategy of distinction on Instagram. Data collected through Instagram posts including hashtags ‘#cultural_life’, was analyzed through internet ethnography and imag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youth generation was using ‘self-exhibit’, ‘conspicuous consumption of high culture’, and ‘consumption of placeness’ as a strategy to distinguish themselves. The reason why exhibition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as important cultural practices on Instagram is that exhibitions are an area of high culture that is easily accessible economically. Along with this, there were functional changes to the art museum.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research on cultural practices produced and consumed on Instagram and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oday’s youth generation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viewing the youth generation’s behaviors as a strategy of distinction within generations.

      • KCI등재

        청년 세대 음식소비문화에 관한 연구

        고명지(Ko, Myoung Jee),최유정(Choi, Yu Jung):최샛별(Choi, SetByol)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양적, 질적 조사를 통해 음식 소비에서 실제로 청년 세대가 어떤 특성을 보이며, 자신들의 음식 소비에 어떠한 의미와 목적을 부여함으로써 중장년 세대와 상이한 자신들만의 정체성과 하위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분석 결과 청년 세대는 ‘건강 지향적 음식 소비’를 추구하는 중장년 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향과 기호로서의 음식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청년 세대는 스스로 중장년 세대의 음식 소비와 자신들의 음식 소비를 다르게 규정하며 기성세대와 자신의 차이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자기들 만의 독자적인 정체성과 음식 소비문화를 형성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청년 세대의 하위문화로 해석할 수 있는 음식 소비문화의 특징은 세 가지이다. 먼저 이들은 음식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며 음식 소비를 놀이나 경험으로 이해한다. 음식을 먹는 것을 곧 경험 가치의 획득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 청년 세대에게 음식 소비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고급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은 생애주기상의 이유로 인한 경제적인 제한에도 불구하고 큰 무리 없이 접근 가능한 음식 소비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사치 문화를 향유한다는 심리적 만족감을 얻으려 했다. 마지막으로 청년 세대는 음식은 물론, 식당의 분위기까지도 기호화, 이미지화해서 SNS상에 올리기를 즐기고, 그것을 친구나 또래들과의 관계 속에서 소통, 공감의 매체로 적극 활용 하였다. 이를 종합할 때, 오늘날 청년 세대는 음식 소비에 있어 다양성을 추구하고, 고급 지향의 소비를 위해 전략적인 선택과 집중을 하며, 음식 이미지 소비와 공유를 통해 세대내 소속감이나 정체감을 강화하는 자신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청년 세대의 음식 소비가 또래 안에서 동질 감과 소속감, 세대 정체성을 강화하는 새로운 구심점이자, 결과적으로 이들이 타 세대와의 경계를 인식하고 강화 해나가는 영역으로 정착될 가능성을 보게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what characteristics young generation exhibit on their food consumption and how young generation form their own subculture by giving their food consumption a common meaning and purpose. The result shows that young generation put higher value on ‘food consumption as taste and symbol’ compared to older generation’s preference on ‘health-driven food consumption’. Food consumption culture originated by young generation revealed three features. First, they quest for diverse experience through food and they take a stand on understanding food consumption as a sort of amusement or experience. To them, eating food is to an extent an acquisition of experience value. Secondly, young generation has been utilizing food consumption wit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s a mean to access to high culture. In spite of their economic limitation by life-cycle, they invest intensely on accessible food consumption without smallest strain and gain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 that they are enjoying luxury culture. Finally, young generation is fond of symbolizing and imaging not only the food but also the atmosphere of the restaurants, uploading the images on SNS as a media to sympathize and communicate among friends and other peer relationships. In general on the surface young generation today seek diversity in food consumption, strategically select and concentrate on the pursuit of high quality consumption. Moreover, they establish unique subculture through food image consumption and sharing,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intra-generational identity and membership. To add, in the process, food consumption is new pivot that reinforces young generation identity and their Subculture, and by extension, a sort of distinction mechanism exercis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