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간편식(HMR) 소비자 잠재 유형 분류와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 분석

        고명지(Myoung Jee Ko) 한국소비문화학회 2023 소비문화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HMR 구매 품목과 빈도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의 유형 분류를 시도하고, 소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구조적 요인과 각 유형에 따른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1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형태에 따라 ‘높은 HMR 소비 집단’, ‘중간 HMR 소비 집단’, ‘낮은 HMR 소비 집단’, ‘즉석식품 소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R3STEP을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대한 영향 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가구 형태, 월가구 소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DU3STEP을 사용하여 각 잠재프로파일 집단 유형 간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편의 및 다양성 추구, 건강 추구, 가격 및 품질 비교 등 세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HMR 소비의 양과 폭을 고려한 집단 분류를 시도하고, 사회구조적 요인 및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과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세분화된 HMR 시장을 살펴볼 수 있는 심층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classify the types of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HMR purchase items and frequenc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lated social structural variables, and to identify food-related lifestyles according to each type. The <2021 Processed Food Consumer Attitude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high HMR consumption group’, ‘medium HMR consumption group’, ‘low HMR consumption group’, and ‘instant food consumption group’.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tent profile group were examined using R3STEP.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typ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Then, using the DU3STEP method, differences in food-related lifestyle between each latent profile group type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file types in three items: ‘convenience and diversity’, ‘health’, and ‘price and quality comparis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in-depth data to examine the more detailed HMR market by attempting group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quantity and breadth of HMR consumption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structural factors and food-related lifestyle.

      • KCI등재

        청년 세대 음식소비문화에 관한 연구

        고명지(Ko, Myoung Jee),최유정(Choi, Yu Jung):최샛별(Choi, SetByol)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양적, 질적 조사를 통해 음식 소비에서 실제로 청년 세대가 어떤 특성을 보이며, 자신들의 음식 소비에 어떠한 의미와 목적을 부여함으로써 중장년 세대와 상이한 자신들만의 정체성과 하위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분석 결과 청년 세대는 ‘건강 지향적 음식 소비’를 추구하는 중장년 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향과 기호로서의 음식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청년 세대는 스스로 중장년 세대의 음식 소비와 자신들의 음식 소비를 다르게 규정하며 기성세대와 자신의 차이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자기들 만의 독자적인 정체성과 음식 소비문화를 형성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청년 세대의 하위문화로 해석할 수 있는 음식 소비문화의 특징은 세 가지이다. 먼저 이들은 음식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며 음식 소비를 놀이나 경험으로 이해한다. 음식을 먹는 것을 곧 경험 가치의 획득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 청년 세대에게 음식 소비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고급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은 생애주기상의 이유로 인한 경제적인 제한에도 불구하고 큰 무리 없이 접근 가능한 음식 소비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사치 문화를 향유한다는 심리적 만족감을 얻으려 했다. 마지막으로 청년 세대는 음식은 물론, 식당의 분위기까지도 기호화, 이미지화해서 SNS상에 올리기를 즐기고, 그것을 친구나 또래들과의 관계 속에서 소통, 공감의 매체로 적극 활용 하였다. 이를 종합할 때, 오늘날 청년 세대는 음식 소비에 있어 다양성을 추구하고, 고급 지향의 소비를 위해 전략적인 선택과 집중을 하며, 음식 이미지 소비와 공유를 통해 세대내 소속감이나 정체감을 강화하는 자신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청년 세대의 음식 소비가 또래 안에서 동질 감과 소속감, 세대 정체성을 강화하는 새로운 구심점이자, 결과적으로 이들이 타 세대와의 경계를 인식하고 강화 해나가는 영역으로 정착될 가능성을 보게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what characteristics young generation exhibit on their food consumption and how young generation form their own subculture by giving their food consumption a common meaning and purpose. The result shows that young generation put higher value on ‘food consumption as taste and symbol’ compared to older generation’s preference on ‘health-driven food consumption’. Food consumption culture originated by young generation revealed three features. First, they quest for diverse experience through food and they take a stand on understanding food consumption as a sort of amusement or experience. To them, eating food is to an extent an acquisition of experience value. Secondly, young generation has been utilizing food consumption wit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s a mean to access to high culture. In spite of their economic limitation by life-cycle, they invest intensely on accessible food consumption without smallest strain and gain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 that they are enjoying luxury culture. Finally, young generation is fond of symbolizing and imaging not only the food but also the atmosphere of the restaurants, uploading the images on SNS as a media to sympathize and communicate among friends and other peer relationships. In general on the surface young generation today seek diversity in food consumption, strategically select and concentrate on the pursuit of high quality consumption. Moreover, they establish unique subculture through food image consumption and sharing,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intra-generational identity and membership. To add, in the process, food consumption is new pivot that reinforces young generation identity and their Subculture, and by extension, a sort of distinction mechanism exercis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generation.

      • KCI등재

        청년세대 문화와 경계짓기: 청년세대 공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고명지(Ko Myoung J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20 문화와 사회 Vol.28 No.2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문화를 공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각 시대별 신문기사를 살펴보았으며, 한국사회에 존재해온 청년세대 문화 공간의 변화를 살펴보고,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한국사회의 청년세대 공간은 신촌(1970-80년대) - 압구정·홍대(1990년대) - 삼청동·이태원·가로수길(2000년대)로 이동하고 있었으며, 각 시대별 청년세대는 자신들의 공간에서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고 타 집단과 자신들을 구별짓는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었다. 또한 청년세대 공간을 수식하는 형용사를 살펴본 결과, 시대가 변함에 따라 청년세대의 공간이 이동하고 있음에도 ‘개성 있고 특색 있는 새로운’ 공간이라는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오늘날 밀레니얼 세대 공간의 특성을 ‘핫플레이스’를 통해 확인한 결과, 다음 세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청년세대의 공간은 파편화 및 유목화를 통해 확장되고 있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둘째, 파편화된 장소들은 온라인이라는 공간에서 해시태그(#)를 통해 새로운 집합을 형성하고, 새로운 장소성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셋째,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이 빠른 주기로 이동하고 있지만 그 안에 담겨있는 장소성은 결국 ‘개성 있음’과 ‘새로움’이라는 지금까지 청년세대 공간이 가지고 있던 이미지의 연속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의 특징은 미디어의 발달이라는 사회적 현상과 청년세대가 갖는 노마디즘적 특징의 발현으로 설명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youth culture with a focus on the changing spaces of youth gener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s contents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f the 1970-1980s, 1990s, and the 2000s respectively. Results indicate that the cultural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in Korean society change over time, going from Sinchon in the 1970-1980s, Apgujeong in the 1990s, and to Samcheong-dong, Itaewon, and Garosu-gil in the 2000s, consisting of a unique youth culture and collective identity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adjectives that describes the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and found that the images of unique, special, and new appeared repeatedly even though the space was constantly changing over time. Next, this study identifies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millenials by the keyword hot place. First, the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is expanding in a fragmented and nomadic way. Second, fragmented places were forming a new collective through hashtags(#) online, creating new placeness. Third, although the youth space today is fragmented, the placeness contained in it is in line with the images of the youth space that was identified before, such as unique and new.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space today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change in society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nd the nomadic traits of the youth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