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노그라피를 이용한 공개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확산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 사례를 중심으로 -

        강희숙,윤인환,이희상,Kang, Heesuk,Yoon, Inhwan,Lee, Heesan Daehan Academ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개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 이하 OSS)가 운영 기간 내 주변의 행위자들과 관계를 수립하는 동안 OSS의 개발 및 확산 패턴을 확인하는 것으로, OSS 참여자들의 변화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OSS 통과시간을 기반으로 그 변화 양상을 추적할 수 있는 온라인 데이터와 네트노그라피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OSS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인 jQuery, MooTools, YUI 등 이상 세 가지 사례에 대하여 블로그, 웹 서치와 함께 GitHub 공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SS 변형 과정의 변화 패턴을 분류하기 위하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전환(translation) 과정을 적용하였으며, 관찰된 OSS 변형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젝트 개시' 단계에서 소스 코드, 프로젝트 책임자 및 관계자, 내부 참여자 등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OSS 관련 행위자들을 확인하였고, 그들 사이의 관계성을 개념화 하였다. 이후 프로젝트 책임자가 최초로 프로젝트를 착수하는 '프로젝트 성장' 단계는 관계자들에 의해 소스 코드가 유지 보수되는 과정을 통해 개선된다. 마지막으로 OSS는 홍보 활동을 통해 참여자들의 관찰기를 갖고, 소스 코드 사용을 통해 학습기를 거친 사용자가 본격적으로 등장함으로써 '참여자의 도약' 단계로 진입한다. 이 시기에는 기업과 외부 관계자들도 출현하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OSS 참여자들이 OSS를 선택하는데 있어 홍보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OSS의 급속한 개발속도가 오히려 참여자의 출현을 지연시키는 구축 효과(crowding-out effec)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토대로 주요 OSS 사례를 네트노그라피를 활용하여 종단적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OSS의 발전 과정을 일반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으며, OSS가 지배적인 위치에 오르기 위한 단계별 영향 요인, 세부적인 변화 양상 등을 확인함으로써 OSS 개발자와 관리자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spread pattern of open source software (OSS) while establishing relations with surrounding actors during its operation peri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 of participants in the OSS, we use a netnography on the basis of online data, which can trace the change patterns of the OSS depending on the passage of time. For this, the cases of three OSSs (e.g. jQuery, MooTools, and YUI), which are JavaScript frameworks, were compared, and the corresponding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of GitHub as well as blog and web searches. This research utilizes the translation process of the actor-network theory to categorize the stages of the change patterns on the OSS translation process. In the project commencement stage, we identified the type of three different OSS-related actors and defined associated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eriod, when a master commences a project at first, is refined through the course for the maintenance of source codes with persons concerned (i.e. project growth stage). Thereafter, the period when the users have gone through the observation and learning period by being exposed to promotion activities and codes usage respectively, and becoming to active participants, is regarded as the 'leap of participants' stage. Our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motion processes in participants' selection of the OSS for participation and confirm the crowding-out effect that the rapid speed of OSS development retarded the emergence of participants.

      • KCI등재

        한국어 방언 접촉의 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전남방언 어휘의 표준어화를 중심으로-

        강희숙 ( Huisuk K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4 No.-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지역 방언과 표준어와의 접촉의 결과 나타난 표준어화 (standardization)의 양상을 전남 방언에서 진행되고 있는 어휘의 표준어화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1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표준어 정책이 가져온 국어의 변화 가운데 하나로 지역 방언 어휘의 표준어화가 어떠한 양상으로, 또 어느 정도나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이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 하다는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방언 접촉의 개념 및 유형, 근대화와 더불어 이루어진 우리의 표준어 정책의 수립으로 인해 야기된 방언의 표준어화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광주·전남 지역출신 20대 남녀 대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방언 어휘 110개의 인지 및 사용 양상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확인된 표준어화 양상을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어휘 110개에 대한 인지 정도는 평균 20.6개로 전체 어휘의 18.7%의 낮은 수준에 그쳤다. 결과적으로 조사대상자들은 자신의 부모 세대와는 다르게 90여 개(81.3%)나 되는 방언 어휘들을 거의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가정이 가능한바, 방언 어휘들에서 일어나고 있는 표준어화의 정도가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조사 대상 어휘 가운데 50% 이상의 인지도를 보이는 어휘는 모두 14개로서 전체 어휘의 12.7%에 지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20% 이하의 낮은 인지도를 보이는 어휘는 75개로서 68.2%를 차지하며, 이 가운데 조사대상자 100%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어휘는 12개로서 10.9%를 차지하여 이들 어휘가 젊은 세대에 의해 전혀 인지되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50% 이상의 사용률을 보이는 어휘가 3개의 어휘에 국한되어 있다는 사실 외에 10% 이하의 사용률을 보이는 어휘의 개수가 91개로 82.7%의 비율을 보이며, 이 가운데 사용률 0%인 어휘가 32개나 되어 인지도 100%인 어휘의 2.5배 정도를 차지한다. 해당 어휘를 알고 있더라도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그만큼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research, the aim was to examine the feature of standardization which appeared in result of contact between a regional dialect and the standard language, in the focus of standardization of vocabularies happening in Jeonnam regional dialect. Such study follows the necessity of more active social linguistic approach about how, and how much regional dialect vocabularies changes as one of the change of Korean which follows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which has 100years history. On the assumption of understanding of concept of dialect contact, typ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standard language policy and standardization of dialects which were formed with modernization, the following is categorization of standardizations confirmed in a survey result about cognition and usage of 110 Jeonnam dialect vocabularies of 135 university students in twenties who were born in Gwangju Jeonnam area. First, the cognitive degree of target 110 vocabulary was 20.6 in average, which was 18.7% in total. Resultingly, the students, unlike their parent generation, can not recognize the more than 90 dialect vocabulary(81.3%). It is assumable that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appearing in dialect vocabulary is quite high. Second, the vocabulary which has more than 50% of recognition rate was only 12.7% in total. Wheres the vocabulary which has less than 20% of cognition rate was 75, which is 68.2% in total, and among these 12 were the vocabulary which nobody recognized, 10.9% in total. It is confirmed that the young generation completely don’t recognize these words.

      • KCI등재

        ‘어→으’ 모음 상승의 통시적 발달과 방언 분화

        강희숙(Kang Hui suk)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연구는 국어의 모음 체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수직적 모음 상승 현상 가운데 하나인 ‘어→으’ 모음 상승이 통시적으로 어떠한 발달 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이 국어의 지리적 공간으로 어떻게 확대되어 오늘에 이르렀는지를 중부방언과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어→으’ 모음 상승의 촉발 혹은 발달은 18세기 중엽 이후 국어 방언들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이는 ‘으, 어’의 혼기 현상과 관련성이 있으며, 애초에 비어두 위치에서 ‘으→어’의 방향으로 시작되었던 혼기가 19세기 이후 ‘으→어’와 ‘어→으’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진 ‘으, 어’의 혼기는 중부방언이나 서남방언에서는 ‘어→으’ 모음 상승 현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경상도 방언의 경우에는 두 모음의 대립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모음 합류를 야기함으로써 국어 방언 간의 차이 내지 분화를 유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20세기 이후 현대 한국어 방언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어→으’ 모음 상승의 실현 양상을 중부방언과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대조한 결과 ‘어→으’ 모음 상승이 특히 서울말과 전남방언 모두 실현 환경에 제약이 없을 정도로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중부방언의 경우, ‘서울말>충청도 방언>경기도 방언’의 순으로 실현 정도에 차이가 있어 동일한 중부방언이라고 하더라도 하위 방언들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이루어진 기술만으로는 국어의 하위 지역 방언들이 겪고 있는 ‘어→으’ 모음 상승의 전체적인 윤곽이 제대로 파악되었다고 보기 어려운바, 본 연구는 그러한 윤곽의 일단이나마 제공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focusing on the central and the Jeonnam dialect, aims to understand how the ‘eo→eu’ vowel raising, one of the vertical vowel raising phenomenon appears in Korean vowel system, showed the diachronic aspects of development and how this phenomenon expanded to geographic space of Korean language today. The result shows that the ‘eo→eu’ vowel raising is related to mixed writing of ‘eu, eo’ which was believed to be appeared after mid 18th century, and was related with the fact that it appeared of both direction ‘eu→eo’ and ‘eo→eu’ after 19th century, which started as only ‘eu→eo’ direction at the non-word initial position. That is, the mixed writing of ‘eu, eo’ with two-way directions became the ‘eo→eu’ vowel raising in the central and Jeolla dialect. This leaded the division of Korean dialects by causing the vowel merger which stops apposition of two vowels in the case of Gyungsang dialect. Meanwhile, the contrastive result of the central and the Jeonnam dialect of ‘eo→eu’ vowel raising which appears in modern Korean dialects after 20th century confirmed that it is actively realized on both Seoul dialect and the Jeonnam dialect. In the case of central dialect, the degree of realization was varied in the order of ‘Seoul dialect>Chungchung dialect>Gyunggi dialect’. This shows the differentiation among subordinate dialects of central area. This research provided the overall outline of ‘eo→eu’ vowel raising which happens in Korean subordinate dialects.

      • KCI등재후보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지각에 미치는 효과

        강희숙 ( Hee Sook Kang ),이진헌 ( Jin Heon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09 청소년복지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elf-growth program on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self conception. 26 college students in K city were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is program was conducted 7 sessions at once a week from March to April in 200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hypothesis 1「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elf-growth program will show more significantly improved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was accepted. And the hypothesis 2「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elf-growth program will show more significantly improved self-concept than the control group.」was accepted. Also, I was content analysis about the opinion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 was that `it was chance to practice the human relationships`, `it was good time to meet other people with the true heart`, `it was time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it helps to learn how to express their thought` As a result, this program was very effective on college students. So we need to conduct self-growth program at college to help students elevate their sense of autonomy and responsi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욕설 사용의 심리적 기제 및 순화 방안

        강희숙(Kang Hui-suk),양명희(Yang Myung-hee)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9 No.-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ditions of adolescents’ use of abusive language 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and based on the results, it presented measures to refine their langu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degree of using abusive language, activities where it is used and objects to which it is used and discovered that 94.6% of the subjects used abuses related with sex, physical and emotional defects targeting their friends(70.3%) when they played with them. In respect to psychological mechanisms of using abusive languages, it was discovered that they used abuses habitually or followed others. It indicates that there are no specific motives to use common abuses. However, as psychological mechanisms of using habitual or common abuses, they used them to relieve stress, to increase friendship, and not to be disregarded, or because they are easy and communicative. In this context, as it was discovered that the right function of abuses worked rather than the reverse function, use of abuses was justified. Finally, in considering that students showed doubtful attitudes toward school education on refinement of abuses and answered they have to try to speak less abuses, it is more desirable to present intentional education which induces their voluntary efforts to refine their language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students should check their own attitudes and recognition themselves.

      • KCI등재

        가정폭력노출아동의 사진활동작업 경험

        강희숙 ( Hee Sook Kang ),황상희 ( Sang Hui Hwang ),진관훈 ( Gwan Hun Jin ),문영주 ( Young Joo Moo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5 No.-

        본 연구는 사진활동작업 개입을 통해 쉼터에 거주한 가정폭력노출아동에 대한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은 A시 쉼터에 거주한 아동 5명을 대상으로 2008년 10월부터 11월까지 프로그램 진행과 면접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100개의 의미 있는 진술, 23개의 의미 구성, 10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묶음으로 도출되었으며, 그 구성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낯선 곳에서 둥지 틀기>, <떠올리기조차 두려운 아빠, 그래도 보고 싶은 아빠>, <과거의 행복했던 순간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 <엄마는 언제나 나의 수호천사>, <나의 꿈, 나의 희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는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거주 아동에 대한 스트레스관리에 중점을 두고, 자녀동반가족에 대한 가족상담의 체계화와 추가적인 경제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intervention of photographic activity with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using Colla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ata were corrected from 5 children living at shelter from October to November, 200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er participants` statement, 100 meaningful statements, 23 meaning units, 10 themes, and 5 theme clusters were elicited. 5 theme clusters were <sheltering in a strange place>, <dreadful father ever to reflect yet to miss>, <I wish I could return to my happy time in my life>, <mother is guarding angel of mine forever>, <my dream and my hope>. Social welfare`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necessity of stress management of children living at shelter, family counselling and extra-economy support of families with children.

      • KCI등재후보

        사이코드라마 주인공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Q방법론의 활용

        강희숙 ( Kang Hee Sook ),이진헌 ( Lee Jin Heon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18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사이코드라마 주인공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을 Q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이코드라마 주인공 경험 후 변화’에 관한 진술문(Q표본) 28개를 확보하여 28명의 사이코드라마 주인공 경험 대상자(P표본)을 선정하였고, 이들로부터 유형화(Q Sort)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6개의 유형으로 정의되었다. 유형 1은 「더불어 사는 소박한 삶 유형」, 유형 Ⅱ는 「자기 회복 유형」, 유형 Ⅲ은 「일상생활 감사 유형」, 유형 Ⅳ는 「성숙된 삶 유형」, 유형Ⅴ는 「도전하는 삶 유형」, 유형 Ⅵ는 「성찰하는 삶 유형」등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사이코드라마 주인공 경험에 대한 유형화는 현장에서 사이코드라마를 실천하는 디렉터와 연구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 of psychodrama experience using Q method. For this purpose, 28 statistical statements (Q samples) about 'Psychodrama protagonist experience were obtained and 28 protagonist (P samples) were selected and Q sorting was performed from th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ype 1 is ‘simple life that lives together type’, type II is ‘self recovery type’, type III is ‘daily life thanks type’, type IV is ‘self growth type’, type V is ‘challenging life type’, type Ⅵ is ‘self-reflection type’ and so 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provide information to directors and researchers practicing psychodrama in the field.

      • KCI등재후보

        사이코드라마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경험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 중심으로

        강희숙 ( Hee Sook Kang ),권계영 ( Kye Young Kweon ),신경애 ( Kyung Ae Shin ),양정옥 ( Jung Ouk Yang ),이은주 ( Eun Ju Lee ),이순섭 ( Soon Sob Lee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0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사이코드라마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사이코드라마 수퍼바이지의 사이코드라마 수퍼비전을 통한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전문가와 전문가 수련생 1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5개의 주제와 1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사이코드라마를 지속할 수 있는 힘’, ‘재충전의 기회’, ‘수퍼비전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 ‘수퍼바이저의 무례함에 의욕 상실’, ‘수퍼바이저를 위한 수퍼비전교육의 절실성’ 등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퍼바이지가 수퍼비전을 통해 성장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수퍼비전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됨을 인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in which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study the experience of the supervision of Psychodrama supervisee.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supervisee experience through the psychodrama supervision?' For this stud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1 participants, including experts from the Korean Psychodrama and Sociodrama Society. As a result of the study, 5 themes and 14 sub-themes were drawn from this study. The themes of this study are ‘the power to continue psychodrama’, ‘opportunity to recharge’, and ‘doubtful about supervision expertise’. ‘disappointed by the rudeness of the supervisor’ and ‘the urgency of supervision education for the supervisor’.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from the fact that the supervisee grows through supervision, and it is recognized that the need for supervision training for the supervisor is desperately required.

      • KCI등재후보

        화상회의를 이용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강희숙 ( Hee Sook Kang ),오혜성 ( Hyae Sung Oh ),이복규 ( Bok Gyu Lee ),이순섭 ( Soon Sob Lee ),신경애 ( Kyung Ae Shin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0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화상회의를 이용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0년 8월부터 10월까지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에 참여한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6명이며,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7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새로운 도전’, ‘만남의 확장’, ‘가벼운 마음으로 참여’, ‘치유의 시간’, ‘집단 응집력 저하’, ‘경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성장 가능성 발견’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최근 실시한 화상회의에 의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가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가 치유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psychodrama using videoconference. The participants were six psychodrama experts who participated in online psychodrama using Zoom from August to October 2020, and analyzed by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7 components and 18 sub-components were derived, and the components were ‘new challenge’, ‘expanding meeting’, ‘participation with a light mind’, ‘time of healing’, ‘degradation of group cohesion’, ‘difficulty due to lack of experience’, and ‘discovery of growth potential’. This study showed that online psychodrama by videoconference conducted recently in Korea could develop,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ed that online psychodrama have healing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