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한림전』의 중첩된 갈등구조

        강혜규 ( Kang¸ Hye-kyu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4 No.-

        『방한림전』에는 갈등이 중첩되어 있다. 이를 등장인물 간 갈등과 방관주의 내적 갈등으로 나누어본다면, 등장인물 간 갈등에는 방관주와 유모 영혜빙과의 갈등을 들 수 있고, 내적 갈등으로는 성별 불일치에 대한 불편과 타인에 대한 불신 등을 들 수 있다. 유모와의 갈등은 기존의 규범과 방관주의 가치관이 대립각을 세우며 방관주의 주장이 우세를 점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영혜빙과의 갈등은 젠더의 차이에 따라 관계가 흔들릴 수 있는 가부장적 사회의 부부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낸다. 내적 갈등의 면에서 방관주는 성 역할 고정관념과 본모습 사이에서 갈등하며, 이 갈등은 황제와의 대화를 통해 많은 부분 해소되고 있다. 이처럼 『방한림전』에서 갈등은 중첩적이고 다층적으로 존재하며, 이를 완화하거나 해소하려는 방관주의 노력이 서사 전개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과 해소는 작품 전체의 긴장을 유지하게 하며, 독자에게 흥미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중첩적 갈등은 당대의 성 역할 고정관념의 타파가 하나의 방법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복잡하게 얽힌 문제라는 점을 드러낸다. 작가는 실타래와 같은 여러 갈등을 첨예하게 드러내며 조심스럽게 수차례에 걸쳐 풀어내고 있다. 작가에 따르면, 성 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파격과 균열은 기존 가치관과의 치열한 갈등을 낳는 동시에, 조력자와의 관계에서 상호 간에 가부장제 가족관계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동반될 필요가 있고, 당사자의 내적 갈등과 고뇌를 감내하며 구조 개혁이 뒤따라야 한다. The overlapped conflict appear in Banghanlimjeon. In terms of the protagonist Bang Gwan-ju’s external and internal conflicts, Bang Gwan-ju experiences conflicts with the nanny and Yeong Hye-bing, and internally suffers from gender incongruence and the fear of being outed and mistrust of other people. Bang Gwan-ju lives socially as a man and attempts to alleviate and resolve such conflicts. To the nanny, Bang invokes his authority as the head of the household and forces her to keep his secret. To Yeong Hye-bing, he asks her to keep his secret as his closest friend while emphasizing his position as her husband. Internally, Bang Gwan-ju is sorrowful and melancholy but covers such emotions with confidence in his ability and high self-esteem and attempts to rationalize and justify his action of hiding his gender through circumstantial evidence and shifting the blame on others. Conflicts in Banghanlimjeon are overlapping and multilayered, and Bang Gwan-ju’s efforts to alleviate and resolve such conflicts become the driving force of the narrative. The existence and resolution of such conflicts maintain the tension throughout the work and captivate its readers.

      • KCI등재

        설교(雪橋) 안석경(安錫儆)의 산수와 문학 -유기(遊記)와 관련 장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혜규 ( Hye Kyu Ka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1 No.1

        이 연구는 雪橋安錫儆의 山水遊記를 그의 전반적 작품세계와의 연결 속에서 분석하고, 동시대 산수유기의 흐름과 연결시켜 이전에 조명되지 않았던 특징을 밝혔다. 삽교의 유기는 詩, 夢記, 筆記와 서로 연관을 맺으며, 산수유람체험을 총체화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이는 동시대 산수 문학이 유기와 함께 여타 장르를 종합하여 집대성되는 흐름의 연속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삽교는 시와 유기를 긴밀히 조응시켜 시와 유기에 동일한 표현을 함께 사용하고 유기의 서술을 촉매로 사용하여 시에서 서정을 증폭시키고 심화하였다. 다음으로 삽교는 몽기와 유기에서 산수의 형상화에 신이한 분위기를 더하고 현실인식과 삶에 대한 시선을 녹여내었다. 특히 삽교의 핵심 사상이라할 수 있는 조선중화사상을 산수공간에 투영하여 조선에 대한 자부심과 천하질서를 재정립하고자 하는 이념적 이상을 드러내었다. 마지막으로 삽교는 필기에서 산수유람 중 견문한 인물 일화를 확장하여 윤색하고 유기에서 필기의영역에 속하는 산수 관련 정보를 체계화하여 각 장르에 맞게 내용을 분화하였다. 18세기 산수 문학은 다양한 장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정이 심화되고 사상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며 산수 관련 정보가 체계화되어 보다 풍부하고 다양해지는 양상을 보였고, 삽교의 산수문학은 그 흐름 중에서도 뛰어난 성취를 보이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landscape essays written by Sabkyo An Suk Kyeong in relation to his works. This study also aims on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his landscape essays which have not yet been recognized, within the context of the landscape essays of the era. Closely related with poetry, dream records[夢記], and pilgi(筆記), Sabkyo’s travel essays embody his travel experience as a whole.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trend of landscape literature of the era, which, along with travelogues, incorporated various genres. First of all, Sabkyo closely connected poetry with travel writing. He used identical expressions in both poems and travelogues and used the narrative of the travelogue as a catalyst to amplify and deepen the lyricism in his poems. Next, Sabkyo used the same method for creating imagery in dream records and travel writing, and thus, added the mystical ambience to the imagery of the landscape, along with his perception of reality and his views on life. Sabkyo further instilled his core idea, Sinocentrism, in the landscape, which shows his pride in Joseon and his ideal on reestablishing the universal order. Finally, by expanding and embellishing his anecdotes of the people he met during his travels in his pilgi writings and by deepening the scope of information on the landscape and travels in his travelogues, which originally are topics for pilgi, Sabkyo differentiated the content of his writing by each genre. This characteristic is more prominent in Sabkyo’s travelogues among the travelogues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eighteenth century brought rise to a depth in lyricism, detailed imagery, and a systemization of the information on landscape in landscape literature, all of which led to the proliferation and variation of each genre. Sabkyo’s literary works are the most prominent among the flow of such works.

      • KCI등재

        18세기 산수유기의 전변(轉變) 양상 -『동유기(東遊記)』와 『동유기실(東遊記實)』의 비교-

        강혜규 ( Kang Hye-kyu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5

        본고는 조선후기의 대표적 금강산 유기인 金昌協의 『東遊記』와 洪百昌의 『東遊記實』을 비교하여 18세기 산수유기의 轉變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유람방식의 면에서 김창협은 『동유기』에서 안전을 중시하는 유람방식을 중시했다면, 홍백창은 위험을 무릅쓰고 끝까지 탐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람에 대한 관점의 차원에서 김창협이 문학적 교양을 기반으로 산수의 변화를 관찰하며 심미안을 중시한 것에 비해, 홍백창은 탐험 의지와 열정 및 인내심을 중시했으며 민중의 여행에 관심을 가지고 소통하며 교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음으로 산수 형상화의 면에서 김창협은 산수가 변화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세련된 수사로 미려하게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홍백창은 세밀하고 정확한 묘사와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점을 중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수문학에 대한 인식에서 김창협은 참신한 표현과 기발한 묘사를 강조하였고, 홍백창은 절제된 표현과 여정에 대한 상세한 서술을 통해 과장 없는 핍진한 형용을 추구하였다. 홍백창은 김창협의 유기를 통해 17세기 후반 산수유기의 문학적 성과를 계승하되, 탐험 정신을 정립하고 탐험 과정에서 얻은 풍부한 인문지리정보를 후대인에게 효과적으로 전하고자 하였다. 즉 17세기 산수유기가 교양을 바탕으로 예술적 심미안을 끌어올 리는 데 주목했다면, 18세기 초반의 산수유기는 민중과 소통하며 지식과 정보를 담는 데에 관심을 기울였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aspect of transition of essays on landscapes (Sansuyugi)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era in the 17~18thcentury, by comparing two literary works of late Joseon writers : Hong Baekchang`s Dongyugisil and Kim Chang-hyup`s Dongyugi. From the aspect of sightseeing, Hong Baek-chang criticized safety-emphasizing sightseeing method shown in Dongyugi, and instead proposed endless exploration as an alternative. In addition, the two works show difference on the level of perspectives on sightseeing. Kim Chang-hyup regarded having a sense of beauty through literary refinement and landscape observation as most important. On the other hand, Hong Baek-chang stressed exploring desire, passion, and patience, showing signs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interest in journeys of the people. On the imagery of landscapes, Kim Chang-hyup placed priority on grasping the changing moment of landscapes and rhetorically expressing its gracefulness with sophistication. In contrast, Hong Baek-chang concerned more on detailed, precise descriptions and systematic delivery of information. Lastly, on the cognition of landscape literature, Kim Chang-hyup underscored brilliant, novel expressions and splendid portrayal, whereas Hong Baek-chang pursued understatements, and vivid descriptions of the journey, written in detail and without exaggeration. Hong Baek-chang, by succeeding the literary success of the 17thcentury essays of landscapes through the travel essay of Kim Chang-hyup, established spirits of exploration, and made exertions in effectively delivering rich anthropogeographical information down to future generations, which he gained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ation. Moreover, it can be said that compared to how 17th century travel essays focused on enhancing the sense of beauty based on sophistication, early 18th century travel essays paid more attention to including diverse range of voices by communicating with the people.

      • KCI등재

        홍백창의 금강산 기행시집 『구일기(句日記)』 연구

        강혜규 ( Kang Hye-kyu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9 漢文古典硏究 Vol.38 No.1

        『句日記』는 18세기 문인 洪百昌(1702~1742)이 30대 중반 지은 금강산 기행시집이다. 본고는 『구일기』 서문에 나온 창작의식에 의거하여 『구일기』를 분석하되, 한편으로는 홍백창이 주창한 시적 지향에 주목하고 다른 편으로는 기행시와 기행산문의 관련 양상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홍백창은 『구일기』에서 시의 성률과 격조보다 핍진성을 중시하고 있다. 또, 『구일기』는 금강산 총서인 『東遊記實』 안에서 기행일기인 『文日記』와 짝을 이루어 기행시와 기행산문의 유기적 관계를 조명하는 단초가 되고 있다. ‘구일기’는 시로 쓴 일기라는 뜻으로, 『동유기실』 내에서 산문으로 쓴 일기라는 뜻의 ‘문일기’와 표리가 된다. 『구일기』와 『문일기』 창작의식에서부터 시와 산문의 관계를 표리로 설정하여 제목의 짝을 맞추고 시를 일기에 맞게 기행순서대로 배열하여 서로의 관계를 밀접하게 연결시키고 이를 하나의 총서 속에서 엮어내고 있다. Guilgi(句日記) is a Mt. Kumgang travelogue written by Hong Baek-chang(洪百昌) in his mid-thirties, an eighteenth-century writer. This article analyzes Guilgi based on the creative consciousness mentioned in the preface of Guilgi, while on the one hand focusing on Hong Baek-chang’s poetic-oriented advocacy, and on the other hand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ed aspects of travel poetry and travel prose. In the preface of Guilgi, Poet Hong Baek-chang, advocated a new literary tendency with criticism towards the existing literary tendencies of the time. Hong Baek-chang’s poetics revealed in Guilgi can be summarized as a break from rhythm and tone, while prioritizing verisimilitude. Next, Guilgi can be paired with Munilgi(文日記), a travelogue within Dongyugisil(東遊記實), which can be the beginning for illuminat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ravel poetry and travel prose. ‘Guilgi’ signifies diary written in poetry, which has duplicity with ‘Munilgi’ that refers to diary written in prose within Dongyugisil. Guilgi and Munilgi establishes a duplicity relationship from the creative consciousness, thereby pairs their titles, closely interrelates the correlation by arranging the travel sequence to match the poetry to the diary, and by weaving them into a ser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삽교(삽橋) 안석경(安錫儆)의 꿈과 내면세계

        강혜규 ( Hye Kyu Kang ) 근역한문학회 201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4 No.-

        This study analyzes the prose of Sapkyo삽橋 An suk-kyong安錫儆 on which his dream and inner world view are intensely reflected. It also establishes the influence on his life through his literature. Kimongsi記夢詩 and Mongki夢記 by An suk-kyong is intensively created at his age between 32 to 35, which was from 1749 to 1752. This period becomes a great watershed which draws first half of his life as a writer. Through the analysis of Kimongryu記夢類, we could learn that he undergoes self-consciousness and meetings with others, works around inner conflict and seeks the main significance of existence all through his dreams. Also, we are able to experience the encounter and consciousness in his dreams directly. We recognize surmounting of his inner conflicts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 being existed all through his dreams. The creation of Kimongryu takes a great role of making a direction of the latter half of An suk-kyong`s life as a writer. He realizes his voice would not be heard at the royal court. After he decides he will be sitting on his early retirement, he writes a book about overall national issues embodying his whole heart and soul. His dream has remarkable influence over his literary work during the second half of his life as a writer. Kimongryu by An suk-kyong represents multilayered aspects of his inner world, and clarifies roles of his dreams into his literacy.

      • KCI등재

        회와(悔窩) 안중관(安重觀)의 시(詩)에 나타난 자아(自我)와 세계(世界)

        강혜규 ( Kang Hye-kyu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고전문학과 교육 Vol.15 No.-

        This study considers Huewa悔窩 Anjung-gwan安重觀's self-consciousness and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Anjung-gwan resents that fact that Qing淸 rules over China. He insists that Chosun朝鮮 must remain faithful to Ming明. But Chosun served Qing in those days. He holds strongly to his belief until his death. So he chooses living in retirement in his life. In Anjung-gwan's poems, we can see that a certain circle of Chosun Confucianists believe in Sojunghwa小中華, which is small-Sinocentrism. In the first half of the eighteenth-century, some Chosun Confucianists feel sad about the situation that stops them from realizing their ideals. But they take pride in natural beauty and configuration of Chosun. And they pay attention to the life of Chosun masses. They recognize Chosun, which is Hwa華, has to keep self-respect to the las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