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강이화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st anxiety,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1st gra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3first-year students attending five middle schools in Busan, Ulsan and Changwon. The data from four tests concerning test anxiety,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indicate that the test anxiet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ransition period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for a test has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test anxiety has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However,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test anxie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through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In other words, test anxiety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ut the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was reduced through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middle school freshmen use learning strategy effectively and maintain learning motivation positively, they can alleviate negative effects of test anxiety on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이 연구는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시험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습전략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창원 지역 5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383명이었으며,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4개 검사로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신입생이 인식하는 시험불안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시험불안은 학습전략과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험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습전략과 학습동기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불안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학습전략과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학교 신입생이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학습동기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시험불안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하고 학교현장에서 접근할 수 있는 매개변인의 교육적 활용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강사제도 추진 과정의 정치적 쟁점과 요인 분석

        강이화,김수경 한국교육정치학회 2013 敎育政治學硏究 Vol.20 No.1

        The gists of the so-called instructor system revi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hereinafter MEST) hold two main perspectives: changing the name from 'part-time instructor' to 'instructor' and granting them academic status. Ahead of enforcing the system, the part-time faculty for the Higher Education(Korean Irregular Professors’ Union; hereinafter KIPU) as well as the university authorities have strongly insisted that the implementation date of the system should be postponed. As a result, the implementation date has been suspended. We analysed the on-going political issues and factors of the instructor system. As a result, three kinds of 'noncompliance' naturally lead us to suggest followings while implementing process of the system: first, mutual communication needs to enhanced between the main groups, namely, the university authorities and KIPU. Second, Government's revised policy must prevent to give harm or disadventages to the related groups. Most importantly MEST must ensure financial resources for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고등교육법 개정에 따른 강사제도는 제도의 주체간의 제도 불순응으로 그 시행을 한달 앞두고 결국 1년 유예되었다. 이번 강사제도 추진 과정에 나타난 정치적 쟁점과 정치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사제도의 정치적 쟁점은 첫째, 강사의 신분 및 처우, 둘째, 강사의 계약기간, 셋째, 강사의 채용 및 재임용 절차, 넷째, 소요재정 부담으로 분석되었다. 강사제도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정치적 요인을 분석해본 결과, 첫째, 제도의 주체는 정부, 대학, 강사단체로 규정할 수 있었으며, 정부가 제시한 제도의 목표 및 의도는 주체들 간에 합의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강사제도 추진에 필요한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추가자원을 확보하지 못한 문제, 정책시행에 소요되는 재정이 일방적으로 대학에게 부과하면서 강사제도의 도입여부의 결정권이 대학에 전가된 문제, 세 주체간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과정에서 대학과 강사간의 제도 불순응에 대한 합의, 기존 대학교원체계 및 학문후속세대의 기능이라는 기존 가치관과의 충돌이었다. 이 연구결과는 정부가 제도를 시행할 때 관련된 주요 요인과 시행실패의 원인 분석을 선행하도록 하여 제도가 성공적 시행이 되는데 시사점을 준다.

      • KCI우수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한 혁신학교 교육과정 문서 분석

        강이화,김혜진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2

        This study analyzed the official documents on innovation schools and curriculum created by Office of Education from 11 region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It purported to find indexes and their relations as well as to investigate essentials of curriculum. Individual words were drawn from the official documents and reduced into indexes, followed by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n, each document was examined to find whether they included essentials of curriculum.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llaboration’, ‘participation’, ‘autonomy’, ‘learning’, etc. were frequently mentioned in the documents, and words on school members and school management were also commented. Second, ‘democracy’ and ‘autonomy’ appeared the most important and connected words in the semantic network of the documents, and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indexes showed similar results. Third, except for documents from Gyeonggi and Gangwon, most documents did not include essentials of curriculum, showing insufficiency as the guideline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fficial documents partially suggested the main concept of ‘Innovation school’ definition, but they were not enough to guide each school to recreate and reconstruct its own curriculum.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tailed guideline and the support system were required for each school to accomplish the vision and goal of Innovation School. 본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현재 혁신학교를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할 계획을 밝힌 11개 시·도교육청의 혁신학교 교육과정 관련 문서를 분석하여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단어와 단어 간의 의미관계를 밝히고 교육과정 지침으로서의 충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각 시·도교육청에서 발행한 혁신학교 교육과정 관련 문서들을 분석하여 주요 단어를 도출하였고, 단어들의 빈도를 구한 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문서들이 교육과정 지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육과정의 핵심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시·도교육청 혁신학교 교육과정 관련 문서들에서 ‘협력’, ‘참여’, ‘자율성’, ‘배움’, ‘지역사회’, ‘창의성’ 등의 단어들이 주로 언급되었으며, 그밖에도 학교구성원 및 교육주체, 학교운영의 주요 원리에 관한 단어들이 언급되었다. 둘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단어들은 몇몇 단어에 편중되어 있는 네트워크 형태를 나타냈으며 이는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한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특히 ‘자율성’과 ‘민주성’은 네트워크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주변 단어들을 매개하는 핵심적인 주제어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기본방향, 편성 및 운영체제, 지원체제의 요소들을 중심으로 각 시·도교육청 혁신학교 교육과정 관련 문서들을 분석한 결과, 경기도 교육청과 강원 교육청의 문서가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문서들은 이들 요소를 포함하지 못하거나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각 시·도교육청의 혁신학교 교육과정 관련 문서들은 혁신학교의 핵심원리(자율성, 민주성), 운영주체(학생, 교원, 학부모, 지역사회), 기본가치(협력, 소통, 참여)를 설명하고 있어, 혁신학교 개념에 관한 이론적인 논의를 풍부하게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들 문서는 여전히 혁신학교의 개념 및 교육과정에 관해 모호하고 구체적이지 못한 정보를 담고 있어 단위학교가 혁신학교 추진을 위해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지역단위의 안내와 지원을 통해 각 단위학교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구역화 형태의 차이를 이용한 컬러 볼륨 데이터의 펼친 영상 생성

        강이화,신병석,신동선 대한의료정보학회 2008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14 No.4

        Objective: Unfolding is a rendering method to visualize organs at a glance by virtually incising them. Although conventional methods exploit gray-scale volume datasets such as CT or MR images, we use the Visible Korean Human dataset preserving actual color. This can be helpful for the study of anatomical knowledge. Segmented images of Visible Korean Human dataset store the boundary of organs. Since medical experts manually perform the segmentation from anatomical color images, it is very time-consuming. In general, therefore, some images selectively sampled with interval from entire color images are segmented. When we generate a segment volume dataset with the selected images, final results are deteriorated due to lack of segmentation information for missed images. In this paper, we solve this problem by generating intermediate images without performing a manual segmentation. Methods: Firstly, after comparing differences of organ’s contours in between two consecutive segmented images, we represent the differences as a user-defined value in the intermediate images. This procedure is repeated for all pairs of manually segmented images to reconstruct entire volume data consist of manually segmented images and their intermediate images. In rendering stage, we perform the radial volume ray casting along with the central path of target organ. If a ray reaches to a region having the user-defined values, we advance over the region without compositions to the boundary of that region. Then the color composition is begun by performing backtracking, since the advanced region is regarded to the thickness of it. Results: As a result, we can produce high quality unfolding images for the stomach, colon, bronchus, and artery of the Visible Korea Human dataset. Conclusion: Since our approach can be applied to virtual dissection including actual human colors, it is helpful for the endoscopy and anatomy studies.

      • KCI등재후보

        미래지향적 핵심역량에 기반한 학생 교육프로그램 현황 분석 - B교육청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강이화,이유나,최류미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y the B education office affiliated organizations according to future-oriented core competencies and to confirm whether they meet the conditions for future-oriented education programs. It is to explore the policy measures to be pursued.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521 student education programs in 39 affiliated organizations of Office B were selected as examples. The criteria analyzed were based on basic knowledge (language, mathematics, digital) and core competencies (independent learning ability-initiative, meta-learning, cognitive flexibility, identity, self-efficacy, career exploration and design; value creation ability-aesthetic sensitivity, social-emotional personality, cooperative communic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critical thinking , innovative thinking; ability to cope with change -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resilience, global citizenship, response to climate and ecological crises, safety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basic knowledge and future core competencies are operated, but different aspects are found for each school level. There were relatively few programs, and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ere was a tendency to focus on value creation ability, change response ability, and subjective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to the analysis criteria, it was also possible to identify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ed financial econom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design and systematically manage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to develop future capabilities operated by various affiliated institu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programs for balanced cultivation of future talents' core competenci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gionally specialized student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uniqueness of the region and the needs of the member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본 연구는 B교육청 산하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학생 교육프로그램을 미래지향적인 핵심역량에 따라 분석하여 미래지향적 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미래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지향해야 할 지역의 교육정책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B교육청 산하 기관 39곳의 학생 교육프로그램 521개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국내·외 기관에서 발간된 미래 전망, 미래교육, 핵심역량, 미래지향적 교육프로그램 관련 연구물과 학술논문에 대한 문헌분석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도출된 기초소양(언어, 수리, 디지털)과 핵심역량(주체적 학습능력-주도성, 메타학습, 인지적 유연성, 정체성, 자기효능감, 진로탐색 및 설계; 가치창출능력-심미적 감성, 사회정서인성, 협력적 소통, 창의적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 혁신적 사고; 변화대응능력-대인관계, 갈등관리 및 해결, 회복력, 세계시민성, 기후 및 생태위기 대응, 안전관리)이다. 분석 결과, B교육청 산하기관 전체는 기초소양과 미래핵심역량을 반영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학교급별로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기초소양 중에서는 언어와 디지털 소양에 집중되어 있어 수리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핵심역량 중에는 가치 창출 능력, 변화 대응 능력, 주체적 학습 능력 순으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특징적으로 금융경제, 지역 특성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도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지역 교육청은 지역단위에서 다양한 산하기관에서 운영 중인 학생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역량기반 체제로 설계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기관은 기관의 목표에 맞는 미래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그 역량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재고해야 한다. 셋째,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학생교육 프로그램은 지역의 특수성과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의 요구를 반영한 지역특화 프로그램을 고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초등 ‘미래형’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특징 분석

        강이화,이지경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1

        Purpose: At a time when Innovation School movement is transitioning to a 'future-type’ innovation school,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type innovative school by analyzing how the innovative school plans and operates the school curriculum to promote school innovation. To find the task,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irst, how does the ‘future-type’ innovation school set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education? Second, how does future-type’ innovation school materialize the core elem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ethod: The school curriculum was analyzed using the document analysis method, and the analysis framework was integrated used by Posner(2004), Cho Dae-hoon, Lee Su-mi(2012), and Lee Ju-yeon et al.(2019).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iculum, first, the meaning of innovative education for the 'future-type’ innovation school was an open concept of new direction from the existing education, but the essence was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 iwas revived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jects. All three schools had a common point in deriving the main points in the direction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by using names similar to the category of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content aspects, the educational goals were appearing in various concepts, such as school’s image or vision, school and grade educational goas, school culture and values, etc., and only B school set core competencies. In the time allocation standard, all three schools showed a form of increasing specific subjects, but the width was narrow and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actively use the autonomy authority. All three schools were choosing to add a few cross-curricular topics. Conclusion: As it is confirmed that the change of innovative schools is a communal work process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the direction of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be strengthened a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ncentive and constraint factors of curriculum autonomy. 연구목적: 우리나라의 혁신학교 운동이 ‘미래형 혁신학교’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그동안 혁신학교가 학교 교육과정을 어떻게 계획·운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미래형 혁신학교의 특징을 도출하고 학교혁신이 활성화될 수 있는 과제를 모색하고자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미래형 혁신학교는 교육의 개념과 방향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가, 둘째, 미래형 혁신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요소들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가. 연구방법: 미래형 혁신학교로 지정된 세 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문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학교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분석틀은 Posner(2004), 조대훈, 이수미(2012), 이주연 외(2019)의 혁신학교 교육과정 분석틀의 분석 요소를 통합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미래형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첫째, 미래형 혁신학교에서의 혁신교육은 기존의 교육에서 새로운 방향을 추구하되 그 본질은 교육활동에서 교육의 주체가 살아나고 그 주체들 간의 민주적인 소통과 관계를 통해 성장하는 과정이라는 열린 개념이다. 세 학교는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방향에서 모두 시교육청의 미래형 혁신학교 운영 과제 카테고리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여 단위 학교의 중점사항을 도출하는 공통점이 있었으며, 하위 혁신 내용을 미미하게 수정하는 방식으로 소극적인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둘째, 세 학교의 학교 교육과정 핵심요소인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측면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교육목표는 학교의 상(想) 혹은 비전, 교육주체별 인간상, 교육목표, 학교문화 및 가치 등 다양한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었고, B초만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있었다. 시간 배당 기준에서 세 학교 모두 특정 교과시수를 증가시키는 형태를 보였으나 그 폭이 좁아 시수 증감에 대한 자율성 권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초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청소년 단체 활동을 추가하는 자율성을 발휘하고 있었고, 세 학교 모두 범교과 학습 주제를 몇 개 추가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혁신학교의 변화가 학교 교육과정을 둘러싼 교육주체간의 공동체적 작업과정이라는 점이 확인됨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을 자율화하는 방향성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과 그 자율화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려요인과 제약요인에 대한 섬세한 확인이 선행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