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일본 전근대] 한국형 일본사 연구를 위한 탐색과 모색

        강은영(Kang, Eunyoung) 역사학회 2016 역사학보 Vol.0 No.231

        Research on various topics and contents of Japan’s ancient history have been conducted and published. While many publications have been made on Korean-Japanese relationship, there have been relatively less research on the Heian period. A notable achievement of recent research on Japan’s ancienty history is that written materials such as wooden prints from the era have been discovered in domestic sites. Compared to other eras, research on Japan’s medieval age has yielded less outcomes, and research on the Muromachi period has been heavily biased toward waegu . Given this, it is an urgent task to undertake research on topics other than the bilateral relationship of the Muromachi era. As for research on Japan’s modern history, a bias toward Korean-Japanese relationship has been especially strong compared to other eras. In particular, research has focused on tongshinsa, munwihang , and waegu.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Japanese pre-modern history research is that research about Korea-Japan relations was published overwhelmingly compare with Japanese history. Rather positively it must accept as performance and features of Japanese history research. That would have to be recognized as a form of ‘The Korean form of Japanese history study’.

      • KCI등재후보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과의 의사소통 실태

        강은영(Eunyoung Kang),박수경(Sue K. Park),김구상(Ku Sang Kim),최두호(Doo Ho Choi),남석진(Seok-Jin Nam),백남선(Nam Sun Paik),이종원(Jong Won Lee),이민혁(Min Hyuk Lee),김성원(Sung-Won Kim) 대한의학유전학회 2011 대한의학유전학회지 Vol.8 No.2

        목적: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결과 공유의 중요성은 가족검사를 통해 돌연변이 보인자를 확인하고 적극적인 암 발생 감시와 예방적 치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공유 정도, 등친 별 의사소통 차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한국인 유전성유방암 연구에 등록되어 BRCA1 또는 BRCA2 돌연변이가 확인된 발단자 106명을 대상으로 검사 후 유전상담, 유전성 유방암 지식도 평가,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간의 의사소통 과정, 가족 검사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응답자 106명 중 99명은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친족에게 자신의 유전자 검사결과를 알렸으며, 일등친 가족에게만 알린 경우는 68.7%, 일등친과 이등친 이상의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경우는 31.3%였다. 단변량 분석결과 일등친 가족에게만 검사결과를 알린 군이 이등친 또는 삼등친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군에 비해 기혼자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검사 후 유전상담일로부터 설문조사 시점까지 기간이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이유에 대해서는 가족들에게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가능성과 유방암 발병위험성을 알리기 위함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결론: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정보를 보다 많은 가족과 공유하기 위해서는 유전상담 시 환자 개개인의 가계 구조를 파악하여 차별화된 의사소통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Purpose: Sharing genetic information with family members is important for cancer awareness and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closure patterns of positive BRCA genetic test results to patients’ relativ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6 probands who had positive BRCA genetic test results from the Korean Hereditary Breast Cancer Study participated in our study. Subjects were asked whether they had disclosed their genetic test results to first-, second-, and third-degree relative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ositive result sharing with close and distant relatives. Results: In total, 99 respondents (93.4%) informed at least one at-risk relative of the test result, and they all reported that they had disclosed their genetic test result to a first-degree relative. Communication of test results to other relatives occurred significantly less often, with only 31 of 99 subjects (31.3%) sharing their results with second- or third-degree relatives. In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es, disclosure of genetic test results to more distant relatives wa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and months since post-test counseling. The reasons for communication wer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BRCArelated cancer risk and to recommend the genetic test. Conclusion: Most individuals with the BRCA mutation share their test results with first-degree family members; however, these results reach more distant relatives significantly less oft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patients’ communication with extended family members through systematic genetic counseling.

      • KCI등재

        유아교육 사이트에서 패밀리 캐릭터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강은영(Kang Eunyoung),이현진(Lee Hyunjh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3

        유아 교육 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교육 콘텐츠의 증가로 교육 내용과 사용자를 위한 인터랙션이 다양해지면서 유아 교육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캐릭터의 비중과 수 도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캐릭터 수의 증가에 따른 교육 사이트 내의 캐릭터의 역할 변화를 고찰하고 이러한 역할 변화에 캐릭터 디자인이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량의 콘텐츠를 다루는 국내 유아교육 사이트에서 캐릭터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많은 수의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고찰하였으며 대량의 콘텐 를 보유한 유아용 교육 사이트에서의 캐릭터의 역할과 디자인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대상 사이트들에 사용된 캐릭터의 활용에 대한 발견 점을 바탕으로 대량의 콘텐 츠를 제공하는 유아용 교육 사이트에서 효과적인 캐릭터를 디자인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Due to the increasing amount of educational contents provided by various educational websites for preschoolers and 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ducational content itself and the users has become more prominent there has been a great growth in both the variety of characters and the value such characters possess.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the role of the characters in education contents has been evolving in a time of character overflow and to find a method of character design that proactively adapts to such evolution.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on character usage in various contents available on education websites for preschoolers and examined various roles and forms of characters deducted from education websites that possess a large quantity of contents for preschoolers to investigate an effective way of utilizing characters and to draw out a common feature from such case studies and to suggest a method of well practiced character design appropriate for on-line education contents.

      • KCI등재

        영아반 초임보육교사의 전문성지원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전문성 및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강은영(Eunyoung Kang),김진욱(Jinwook Kim) 한국보육지원학회 202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6 No.1

        Objectiv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i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s professionalism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is effective in professionalism, self-respect, and efficacy in teaching.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0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teaching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wangmyeong Gyeonggi-do.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20 teachers) and a comparative group (20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to the SPSS 22.0 program. To find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an intergroup difference, ANCOVA was conducted in the way of setting a pre-test score as a covariat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professionalism, self-respect, and efficacy in teaching.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gram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to become experts in their field.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

        강은영 ( Eunyoung Kang ),박윤정 ( Youn-jung Park ),서효정 ( Hyo-jeong Seo ),나경은 ( Kyong-eun Na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의 인식을 토대로 단위 학교 학급 및 교사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의미와 실행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발히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가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해 인식한 의미와 필요성을 파악하였고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천 정도와 걸림돌,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행하는 과정과 관련한 세부 요소 등에 대해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28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549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고 있었으며, 실천하고 있지 않은 교사들에게는 내적, 외적 걸림돌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과정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해 단위 학교의 노력과 함께 특수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한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 tried to find a way to actively implement curriculum reorganization by identifying the implementation aspects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at the unit school class and teacher level. To this en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identifi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vestigated, how they perceive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and obstacles was analyzed, and detailed factors related to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8 items was develop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49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30 were fully aware of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Secon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ed curriculum reorganization, and internal and external obstacles exist for teachers who do not practice i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implementation process, it was identified that support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s required along with the efforts of unit schools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 KCI등재

        개별화교육계획 기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방안 탐색: 교육적 요구 중심 개별화교육계획을 활용한 교과 내 재구성 사례를 중심으로

        강은영 ( Eunyoung Kang ),신영숙 ( Young-sook Shin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게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를 실천하고자 할 때 개별화교육계획이 어떠한 유기적 관련성을 맺으며 성공적인 수업을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개별화교육계획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탐색하고 사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생애주기적 관점에서 학령기의 학교교육 중심의 개별화교육계획(IEP)이 지니는 교수적, 지원적 기능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적용받는 교과 교육 과정을 재구성하여 개별 학생 맞춤형의 개별화된 수업으로 구현하는 과정과 이러한 수업을 통해 개별화교육계획에서 담고 있는 교육목표 달성까지도 연계되는 방안을 사례화하여 개별화교육계획 기반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개념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자폐성장애 학생 2명을 대상으로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과 수업 계획의 실제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다양한 유형의 개별화교육계획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사례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 활용될 것이며, 또한 전 학령기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례 개발의 기반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present example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based o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n order to practice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record) integratio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applied to special education subjects into individualized lessons based on a balanced understanding of the instructional and managerial functions of school-based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from the life-cycle perspective. Through these lessons, we tried to suggest a plan that can be linked to achieving the educational goals contained i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Two ca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disorder were presented as examples of national interest and lesson plans in special classes. Based on this, the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record) integration based o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will be prepared as a foundation that can be applied to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for all school ages.

      • KCI등재

        참여적 실행연구를 통한 연구자와 참여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강은영(Kang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적 실행연구 과정과 그 이후 교류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와 참여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참여적 실행연구를 실시하고, 2015년 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교사의 수업과 관련한 연구자와의 대화 및 교류의 과정을 수집하여 연구자와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자와 참여자의 지속적인 교류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가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 반성의 과정을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함께’ 거듭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를 연구자와 참여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적 실행연구의 과정이 종료된 후 연구자와 참여교사가 어떤 관계를 유지하고 어떤 노력을 기울이는지에 따라 연구의 장기적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of researcher and teacher through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rocess. For the purpose, researcher’s and teacher’s journal were collected during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cycle from May 2014 to August 2019, and after the cycle in-depth interview with the teacher were conducted.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er and the teacher looked a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n implication that the long-term effects of the study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researcher and the teacher maintain the relationship after the process of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 KCI등재

        최선의 개별화교육 실현을 위한 양방향 접근법을 적용한 특수학교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탐구

        강은영(Kang Eunyoung),박경옥(Park Kyoung-ock),박남수(Park Nam-su),박은희(Park Eun-hee),황정현(Hwang Jung-hyun),주교영(Joo Kyo-young),박지민(Park Ji-min),최연호(Choi Yeon-h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최선의 개별화교육 실현을 이루기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절차를 도출하고 이를 교과별 연간 교육과정 수립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수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것은 단위 학교 차원에서 과정이나 학년으로 묶인 집단적 맥락이고, 개별화교육계획(IEP)은 개별 학생의 차원이다. 이렇게 학교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이 지닌 고유 성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에서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IEP)을 논할 때, 같은 위계에서의 병렬적 구조로 언급할 때가 많아 개념적 갭(conceptual gap)이 존재하면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반교육과 특수학교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은 어떤 차원의 공통점과 차별점이 있는지를 밝혀내고, 양방향 접근법(two-way approach)적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양방향 접근법을 통한 특수학교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에 대해 제시하고, 특수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 내 교과별 연간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특수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학생들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하는 교육이 어떻게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실현되어갈 수 있는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탐색 과정을 통해 향후 특수학교의 존재 목적에 따라 개별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지닌 각각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하면서 동시에 학교 교육의 가치를 최대한으로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후속 연구들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cedure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to achieve the best individualized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and to explore ways to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n annual curriculum for each subject.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is a collective context tied to courses or grades at the unit school level, and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is at the level of individual students. Despite these differences 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when discussing the curriculum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in special education, they are often referred to as a parallel structure in the same hierarchy, creating a conceptual gap and confusion. has caused To this end, we discover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general education from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rocess, and developed a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rocess that applied a two-way approach.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s through a two-way approach is presented, and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rocedures in special schools are presented. Based on this, a plan for establishing an annual curriculum for each subject in the school curriculum was proposed. Through this study, the points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were emphasized, and based on this, a plan was proposed for how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of individual students can be realized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Through this search process, it was expected tha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istence of special schools in the future, it was expected that a detailed plan to realize the value of school education to the maximum while meeting the educational needs of individual special education students would lead to follow-up studies.

      • KCI등재

        학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의뢰, 선정 및 기각 사례 분석

        강은영(Eunyoung Kang),서효정(Hyojeong Seo),박윤정(Youn-Jung Park),신영숙(Young-Sook Shi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각 시도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학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뢰, 선정 및 기각 사례를 분석하고, 실제적으로 진단 및 선정하는데 적용하는 기준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2020년을 기준으로 전체 197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16.2%에 해당하는 32개의 특수교육지원센터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2018-2020학년도 학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의뢰 및 선정, 기각 현장 실태를 총 4가지의 유형(1: LD의뢰-LD선정, 2: 타장애의뢰-LD선정, 3: LD의뢰-대상자기각, 4: LD의뢰-타장애선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유형1이 가장 많았고(92명, 61.7%), 유형3(32명, 21.5%), 유형4(14명, 9.4%), 유형2(11명, 7.4%)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LD의뢰-LD선정(유형1)과 LD의뢰-대상자기각(유형3) 두 집단 간의 특징(어려움)의 유무의 비율 차이는 읽기, 쓰기, 수학 학업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그리고 6개 영역에서의 어려움이 있음(1)의 합계를 기초자료로 평균을 비교한 결과, 유형4 타장애선정 집단이 영역 전반에 걸쳐 어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로 의뢰, 선정 및 기각 시 지능 및 적응행동 검사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유형별로 검사결과의 경향이 상이하게 드러났다. 또한, 학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로 최종선정 및 기각에 대한 사유를 작성하는 진술 방식도 특별한 기준이 없이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주요 결과를 토대로 학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적격성을 진단함에 있어 활용되는 의사결정 기준의 명확화와 적용의 일관성을 위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erational definitions applied to the actual diagnosi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each provincial and region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s of 2020, 32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hich account for 16.2% of the total 197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types (1: LD request - LD selection, 2: request for other disability - LD selection, 3: LD request - rejection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4: LD request - selection for other disabilities) were examined. First, type 1 was the most common (92 persons, 61.7%), followed by type 3 (32 persons, 21.5%), type 4 (14 persons, 9.4%), and type 2 (11 persons, 7.4%).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aracteristics (difficulty) between the LD request-LD selection (Type 1) and Rejection (Type 3) groups was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writing, and mathematics academic domains. And in 6 domain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s with the sum of having difficulties (1) as basic data, the group selected for type 4 other disabilities had the highest difficulty across all areas. At the time of rejection, intelligence and adaptive behavior tests were used a lot, and the trend of test results was different for each type, and the final selection as a subject for special education with a learning disability and the statement method for writing the reason for rejection were also without special criteria. Based on these major results, implications for clarification of decision-making criteria used in diagnosing eligibility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consistency in application,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디자이너 자본주의 시대, 미술교육에 던져진 곤란한 질문들: 얀 야고진스키의 연구를 중심으로

        강은영(Eunyoung K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4

        이 글은 캐나다의 미술교육학자 얀 야고진스키(Jan Jagodzinski)가 창안한 개념인 ‘디자이너 자본주의’를 네 가지 측면에 서 검토하고, 이 개념이 미술교육 영역에 제기하는 질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디자이너 자본주의는 ‘겜블링 경제’라 불리는 금융자본주의의 문제 및 삶의 총체적 자본화, 기호가 지배하는 심미화된 소비자본주의의 세계, 디지털 기술과 영상 장치들을 이용한 통제, 그리고 자발적으로 지배에 순응하도록 스스로를 통제하는 주체 형성의 문제 등 오늘날 우리의 삶과 관계된 다양한 이슈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디자이너 자본주의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미술교육의 기초가 되는 감각, 지각 차원의 변형, 미술교육과 디자이너 자본주의와의 관련성, 전의식적 지배 체제 내에서 미술과 미술교육의 방향, 포획된 창의성 의 문제 등 미술교육과 결부된 질문을 찾아본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four aspects of designer capitalism , the concept introduced by Canadian art educator, Jan Jagodzinski, and discusses questions presented to art education through this concept. Designer capitalism is the concept encompassing diverse issues associated with our contemporary life such as capitalization of life on the whole as well as the problem of financial capitalism called gambling economy , the aestheticized world of consumer capitalism governed by symbols, control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imaging devices, and an issue of forming the selves that control themselves to comply spontaneously with the rule. Based on this analysis of designer capitalism, this article look for questions related to art education, such as transformation of sensation and perception underlying foundation of art education, the relation between art education and designer capitalism, the direction of art and art education within the preconscious governance system, and the problem of captured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