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수업 실태와 직업담당교사의 인식

        강영심 ( Kang Young Sim ),정현지 ( Jeong Hyeon Ji ),박지윤 ( Park Ji Yoo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수업의 실태와 직업수업 전반에 관한 직업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 133명이다. 설문지는 직업수업의 실태와 직업수업 전반에 관한 인식의 2영역 총 15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담당교사들은 직업수업을 취업을 위한 사전준비로 여겼고, 일상생활기술 향상을 중점 목표로 두고 있다. 직업수업의 실태와 관련하여 직업담당교사는 지적장애학생 수준을 고려하여 교사개인이 주로 수업을 계획하고, 실습과 체험을 통한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관찰을 통하여 학생의 성취도를 평가하며 그 결과를 부모와 개별적 상담을 통하여 협력하고 있다. 직업담당교사들은 직업수업 전반의 문제점을 지적장애학생의 중도ㆍ중복화에 따른 수준별 수업의 어려움이라 여겼고, 개선사항으로 취업으로 연결되는 다양한 직종 개발을 최우선으로 두었다. 직업수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연계학습을 원하고 있었다. 직업수업 연수는 지적장애학생에게 수업을 적용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직업담당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현장밀착형 연수를 우선순위로 뽑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ty of vocational class and vocational teachers’ awareness in overall vocational clas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133 vocational teachers who teach in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is organized reality of vocational class and awareness of overall vocational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 vocational teachers regard vocational class as advance preparation for employment, and they focus on improvement of daily living skills. In planning process for class, vocational teachers mostly make a plan for their class individually according to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mplement process for class, vocational teachers usually give a lesson for students to do vocational training practically. In evaluation process after vocational class, vocational teachers evaluate results through observation. Finally, they cooperate with mot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individual counsel. Many teachers perceive a differentiated clas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the most difficult thing. They suggest it is important to find various jobs linked with employment and to build up community networking for activating vocational class. They perceive that training for vocational teachers must to be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vocational teachers, which will help them to deliver an effective vacational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표현예술치료를 통한 학령기 폭력 트라우마가 있는 발달장애성인의 행동특성 변화

        강영심 ( Kang Young-sim ),옥혜숙 ( Ok Hye-sook ),김경 ( Kim K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표현예술치료를 통하여 학령기 폭력 트라우마가 있는 발달장애성인의 변화된 트라우마 행동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P대학 평생교육원에 다니고 있는 발달장애성인 3명이다. 연구 방법은 연구 참여자의 심층면담, 관찰일지, 반성적 저널, 프로그램 활동자료 등을 통해 질적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2019년 11월 25일부터 12월 21에 걸쳐 주 2회 평생교육원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 연구자가 참여하여 연구 참여자들에게 나타나는 행동 특성을 관찰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사전 · 사후 심층면담은 2020년 1월 4일과 1월 31일에 각각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회기는 주 4회 총 16회기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초기 단계에서 학령기에 자신에게 폭력을 행한 가해자에 대한 분노로 매우 불안정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기 단계에서부터 아픈 기억과 상황들을 편하게 이야기하기 시작하였고 가해자에 대한 원망과 고통을 표출하였다. 종결 단계에서는 뮤지컬 장면 속 음악, 움직임에 몰입하면서 힘들고 저항하지 못했던 과거의 기억들을 긍정적으로 해결하려는 모습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표현예술치료가 학령기에 또래로부터 폭력을 당한 발달장애성인의 트라우마 상처를 완화시켜 긍정적으로 행동이 변화되도록 지원하는데 유용한 중재전략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d trauma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 of violence trauma in school age through expressive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were thre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P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The research method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 journals, reflective journals, and program activity data.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classes held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twice a week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21, 2019, and observe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pre- and post-interviews for the program were conducted on January 4 and January 31, 2020, respectively, and the program session was conducted four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6 sessions. The participants showed very unstable appearance due to anger about the perpetrator who committed violence due to school-aged violence trauma experience in the early stage of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However, from the mid phase, he began to talk about sick memories and situations comfortably and expressed resentment and pain about the perpetrator. In the final phase, it was found that the musical scene was transformed into a positive way to solve the memories of the past that were difficult and unresistant while immersing themselves in music and m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pressive art therapy is a useful intervention strategy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rauma.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트라우마 기반 문제행동 중재방안 탐색

        강영심 ( Kang Young Sim ),손성화 ( Son Sung Hw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트라우마 반응으로 바라봄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을 보다 전인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와 문제행동 중재방법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트라우마에 대한 뇌신경생물학적 관점을 고찰하고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트라우마 반응의 유사성을 설명한 후 중재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문제행동 중재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차적으로 표출된 지적장애학생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제거해야하는 ‘나쁜’ 것이 아니라 트라우마에서 벗어나기 위한 생존반응임을 인식하고 지적장애학생에게 ‘필요한’ 것이라는 공감의 자세가 요구된다. 둘째, 문제행동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적장애학생의 삶의 역사를 충분히 수집하고 트라우마 경험을 지적장애학생 당사자의 관점에서 의미를 탐색해야 한다. 셋째, 지적장애학생의 트라우마 회복을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안전감을 담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트라우마 경험으로 무너진 지적장애학생의 자원과 역량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행복과 같은 긍정적 심리를 중재 과정에 포함해야 한다. 다섯째, 안전한 환경에서 지적장애학생을 중재하기 위하여 교사는 자신의 트라우마 반응을 탐색하고 자각하는 능력을 함양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상태로 지적장애학생을 만나야 한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트라우마의 재경험에 의한 생물학적 생존반응으로 해석하고 공감에 기반한 인간 중심 접근을 논의함으로써 문제행동 중재방안의 확장을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intervention method by viewing the problem behavior as a trauma-informed response from neurobiology perspective. The main implications for behavioral interven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re survival responses to escape from trauma and empathize with the problem behavior. Second, the history of the liv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uld be fully collected in order to understand behaviors in nature. Third, it is necessary to ensure a sense of safety for the trauma recover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urth, positive psychology such as happiness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ervention process to restore the resources and abilit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have collapsed due to trauma experience. Fifth, teachers should develop their ability to explore and perceive their trauma responses, and be in a safe and comfortable state. This study identified the trauma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discussed a careful approach that refl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considers problem behavior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a biological survival reaction caused by re-experience of trauma and discusses human-centered interventions that sympathize with their behavior.

      •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강영심(Kang, Young Sim)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

        본 연구는 교사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 속에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증진시켜주기 위한 교사 교육 전략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사범대학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을 하거나 연구를 수행한 실제적인 경험을 토대로 반성적인 사고가와 실천가로서 능력 있는 특수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저널쓰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사교육에 있어서 반성적 사고가 중요한 이유와 저널쓰기가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성과 유용성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저널쓰기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유의점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전교육, 현장 교육, 재교육에 시사 하는 바가 클 것이다. 특히 특수교육진흥법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으로 새롭게 제정되면서 교육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특수교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mportant role and meaning of reflective thinking in teacher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use of journal writing for improving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is a technique that has been used extensively in university contexts as a means of facilitating reflection, deepening personal understanding and stimulating critical thinking. That's why teaching is a learned profession, and reflection plays a crucial role during a teacher's learning process. The conduct of this study comes from a literatures review and the personal experience as a teacher educator and researcher of using journal writing for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Journal has various types and formats such as literature logs, reflective journal, and dialogue journals. Guidelines how to apply a journal writing in special teacher education were suggested in this paper. The first and foremost thing is to make a supportive learning community which encourages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to develop personal meanings attached to journals and to feel free to express in writing their understanding and response to an event, experience or concept. In addition to this explanation of the process and the content of journal writing, provision of a systematic guideline for writing journals and a variety of practical experience, elic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to write a journal, integrating method of the product of journal and grading system are suggested in detail. In conclusion journal writing helps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to develop reflective thinking and shared meanings, construct personalized theory, and promote critical thinking. Even though journal writing is certainly a time consuming activity and not free from its limitation, it is a very useful and economic tool for assisting preteachers in becoming better thinker and reflective practitioner.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