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통합교육 현장실습 경험 분석

        이미아 ( Lee Mi-a ),신수경 ( Shin Su-ky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 장면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해 예비특수교사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배우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광주지역 N대학에서 초등특수교육과 1학년을 대상으로 개설된 현장실습2 수강생 가운데 통합교육 현장(특수학급, 일반학급)에서 현장실습을 수행한 17명의 반성적 저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예비특수교사들 17명은 광주지역 3개 초등학교에서 13 주간 매주 1회 3시간씩 장애학생의 수업보조로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 통합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에 대한 인식, 특수교사가 되기 위한 준비의 3개의 핵심주제와 8개의 하위 영역을 도출하였다. 결론: 통합교육 현장실습을 통해 일학년 예비특수교사들은 기존 현장실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과 함께 추가적으로 통합교육을 위한 자질을 함양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through practicum experiences in the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 students who took Pre-practicum2 opened for the freshmen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t N University in Gwangju. 17 reflective journals on experiences in the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17 special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class support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ree hours once a week for 13 weeks at 3 elementary schools. Result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core themes and eight sub-areas were derived: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recognition of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inclusive education, and preparation for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onclusion: Through the practicum experiences in inclusive education, freshme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ble to cultivate the qualities for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benefits that they could obtain from the existing practicums.

      • KCI등재

        ADHD 남아의 교사지지와 또래지지에 대한 인식

        이미아 ( Mi A Lee ),권미지 ( Mi Ji Kw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남아가 인식하는 교사와 또래지지 수준을 알아봄과 동시에 이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부산·경남의 초등학교 3-6학년에 재학 중이면서 ADHD로 진단받은 남아 119명과 아동의 어머니 119명이다. ADHD 남아가 인식하는 교사지지와 또래지지 수준과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ADHD 남아들은 학급에서 교사나 또래로부터 긍정적인 지원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ADHD 남아가 인식하는 또래지지와 교사지지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라 ADHD 남아가 인식하는 교사지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또래지지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3학년 ADHD 남아들은 4학년이나 6학년 아동들에 비해 교사로부터 지지를 덜 받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자녀의 ADHD를 담임교사에게 공개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ADHD 남아들이 교사로부터 더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였지만 또래로부터의 지지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전업주부인 어머니를 둔 ADHD 남아의 경우가 직장을 가진 어머니를 둔 ADHD 남아에 비해 교사로부터 더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였지만 또래지지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eer support and teacher in children with ADHD. The Participants were 119 boys(3-6th grade) with ADHD and their mothers. Mothers were obtained general demographic informations. Teacher and peer support were measured with Classroom Climate Scale rated by the children with ADHD. These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frequency and mean using SPSS WIN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boys with ADHD gave negative reports with regard to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Second, emotional peer support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eacher support. Third,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boys with ADHD, but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peer support perceived by them. The 3th graders obtained the lowest scores for teacher support. Forth, we found that the boys who the teacher knew that student was ADHD perceived positively teacher support more than boys who the teacher didn`t know. Fifth, the boys of a full-time homemaker perceived positively teacher support more than the boys of employed mothers.

      • KCI등재
      • KCI등재

        장애학생 대상 자기관리 전략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이미아 ( Mi A Lee ),김정은 ( Jung Eun Kim ),황순영 ( Soon Young Hw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장애학생 대상 자기관리 전략을 적용한 중다 기초선 연구들의 효과성에 대한 기술적 분석과 메타분석을 통해 증거 기반 교육의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ㄱ) 2003∼2012년 사이에 관련 저널에 게재된 논문, (ㄴ)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 (ㄷ) 단일대상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 (ㄹ) 독립변인의 효과가 그래프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시된 논문의 선정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18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주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45%였으며, 평균 연령은 14.65세였으며, 지적장애와 자폐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의 72%가 증가표적행동을 목표행동으로 하였으며, 자기관리전략들을 결합한 형태가 많았다. 중재는 학교장면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목표행동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수집기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78%가 관찰자간/평정자간 신뢰도 데이터를 제시하였으나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자료는 22%만이 제공하였다. 모든 연구들이 유지데이터를 제시하였으나 일반화를 적용하고 결과를 보고한 경우는 22%에 그쳤다. 마지막으로 증가표적행동에 대한 PND 값은 자기관리 전략이 장애학생의 학업 및 일상생활 영역에서의 바람직한 행동 증가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보여주었다. 반면, 감소표적행동에 대한 PZD 값은 자기관리 전략이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udies conducted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We examined 18 single-subject research articles conducted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ublished in the journals in between 2003-2012 studies. Descriptive analysis and a meta-analysis were used. Through the descriptive analysis we found that Mean age the subject was 14.65 and 45% of them were attending at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in 61% of the studies. 72% of the studies focused on increasing appropriate behaviors. Analysis revealed that 61.1% of the used self-management packages that included prompts, self-monitoring, self-instruction, self-reinforcement. 72%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chools. Data collection techniqu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arget behaviors. In 78% of the studies, inter-observer reliability and/or inter rater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However in 22% of the studies, social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It was found that 22% of the studies collect generalization data. The PND score obtained in the studies that examined was found as 99.32% on average for the behaviors that were wished to be increase, compared with PZD score an average of 5.58% for the behaviors that were desired to be decreased. According to the PND and PZD scores, self-management strategies are an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appropriate behavior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ut they are ineffective for decreasing the undesirable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The Importance of Father Involvement in Agg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ADHD

        이미아 ( Mi A Lee ),이재훈 ( Jae Hoon Lee ),( Jean Ann Summers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ADHD를 가진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공격성에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아버지 양육참여는 ADHD아동의 공격적 행동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높은 아버지 양육 참여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높은 아버지 양육참여는 아동의 높은 사회적 유능성과 낮은 공격성과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에 재학중이면서 ADHD로 진단받은 아동 111명(남:99명, 여:12명)의 어머니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ADHD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가족정보, 아버지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공격성,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및 공격성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아동의 공격적 행동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동의 공격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father involvement and social competence to aggress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Participants included 111 mothers of a third- to sixth-grade child with ADHD (boys 99; girls 12), w t lived in Busan or KyKyKyNam in Korea. We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yKyanalysis in order to test a mediational relationship amoyKyfather involvement,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aggression. Our findings s twed that 99; girls 12), w t mproved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ADHD and this, in turn, Wecreased theigiaggressive behaviorsd- to siirls 12), w tdid notirlfluence child aggression digon ly butirlfluenced indigon ly via social competence.

      • 신입생 대학정응 프로그램의 정규 교육과정화에 따른 효과성 분석 및 향후 개선방안 탐색

        이미아(Mi a Lee),이순덕(Soon deok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3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생 의 대학적응 프로그램 (Let's 프로그램)의 정규 교육과정 화에 따른 효과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효과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2012학년도 남부대학교 신입생 중 5개 학파 130명 학생과 지도교수 5명을 대상으로 '자기관리와 진로탐색' 교과목을 시범적으로 운영하였다. '자기관리와 진로탐색'은 각 학과 지도교수, 교수학습지원센터, 인력개발원의 연계와 협력을 통해 신입생의 대학적응을 돕기 위해 개설한 교과목이다. 한 학기 동안 운영하였고, 사전-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한 63명의 자료를 가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수준이 프로그램 시행 후에 향상되었다. 특히 프로그램 적용 후에 사회적 적응과 개인 · 정서적 적응 수준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둘째, 신입생들의 진로결정 수준이 프로그램 시행 후에 향상되었다. 셋째 신입생들의 학업동기 수준은 프로그램 시행후에도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입생 대학적응 프로그램의 정규교육과정화를 위한 개선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효과적인 ADHD아동 아버지 참여 프로그램 개발

        이미아 ( Mi A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ADHD아동의 아버지와의 면담을 통해 ADHD자녀를 양육한 경험과 필요한 지원 등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ADHD아동의 효과적인 아버지 양육참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병원 및 소아정신과의 전문의에 의해 ADHD로 진단받은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ADHD아동의 아버지 7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DHD아동의 아버지들은 자녀의 양육과정에 대부분 소극적인 참여를 하고 있으며, 양육참여 행동은 형제간의 비교로 자녀의 문제가 부각됨과 동시에 체벌과 같은 처벌적인 양육행동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DHD아동의 아버지들은 자녀양육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크게 시간부족과 롤모델 부재로 인한 표현의 어려움, 자신의 감정조절에 어려움이라고 보고하였으며, 현재 가장 큰 고민은 자녀의 대인관계 문제와 부부관계 문제였다. ADHD아동 아버지들은 경제적 지원, 가족 참여프로그램, 실제적인 양육 정보 등에 대한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 참여 증진을 위한 전략과 함께 아버지 양육참여 증가를 위한 함의를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obstruction and acceleration factors of it. This study is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on 7 fathers of children with diagnosed with ADHD. Data about the experiences of the fathers` child-rearing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athers of children with ADHD participated in child-rearing passively. In addition, fathers compared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out ADHD and used punitive discipline strategies. Lack of time, difficulties expressing themselves from the absence of role models for father, and difficulties problems of emotional control interrupted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s were concerned about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ADHD and interactions with their wives. Fathers requested financial supports, familial programs camping with children with ADHD, and the effective information about child rearing. Strategies for increasing father participation are offered and implications for supporting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re provid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