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마르틴 부써(Martin Bucer)의 성찬론

        대우 ( Daewoo Hwa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5 생명과 말씀 Vol.11 No.-

        16세기 종교개혁자들 사이에 가장 심각한 신학 논쟁과 분열을 초래한 주제 중 하나가 바로 성찬론이다. 루터파와 츠빙글리파 사이에서 시작된 이 논쟁을 종식시키고 중재하기 위하여 헷세의 필립 공과 신학자 멜랑흐톤과 부써가 노력을 했으나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이런 와중에도 부써는 루터파와 츠빙글리파 사이의 성찬논쟁 속에서도 중심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두 진영의 성찬논쟁이 많은 오해들로 점철되었다고 보았기 때문에 그러한 오해들이 사라진다면 얼마든지 그진영을 하나로 연합시킬 수 있다는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 결실이 루터와 합의하게 된 1536년의 비텐베르크 일치신조였는데, 부써가 자신의 성찬론적 양보와 희생을 통해 얻은 결과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텐베르크 일치신조는 결과적으로 루터 진영에서뿐만 아니라, 츠빙글리 진영에서조차도 수용되지 못하는 치욕을 겪어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써의 노력이 헛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칼빈을 통해 결실을 맺었기 때문이다. 부써처럼 칼빈 역시 자신의 성찬론을 양보하고 희생함으로써 불링거와 함께 취리히 일치신조를 작성할 수 있었다. 부써의 성찬론은 처음부터 그 자신의 것이었는데, 이후 칼빈을 통해 알려진 영적 임재설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이었다. 부써 성찬론의 핵심은 교제, 즉그리스도와의 교제와 그리스도 안에서 성도 간의 교제였다. 그리고 이교제는 오직 살리는 영이신 성령을 통해 이루어지고, 이 교제를 통해성도들은 신앙적으로 자라간다고 부써는 주장했다. Since the 17th century, one debate theme, between reformers, has been the Lord’s supper. The core point of the debate ‘the body of Christ’ has been evaluated as realism and symbolism. Realism was supported by M. Luther and his successors and symbolism by Zwingli and his academy. Both opinions have been criticized in several different ways. For example, theologians from Switzerland and southern Germany, criticized that ‘consubstantiation’ is equal to ‘transubstantiation’ for Roman Catholics. Furthermore, Zwingli was attacked by the Vittenberg theologians. In this argument, Martin Bucer had been criticized for sometimes using Luther’s terms and insisting they were his own opinion, and sometimes he used Zwingli’s thoughts. In this article, I have insisted that Bucer is not just a mediator between two people but that he had his own opinion. Indeed, he was influenced by Luther (1524), and also by Zwingli (1525~1528), but he had kept his own theory from 1528 to 1536 in the name of ‘Bucerian.’The strongest evidence for his own opinion (koinonia with Jesus, in Jesus) is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articles about the Lord’s supper. If he was just a meditator for Luther and Zwingli, how did he keep the constancy? To introduce his theory, I have mentioned, according to the next orders, Manducatio Spiritualis, Praesentia Christi was described according to his personal articles. Also I have explained ‘the Lord’s Supper is the fellowship in Jesus and with Jesus.’ Likewise I have introduced the opinion on Luther and Calvin’s ‘spiritual presence’ to prove that Bucer’s theory was advanced through Calvin, and that Bucer’s opinion was covered by the arguement between Luther and Zwingli. As a conclusion, Bucer tried to keep his position between Luther and Zwingli to prevent a separation. e believed that they could both unite if they understood each other. The first fruit of his effort was produced in the Vittenberg Unity Creed (1536), even though that was ultimately refused by them both. However his core belief progressed to Calvin’s ‘spiritual pres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520년대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

        대우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9 생명과 말씀 Vol.23 No.1

        This paper is dealing with the territorial Reformation of Strasbourg, the southern city of Germany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political structure of Strasbourg was close to the ideal polity of Plato. The top political organization of the city was the small Council, in general called the City Council. The urban Reformation could not have happened without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Church and Government. It was not easy, because there were much disagreement of opinion on the urban Reformation between the Reformers and the members of the City Council. The first Reformer of Strasbourg was Mattäus Zell. He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works of Luther the Reformer of Wittenberg in order to preach evangelically. In 1523, three Reformers arrived in Strasbourg. They were Wolfgang Capito, Caspar Hedio, and Martin Bucer. Unlike the first two, the last was not invited. Bucer quickly increased his influence. Within a short time, he became the leader of the Strasbourg's preachers. The attitude of the preachers for the Reformation of Strasbourg always were active and positive while that of the city councilors usually were passive and negative. For the Reformers it was a divine mission to preach purely the Word of God. The councilors thought that the stabilization of the city was more important than the evangelical preaching. The conflicts between Strasbourg's preachers and councilors were results of those different attitudes for the Reformation. In spite of passive attitude of the city councilors, Strasbourg finally became the reformed city, so that she abolished the Mas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21 February 1529. The primary cause of the urban Reformation was the evangelical preaching of the Reformers. The citizens strongly supported them because of their enthusiasm of the pure evangelism. Consequently, the City Council commanded the preachers to preach the Word of God only. In fact, the enthusiastic preaching of the Reformers had gradually removed a lot of the socio-political difficulties and obstacles to the urban Reformation. In short, the Word of God was the motive power of the Reformation of Strasbourg in 1520s. 본 논문은 1520년대 독일 남부도시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을 다루고 있다. 16세기 스트라스부르의 정치 구조는 플라톤의 이상적인 정치구조에 가까웠다. 이 도시의 최고 정치 기구는 시의회라 불리는 소의회였다. 교회와 정부의 협력 없이는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은 불가능했다. 하지만 그 둘 사이의 갈등은 불가피했다. 왜냐하면 도시개혁을 위해 교회의 대표자들인 종교개혁자들은 언제나 적극적이고 능동적이었던 반면에 시의회는 거의 항상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자세였기 때문이다. 스트라스부르의 첫 종교개혁자는 마테 첼이었다. 그는 복음적인 설교를 하는데 있어서 비텐베르크 종교개혁자 루터의 영향을 받았다. 1523년에 3명의 종교개혁자가 스트라스부르에 들어왔는데 그들 중 부써는 초대받지 못했으나 빠르게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단 기간에 스트라스부르 설교자들의 리더가 되었다. 종교개혁자들은 개혁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신앙적 사명이라고 생각했던 반면에 시의회는 말씀보다 도시의 안녕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시의회는 도시가 무질서한 혼란에 빠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했기 때문에 때론 종교개혁자들과 대립하곤 했다. 비록 이런 갈등과 반목은 불가피한 일이었지만 스트라스부르는 결국 1529년 2월 21일에 미사를 폐지하기로 결정함으로써 공적으로 종교개혁을 수용했다. 스트라스부르 종교개혁의 성공을 이끈 주요 원인은 설교자들의 복음 설교였다. 스트라스부르 설교자들은 순수한 복음 설교를 통해 시민들의 지지지를 받게 되었다. 그 결과 시의회도 순수한 복음 설교 외에 다른 것을 설교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명령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이런 점에서 순수한 복음 설교에 대한 종교개혁자들의 믿음과 열정이 도시의 모든 정치적, 사회적 장애물을 극복하도록 만들었다. 한 마디로, 1520년대 스트라스부르 종교개혁은 하나님의 말씀이 승리한 사건이었다.

      • KCI등재

        Association of COL2A1 Gene Polymorphism with 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대우,김기택,이상훈,김정연,김동환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Vol.6 No.4

        asBackground: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DLS) progresses with aging after 50–60 years, and the genetic association of DLS remains largely unclear. In this study, the genetic association between collagen type II alpha 1 (COL2A1) gene and DLS was investigated. Methods: COL2A1 gene polymorphism was investigated in DLS subject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ts association with COL2A1 gene. Based on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database, SNP (rs2276454) in COL2A1 were selected and genotyped using direct sequencing in 51 patients with DLS and 235 healthy controls. The SNP effects were analyzed using three models of codominant, dominant, and recessiv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calculated for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and corresponding p-values, controlling age and gender as co-variables. Results: SNP (rs2276454) in COL2A1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in the codominant (OR, 1.90; 95% CI, 1.17 to 3.10; p = 0.008) and dominant models (OR, 3.58; 95% CI, 1.59 to 9.29; p = 0.001).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COL2A1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DLS in Korean population.

      • KCI등재후보

        하나님의 영광과 인생의 위로: 제2 제네바 신앙교육서 1-15문답과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 1-22문답 비교 연구

        대우 ( Dae Woo Hwang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29 No.-

        이 논문은 제2 제네바 신앙교육서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출발점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제2 제네바 신앙교육서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각각 작성의 배경이 다르다. 그리고 두 신앙교육서의 서두를 비교해보면 접근법이나 사용하는 용어, 출발점과 전개 방식에 있어서 확실히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을 아는 것을 인생의 목적으로 말하는 제네바 신앙교육서는 성부 중심의 창조론적이고 종말론적인 반면에, 그리스도께 속해 있다는 것을 인생의 유일한 위로로 말하는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그리스도 중심의 인죄론적이고 구원론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두 신앙교육서의 접근 방법이 형식적으로는 분명 다르지만, 내용적으로는 확실히 일맥상통한다. 왜냐하면 하나님을 아는 것과 인생의 유일한 위로는 구원의 양면이기 때문이다. 차이점이라면 제네바 신앙교육서가 구원 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출발하는 반면에,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구원받는 인간으로부터 출발한다는 것이다. 그 둘은 결국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만나게 된다. 인생의 목적이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라고 할 때, 그것은 인생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것이 유일한 구원의 길임을 제시한다. 마찬가지로 인생의 유일한 위로가 그리스도께 속해 있는 것이라고 할 때, 그것은 죄인의 비참한 인생의 온갖 문제가 오직 구세주이신 그리스도 안에서만 해결된다는 구원의 복음을 제시한다. This is the article to research the stating points between the Second Genevan Catechism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It was different for Geneva and Heidelberg to make out their own Catechism. It is sure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starting point, used words, and unfolding method between two Catechisms if the one may be compared with the other. For example, the Genevan Catechism starts proclaiming the honor of God in His creation and in eschatology in order to know God, whereas the Heidelberg Catechism begins soteriologically to say the only comfort in life and death by virtue of the works of Christ. The latter is Christ-centered, whereas the former is Father-centered. There are those different points not in contents, but only in form, style, or an approach method. The two Catechisms are in accordance with the substantial doctrines, because the recognition of God and the only comfort of human being are two sides of the human salv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techismsis is only one, that is how to approach. The Genevan Catechism begins to approach from God who redeems the mankind from sin and death, whereas the Heidelberg Catechism begins to approach form human being who should be saved from sin and death. These two ways happen to meet in Christ who was crucified, dead, and rose from the dead. Therefore, the Genevan Catechism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attempt to present only the soteriological way in Christ our Saviour.

      • KCI등재
      • KCI등재

        칼빈의 기도론 – 칼빈과 칼빈주의자들의 신학에서 기도의 자리

        대우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1

        This paper aims for two purposes. The one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alvin’s doctrine of prayer, and the other is to examine whether three representative Calvinists, Kuyper, Bavinck, and Warfield, succeed Calvin’s doctrine of prayer. Calvin is known as the theologian of double predestination because of his emphasis on God’s election and providence.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for us to think that Calvin would have stressed prayer. But Calvin is the theologian of prayer. For he deals longest with the chapter of prayer in his opus magnum,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Calvin distinguishes between the opus Dei and the opus hominis. He considers election and providence to be God’s work, while prayer is considered human thing. For Genevan Reformer, prayer is an obligation of all Christians because it is God’s command. Calvin teaches that the reason and basis for our prayers are only God’s commands and promises. In Calvin theology, both the providence of God and the prayer of believers are emphasized as major theological themes, whereas two representative Calvinists, Kuyper, and Bavinck stress only providence and tend to ignore prayer. What matters to the two Calvinists is the harmony between theological concepts, namely the logical consistency of theology that the prayer of us cannot conflict with the providence of God. However, Calvin does not seek the theological harmony between the two concepts, nor is he interested in the logical correlation between the theological subjects. Calvin’s doctrine of prayer is different from that of Calvinists in the 19th-20th century. For Calvin, the string to bind God’s providence with our prayer is the merits of Christ an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but for the Calvinists, it is the harmony and the logical consistency between the theological concepts. 본 논문은 두 가지 목적으로 작성되었는데, 하나는 칼빈 기도론의 특징을 분석 하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대표적인 칼빈주의자들로 간주되는 3명의 신학자, 카이 퍼, 바빙크, 워필드가 칼빈의 기도론을 계승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칼빈은 선택과 섭리를 강조했기 때문에 이중예정론자로 잘 알려져 있다. 그래서 칼빈이 기도를 강조했으리라고 상상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칼빈이 기도의 신학자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칼빈의 대작 『기독교강요』에서 가장긴 장은 기도를 다루는 장이기 때문이다. 칼빈은 하나님의 일과 인간의 일을 구분하는데, 예정과 섭리는 하나님의 일로, 그리고 기도는 우리 그리스도인의 일로 간주한다. 기도는 하나님의 명령이므로 그리스도인에게는 의무다. 우리가 기도해야 할 이유와 근거는 오직 하나님의 명령과 약속 밖에 없다고 칼빈은 가르친다. 칼빈신학에서는 하나님의 섭리와 신자의 기도 둘 다 주요 신학적인 주제로 강조되는 반면에, 대표적인 칼빈주의자들인 카이퍼와 바빙크는 섭리만 강조하고 기도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두 칼빈주의자는 칼빈과 달리 섭리와 기도가 상충될수 없다는 신학 개념들 사이의 조화 즉 신학 논리의 일관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칼빈은 그 두 개념의 상관관계를 고민하지도, 둘 사이의 신학적 논리의 일관성을 추구하지도 않는다. 기도란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것이므로 신자는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고민 없이 무조건 기도해야 한다고 칼빈은 가르친다는 점에서 칼빈의 기도론은 19-20세기 칼빈주의자들의 기도론과 확실히 다르다. 하나님의 섭리와 인간의 기도를 연결하는 고리가 칼빈에게는 그리스도의 공로와 성령의 역사 이지만, 칼빈주의자들에게는 신학적 개념들 사이의 조화나 논리적 일관성이다. 칼빈은 주장하기를, 진실한 믿음이란 기독교 신자들을 반드시 기도의 자리로 안내한다. 따라서 기도 없는 믿음이나 믿음 없는 기도는 칼빈 신학에서 성립 불가 능한 개념이다. 칼빈 기도론의 핵심은 기도가 신자의 사명이자 영적 특권이라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