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김혜영,고 승석,양순정,윤방우,탁진국 한국코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습관행동 변화과정 모형(탁진국, 권혜란, 김혜영 등, 2019)을 기반으로 하여, 식습관 개선 성공 요인(최경화, 김혜영, 한석빈, 탁진국, 2020)과 선행 연구에서 습관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 방법들을 토대로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식습관 개선을 희망하며 수도권에 거주 중인 19세이상 성인 중 전화인터뷰를 통해 선정된 20명을 실험 및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일대일 코칭을 진행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7명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 자기조절, 삶의 만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의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을 제외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프로그램 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에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간호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자원동원성과 지각된 건강상태

        김혜영,윤은지 병원간호사회 2010 임상간호연구 Vol.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ssess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among hospital nurs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resourceful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Methods:The subjects were 400 nurses working at three university hospitals. The data were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st to September 30th, 2008. Results: The rang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 was 71-185, the average score was 112.50, and the item mean was 2.16 (total 4). The range of resourcefulness was 9-50, and the average score was 16.56. The range of perceived health status was4-13, and the average score was 9.52.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sourcefulness (r=.473, p<.001), and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r=.176, p<.001).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resourcefulness, religion, working shift, sleeping hours, and exercise explained 58.6% of the varia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Especially, resourcefulness explained 53.2% of the varia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Conclusion:Resourcefulness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contributing to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김혜영,선보영,김상돈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0 No.18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사회의 저출산?고령화현상은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어 사회 전반에 커다란 충격으로 다가오고 있다. 현재와 같은 최저출산 현상은 결혼과 가족, 자녀가치관 등 의식차원의 변화로부터 정보기술의 발달과 이로 인한 노동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이르는 복합적인 사회변동의 결과라는 점에서 해법마련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저출산의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사회현상 가운데 하나가 바로 만혼 경향이다. 한국사회의 경우 평균혼인연령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데, 바로 이같은 결혼의 지체와 회피가 출산율을 약화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사회는 9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결혼 및 출산, 자녀가치관의 변화가 뚜렷하게 확인되고 있으며, 혼인연령의 증가 및 혼인율 감소에 따른 비혼 인구의 급속한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지속적인 혼인연령의 상승과 결혼에 대한 기피는 결혼 및 가족생활에 대한 개인들의 인식과 평가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현재 우리사회의 가족형태 및 생활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출산력 약화의 주요 원인으로 규정되는 젊은 남녀의 비혼 사유 및 가족의식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향후 저출산 정책에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따라서 저출산 정책은 비단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출산율 조절이나 출산장려 차원의 인구정책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취약계층 가족에 대한 다양한 지원정책에서부터 모든 남녀 근로자의 일가족양립을 지원하는 인프라의 구축 및 확대, 나아가 전반적인 가족의 삶을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으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가족친화적 사회환경조성에 관한 논의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위 결혼적령기를 넘어선 미혼여성, 즉 평균 결혼연령 이상의 미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결혼을 미루거나 회피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있다. 또한 이들의 결혼 및 출산의향과 구체적인 계획 등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결혼진입 및 출산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들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뿐만 아니라 미혼여성들의 결혼진입을 위한 지원정책의 선호도 및 욕구분석을 통해 향후 효과적인 가족정책 및 저출산 정책의 방향과 내용들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동일연령대 기혼여성들의 가치관 및 결혼선택 동기들을 미혼여성들과 비교함으로써 미혼 여성들의 결혼진입을 높일 수 있는 개인적, 제도적, 환경적 요인을 탐색하는 한편, 결혼연령과 출산자녀수의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만혼화가 저출산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2. 연구의 주요 내용 본 논의에서 다루는 주요한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만혼화에 대한 개념정의와 함께 만혼화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결혼 및 가족의식의 변화에 따라 결혼연령규범 역시상당부분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령규범에 대한 기?미혼여성 및 남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결혼의 의미와 주요한 조건에 대한 여성들의 태도와 함께 현재의 만혼화가 갖는 가족정책적 함의에 관해 논의하였다. 둘째, 평균 결혼연령을 넘긴 미혼여성들의 결혼 및 자녀가치관은 물론 이들의 직장생활 및 근로환경, 직업만족도, 향후 일가정양립의 전망과 이들의 결혼 및 출산의향 등을 살펴봄으로써 미혼여성들의 결혼의향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그러한 요인들의 상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셋째, 만혼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에 대한 규명과 함께 만혼의 경향과 출산율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결혼연령 및 출산율 변화에 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하는 한편,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결혼연령과 출산자녀수 및 향후 출산계획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결혼연령과 출산자녀수를 결정짓는 다양한 변인들을 탐색하였으며, 결혼연령과 출산자녀수와의 구조적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만혼화와 저출산의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끝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을 완화할 수 있는 주요 정책 방향과 내용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giving attention to the late marriages of women(the main cause of low birth rate), aims to 1) explore the living world of unmarried females along with the reason behind late marriages while looking at the main determinants of marriage decisions; 2) investigate the causal structures between female's age at marriage and childbirth.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not only what single females think of marriage and their value and attitude of family, but also the living world around them, future prospects and expectations of labor environment and one's occupation, judgments on work-family balance, and the order of priority regarding work, marriage, and childbirth. The causal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women's age at marriage and their number of children. The founding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single women of age between 29 and 44, had at least graduated from community colleges(76.9%) and were employed(96.5%). More than half of them were performing general office work and held an administrative position(62.9%) and had permanent employee status(75.1%). Such stable occupational status increases the expectation of single females on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However, the very same status can hinder unmarried women from getting married. In fact, by looking at married women, we found that females with higher occupational status got married at later age with fewer number of children while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single women thought of their career as not having any negative effect on their willingness to get married or the very judgment of doing so. However, unmarried females were less satisfied with maternity leave, had negative understanding of corporate culture discriminating women and heavy dependency on women regarding childbirth and nurturing, despite their stable occupational status. These factors, along with their stable occupational status, increase the opportunity cost of marriage for females. Meanwhile, more than half of single females responded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 marriageable age and showed higher receptivity on various family forms and gender role equality.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childbirth and children in amicable family life was well received. Unmarried females also seemed to have internalized the notion that parents should sacrifice for their children. According to the earlier studies, the more they agree on the value of children and accept the responsibility of parents on children, they were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perspective on getting married and childbirth.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arenting role and heavy burden of responsibility might have a negative effect on deciding to get married and to give birth. Secondly, while unmarried women in general are showing positive inclination and attitude toward marriage and childbirth, the group with higher education and income level(especially single females in their early 30s) is showing higher inclina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compared to that of other single female groups. The reason they are not married yet despite such high inclina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can be attributed to their awareness of change in socioeconomic status related to marriage. In other words, more than few single females are mentioning the burdensome nature of giving birth and nurturing while recognizing the difficulty of balancing work-family balance,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the pressure of becoming a parent. Thus, such hesitation on getting married and giving birth could imply how big the pressure women deal with by getting married and giving birth has on their inclination on marriage. This explanation is also supported b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clination of marriage. That is, for unmarried females, the sense and attitude toward family and marriage, how they perceive of marital resources and work-family balance, and the p

      • 비타민 E의 보충이 운동전후의 혈청 lactate 및 lactic dehydroge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필영,김혜영 龍仁大學校 體育科學硏究所 1997 體育科學硏究論叢 Vol.7 No.1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s of 4 weeks of α-tocopherol supplementation on physical performance and antioxidant activity during aerobic exercise. The subjects were eleven female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aerobics. The subjects were regularly trained for 1.5 hour/day, 6 times per week. The subjects were supplemented with 800 IU vitamin E taken as two capsules for 4 weeks. Fasting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exercise on the starting day(day 0)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and the ending day(day 28) of supplementation. The exercise on the day of blood collection consisted of 10 minutes of preparation, followed by 30 minutes of main aerobic exercise. The intensity of aerobic exercise was set at 75-80% of maximum heart rate of the subjects(150-160 beats/min). Plasma α-tocopherol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vitamin E supplementation. Serum lactate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but vitamin E supplementation did not change serum lactate concentration. Serum lactic dehydrogenase was affected by vitamin E supplementation and decreased significantly by α-tocopherol supplementation. Therefore, the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vitamin E itself does not improve physical performance, but shows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of the subjects.

      • KCI등재후보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김혜영,김세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4 예술경영연구 Vol.0 No.30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sugges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nd examine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First of all,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nd relative theories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 forms of establishing sense of place can be divided into two cases such as implement of placeness with memories and images of formative historic·cultural assets or changing, regeneration, of existing awareness on the space by giving new placeness intentionall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museums in Jeong-dong with both of the two forms and research model was drawn by predictors of outcome such as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place attachment,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which verifi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s of Jeong-dong were divided into physical, active·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detailed hypothesis which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and place attachment, physical factors such as location,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ttractiveness of appearance and comfort of internal environment made the most effects on placeness forming. Second, the placeness of museums in Jeong-dong was divided into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so as to explain with place attachment. As the result, place attachment of museums in Jeong-dong can be explained with only factors related to place identity. Place identity is the attachment caused by emotional and symbolic reasons rather than functions of the place. It indicates, visitors of museums in Jeong-dong feel that the place they visit is deeply related to themselves and very special, furthermore, visiting of the place explains and feels who they are. Third,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recognized by visitors visiting museums in Jeong-dong made an effect on the value perception whose medium was place attachment. The effects tha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made on the value perception directly without mediating effect of place attachment didn’t show significant value. Finally, i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perception of museum visitor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s which are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of this research model, visiting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s and revisiting opinion were increased as the value perception of visitors was higher. Particularly, revisiting intention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value perceptionthe mostly, so the necessity to form place attachment of museums wasconfirmed once again.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mplied are as follows. First, process and degree of contributing to place attachment must beconsidered rather than establishment of detailed factors so as to connec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to positive results such as revisiting, satisfactionand recommendation. Second, place attachment is made when they can interpret and experience byadding active·behavioral factors such as history, time, etc. to physical factors. In this sense, historic·cultural assets are very useful to form placeness ofmuseums. There are a few studies on placement in the field of domestic museums. So,research model drawn b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reliability and validityof relatively following researches. In the future, in-depth and objective studiesmust be conducted for museums which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qualitative studies which consider various variables are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과 관람객을 도시발전의 수단, 혹은 서비스의 차원에서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존의 정책과 마케팅 계획과 다르게 박물관이라는 장소와 관람객 사이에서 정서적으로 가치를 지각하고 장소성을 이끌어내는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근거에서는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제시하고 이 요인들이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가치지각과 관람행위의 결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우선 국내외 사례와 관련 이론을 고찰한 결과, 장소성 구축의 형태는 유형의 역사·문화 자산이 가지고 있는 기억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장소성을 구현하거나, 의도적으로 장소성을 새롭게 부여하여 그 공간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전환, 즉 재생하는 두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형태가 동시에 발현되고 있는 정동지역의 박물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세부 가설에서 정동지역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물리적, 활동·행태적, 심리적 요소로 구분하였을 때장소성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위치와 대중교통의 편리성, 외관의 매력성, 내부 환경의 편안함과 같은 물리적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성을 장소애착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 요소로 구분한 결과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애착은 그 장소의 기능보다는 감정적, 상징적인이유로 애착을 갖게 되는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요소만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확인하였다. 셋째, 정동지역 박물관에 방문한 관람객이 인지한 장소성 형성요인은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의 매개효과 없이 직접적으로 지각된 가치에 주는 영향은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박물관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와 본 연구모형의 최종종속변인인 관람행위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는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방문만족도, 추천의도, 재방문의사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박물관은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필요 이상의 의미가 존재하는 장소이므로 그 가치를 평가할 때 장소성 관점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장소성 형성구조가 후속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에 기여하기 바란다.

      • KCI등재후보

        Renal Sodium Transporters and Water Channels

        김혜영 대한고혈압학회 2013 Clinical Hypertension Vol.19 No.1

        Hypertension is closely related to salt and water retention. The kidne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blood pressure regulation primarily to modulating tubular sodium and water reabsorption. The regulation of the salt and water balance depends upon an array of solute and water channels in the renal tubules. An altered regulation of sodium and water channels in the kidney may be related to various pathologic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altered salt and water retention. This review will discuss renal handling of sodium and water, with particular emphasis on aquaporins and renal sodium transporters and chann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