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실습 지도교사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인식 탐색

        한호(Hanho Je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지도교사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고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지도교사의 실태에 초점을 두고 실시하였으며 실습일지, 집단면담,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습일지는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 35명(여 23, 남 12), 집단면담은 동일 대학 학부생 6명(여4, 남2)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심층면담은 수도권 소재 교육대학원생 3명(여2, 남 1)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도교사 수와 주변교사의 교육실습 참여정도에 따라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지도교사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지도교사를 ‘눈치를 보는 대상’이나 ‘무조건 친하게 지내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자신이나 학급학생들을 배려해 주는 교사를 교육실습에 도움이 되는 교사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교사들은 상하관계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형식소통이나 언행 및 말투를 지닌 교사를 교육실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센티브 제공, 지도교사 수 제한, 친밀감 형성 프로그램, 체계적인 멘토링 교육실습과정, 지도교사 연수프로그램 마련이 선행될 필요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하여 논의하고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student teachers’ preception of academic advisers in secondary schools, and then propose measures to support for secondary student teachers.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student teachers’ perception of the status of academic adviser in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Diaries of pre-service internship participant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the key data used in the current research. Diaries and group interviews were done by 35 undergraduates (23 females and 12 males) and 6 undergraduates (4 females and 2 males) in the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In-depth interviews of 3 students (2 females and 1 male) were carried out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Metropolitan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mpact of the student teachers to recognize academic advis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academic advisers and the degree of other teachers’ participation in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Second, the student teachers recognized academic adviser as ‘someone who should be noticed’ or ‘someone who should be made good close rapport’. Third, the student teachers recognized academic adviser who consider thoughtfully student teachers or class students as helpful teacher for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Fourth, the student teachers recognized academic adviser who has communication mode, vulgarity or tone based on hierarchical relationship as academic adviser who has a negative effect. The finding revealed that we need ‘incentive for academic adviser, limited the number of academic adviser, and facilitating program for rapport between academic adviser and student teacher’ for conducting a successful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Thes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수업설계 교육을 통해 나타난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특징 탐색

        한호(Hanho Jeo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교육을 통해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특징 및 인식의 변화를 탐색하고 수업설계와 관련된 교원양성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A대학 사범학부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27명)의 ‘수업시연 기반 수업설계 보고서’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도구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선언적인 차원’에서 ‘학습자의 개인차및 수준 고려’, ‘학습자의 수업참여 및 활동 강조’ 등과 같은 ‘학습자에 초점을 둔 수업설계’를 실시하 고자 노력한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교과 지도에 적합한 수업설계 이론 탐색’, ‘교과 지도에 적합한 교수자 역할 탐색’ 등 ‘교과 지도에 효과적인 수업설계’를 수행하고자 노력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수업설계의 중요성 및 필요성 이해’, ‘수업설계의 본질적 의미 파악’ 등과 같은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원양성기관에서의 바람직한 수업설계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struction design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instructional design of pre-service teacher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in college of education. In this paper, we collected ‘instruction design based on demonstrative lesson’ reports from 27 pre-service teachers in A university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A tool for analyzing the critical essays was produced. Through this paper, first,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pre-service teachers tried to design instruction ‘focused on learner-centered’ in ‘declarative dimension’, such as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levels of learners’, ‘emphasizing learner s participation and activity in class’. Second,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tried to design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for course lesson’, such as ‘exploring instructional design theory for course lesson’, ‘exploring the role of teacher to teach course contents.’ Third,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experienced ‘changes in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design’ such as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structional design’, ‘identifying the essential meaning of instructional design’ to teach students in classroom.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ions both for practice and theory regarding ‘instruction design education’ to train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 KCI등재

        학교현장에서 발생하는 사이버폭력 실태와 대처방안에 대한 고찰

        한호 ( Hanho Jeong ) 한국소년정책학회 2012 少年保護硏究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yber violence and the cyber phenomenon of school violence, and to establish the basic perspective in order to eradicate cyber violence in school. Damage and severity of school cyber violence has gradually increased in spite of the variety of educ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enactment of positive la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maintenance, promotion measures are being prepared. The cause of these symptoms is the issue of countermeasures to prevent cyber violence rather than the issue of the basic perspective of cyber violence in school.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school violence issue and plan fundamental measures to prevent school violence, we should identify the scope of the cyber violence issues and need to access the cyber violence school issues in terms of the relevance of the traditional school violence. In additions, we should consider the overall school environment in order to effectively approach the problem of cyber violence in school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cyber violence in school are being discussed.

      • KCI등재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중등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

        한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tual conditions of secondary student teachers' instruction design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um and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the instruction design. Diaries of teaching practicum,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the key data in this study.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at was based an adaptation, harmony, and chang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econdary student teachers' instruction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 secondary student teachers experienced practical knowledge of instruction design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These were framing of lesson plans, preparing of materials, producing of materials, formulating of strategies, and activating of the integrations between teachers-students and students-students. However guidance teachers' apathy to their student teachers had been declining opportunity for observing classroom instruction or practicing instruction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and some student teachers had to finish their teaching practicum without actual experiences of instruction design. Through this study, even though there was general planning to conduct teaching practicum, each guidance teacher decided to on having opportunities of observing classroom instruction, designing instruction, practicing instruction, and conducting open teaching without defining basis. There were phenomena in all of the data, such as diaries of teaching practicum,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Through this study, it observed that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um' depending on the guidance teach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실태를 파악하고 수업설계와 관련된 수업실습 및 교사교육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성화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및 교육대학원에서 교직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일지, 집단 및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적응, 조화, 변화를 기반으로 한 생태학적 관점으로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 경험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등 예비교사들은 수업지도안 작성, 자료준비 및 제작, 학급상황에 적합한 수업전략 수립, 교사-학생 및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 유발과 같은 수업설계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을 교육실습과정 속에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도교사의 무관심은 예비교사의 수업참관 및 수업기회를 제한하였으며 이로 인해 일부 중등 예비교사들은 수업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 없이 교육실습을 마치는 경우도 있었다. 연구결과, 학교마다 수업실습에 대한 기본 안내서가 있었지만, 수업참관, 수업설계, 수업실습, 공개수업 횟수는 주로 지도교사의 ‘말 한디’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교육실습일지, 집단면담, 심층면담에서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수업설계 및 수업수행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지도교사를 만나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는 ‘교육실습의 질’에 큰 차이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수업지도안 작성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호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lesson plan design among novic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abilities to design lesson plan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us of lesson plan desig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teach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one male teacher, three female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qualitative data from Colaizzi's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o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individual ‘correction' helps to improve their lesson plan writing skills. Second, the ‘closed nature' of school culture and ‘indifference to clas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novice teachers’ ability to design lesson plans. Third, the novice teachers felt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ir lesson ideas. Fourth, the novice teachers had difficulty creating lesson plans from ‘various school events’, ‘school authorities’ emphasis on the use of media, and ‘students' learning gap.’ Fifth, the novice teachers perceived the design forms for lesson plans currently being used in schools as a formal framework to be shown to those outside the class. Sixth, unlike experienced teachers, novice teachers created lesson plans as practical tools for preparing their lessons. Thes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초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주기 위해 수업지도안 작성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직경력 5년 미만의 초임교사(남 1, 여 3)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현상학적 분석 방법인 Colaizzi 방법으로 면담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들은 개별적으로 실시되는 ‘첨삭지도’가 수업지도안 작성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교문화의 ‘폐쇄성’과 ‘수업에 대한 무관심’은 초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수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다. 넷째, 초임교사들은 ‘각종 학교행사’, ‘학교당국의 매체사용 강조’, 그리고 ‘학생의 학습능력 차이’로 수업지도안 작성에 어려움을 겪었다. 다섯째, 초임교사들은 현재 학교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업지도안 작성 양식을 외부에 보여주기 위한 형식적인 틀로 인식하였다. 여섯째, 초임교사들은 경력교사와 달리, 자신의 수업 준비를 위한 실제적인 도구로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하여 논의하고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나타나는 기독 예비교사의 인식 및 만족도 탐색

        한호 總神大學校 2006 總神大論叢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예비 기독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고 기독교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예비교사 양성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4년제 기독교 대학 사범학부의 기독교교육, 영어교육, 역사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대학에서의 교원양성교육이 학교현장실습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실행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지도교사의 자질과 예비교사 지도에 대한 예비 기독교사의 인식이 부정적이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교현장실습이 예비 기독교사의 교사로서의 역량 강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나타나는 예비교사의 영적, 지적, 인격적, 신체적인 요소를 탐색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예비교사 양성방안을 제언하면, 첫째,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기독 교사로서의 정체성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과 학교현장 간의 학교현장실습협의체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현장실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내용 추출과 지도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계기로 예비 기독교사의 양성 및 학교현장실습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의미있는 연구가 지속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CBT(Computer Based Test)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만족도 및 문제점 인식 분석

        한호 ( Han Ho Je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CBT를 활용하여 2008학년도 중간고사를 수행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만족도 및 문제점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CBT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만족도 및 문제점을 학습효과, 평가시스템, 평가환경, 문제풀이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들은 새로 도입된 CBT에 대해서 만족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문제점도 인식한다는 사실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CBT에 대한 만족도 질문에 긍정적인 의견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환경과 학습효과 측면에서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시스템과 문제풀이 측면에서는 보통수준을 조금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시스템 및 문제풀이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문제점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는 연구 참여자들의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문제풀이에 대한 만족도는 성별, 문제풀이에 대한 문제점은 학년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가 앞으로 초등교육 현장에서 CBT가 확대발전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tudents` satisfaction and problem awareness on CBT. Elementary students from fourth through six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problem awareness on CBT-learning effectiveness, evaluation system, evaluation atmosphere, and solving the questions. Finding indicated that elementary students were contented with the CBT use, but they also recognized the CBT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 students expressed a positive awareness to the questions of CBT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rate was high in evaluation atmosphere and learning effectiveness, evaluation system and solving the questions were slightly above the mediocrity. However, the satisfaction rate was relatively low and problem rate high at the evaluation system and solving the questions. There were the highs and lows in the satisfaction rate with evaluation system on the grade and the distinction of sex.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CBT in elementary school, and furnish useful information to the CBT interest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