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東의 歌辭와 祭文에 나타난 친정 형제에 대한 정서 표출 양상과 그 의미

        정인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aspects and their meanings of expressing emotions for siblings in Lee dong’s gasa and funeral oration. It is often found in women's gasa that they miss their parents. But in Lee dong’s gasa and funeral oration, the emotions for siblings are often expressed. First, expressing emotions for older siblings is as follows. She expressed her bitterness and pity for her older sisters' unhappy life. Her brother was a symbol of the home of her birth. She expressed her gratitude and tenderness toward her older brother. Second, expressing emotions for younger siblings is as follows. She expressed the sorrow of bereavement through the funeral oration for her younger sister and brother. In particular they were recognized as grateful and sorry for the memory associated with her son and daughter. In this way, Lee dong expressed various emotions by symbolizing the brotherhood through gasa and funeral oration. The various emotions revealed in these works are the various forms of expression of brotherhood in the end. It was seen that the pride of the family and the self-identity of the family were working. 정인숙, 2019, 이동의 가사와 제문에 나타난 친정 형제에 대한 정서 표출 양상과 그 의미, 184 : 89~112 이 글은 이동의 가사와 제문에 나타난 친정 형제에 대한 정서 표출 양상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여성의 가사에 흔히 친정 부모를 그리워하는 내용이 발견되는 것과는 달리 이동의 작품에는 친정 형제에 대한 소회를 표출한 경우가 많은 점에 주목하였다. 손위 형제의 경우 두 언니에 대해서는 그들의 불행한 삶에 대한 원통함과 연민의 정서가 단편적으로 포착되었고, ‘친정’을 상징하는 존재로 기억 환기된 오빠에 대해서는 애틋한 정서가 자전적 기억 속에서 확인되었다. 그런가 하면 손아래 형제는 각각의 제문을 통해 사별의 비애와 상실감이 표출되는 양상이 확인되었고, 따뜻한 시선을 견지한 긍정적 표현을 포함하여 자식과 관련된 기억 속에서 고마움과 안타까움 등이 포착되었다. 작품에 드러난 여러 감정은 ‘형제애’의 다양한 표출 형태라 하겠는데 여기에는 친정 가문에 대한 자긍심과 친정 가문의 일원이라는 자기정체성이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 KISE-적응행동검사 개발 연구

        정인숙,강영택,김계옥,박경숙,정동영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13

        본 연구는 우리의 사회ㆍ문화적 맥락과 생활양식에 적합한 적응행동검사인 KISE-적응행동검사를 개발하여 정신지체학생과 같은 장애학생을 판별하는데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KISE-적응행동검사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국내 외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적응행동검사를 분석하여 적응행동검사의 구성요인, 평가방법 및 해석방법을 분석하여 KISE-적응행동검사의 모형을 개발한 다음,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장면을 중심으로 939개 문항을 개발하고 실험적용을 통해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한 문항의 양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유치원 및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17세의 학생 가운데서 559명을 표집하여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문항의 양호도 분석 결과에 의해 문항을 검토한 후 변별력이 낮은 문항을 삭제하고 242개 문항을 최종 검사문항으로 선정한 후 하위 검사별로 산출한 문항의 곤란도 순서대로 문항을 배열하였다. 본 연구의 표준화검사는 전국의 유치원 및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17세의 학생 중에서 일반학생 1,776명과 정신지체학생 1,765명, 총 3,5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표준화 검사의 분석내용은 규준작성 및 해석에 필요한 기초 통계와 신뢰도 검증ㆍ타당도 검증으로 크게 구분된다. 규준 작성 및 해석을 위한 통계자료는 각 연령별 환산점수, 개념적 적응행동ㆍ사회적 적응행동ㆍ실제적 적응행동 지수 및 전체 적응행동 지수 및 전체 적응행동 지수의 산출, 하위검사간의 점수 차이 및 평균에서의 이탈도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반분 신뢰도와 측정의 표준오차ㆍ재검사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KISE-적응행동검사와 사회성숙도검사간의 공인 타당도와 KISE-적응행동 검사의 하위검사 상호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ISE-적응행동검사는 우리의 사회ㆍ문화적 맥락과 생활양식에 적합한 문항으로 개념적 적응행동검사, 사회적 적응행동검사, 실제적 적응행동검사를 구성하고 일반학생을 규준으로 적응행동을 평가하되, 정신지체학생의 경우 그들의 규준으로도 적응행동을 평가 하도록 규준을 산출하였으며, 적응행동도 지능과 동일하게 편차단위로 해석해야 적응행동의 지체 정도를 분석하는데 용이하고 피검자의 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도 쉽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차지수를 이용하여 적응행동 점수를 해석하는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KISE-적응행동검사의 신뢰도 검증 결과, 각 하위검사의 반분신뢰도는 일반학생의 경우 평균 .67에서 .98의 범위 내에, 정신지체학생의 경우 평균 .71에서 .99의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고, 개념적 적응행동검사ㆍ사회적 적응행동검사ㆍ실제적 적응행동검사 및 전체 적응행동검사의 신뢰도는 일반학생의 경우 .94, .92, .80, .90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지체 학생의 경우 .97, .96, .96, .99로 나타났다. 측정의 표준오차도 개념적 적응행동검사ㆍ사회적 적응행동검사ㆍ실제적 적응행동검사 및 전체 적응행동검사에서 일반학생의 경우 2.74, 3.10, 3.43, 1.75으로 나타났고, 정신지체학생의 경우 3.94, 4.54, 5.21, 2.82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모두 대체로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계수로 KISE-적응행동검사는 신뢰로운 검사라 할 수 있다. 셋째, 타당도 검증에서 KISE-적응행동검사와 사회성숙도검사와의 상관계수는 개념적 적응행동검사ㆍ사회적 적응행동검사ㆍ실제적 적응행동검사 및 전체 적응행동검사에서 일반 학생의 경우 중학교 2학년에서 .67, .80, .76, .86, 정신지체학생의 경우 중학교 2학년에서 72, .61, .83, 78로 나타났다. 이것은 KISE-적응행동검사와 사회성숙도 검사는 서로 다른 배경과 적응행동에 대한 정의를 기초로 제작한 것이나 둘이 밀접한 상관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KISE-적응행동 검사는 타당도 높은 적응행동 검사라 할 수 있다. 넷째, 전체 연령에서 개념적 적응행동검사ㆍ사회적 적응행동검사ㆍ실제적 적응행동검사 및 전체 적응행동검사간의 상호 상관 분석 결과, 일반학생과 정신지체학생 모두 비교적 검사간에 상관을 나타내어 KISE-적응행동 검사는 검사영역간에 비교적 상관이 높은 검사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발한 KISE-적응행동검사는 연구 수행상의 제한점과 함께 앞으로 현장에서 활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계속 수정ㆍ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KISE-적응행동검사는 개발 결과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보다 신뢰롭고 활용성이 큰 검사로 발전해야 한다. 따라서 KISE-적응행동검사는 적응행동지수 및 각 하위검사 점수들에 대한 해석을 위해 본 연구에 제시한 분석방법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이탈도 분석을 다양하게 시도해 볼 필요가 있으며, 각 장애영역과 관련하여 임상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고, 보다 예언력 있는 검사가 되기 위해서는 각 하위검사에 대한 요인분석을 시도해 볼 필요도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s of adaptive behavior which is suitable for ou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s a basic and compulsory instrument in order to identif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social adaptive scales in order to produce a model of Korean adaptive behavior scale and to develop items which fits Korea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n we selected items through experimental trials. 559 students from K through 12, at the age of 2-17, were sampled in order to decide the item quality. According to the item analysis results, 242 items were finally selected and arranged by the item difficulty for each domain. For the normative procedure of this study, 1,776 non-mental retardation student sample and 1,765 mental retardation student sample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 The analysis of the standardized test results included statistics for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order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scales, converted scores by age,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soci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practic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total quotient, score differences among domains, and deviance from the mean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SE-scales adaptive behavior consists of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social adaptive behavior, and practical adaptive behavior domains. The items were develop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suitability to the Korea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scale was standardized on two groups,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students without mental retardation. Therefor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can be evaluated by two different norms. The interpretation of scores was based on deviation quotient as in intelligence tes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gree of retardation of adaptive behavior skills and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plans for the examinees. Second, examining the reliability reveled that the split-half test reliability for normal students fell between .71-.99 and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t fell between .73-.99.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soci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practic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total scales reliability were shown as .94, .92, .89, .91 for normal students and .97, .94, .96, .96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tandard errors of measurement of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social adaptive behavior, practical adaptive behavior domain and total scales reliability were shown as 2.74, 3.10, 3.45, 6.45 for normal students and 3.94, 4.54, 5.21, 7.56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fine. Third,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scale revealed that correlation coefficeint between KISE ?scales adaptive behavior and Korean modified ABS-SE for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soci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practic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total scale reliability were shown as .72, .61, .83, .78 for normal students and .82, .80, .84, .84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values suggests that supportive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s. Fourth, intercorrelation of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domain, social adaptive behavior domain, practical adaptive behavior domain and total scale through all ages suggested that normal students and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howed relatively independent results. KISE ?scales adaptive behavior needs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issues and problems which will occur in the field. Follow-up studies such as factor analysis of each domain, investigati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disability are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 and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types of deviance analysis can be expec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