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접촉 폭발 하중을 받는 RC 슬래브의 국부 손상 및 내폭 성능 평가

        리령,이진영,민경환,윤영수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RC 슬래브의 접촉 발파 실험을 수행하여 내폭 성능을 평가하였다. RC 슬래브의 내폭 성능 향상을 위해 섬유 보강과 외부 CFRP 시트 보강을 도입하였다. 폭발하중 실험은 2,000×1,000×100mm RC 슬래브를 제작하였고, 일반 콘크리트와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VA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적용하였다. 접촉 발파로 생긴 RC 슬래브의 손상 정도를 크레틀, 스폴과 브리치의 직경과 깊이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를 LS-DYNA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과 Morishita 등의 예측식으로 검증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LS-DYN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크레틀, 스폴, 브리치의 직경 및 깊이에 대한 개략적인 예측이 가능하며, 폭발하중 하에서 손상부의 거시적 거동을 모사함으로써 부재의 파괴 이력을 나타낼 수 있었다. 국부 손상에 대한 세가지 예측식이 소개되어 있으나 경험식으로써의 한계가 존재하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resistance of various reinforced concrete (RC) slabs subjected to contact detonation was assessed. In order to enhance the blast resistance, fibers and external FRP sheets were reinforced to RC slabs. In the experiment, the 2,000×1,000×100mm sized RC slabs were fabricated using normal concrete (NC),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C), polyvinyl alcohol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 (PVA FRCC), and ultra-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 (UHPCC). The damage levels of RC slabs subjected to contact detonation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diameter and depth of crater, spall and breach.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analyzed data using LS-DYNA program and three different prediction equations. The diameter and depth of crater, spall and breach were able to be predicted using LS-DYNA program approximately. The damage process of RC slabs under blast load was also well expressed. Three prediction equations suggested by other researchers had limitations to apply in terms of empirical approaches, therefore it needs further research to set more analytical considerations.

      • KCI등재
      • KCI등재
      • 다의동사 ‘뜨다’의 의미확장을 중심으로

        리령(李玲)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1 중국조선어문 Vol.232 No.-

        언어의 어휘구성 가운데서 동사는 명사와 함께 중심적 위치에 놓여있다. 그중에서도 다의성 동사가 적지 않은 량을 차지하고 있는바 기타 어휘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언어교류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동사의 본 의미를 바탕으로 다양하게 확장된 의미에 대한 분석과 연구 및 통사적 대응관계에 대한 연구는 중한 언어대비 연구에 있어서 매우 필요하고 중요한 과제이다. 본고에서는 동사 ‘뜨다’의 의미를 중심으로 하여, 이 단어의 본 의미를 비롯하여 확장된 다양한 의미가 핵심적인 의미와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 홍무제(洪武帝)의 화약(火藥) · 화포(火砲) 지원과 고려 수군의 재건

        이영(李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6 No.7

        고려 조정은 왜구 금압을 위해 왜구의 침구 빈도(頻度) 규모 그리고 그 패턴에 따라 단계별로 다양한 정책을 세워서 대응해왔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학계의 연구 성과 또한 적지 않다. 그렇지만 이러한 선행연구(先行硏究)도 고려의 왜구 대책 중 어떤 것이 왜구 금압에 가장 효율적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고찰(考察)이 없었던 것 같다. 모든 왜구 대책을 대상으로 고찰하기는 어려우므로 고려의 군사 대책, 특히 그 중에서도 수군(水軍) 대책에 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고려가 취한 다양한 왜구 대책 중에서 군사 대책, 그 중에서도 수군 대책이 가장 직접적이며 적극적인 것이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庚寅年(1350)의 왜구 침구로부터 약 20여 년 동안, 고려의 수군은 거의 붕괴(崩壞)상태였다. 그러다가 공민왕 22년(1373) 무렵에 와서야 비로소 수군의 재건이 시작된다. 이러한 재건에 명의 홍무제가 화약(火藥)과 화포(火砲)를 지원하는 등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에 관해서는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우선 경인년(1350) 이후, 고려 멸망 시까지의 약 43년간 전개된 해상 충돌(海戰, 海上 遭遇, 왜구의 기습 공격 등)의 사례를 (1) 경인년 이후 恭愍王 22년(1373) 9월까지의 시기 (2) 공민왕 22년(1373)부터 禑王 3년(1377) 9월까지의 시기 (3) 화통도감(火㷁都監) 설치(1377년 10월) 이후 등 세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로 왜구와의 해상 충돌 상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1) 기간 동안에 고려는 왜구와의 해상 충돌 상황에서 크게 열세를 보였다. 그러다가 공민왕 22년(1373) 10월부터 고려는 함선을 대대적으로 건조하면서 수군을 다시 조직하기 시작한다. 그 계기가 되었던 것이 바로 그 해 6월에 왜구가 한강(漢江) 하구(河口)에 위치한 양천(陽川: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 일대)를 침구해 수도 개경(開京)의 안전이 크게 위협받게 된 사건이었다. 그리고 보다 더 결정적인 원인으로 홍무제가 고려에 보낸 조서(詔書)의 영향을 지적할 수 있다. 왜구들이 양천에 침구한 다음 달인 7월에 홍무제(洪武帝)가 고려에 서신을 보내어 고려의 대명(対明) 정책에 여러 가지 불만을 제기하면서 고려로 하여금 함선을 건조해 왜구 대책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만약 자신의 지시에 따르지 않으면 앞으로 고려를 정벌하겠다고 협박해왔다. 그런데 홍무제가 고려에 대하여 함선을 건조해 왜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라고 요구한 것은 당시 명나라가 자국 내에서도 실행에 옮기고 있던 것이었다. 즉, 왜구가 점점 더 빈번하게 침구해오는 것에 대응해 명은 스스로도 함선을 건조해 이에 대응해가고 있었다. 이처럼 공민왕 22년(1373) 10월, 함선의 건조를 시작하면서 고려 수군의 재건을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 많은 함선이 건조되었음을 여러 가지 사료를 통해서 확인된다. 그러나 함선의 건조만으로 왜구와의 해상 충돌에 있어서의 열세를 극복할 수는 없었다. 오히려 새로 건조된 함선이 왜구의 공격으로 소실되기도 했다. 홍무제의 요구에 부응하는 형태로, 공민왕은 같은 해 10월에 전함의 건조를 명령하고 또 새로 만든 병선을 검열하며 불화살(火箭)과 화통(火筒)을 시험 발사한다. 그리고 바로 다음 달인 11월에는 명나라 중서성(中書省)에 대하여 화약 공급을 요청하였다. 이어서 다음 해인 공민왕 23년(1374) 1월에 정지(鄭地)가 수군을 재건할 것을 건의하며 이에 대응해 고려 조정은 양광도(楊廣道)와 전라도(全羅道)에 안무사(按撫使)를 파견해 포왜만호(捕倭萬戶)를 겸직하게 한다. 이러한 고려의 대응에 대하여 명나라도 적극적으로 호응한다. 공민왕 23년(1374) 5월에 고려의 지원 요청에 거부의사를 중서성(中書省)에 대하여 홍무제가 고려에 대한 화약 지원을 명령한다. 한편, 일찍이 화약과 화포로 왜구를 격퇴할 수 있을 것으로 믿었던 최무선은 그 개발에 주력하였고 이에 더해 홍무제의 지원에 힘입어 고려는 마침내 화통도감(火㷁都監)을 설치해 화약과 화포의 지속적인 자체(自體) 생산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고려는 왜구와의 해상 충돌 상황에서 그때까지의 열세를 극복하고 해전에 자신감을 갖게 된다. 우왕 6년(1380)의 ‘진포구(鎭浦口) 전투’ 그리고 정지(鄭地)의 남해(南海) 관음포(觀音浦) 전투 등, 고려는 왜구와의 해전에서 고려는 큰 전과를 거두며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게 된다. 이러한 전투력 강화와 자신감의 축적 속에서 고려는 마침내 왜구의 본거지 대마도(對馬島)에 대한 원정도 단행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In the year of 1350, Waegu(倭寇, Japanese pirates) started to invade the Korean peninsula, but at that time Koryo’s navy was almost in a state of collapse. Then in the year of 1373, Koryo began to rebuild its navy. But the fact that Hungwu emperor had influenced its rebuilding by giving gunpowder and artillery to Koryo is not well known. In this article, I analyzed the various cases of collision at sea between the navy and Waegu(naval battle, surprise attack by Waegu, encounter at sea), dividing three periods which are (ⅰ) from the year of 1350 to the September of 1373 (ⅱ) from the October of 1373 to the September of 1377(the period which Koryo dynasty started to build its naval ships) (ⅲ) from the time of the installa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of weaponry(Hwatongdogam, 火㷁都監) to the year of 1392(the collapse of Koryo dynasty). As a result, the one of the decisive reasons of rebuilding Koryo’s navy was Hungwu emperor’s strong command to the Koryo dynasty of defending the Waegu. Hungwu emperor demanded to defend the invasion of Waegu by shipbuilding of battleships and if not, he would attack Koryo. At that time, Ming dynasty was also carrying the shipbuilding against the Waegu invasion. Responding to the waegu invasion happening more and more frequently, Ming dynasty by itself was making the battleships. Like this, the rebuilding of the Koryo dynasty’s navy began by making battleships. And it is well known that many battleships were made in this period through various historical records. But Koryo couldn’t overcome the military inferiority against the waegu just by making many battleships. All the more, many Koryo’s navy battleships were burned out by the attack of Waegu. Therefore, the king Kongmin asked for help to the Zhungshusheng(中書省) of Ming dynasty the gunpowder and cannons. At this request of Koryo dynasty, at first the Zhungshusheng rejected it. But Hungwu emperor directed to give it to Koryo. Before asking for help the gunpowder to the Ming, Choi museon(崔茂宣), the Koryo’s office who had thought first the need for it to defeat waegu and made a recommendation to the Koryo government to develop gunpowder, used this opportunity succeeded in making gunpowder by itself and finally set the Hwatongdogam the government office which made gunpowder and cannons. As the result, Koryo could have the confidence to fight against waegu and after that defeated its battleships in many sea battles, for examples the Chinpogu battle and Namhae Gwanumpo battle. Especially in Chinpogu battle Koryo navy burned 500 ships of waegu by using gunpowder and cannons. By this reinforcement of fighting power and having the self-confidence, in the year of 1390, Koryo could dispatched an expeditionary force to the island of Tsushima(対馬) the headquarter of waegu.

      • KCI등재
      • KCI등재

        十一面觀音像 圖像 연구

        리링(李翎),조정래(번역자) 한국미술연구소 2004 美術史論壇 Vol.- No.19

        티베트불교에서 관음상은 일찍이 공양신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는데, 관음의 여러 형상중 십일면관음이 가장 먼저 전래되었다. 『西藏王統記』에 의하면, 불경의 번역이 시작되면서 동시에 松贊干布(617-650)는 자신의 본존신을 찾기 위해 승려를 남인도 등지에 파견을 하여, 십일면관음 등의 상을 가져왔다. 그러므로 십일면관음 도상은 늦어도7세기에는 티베트에 전래되어 贊普왕의 본존신으로서 공양을 받았던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한족 지역 불교에 『十一面觀音經도 바로北周서기에 번역되어 전래되었으며, 경문 중에는 조상의 양식이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 조사와 도상의 비교를 통하여 십일면관음상의 전래 루트에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실제로 존재하는 두 造像 양식의 계통은, 즉 한족지역-일본, 인도-티베트 계통이다. 본 논문은 여러 불교조상 중 종교와 예술적으로 가장 독특한 의의를 가진 십일면관음상을 중심으로 그 도상과 전래 형식을 논하고자 한다. Avalokite?vara is the most ancient and important divinity in Tibetan Buddhism. He appears in many forms among which the eleven-faced Avalokite?vara has had the earliest diffusion. According to the Record of Tibetan Rulers (《西藏王統記》), king Srong-btsan sgam-po (617-650), in the effort to find a Buddha Satyadevata to worship, dispatched the emanative monk to southern India with the request for images of the eleven-faced Avalokite?vara. In other words, as early as the 7th century representations of this type of Avalokite?vara had already been introduced in Toban and worshipped as Satyadevata by the rulers of that kingdom. Similarly, in Chinese Buddhism, scriptures about the eleven-faced Guayin had already been circulated and translated during the Northern Zhou Dynasty. In those scriptures one finds also detailed descriptions about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eleven-faced Avalokite?varas image. However, fieldwork and comparative analysis reveal that, due to different processes of diffusion, representations of the eleven-faced Avalokite?vara appear in two main typologies, namely a Sino-Japanese typology and an Indian¬Tibetan one. Among the many iconographic representations created by Buddhism, the eleven -faced Avalokite?vara stands out for its unique religious and artistic significance. This paper focuses on the typology and diffusion of this Buddhist im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