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자 생활글의 노동문학사적 맥락

        김성환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5 No.-

        The life-writings of working class are a type of the literature of the working class practiced in the category of the labor movement in the 1980s. The life-writings inherited the laborer's essays in the 1970s, and it was published in a collection of life-writings in the 1980s and played a social role. Although the life-writings, which is part of laborer's literature, was noted as a form that embodies the self-reliance and classiness of working class, and was given the meaning of resistance to the elite-centered literary discourse, discussions on its literary nature were not carried out in earnest in connection with the labor novels. Since the 1990s, the space for the life-writings has been reduced and discussions on literary nature seem to have stopped. At this time, the life-writings can be isolated as a form of writing movement expressed in a short period of 10 years. In this article, looking at the significance of the life-writings of working class, not the existence of it alone, but the significance of the whole space of the literature of the working class and how it expand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lthough the life-writings are bound by the self-regulation of ’simple writing’, the writing of working class is carried out in various ways by the direction of the subjectivity and class of laborer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t can lead to refined writing, and it can be connected to the true novels. This i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wareness of writing and willingness to negotiate actively with literary forms. As a result, the life-writings pioneered the horizon of labor literature and became the source of the analysis of the literacy of working class through the life-long history of the academic world. With the weakening of the labor movement in the 1990s, the writing of working class also unfolded in a different way, and the life-writings section of the Jeon Tae-il Literary Award(전태일 문학상) shows the aspect well. It can be seen that Jeon Tae-il's writings in literature have already been developed in competition with the mass media, and have spread to formalized and popular writ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media. As such, the writings of the working class were a form of writing that could be extended in various directions due to the unformatted formality. The life-writings are considered to function as an active literary style experimenting with new writing mode within the category of labor literature. 노동자 생활글은 1980년대 노동운동의 범주 속에서 실천된 노동자 글쓰기의 한 유형이다. 생활글은 1970년대 노동자 수기의 성과를 이어받은 것으로, 1980년대 생활글 모음집으로 묶여 나오며 사회적 역할을 담당했다. 노동자 생활글은 노동자의 주체성과 계급성을 형상화하는 노동자 문학의 중요한 양식이었으며, 엘리트 중심의 문학담론에 대한 저항이라는 의미도 부여받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의 관심은 본격 노동소설에 맞춰져 노동자 생활글의 문학성에 관한 논의는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1990년대 이후 생활글의 공간은 축소되고 문학성의 논의도 중단된 듯이 보인다. 이때 생활글은 10여 년의 짧은 시기에 표출된 글쓰기 운동의 한 양태로 고립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노동자 생활글이 단독적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노동자 문학의 전체 공간에 어떤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어떻게 확장해갔는지를 살펴보았다. 생활글은 소박한 글쓰기라는 자기규정에 묶여 있지만, 노동자 주체성과 계급성이라는 지향점에 따라 노동문학으로서 다양한 실천양상으로 전개된다. 즉 노동자 생활글은 매체의 특성에 따라 세련된 글쓰기로 이어지기도 하며, 본격적인 소설 양식과 접속하기도 한다. 이것이 가능한 데에는 글쓰기에 대한 자각과 문학 양식과의 적극적인 교섭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생활글은 노동문학의 지평을 개척할 수 있었으며, 학술장에서 생애사 서술을 통해 노동자 리터러시(literacy)에 대한 분석을 가능케 한 근원이 되었다. 1990년대 노동운동이 약화되면서 노동자 생활글도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는데, 전태일 문학상의 생활글 부문이 그 양상을 잘 보여준다. 전태일 문학상의 생활글은 이미 대중매체와의 경합 속에서 전개되었으며, 매체의 영향력 속에서 정형화되고 대중적인 글쓰기로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노동자 생활글은 글쓰기의 한 양식으로 비정형의 양식성으로 인해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생활글은 노동문학의 범주 속에서 새로운 글쓰기를 실험하는 능동적인 문예 양식으로 기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영조 어제의 편차 과정과 그 경향성

        장유승 근역한문학회 202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6 No.-

        영조 어제는 현전하는 국왕 어제 중 가장 방대한 분량이다. 그 현황은 선행연구에 힘입어 어느 정도 밝혀졌으나, 어떠한 경위를 거쳐 편찬되었는지는 아직 분명치 않다. 본고는 『승정원일기』의 어제 관련 기사를 통해 영조 어제 관련 문헌의 편찬 경위를 밝혔다. 영조는 열성 어제 어필 정리를 마친 뒤 본격적으로 어제 창작을 시작했으며, 자신의 어제를 정리하기 시작한 것은 1743년이다. 어제편차인을 임명하여 그간 창작한 어제를 수집하게 하고, 이후 창작한 어제의 정리와 교열 역시 담당케 했다. 1758년 『열성어제』에 수록할 어제의 정리를 마치고, 이후 창작한 어제는 일정한 시기별로 별도의 문헌으로 엮었다. 영조는 초창기 어제에서 숙종의 고사 및 시문을 자주 인용하여 정통성을 강조하는 한편, 정치 행위의 준거로 삼았다. 어제를 신료 및 백성과의 소통수단으로 적극 활용하는 모습도 보인다. 반면 만년의 어제는 과거를 회상하고 내면으로 침잠하는 방향으로 치우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Writings of King Yŏngjo(英祖御製) are the most extensive among the writings of the king of Chŏson dynasty. The existing state has been revealed to some extent by prior research, but It is not yet known how it was compiled. This thesis examined the compilation of King Yeongjo through related articles in the Diary of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日記). King Yŏngjo's creation of writings began after finishing compilation the writings of the previous kings. He began to compile his writings in 1743. King’s editor collected and compiled the King’s writings. In 1758, the writings to be included in Successive Kings’ writings(列聖御製) was completed, and after that, the writings were compiled as separate literature for each period. King Yŏngjo often cited the case of King Sukjong in his early writings and emphasized legitimacy, while using them as the basis for political acts. It can also be seen that writing is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with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writings in later years show a bias toward recalling the past and sinking inward.

      • KCI등재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자전적(自傳的) 서사(敍事)의 창작 경향과 그 의미

        안득용 ( Deuk Yong An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본고는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에 창작된 다양한 自傳的 敍事를 종합하여 文과 史 경향으로 크게 나누어 대별한 이후, 각각의 경향이 지닌 특징적 면모를 밝히고 그 창작 배경과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개별 작품을 고찰할 때는 자전적 서사의 이해에 핵심적 요소인 창작 시기, 자아를 인식하는 태도, 자전적 서사 창작 동기, 글쓰기의 특징적 면모 등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고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단편 형식의 자전적 서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申欽이나 許筠 등과 같이 삶의 시련기에 자신을 되돌아보며 스스로가 견지해온 삶의 지향을 피력하고자 자전적 서사를 쓰는 경우가 있고, 張維처럼 만년의 삶을 정리하며 살아온 대로의 지향을 지속하고자 이 장르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글에서 자조하는 모습이 부각되는 이유 역시 그릇된 세상의 지향과 달리 살려고 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不遇나 支離로 평가할 수밖에 없었던 자신의 삶을 부각시키고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 의지에서 기인하며, 이러한 의지가 자전적 서사의 창작을 추동한 것이다. 둘째, 사대부들에 의해 기록된 연대기 형식의 자전적 서사가 지닌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자신의 삶을 압축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인데, 이와 같은 압축성은 분량의 제한이나 삶의 주요한 사건만을 세밀하게 기록하려고 했던 태도에서 발현된 양상이다. 다음으로 주목할 만한 특징은 건조한 서사 속에서도 지나온 삶에 대한 반성이 발견된 다는 점이다. 즉 자신의 삶에 대한 적극적 해명 속에 자기반성을 수록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스타일로 삶을 정리한 배경적 원인으로 자신의 역사를 스스로가 기록하려는 태도, 역사적 사건의 유일한 관찰자로서의 보고 의식, 전·후 시기 유사한 스타일의 기록이 적지 않게 창작되었다는 점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셋째, 승려들에 의해 기록된 연대기 형식의 자전적 서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우선 불교에 입문하는 과정을 그리는 서술 속에 그 필연성을 위주로 하는 신이한 이야기가 삽입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구도의 과정 속에서는 좌절로 인한 자기반성과 그 극복의 과정을 다룬 경우를 찾을 수 있었다. 특히 구도의 측면에 있어서 자아를 성찰하고 반성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자서전의 보편적인 특징을 간취하여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글쓰기 스타일에 있어서도 禪問答이나 禪詩를 사용함으로써 사대부들의 자전적 서사와는 결이 다른 글쓰기를 보여주었다. 이것이 승려들의 자전적 서사도 아울러 고찰해야 하는 이유이며 그 의의이다. 이처럼 다양한 장르와 상이한 계층마다 스스로의 삶을 표현한 방법은 다르지만 각각의 자전적 서사 모두에 자기반성과 자아성찰이 함유되어 있었다. 자전적 서사를 읽는 의의는 바로 이 지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며, 향후 좀 더 포괄적 논의를 통해 자서전을 통한 보편 문학과 고유 문학의 영향 수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This report researched autobiographical writings which were written in the latter half of 16th century∼the first half of 17th century. And this report especially focused on a written period, the self-recognition, the creative motive, and features of writing.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First, the autobiographical writings which focused on a particular period had following features. Some writers wrote autobiographical writings for enunciating their goal of life in the period of undergoing an ordeal like Shin, Heum(申欽) and Heo, Kyun(許筠). And the other writers wrote autobiographical writings for holding their course in their latter like Chang, Yu(張維). Finally when their life were deprived and humble, they wrote autobiographical writings for the sake of building up their identity. Second, the chronological autobiographical writings which were written by noblemen were constrictive. Because there were restrictions on quantity and they wrote main affairs in their life choosingly. And It is another feature that their autobiographical writings contained self-reflection. Finally it is the point that the reason why they wrote autobiographical writings in this style was for the sake of describing their lives and the consciousness of writing self-history. And the circumstance in the literature of that time also made them write their autobiographical writings in this style. Third, the chronological autobiographical writings which were written by buddhists had another features. For example they inserted mysterious stories into their autobiographical writings. And there were self-examination and self-reflection in numerous cases. Finally there were Zen riddles and Zen poetry. These are distinct features of the chronological autobiographical writings which were written by buddhists. Autobiographical writings are various like these. But it is true that there were self-examination and self-reflection on all occasions. This is the reason why we read autobiographical writings, and it is the importance to read autobiographical writings.

      • KCI등재

        학술저작물 유통과 저작권 보호에 관한 연구

        김기태(Kim Ki-Tae) 한국출판학회 2007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2

        이 연구의 목적은 학술저작물의 온라인 이용 양상과 현황을 중심으로 현행 저작권법상 저작권 보호 측면에서 이미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에 대하여 진단함으로써 학술저작물의 불법 유통 및 전송에 따른 대책 등 개선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술저작물의 저작물로서의 특성은 무엇이며 그것의 온라인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 새로운 저작권 환경에 따라 예상되는 저작물 유통상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학술저작물의 적법한 유통을 위한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저작권법은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의 향상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이다. 특히, “학문과 기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며 동시에 “학문의 방법이나 이론”을 다루는 ‘학술’에 속하는 저작행위 및 그런 행위의 결과로 나온 학술저작물은 그것이 연구자의 독창적인 연구 결과임에 틀림없는 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다. 다만, 그것의 내용이 지극히 만인 공유의 진리 또는 방법을 다룬 것이라면, 이용자가 허락을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저작자의 독창적이고도 구체적인 표현을 복제한 것이 아니라면 저작권 침해를 주장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학술저작물의 적법한 유통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계약 형태에 따른 방안과 아울러 합리적인 대안으로서의 저작권집중관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학술저작물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학술지의 경우 그것을 발행하는 학회가 먼저 저작권 보호의식에 입각하여 논문 제출자들과의 합리적인 관계를 맺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회원들의 자발적인 의사에 따른 개별적인 동의 방식은 저작재산권을 양도하거나 신탁할 수 있는 유효한 방식이며, 특정학회가 자체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저작물에 관한 저작재산권을 적법하게 행사할 수 있는 유효한 방식이다. 저작권법에 의한 강제 이전에 학술저작물에 담긴 연구성과로서의 구체적 표현은 일반적인 만인공유의 과학적 법칙이나 이론과 분리하여 제대로 보호되어야만 하며, 이렇게 학술저작물에 대한 보호의식이 국민적 공감대 속에 확고하게 정착될 때 문화와 학문이 고루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학회 및 학술단체가 연합하여 학술저작물의 바람직한 생산을 위한 구체적인 저작권 보호지침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학회와 연구자들의 실천이 뒤따른다면 보다 투명하고 합리적인 학술저작물 이용 환경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Focusing on the aspects and practices of academic writings in on-line use, this study aimed to review existing or potential issues from the angle of copyright protection within current framework of Copyright Act, and thereby seek possible remedial solutions including countermeasures against any illegal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of academic writings. To meet these goals, this study posed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 First, which characteristics do academic writings have as copyright work? And what problems are there in the on-line distribution of those works? Second, what problems would there be in the distribution of copyright works under the influence of emerging copyright environment including conclusion of KOR-US Free Trade Agreement(FTA)? Third, what are the possible solutions for legitimate distribution of academic writings? Copyright Act is a law enacted “in order to protect author"s rights and related rights, and promote fair use of copyright works in the interest of contributing to improving and developing culture.” In particular, academic writings, which refer to “both learning and technology"" and writing activity or resulting product as well in the framework of ‘science" dealing with “academic methodology or theory"", belong to copyright works under the protection of Copyright Act, if it is definitely an original finding of researcher. However, if it contains any extremely universal truth or approach, or doesn"t copycat any original and detailed expression of author, we can hardly claim for infringement on copyright, although any user employs it without permission. Conclusively, in terms of possible remedial solutions for legitimate distribution of academic writings, this study proposes some solutions based on copyright agreement type, as well as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 and related rights as a rational alternative solution. In particular, in terms of journal as the most typical source of academic writings, it is required that academic society as journal publisher should have rational relationships with thesis contributors on the basis of copyright protection ethics. Above all, individual agreement based on voluntary idea of membership is considered valid in the transfer or entrust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also valid for certain academic society to legitimately exert its intellectual property to academic writings contained in its own academic journal publication. Before legal enforcement based on Copyright Act, it is necessary that detailed expressions as research achievement contained in academic writings should be properly protected apart from general and universal scientific laws or theories, and when this sense of protection for academic writings is established firmly in nationwide consensus, it is expected that our culture and academics will be developed in harmony. It is advisable that academic societies and bodies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develop further copyright protection guidelines for favorable production of academic writings, and their cooperation should involve copyright protection practices of individual society and researchers, so that we will be able to create more transparent and rational environment for using academic writings.

      • KCI등재

        A Sociolinguistic Approach to the Proto-Sinaitic Writings

        Yoo, Yoon Jo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7 동서인문 Vol.0 No.7

        이 논문은 기원전 1850년에서 1050년까지 인류 최초로 알파벳이 사용된 원 시나이어 기록들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로, 이 논문은 원 시나이어 기록이 기원한 것으로 생각되는 기원전 19세기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에서의 관련된 상황을 다룬다. 원 시나이어 기록들은 시나이 반도의 세라비트 엘-카딤의 터키옥 광산에서 일하던 가나안의 노동자들이 이집트의 상형 문자 및 사제 문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발명한 것이다. 원시나이어는 이집트 남부의 와디 엘-홀에서도 최근에 발굴되었다. 그러므로 원 시나이어의 사회언어학적 의미는 ‘주변성과 혼합성’이다. 둘째로 이 논문은 이집트 시나이 반도에서 기원된 원 시나이어가 가나안으로 확산되어 사용되었지만 이집트의 힉소스 왕조나 가나안의 우가릿, 엘 아마르나에서도 공식적으로 거부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당시는 아카드어 및 이집트 상형문자가 지배어였으므로 사회적으로 약자들이 사용했던 원 시나이어와 원 가나안어가 공식언어로 채택되지 못했다. 이 시기의 사회언어학적 의미는 ‘언어와 제국주의’이다. 셋째, 이 논문은 왜 기원전 11세기 레반트 지역에서 원 시나이어 및 원가나안어가 페니키아를 비롯한 신생국가들의 글자로 채택되었는가를 다룬다. 제국주의 국가들이 멸망한 뒤 암흑기를 거친 뒤 신생국가들은 자신들의 민족적 정체성 확립을 위해 보다 쉽고 이미 퍼져있던 알파벳 언어를 국가어로 채택했다. 이 시기의 사회언어학적 의미는 ‘언어와 민족주의’이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a sociolinguistic significance of the proto-Sinaitic writings from 1850 to 1050 BCE. First, it deals with an issue concerning the origin of the proto-Sinaitic writings in the 19th century BCE in Sinai and Egypt. It reveals that proto-Sinaitic writings were the first alphabetic writing invented by Canaanite workers adopted from Egyptian hieroglyphic and hieratic scripts at the turquoise mines of Serabit el-Khadim in the Sinai Peninsula. Its linguistic feature was acrophonic principle by which each sign represents one phoneme. Two more alphabetic writings discovered at Wadi el-Ḥol in southern Egypt turned out to also be the same type of proto-Sinaitic writings. The date of wadi el-Ḥol writings was a little later than the proto-Sinaitic writings. In this section, marginality and mixture are suggested as sociolinguistic significance. Second, this study deals with issues involved with the diffusion and rejection of proto-Sinaitic alphabetic writings from 1850 to 1050 BCE. During this period, proto-Sinaitic writings were diffused in towns and villages in the land of Canaan with the very poor form called “proto-Canaanite writings.” It was considered as the continuance of proto-Sinaitic writings. However, proto-alphabetic writing system was not adopted by governments in Egypt and Canaan. In Egypt, during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Semitic people called Hyksos governed at Avaris (Tell el-Daba), but they did not use the proto-Sinaitic writing system. In Canaan, local city kingdoms did not adopt the proto-Canaanite writing systemeither. However, local powers who wrote the El-Amarna Letters and the kingdom of Ugarit attempted to make new writing systems. In this section, linguistic imperialism was pointed out as sociolinguistic significance. Third, it explores the issue of national adoption of alphabetic scripts in the eleventh century in the Levant. It was a period of “dark age” (1200-1000 BCE) during which Greece and Hittite, as well as the Near East, were destroyed massively. As a result the institutionalized scribal system supporting linguistic imperialism collapsed and its use was reduced to the palaces of Babylon, Assyria, and Egypt, and local scribal practices were revived. The formerly oppressed local powers such as Phoenicia, Israel, and Aram began to rise. In this process, the alphabetic scripts were adopted competitively by emerging countries as a means of consolidating people in each country. In this section, language and nationalism is dealt with as a sociolinguistic significance.

      • KCI등재

        금재 최병심을 통해 본 간재문집 간행의 갈등양상

        이천승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flicts between Ganjae’s disciples with the publication of Ganjae’s collection of writings. Focusing on Choi, Bueng-sim, in terms of the mental conflicts experienced by the Confucian schola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d period. During this period, the censorship process (印可) of the Japanese governor authorization was inevitable. Therefore,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writings in a way that can properly continue the spirit of Joseon became the biggest problem and motives of conflicts between Ganjae Jeon, Wu’s disciples. When Ganjae was alive, he divided his own collection of writings into former and latter grades. Writings organized in the state just before the publication. However, after Ganjae died, his disciples have a serious conflicts over the publication of their teacher's collection of writings, which they have longed for so much.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Oh, Jin-young and Choi, Byung-sim who were the representative of disciple groups. In the previous discussion, there was review for the perspective of Oh, Jin-young. However, in this paper, the issue of conflicts ove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writings were reviewed, centering on Choi, Byung-sim, who was standing on the opposite side. Oh, Jin-young rushed to publish the collection of writings, based on the two reasons. Convenience and freedom without Japanese governor authorization for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writings at Jin Ju. His intention was to publish quickly so that the teacher's collection of writings would not disappeared in the dark periods. However, the progress that did not go through sufficient agreement within disciples, such as the composition of deviations and printing methods, were the reasons of conflicts. Choi, Byung-sim expressed his opinion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deviation could results in distorting the Jeon Wu’s intention. Furthermore, he promoted his own independent publication of collection of writings. Claiming that Jeon Wu's collection of writings which published in the process of censorship and dele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would damage the spirit of resistance to Japan. As a result, Currently there are different series of Ganjae’s collection of writings by Oh, Jin-young and Choi, Byung-sim. In the gloomy perio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the collection of writings, the spiritual heritage of Joseon, remains with us as more valuable than just data. 이 논문은 간재 전우의 문집간행을 둘러싼 문인 내부의 갈등을 일제 강점기 식민통치 유교지식인이 겪었던 정신적 갈등이란 측면에서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총독부의 ‘인가(印可)’라는 검열과정을 피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따라서 조선의 정신을 제대로 이어갈 수 있는 방법으로 문집을 간행하는 것이 간재와 그 문인들 앞에 놓인 가장 큰 관건이자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전우는 생전에 전고와 후고로 나누어 어느 정도 문집간행 직전의 상태로 정리해 두었다. 미흡한 점은 보완의 여지를 남기면서 시대적 열망과 좌절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간재 사후에 문인들은 바로 그들이 그토록 갈망했던 스승의 문집간행을 둘러싸고 심각한 내홍을 겪게 된다. 오진영을 주축으로 한 세력과 최병심 등을 주축으로 한 문인집단의 충돌이 대표적이다. 기존의 논의에서 오진영을 대표하는 문인들의 입장에서 검토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그 반대편에 서있던 최병심을 중심으로 문집간행을 둘러싼 갈등의 쟁점을 재검토한 것이다. 오진영은 문집간행에 필요한 경제적 조건과 상황을 내세우며 문집간행을 서둘렀다. 암울한 시대에 스승의 문집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신속히 발간하려는 의도가 앞섰던 것이다. 그러나 편차의 구성이나 인쇄방법 등 문인내부의 충분한 합의를 거치지 않은 문집발간의 추진은 문인 내부에서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최병심은 편차의 재구성은 스승의 의도를 왜곡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였다. 더 나아가 일제 총독부의 검열과 삭제라는 인가과정 속에서 출간되는 문집이란 스승의 의리정신을 손상시키게 될 것이라는 주장하면서 독자적 문집간행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현행 간재문집은 오진영과 최병심을 중심으로 문인들의 갈등이 치열했고, 동일 저자의 서로 다른 3종의 문집이 있게 된 것이다. 일제강점기라는 상황에서 조속히 간행을 서둘렀던 것은 자칫 산실될지도 모르는 스승의 문집을 ‘전도(傳道)’의 사명감으로 유통보급하려는 노력이었다. 반대측에서는 스승의 유훈에 따라 총독부의 인가라는 굴욕을 피해 제대로 된 문집의 원형을 인출하려는 ‘정도(正道)’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최병심이 별도의 문집간행을 염두에 두었던 것도 바로 이러한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갈등의 이면에는 서로 다른 신념과 가치의 충돌 이전에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스승을 향한 문인들의 열정이 충돌한 사건이었음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이공계를 위한 영화 텍스트 활용 글쓰기 방안 - 영화 <가타카>를 중심으로 -

        노은주 ( Nho Eun-joo ),이순옥 ( Lee Sun-o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7 No.-

        본고는 인문적 소양이 부족한 이공계 학생들에게 글쓰기를 통해 통합적 사고능력과 논리적 표현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우선 이공계 학생에게 필요한 글쓰기를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첫째, 이공계열 전공과 접목된 내용을 통한 글쓰기가 필요하다 둘째, 이공계 학생에게 부족할 수 있는 자기 성찰적 글쓰기가 필요하다. 셋째, 사고내용을 자기 언어로 조직하여 표현할 수 있는 논리적 글쓰기가 필요하다. 이공계 진로 및 전공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면서, 성찰적 글쓰기, 논리적 글쓰기가 가능한 텍스트는 쉽지 않다. 특히 이공계열 갈래인 항공계열과 연관된 텍스트는 더욱 귀하다. 영화 『가타카』는 항공계열 학생들의 전공과 진로에 연계된 영화 텍스트로 인간, 사회, 세계를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는 성찰적 글쓰기에 적합하며, 논리적 표현능력을 기를 수 있는 최적의 교육도구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목적 및 필요성에 근거하여 항공계열 수업과정에 영화 텍스트 『가타카』를 정교하게 적용한 결과물이다. 영화 텍스트를 수업과정에 적용한 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에게 영화를 감상하게 한 후 감상한 내용을 적도록 했다. 글쓰기는 A측 또는 B측로 나누어 실시했다. A측은 영화의 서사분석에 집중하도록 했다. 이 단계는 영화 텍스트의 큰 틀을 이해하고 해석하여 자기서사나 집단서사에 적용하여 인간, 사회, 세계에 대한 성찰적 지혜를 얻게 할 것이다. B측은 서사의 틀에 내재한 다양한 핵심소재들 즉 인물분석 및 모티프 분석을 하게 했다. 이 단계는 인물, 반복 이미지, 반복 모티프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작품을 깊이 있게 읽고 해석할 수 있게 한다. A측 또는 B측에서 각각 작성한 글은 전체 발표를 통해 그 내용을 공유하고 상호 대화를 통해 2차 단계 글을 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차적으로 학습자는 앞에서 진행한 서사분석과 모티프 분석을 바탕으로 통합적 글쓰기를 수행한다. 이 과정은 영화 텍스트의 외부적, 내재적인 요소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바탕으로 제3의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이다. 통합글쓰기는 파편화될 수 있는 편협성에서 벗어난 통합적 사고능력, 그것들의 효과적인 표현능력을 기를 수 있다. 통합 글쓰기 결과물은 과제형태로 제출하게 했으며, 첨삭이 이루어졌다. 본 수업모델은 궁극적으로 이공계열 학습자에게 인문적 텍스트 접근법을 익히게 하여, 자신, 사회, 세계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그 결과 성찰적 지혜, 통합적 사고능력, 논리적 표현 능력을 갖춘 역동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nabl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who lack humanistic knowledge to develop integrated thinking ability and logical expressive ability through writings. First of all, this studying conducts the following writings required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write the contents combined with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Second, it is necessary to write introspective writings that is lacking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write logical writings to organize and express the contents of thought in their own language. It is not easy to find out the texts which is about Introspective writings and logical writings relating to major and career in science and engineering directly. In particular, it is even more hard to find out the texts associated with the aviation field branch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The film < Gattaca > is suitable for introspective writings, which helps students introspect human, society and the world deeply. The texts in the film are associated with the aviation field students. The film < Gattaca > is best tool to develop logical expressive ability. This study is the product to apply the movie text < Gattaca > to the aviation field classroom based on the above purpose and necessity elaborately. The methods and results of apply the movie text to a clas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rite freely after watching the movie what they had watched. Writing was done on the A side or the B side. The A side had to focus on the narrative analysis. This step aims to acquire the introspective wisdom of human, society, and the world after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big frame of movie text , applying it to self narrative or group narrative. The B side had to analyze various key materials, character analysis and motif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ep is to read and interpret the film in depth after analyzing character, repeated images, and repeated motifs . The Articles written by A or B can share the contents through the presentation and help them to write the second stage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Secondly, the students performs the integrated writings based on the narrative analysis and motif analysis. This step is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third text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bout the external and internal elements of the film text. Integrated writings can develop integrated thinking ability beyond the fragmented narrowness and their expressive ability effectively. They submit the results of the integrated writings in the forms of an assignment. After the correcting composition was followed This class model ultimately provides aviation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society, and the world after letting them learn humanistic texts access. As a result, they grow into dynamic persons with introspective wisdom, integrated thinking ability and logical expressive ability.

      • KCI등재

        적색농민의 글쓰기

        유승환(Yoo, Sung-hwan)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1

        노동자 글쓰기에 대한 최근의 논의들이 주로 1980년대에 집중하고 있지만, 임화나 김남천의 비평, 소설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노동자 글쓰기’에 대한 상상은 1930년대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이 글은 1930년대 울진 적색농민조합에 대한 수사 자료를 토대로, 1930년대 당시에 이미 비합법적인 ‘노동자 글쓰기’가 실재했음을 밝히고, 이러한 글쓰기가 가능했던 기술적․조직적 지반을 검토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문학’으로까지 나아갔던 이들의 글쓰기에 잠복해있는 욕망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수사 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서적 차압품 목록을 검토하여 적색농민의 서가를 재구성하는 한편, 야학회․독서회․기관지 발행 등의 활동을 검토함으로써 이들이 나름대로의 ‘앎’을 습득하고 공유하고 분배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동시에 이 글은 이들이 발행한 기관지 원고들을 검토하여 이들의 글쓰기가 운동을 위한 도구에 그치지 않고, 세계와 자신의 관계를 재설정하고 이를 기초로 자신의 삶에 대한 독자적 전망을 상상적으로 재현하는 ‘소설쓰기’로까지 나아갔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 과정에서 이들이 ‘주의자의 표상’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과 이들의 소설 쓰기가 ‘개작’의 과정까지 거치고 있다는 점은 중요한 점으로 평가될 수 있다. 울진 ‘적색농민’의 글쓰기는 문학제도 내의 위계를 넘어서는 ‘노동자 글쓰기’에 대한 꿈 및 그 구체적 실천이 1930년대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천이 강제적으로 중단되었으며, 이들의 글쓰기가 경찰 수사 자료에 첨부된 일본어 번역이라는 흔적으로만 존재한다는 사실은 1930년대부터 이미 실존했던 ‘노동자 글쓰기’가 역사화되지 못했던 사정을 잘 보여준다. ‘노동자 글쓰기’의 연대기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흔적을 모아낸 노동자의 문서고가 필요하지만, 최근의 어떤 국가보안법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전망은 아직 요원하다. Recent discussions on writings of working class have focused mainly on the 1980s. However, as can be seen in the writings of Im Hwa and Kim Nam-cheon, the imagination of "writings of working class" already existed in the 1930s. Based on the police investigation data of Uljin Red Peasantry"s Union in the 1930s,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that illegal "writings of working class" was already existent in the 1930s. We then examined the technological and organizational grounds where such writing was possible. Finally, I analyzed the latent desire of their writings which finally advanced to the "literature". Specifically, this article reconstructed the shelves of red peasantry by reviewing the list of socialist publications seized by police and examined their activities, such as night school operation, book club operaion and publication of union organs, to reveal their ways to acquire, share and distribute their own "knowing".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examined the manuscripts of union organs issued by them and suggested that their writings were not just a tool for their movement, and that they reconstructe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represented their imagination their own prospects for their lives by writing "novel". In this proces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y used the "representations of a socialist" and that their novel writing had gone through the process of "adaptation". Writings of Uljin "Red Peasantry" is an important example of the dream of "writing a worker" beyond the hierarchy in the literary system and its concrete practice already existed in the 1930s. However, the fact that these practices were forcibly stopped and their writings exist only as a trace of Japanese translation attached to the police investigation data shows the situation that the "worker writing", which had already existed since the 1930s, has not been historicized. In order to restore the chronology of "writings of working class", "archives of working class" are necessary to collect these traces. But that prospects are still not bright, as can be seen in specific recent National Security Law case.

      • KCI등재후보

        朝鲜朝文人对中国著述的解读和阐释—以评选、翻译和注解为中心

        Ji, Nan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16 Journal of China Studies Vol.19 No.3

        Chinese writings had been reprinted or translated after they were spread to Korean Peninsula. There were many scholars who made Chines writings localized by selection, adaptation, translation, annotation or recreation directly or not. To some extent, almost all Chinese writings in Korean had connection with China Culture. We can know how popular Chinese writings were from that. On the other side, it showed regional characters during spread time. It created more valuable treasures for Chinese writings. The types of Chinese writings in Korean which were recreated on the basis of the Chinese writings in china are extensive, including the history books which are useful for the country's rejuvenation and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promote Confucianism, and agricultural books, medical books, military books which are close ties with grass-roots social life. The number of literary works is very large. The works were imitated, commented, selected, translated, and annotated from genre, subject matter to the creative form. We can see the spread style of the Chinese culture in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through these Chinese writings in Korean. At the same time we can see the Korean literati’s cultural orientation and cultural choice in different periods. Some of the Chinese writings have been lost in China, but they are saved in the form of commentaries, annotations, and interpretations. These Korean commentaries, annotations, and interpretations have important value in the history of philology and the history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Korea. These Korean writings created by Korean scholars on the basis of Chinese writings in China have been and will continue to be valued by both Chinese and Korean scholars and will promote a new round of academic exchanges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문학’에서 ‘글쓰기’로 -김윤식의 ‘글쓰기론 3부작’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김민수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김윤식(金允植, 1936~2018)은 2001년 퇴직을 맞이한 뒤 ‘한국근대문학사’의 새로운 서술이라는 목표 아래 ‘글쓰기론 3부작’ 저술 활동으로 나아간 바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2003년 『일제 말기 한국 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 출판으로 포문을 연 ‘글쓰기’론은 『해방공간 한국 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2006)을 거쳐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2007)으로 갈무리된다. 실로 다대多大한 문제의식과 쟁점을 함의하고 있는 각각의 ‘글쓰기(론)’은 ‘근대’라는 관념을 전제로 성립 가능한 ‘문학(론)’과는 상당한 격차를 드러낸 저작이라 할 수 있다. 김윤식에게 있어 ‘글쓰기(론)’이란 ‘국학’을 한다는 선입견에 휩싸여 ‘국민국가nation-state’라는 기틀을 준거로 한국의 문학사를 서술해왔던 이전의 연구 경향을 스스로 탈피하기 위하여 요청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가 일제 말기의 ‘이중어 글쓰기 공간(1942~1945)’과 ‘해방공간(1945~1948)’에 우선 주목하게 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단적으로 이때 사용된 ‘공간’이라는 개념만 하더라도 ‘국가’로서의 주체적 작용력이 미치지 못한 장소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기존의 문학사에서 결락된 가장 약한 고리를 연구의 토대로 삼음으로써 김윤식은 ‘문학사’ 개념 자체를 새로이 갱신하고자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의식이 비단 21세기라는 문턱을 기점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현실 사회주의 몰락을 전후한 시기에서부터 오랜 시간에 걸쳐 누적된 것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른바 ‘역사의 종언’을 목격한 이후 한국의 근대문학사를 ‘연구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표현자’의 입장에서 분석해야 함을 강조한 것도 이러한 맥락과 무관치 않다. 요컨대 김윤식은 ‘문학사’를 정위定位하고자 ‘국민국가’를 준거로 작성된 ‘문학’ 개념을 ‘해체’하기 위하여 그 스스로 ‘글쓰기(론)’을 수행해나간 것이다. 아직 ‘글쓰기론 3부작’의 공과를 비판하는 작업은 본격적인 궤도를 마련하지 못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문학사 연구에 평생을 바친 대가가 선보인 ‘말년의 양식’과 그 의미를 곱씹기 위한 예비적 단계의 일환으로 이 글은 김윤식의 텍스트를 ‘결을 거슬러’ 독해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글쓰기론’의 ‘지향’을 추려내는 일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After retiring in 2001, Kim Yoon-shik(1936~2018) started work on his ‘Writings Trilogy’ with the goal of telling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in a new way. The trilogy commenced with Japanese Writings of Korean Authors in the Late Colonial Period(2003), continued in Nationalist Writings of Korean Authors in the Liberation Period(2006), and concluded with Autobiographical Writings of the Korean Student Conscripts in the Late Colonial Period(2007). Each encompassing a plethora of concerns and controversial points, these works reveal a significant gap between Kim Yoon-shik’s theory of ‘writings’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premised on the concept of ‘modernity.’ To Kim Yoon-shik, this work on ‘(the theory of) writings’ was necessary as a means of escape from the trends of previous research which, swept up in the presupposition of literature as a study of nation, narrated Korean literary history within the frame of the ‘nation-state.’ The reason for Kim Yoon-shik’s interest in the late colonial period’s ‘bilingual writing space’ (1942-1945) and the later ‘liberation space’ (1945-1948) can also be found here. Even the concept of ‘space’ in these terms is used to refer to places unreachable by the state’s influence on subjectivity. In taking those writings whose omission constituted the weak link in previous literary histories as the basis of his research, Kim Yoon-shik seems to have been trying to update the concept of literary history itself. It must also be noted that these concerns had been gathering not mere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but from around the time of the collapse of socialism. Kim Yoon-shik’s insistence, after witnessing the so-called ‘end of history,’ that modern literary history must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not of the researcher but of the ‘expresser’ (pyohyeonja) is not unrelated to this context. In short, he undertook his own theory of ‘writing’ in order to properly orient literary history and ‘deconstruct’ the concept of ‘literature’ premised on the ‘nation-state.’ There is not yet an established path for critique of the accomplishments and failures of the ‘writings trilogy.’ As a preliminary step in digesting the significance of the ‘late style’ presented by a towering figure who devoted his life to the study of literary history, this article reads Kim Yoon-shik’s texts ‘against the grain’ in an attempt to discern the ‘direction’ of the theory of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