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영상 UCC와 대통령선거

        이원태(Won-Tae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2 No.1

        이 연구는 최근 미국과 한국의 대선과정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동영상UCC의 영향력과 정치적 함의를 검토하려는 탐색적 작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미국과 한국의 인터넷 이용자들이 동영상 UCC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UCC와 온라인 콘텐츠가 텍스트나 이미지 위주에서 점차 동영상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미국의 2006년 중간선거와 2007년초 대선캠페인 과정에서 유투브와 같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와 마이스페이스와 같은 사회네트워크 사이트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중간선거에서 알렌 상원의원의 ‘마카카’ 동영상, 번즈 상원의원의 ‘낮잠’ 동영상 등 몇가지 유투브 정치동영상이 선거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았다. 또한 최근 대선 캠페인에서 급부상하는 ‘오마바 신드롬’도 동영상 UCC를 비롯한 웹 2.0 기반의 인터넷 선거운동에 힘입은 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2007년 대선을 앞두고 있는 한국에서도 대선주자들의 동영상UCC 활용 수준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UCC에 대한 지나친 규제담론과 후보자 캠페인 중심의 편향적인 동영상 UCC 생산은 참여, 개방, 공유라는 UCC의 진정한 본질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한국과 미국에서 대선캠페인 과정에서 후보간 경쟁이 본격화됨에 띠라 동영상 UCC의 자유로운 이용과 생산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영상 UCC의 남용이 적절하게 통제되지 않을 경우 후보자와 유권자간의 대화적ㆍ소통적 매체로서 보다는 일방적이고 공격적인 네거티브 동영상의 확산으로 인해 사회정치적 통합을 약화시키거나 시민적 관여를 허약하게 만들 우려도 있다. This study is a search work to investigate political influences and its implications of video UCC(User Created Contents) in recent presidential campaigns of U.S. and Korea. This study can address three research questions and the findings as follows. First, internet user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re using video UCC as a new type of online contents plentifully. It means that the usage patterns of the on - line contents and UCC from text or the photos are converted gradually with online videos. Second, election process and campaigns are importantly affected by video UCC from video sharing sites like YouTube and social network sites like MySpce in mid - term election and recent presidental campaigns. Especially, in the mid - term election, some political videos from YouTube like Senate Allen's 'Macaca' video and Senate Bums' 'naptime' video affected decisively several election results. In addition, this study explained that 'Obama Syndrome' in recent presidential campaigns is caused by web 2.0 based internet campaign including video vee and social network sites. Third, uses and productions of video vee are increaing among potential candidates of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2007, but over-regulatory discourse around vee or candidate-centric and partisan vee production mode tend to disregard the essential features of UCC(participation, openness, and sharing). Hereafter, as competitions between candidates is accelerated, free use and production of video vee among ordinary users will be increased. However, if not properly controlled misuses of video vee, it will be made dissemination of one-way negative video vee, so it weakens socio-political integration and civic engagement than functioning as dialogic and communicative media.

      • KCI등재

        비디오아트의 재역사화 -전시와 담론을 중심으로

        임산 ( Shan L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0 No.-

        본 논문은 비디오아트의 재역사화를 위해 실험텔레비전과 비디오를 하나의 이질적인 예술형식으로 사유할 개념적인 프레임 몇 가지를 제시한다. 왜냐하면 비디오아트의 역사와의 비평적 연루가 생산적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비디오아트의 개념들을 다루었던 여러 실천들과 다양한 제도적 입장들에 대한 조사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예술장르로서 비디오아트의 역사를 재 역사화하는 방식에 대한 하나의 제언의 성격을 가진다. 비디오의 과거를 다루는 역사적 해명에는 불일치가 존재한다. 다채로운 실천들의 역사에서 기능해 온 여러 유형의 예술적 사건들에 대한 선형적 접근은 그러한 ‘불일치’의 생산성을 억누를 뿐이다. 따라서 필자는 비디오아트의 역사를 실험텔레비전과 비디오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그런 과정을 거치며 이루어진 다층적인 영역이 탈 중심적이고 이질적인 역사화의 창의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Ⅱ장에서는 비디오아트의 역사를 다룰 때 흔히들 그 출발점으로 삼는 두 가지 계기들을 두고, 그 역사적 의의와 맥락을 다시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비디오아트’ 개념이 등장하고 작동한 방식을, 특히 비디오아트가 전시기획적 범주로서 유효한 위상을 차지하고 갤러리와 미술관을 통해 그 전시적 가치를 세우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대안적이고 실험적인 텔레비전 운동에 참여함으로써 비디오 테크놀로지를 미적 담론의 장으로 끌어 들인 공공 텔레비전 방송국 프로그래밍의 사례를 함께 알아보고 사회-경제적 배경과 예술적 실천을 연관 지어 보았다. 제Ⅳ장에서는 텔레비전과 비디오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전자적 예술형식에 대한 사유의 폭을 확장하는 데 기여한 예술 이론적 성과들을 비교 예시하고, 그들 사이에서 이루어진 상호적 영향력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논의 과정을 통해서 본 논문은 비디오아트의 ‘관습적인’ 역사와는 다른 접근이 가능함을 발견하고, 텔레비전과 비디오의 미적 영역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한 사회제도적 장치에 대한 검토를 고려하는 역사적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텔레비전 방송국의 스튜디오와 그에 대한 각종 기금들, 갤러리와 미술관, 대안적인 문화운동 조직, 텍스트의 출판 등의 역사적 사건들은 비디오아트의 예술적 전개뿐만 아니라 비디오아트의 역사화 행위 자체를 비교 규명할 수 있는 소스라 할 수 있다. 오늘날 미디어와 새로운 디지털 예술형식의 등장은 비디오아트 연구 영역의 다원적 성격을 변화시키고 있다. 비디오아트의 역사화 서술이 처음 등장했던 1980년대와 달리, 이제 우리는 이질적인 예술 실천들을 관찰할 수 있는 좀 더 적합한 개념과 이론의 도구들을 가지고 있다. 이는 비디오아트의 역사를 규정적인 것으로 생산하거나 이해하기 쉬운 것으로 포장하기 위함이 아니다. 그보다는 실험텔레비전에서 비디오 테크놀로지로 이어져 오늘날 미디어아트에 이르는 탈 중심적 영역의 사유와 행위의 이질성을 제고(提高)하자는 데 있다. This paper proposes a few conceptual frameworks for the process of rehistoricizing video art, which identify video as an art form that differs from experimental television. A critical examination about how video art emerged over time warrants further consideration regarding the movements and various positions towards arts practice and policy. Therefore, this paper adds to the calling for rehistoricizing video art as an art genre. Some may argue that there have been inconsistent narratives about the history of video art. Equally convincing, however, is the authentic history of art movements that unfolds stories about different forms of art. A linear approach to examine the history simply interferes with the ‘inconsistent’ process of creativity and limits the opportunity for growth. That said, I intend to reorganize the history of video art with experiment television and video technology as primary elements ―this process will shape the multilayered world of video art― and to substantiate an argument that such efforts can help ensure that rehistoricizing, often decentralized and diverse, is good for creativity. This paper presents three key chapters. In chapter 2, two special events commonly mentioned in the history as for the beginning of video art are examined with regard to the context and their historical implications. Chapter 3 will discuss the ways about how the concept of video art came to birth and became operational: video art became a major player in curatorial practice and established a valuable footing in exhibitions of galleries and museums. In addition, the chapter examines the case of public broadcasting programming, which invited video technology for public discourse on aesthetics. This engaged video technology with the alternative and experimental television movement and helped to illustrate how art movements reflect socio-economic trends. Chapter 4 takes a look at a few art theories and their contributions to the academic efforts in order to understand electronic art forms with the use of television and video technology. In doing so, the theories are compared and further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ways they informed and influenced each other whilst comprising an interconnected body of literature. After all, this paper presents a view that video art has a room for a different approach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wards the historical examination of societal policy and practice that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aesthetic boundaries of television and video. An examination of supporting funds for television broadcasting studios, publishing venues for video art, and other apparatus of video art, such as galleries/museums and the organizations of alternative cultural movements, can inform not only the development of video art but also the historicizing of video art itself. Today`s mass media and new digital art forms are changing the ways we study video art. It was the 1980s that historical narratives about video art just emerged. Now, the field is better informed about how to examine diverse art movements with more appropriate concepts and theories than the past. This is not meant to suggest that the history of video art be normalized, or that its complexity be glossed over. In light of experimental television, video technology, and today`s media art, rather, this paper intends to support the decentralized diversity in our artistic thinking and behaviour.

      • KCI등재

        뉴미디어 시대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의 새로운 가능성

        서계숙 ( Kye Sook Se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뮤직비디오는 과거에 새로운 시각언어를 실험했던 아방가르드 영상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오늘날 뉴미디어의 언어를 실험하는 장이 된다. 전통적인 서사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는 뉴미디어의 언어는 바로 뮤직비디오의 언어이기도하다. 비평가들은 "뮤직 비디오가 졸렬하게 영화의 흉내를 내지 않고, 가수의 모습을 기록하려고 들지 않을 때, 애니메이션의 전통에 설 때 그 내용이 가장 풍부하다."고 말한다. 주제를 시청각적으로 표현하는 컨셉츄얼한 뮤직비디오가 될 때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이다.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는 자체 성격상 컨셉츄얼한 뮤직비디오에 가장 적절한 매체이다. 역사적으로 월트 디즈니의 해골의 춤, 환타지아, 그리고 비틀즈의 옐로우 썸머린을 뮤직비디오의 예고편으로 볼 수 있다. 20세기 말, MTV를 통해서 다양한 애니메이션기법이 총망라된 포스트모던 스타일의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들은 서사에서 벗어나 직관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앞으로 21세기에는 3D특수효과가 사용된 3D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가 가상공간에 음악적 상상력을 펼칠 것이다. 애니메이션이 만화영화라는 편협한 편견에서 벗어나서 뉴미디어의 언어로서 자신의 특징을 드러낸다면, 그리고 뮤직비디오는 자신의 태생이 시각과 청각이 어우러지는 공감각예술임을 잊지 않는다면, 수준 높은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Music video has it`s root at the avant-garde film which experimented new visual language in the past, and today music video has become a field of experimenting new media language. Most of new media languages are made by evolving from traditional narration and they are the very languages of music video. Some critics remarked that "Music video comes to have the richest contents when it does not try to imitate movie clumsily, and when it does not attempt to record the features of singers." What they meant is that the most ideal one is conceptual music video expressing theme in visual-auditory way. By its nature animated music video is the most suitable media to match with conceptual music video. Historically ``Skeleton Dancing`` and ``Fantasia`` produced by Walt Disney, as well as ``Yellow Submarine`` made by the Beatles were regarded as trailer of music video. Contemporaries at end of 20th century could meet through MTV the animation music video of post-modern style which covered nearly all animation techniques available. Of such music videos, the good ones deliver theme audio-visually and intuitively. In the 21st century, 3D animation music video which adopts 3D special effects will become a further conceptualized music video, expressing new sense of space. If animation exposes its own characteristic as new media language, breaking away from narrow-minded prejudice that it is just a cartoon film, and unless it forgets that its origin is synesthesia art in which visual and auditory senses are mixed in harmony, then such animation will be able to play the role of producing high-level music video.

      • KCI등재후보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과 영상분류

        이국희(Guk-Hee Lee),이형철(Hyung-Chul O. Li),안충현(Chung Hyun Ahn),최지훈(Ji Hoon Choi),김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8 No.2

        시청각정보를 통한 영상미디어의 실감향상에 대해서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져 왔다. 반면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의 제시는 기술적 구현과 통제가 어려워 관련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영상실감을 위해 후각정보를 제시하고자 할 때 필요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영상에 존재하는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을 조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영상을 분류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에 냄새가 존재하는지 (냄새존재여부), 영상과 함께 해당 냄새를 경험하고 싶은지 (냄새제시선호), 해당 냄새가 내가 좋아하는 냄새인지 (냄새자체선호), 해당 냄새가 제시된다면 강도는 어느 정도면 좋을지 (냄새제시강도), 그리고 영상 속의 냄새가 얼마나 구체적인지 (냄새의 구체성)라는 다섯 가지 질문을 선정하였다. 이 질문들에 대해 높은 혹은 낮은 평정을 받을 만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을 수집한 다음, 참가자들에게 하나씩 시청하게 한 후 위의 다섯 가지 질문에 대해 7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영상분류를 위해 위 다섯 가지 질문을 2개씩 쌍으로 묶은 후, 각 질문에 대한 평정값을 2차원 평면의 X-Y축으로 설정하여 영상 산포도를 구성하였다. 산포도를 통해 드러난 영상군집과 그 형태는 해당 영상군집이 가진 특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함과 동시에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has been much advancement in reality enhancement using audio-visual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provision of olfactory information because smell is difficult to implement and control. In order to obtain necessary basic data when intend to provide smell for video reality,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user perception of smell in diverse videos and then classified the videos based on the collected user perception data. To do so, we chose five main questions which were ‘whether smell is present in the video’(smell presence), ‘whether one desire to experience the smell with the video’(preference for smell presence with the video), ‘whether one likes the smell itself’(preference for the smell itself), ‘desired smell intensity if it is presented with the video’(smell intensity), and ‘the degree of smell concreteness’(smell concreteness). After sampling video clips of various genre which are likely to receive either high and low ratings in the questions, we had participants watch each video after which they provided ratings on 7-point scale for the above five questions. Using the rating data for each video clips, we constructed scatter plots by pairing the five questions and representing the rating scale of each paired questions as X-Y axes in 2 dimensional spaces. The video clusters and distributional shape in the scatter plots would provide important insight into characteristics of each video clusters and about how to present olfactory information for video reality.

      • KCI등재

        뮤직비디오의 음악적 공간과 영상적 공간의 관계 분석에 관한 제언

        이상윤(Sang-Yoon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1

        뮤직비디오는 영상보다 음악이 중심이 되기 때문에 영화와 같이 영상 중심의 유형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징과 다르게 접근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뮤직비디오의 음악과 영상의 결합에 의한 특별한 공간적 관계를 분석적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음악과 영상의 공간 이론들을 고찰해보고, 이러한 이론들을 뮤직비디오 작품의 분석에 응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를 다루었다. 첫째, 뮤직비디오의 영상에 나타나는 공간 흐름의 무작위적인 나열 현상이 음악의 박절과 같은 질서 있는 시간 구조에 의하여 영상의 공간적 시간화가 형성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둘째, 뮤직비디오에서 음악 및 영상의 공간이 서로 일치하는가의 여부는 노래와 가수 이미지 간의 립싱크 여부로 결정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뮤직비디오에서 발생하는 시간성에 관한 문제가 음악과 영상의 공간적 특징을 규정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일정한 스토리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뮤직비디오의 디제시스적 공간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뮤직비디오의 음악과 영상의 공간 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들을 통하여 뮤직비디오의 음악과 영상의 공간적 관계 분석은 시간성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뮤직비디오의 스토리 세계가 의미하는 특징도 공간적 분석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점이라는 것을 고찰하였다. The analysis of music video differs from film analysis because music is more important than moving image in music video in comparison with film. In this researc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represen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space and visual space are analysed in music video. Before the analysis of music video"s spatial characteristics, each theory of the musical space and moving image"s space is researched. And then these theories are applied to analys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usic and visual image are analysed in music video. Firstly, when the movement of visual spaces cannot have spatial and temporal continuity, the temporal characteristic of music such as musical rhythm may apply to the temporal editing about the arrangement of moving image"s spaces. The singer"s character in the moving image of the music video can give spatial consistency to the temporal discontinuity of visual spaces. Secondly, lip-sync or non-lip-sync between vocal character image in the moving image and the song"s vocal sound in music video determines coincidence or incoincidence between the musical space and the visual space in music video. This means that temporal matter of music video defines characteristics of musical and visual spaces. Thirdly, diegetic space of music video can be determined by the narrative world of music video, that can give effect to the analysi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usic and moving image in music video. The analysis of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moving image in music video is closely related with the music video"s temporal characteristic, and the meaning of narrative world of music video is considered for the analysis of music video"s spaces.

      • KCI등재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요청 기반 비디오 프록시 서버 관리 기법의 설계

        이준표(Jun-Pyo Lee),조철영(Chul-Young Cho),이종순(Jong-Soon Lee),김태영(Tae-Yeong Kim),권철희(Cheol-Hee Kw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6

        비디오 프록시 서버의 저장장치는 원격지의 주 서버의 저장 공간에 비해 비교적 제한된 비디오 저장 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오랜 시간동안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지 않은 데이터를 저장장치로부터 제거하고 새롭게 요청된 비디오를 해당 공간에 저장하는 비디오 데이터 교환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프록시 서버의 저장장치 저장 공간에서 요청될 가능성이 가장 낮은 비디오를 선정하고 제거하는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 방법과 데이터교환 빈도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요청 패턴 기반 비디오 프록시 서버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을 위해 비디오프록시 서버의 메모리가 활용된다. 기존의사용자에 의해 요청되어 메모리에 적재된 비디오의 세그먼트를 새로운 사용자가 요청하여 소비할 경우 해당 세그먼트는 메모리에 지속적으로 상주하게 된다. 메모리에 상주하는 비디오는 사용자들의 요청 패턴에 따라 비디오 프록시 서버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 보다 높은 패킷 적중률과 보다 적은 패킷 교환 횟수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한다. Due to the limited storage space in video proxy server, it is often required to replace the old video data which is not serviced for long time with the newly requested video. This replacement causes the service delay and increase of network traffic. To circumvent this problem, we propose the an efficient replacement scheme in a video proxy server. In addition, we present a video data management technique for decreasing the number of replacement in video proxy server. For this purpose, we employ a memory in video proxy server. If the video segment which is loaded in memory is requested once again by a different user, this segment is resided in memory. The video in the memory is stored in the video proxy server depending on the consuming pattern by user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erforms better than other algorithms in terms of packet hit rate and number of packet replacement.

      • KCI등재

        뮤직비디오를 이용한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김경숙,라혜민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Recently, the need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foreigners is being emphasized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learners of Korean and because students who are exposed to many kinds of media expect various method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o be used. Therefore, a diversity of Korean teaching methods have been studied and suggested to meet the greater number of students and their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new way to activate the i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a foreign language. This is a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Korean music videos, given that Korean music videos have currently increased the influence of Korean abroad, especially for young people, through the mass media. Music videos promote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and interest needed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provide amusement for the younger video generation of learners. Also, the videos show Korean culture as well as the practical Korean language that takes place in actual life and can improve the four functions of language, includ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is paper studies teaching methods of Korean and Culture as a foreign language by utilizing Korean music videos. It aims to help teachers understand that and how music videos could be useful and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advanced learners, who are willing to learn about Korean society and language. It does this by examining utilization effects and selection criteria of music videos, and suggesting way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using music videos. In this study, firstly, the necessity and objectives of the research on measures for language using music videos are shown. Secondly, the benefits of music videos are examined, questions about lessons utilizing music videos are raised,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collect and select music videos are examined. Finally,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contents to find effective teaching measure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sing music videos, the stages of teaching activity and lesson plans applicable to practical lessons are suggested. 최근 한국어 학습자들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한국어⋅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다매체 시대에 노출된 학습자들의 한국어 ⋅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다양한 방법의 한국어⋅문화교육이 연구되고 제안되고 있다.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화 교육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중매체 중에서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뮤직비디오를 이용하여 한국어⋅문화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뮤직비디오는 젊은 영상 세대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과 심리적인 면에서 흥미를 증진시키고 즐거움을 주며, 실제 상황을 제시하여 목표어를 제공하고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뮤직비디오가 그 사회와 언어를 배우려는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학습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뮤직비디오의 활용 효과와 선정 기준을 살펴본 뒤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방안의 연구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다음으로 뮤직비디오의 활용 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살펴보고, 뮤직비디오 수집과 선정 시 그 기준과 유의점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뮤직비디오를 통한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 진행 활동과 수업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Integrity verification of the ordered data structures in manipulated video content

        Song, J.,Lee, K.,Lee, W.Y.,Lee, H. Elsevier 2016 Digital investigation Vol.18 No.-

        <P>Video content stored in Video Event Data Recorders (VEDRs) are used as important evidence when certain events such as vehicle collisions occur. However, with sophisticated video editing software, assailants can easily manipulate video records to their advantage without leaving visible clues. Therefore, the integrity of video content recorded through VEDRs cannot be guaranteed, and the number of related forensic issues increases. Existing video integrity detection methods use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pixels within each frame of the video. However, these methods require ample time, because they check frames individually. Moreover, the frame can easily be replaced and forged using the appropriate public softwar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n integrity checking mechanism using the structure of ordered fields in a video file, because existing video editing software does not allow users to access or modify field structures. In addition, because our proposed method involves checking the header information of video content only once, much less detection time is required compared with existing methods that examine the entire frames. We store an ordered file structure of video content as a signature in the database using a customized automated tool. The signature appears according to the video editing software. Then, the suspected video content is compared to a set of signatures. If the file structure matches with a signature, we recognize a manipulated video file by its corresponding editing software. We tested five types of video editing software that cover 99% of the video editing software market share. Furthermore, we arranged 305,981 saving options for all five video editing suites. As a result, we obtained 100% detection accuracy using stored signatures, without false positives, in a collection of 305,981 video files. The principle of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other video formats. (C) 2016 Elsevier Ltd. All rights reserved.</P>

      • KCI등재

        그래픽 가속을 이용한 비디오의 실시간 스타일화기법에 관한 연구

        이지형(JiHyung Lee),황치정(Chi Jung Hwang)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4

        비디오 관련 기술의 발달과 디지털 비디오 영상의 보급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에 다양한 특수효과를 적용하는 요구가 증가하였다. 기존의 이미지 변환 효과와 달리, 비사실적 렌더링 기술(NPR, non-photorealistic rendering)은 비디오 영상에 적용하가기가 쉽지 않다. 카툰이나 일러스트레이션 같은 스타일화를 비디오에 적용하면 느린 처리 속도, 반자동화로 인한 수작업, 결과 영상의 튀는 현상 등 단점들로 인해 실제 영상 제작 현장에서 사용하기 곤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자동으로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실시간 스타일화를 수행하는 2차원 이미지 기반의 비사실적 렌더링 기법을 제안한다. 비디오 영상에 비사실적 렌더링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서 비디오의 각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하고, 영상분석을 통해 얻은 쉐이딩 톤(shading tone)과 추상화(abstraction) 결과를 기반으로 순차적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각 프레임 이미지의 결과들을 모아서 먼저 흑백 일러스트레이션 효과가 적용된 스타일화된 비디오로 만든다. 흑백 일러스트레이션은 원 영상의 특징들을 잘 보여주지만, 영상의 의미를 잃어버리므로 컬러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내재적인 표현(implicit representation)을 갖도록 설계된 간단한 비사실적 렌더링 구조 덕분에 시간적 일관성(temporal coherence)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처리를 위해 NVidia 사의 GPU를 이용하여 가속이 가능하게 되어, 실시간으로 동작 하도록 구현되었다. 제안하는 비사실적 렌더링으로 만들어진 스타일화 기법은 기존 영상과 차별화된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영상의 특징을 강조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비디오 영상을 실시간에 스타일화가 가능하여, 방송, CF, 영화, 게임 등 디지털영상 제작 현장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dvancements in digital video technology, there are lots of needs for various special effects of videos by computer. The conventional image-transform effects could be applied to video streams, but non-photorealistic rendering effects are not easy to apply. In professional video productions, it is hard to use the non-photorealistic rendering (NPR) video effects like cartoon or illustration, because of problems which are low response time in processing and labor work, semi-automation using labor, jerkiness in video.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e present a two-dimensional image-based NPR system that automatically delivers stylization of images and videos. In order to apply NPR effects to a video, we transform each frame image sequentially in the video based on shading tone and abstraction from the corresponding frame. When the above process is ended, results of the frame images are integrated as a black and white style video with our illustration effects. Although black and white illustration preserves the salient features of video, it couldn"t show the meanings of video without color. Therefore, we try to make the color illustration. Moreover, because of simple NPR structures, our system can support the temporal coherence. As a result, our system is designed to have an implicit representation, and implemented to achieve real-time performances using the GPU hardware with NVIDIA’s CUDA. Our NPR stylization has 2 advantages: Outstanding video effects, and effective message representation by the emphasis of salient features in images. As our approach is fully automatic and real-time processing, it will be the essential technology for the digital contents production fields like broadcasting, commercial, movie and game.

      • KCI등재

        An Advanced Coding for Video Streaming System: Hardware and Software Video Coding

        Tuan Thanh Le,류은석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4

        Currently, High-efficient video coding (HEVC) has become the most promising video coding technology.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HEVC in video streaming systems is restricted by factors such as cost, design complexity, and compatibility with existing systems. While HEVC is considering deploying to various systems with different reached methods, H264/AVC can be one of the best choices for current video streaming systems. This paper presents an adaptive method for manipulating video streams using video coding on an integrated circuit (IC) designed with a private network processor. The proposed system allows to transfer multimedia data from cameras or other video sources to client. For this work, a series of video or audio packages from the video source are forwarded to the designed IC via HDMI cable, called Tx transmitter. The Tx processes input data into a real-time stream using its own protocol according to the Real-Time Transmission Protocol for both video and audio, then Tx transmits output packages to the video client though internet. The client includes hardware or software video/audio decoders to decode the received packages. Tx uses H264/AVC or HEVC video coding to encode video data, and its audio coding is PCM format. By handling the message exchanges between Tx and the client, the transmitted session can be set up quickly. Output results show that transmission's throughput can be achieved about 50 Mbps with approximately 80 msec la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