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은유와 아이러니 이해 양상

        정혜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5 No.-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은유와 아이러니 이해 양상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 초등학교 1-6학년 803명을 대상으로 은유와 아이러니 평가 도구를 투입하여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은유와 아이러니는 모두 간접표현으로 세 단계의 이해 과정을 거치며, 이 과정에서 상위언어능력과 맥락 파악 능력 등의 요인이 작용하는 공통점을 갖지만, 은유는 지식과 개념이, 아이러니는 상황과 화자 마음을 추론하는 능력이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연구 결과를 제한적인 범위에서 잠정적으로 내리면 다음과 같다. 은유와 아이러니 이해는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데, 그 수준을 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학생의 이해 정도가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초등학생의 은유 해석의 오류는 연상적 해석, 축자적 해석, 원인적 해석으로 유형화할 수 있으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은유를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수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은유 이해의 첫째 번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초등학생들이 적지 않음을 보여준다. 초등학생들은 친숙한 상황과 소재가 사용된 은유와 일상적으로 접촉 빈도가 높은 아이러니적 비평을 더 잘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은유의 이해에서 지식이, 아이러니 이해에서 언어 사용 방식의 학습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은유와 아이러니 이해 사이에 .52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은유와 아이러니 이해 과정과 그 과정에서 작용하는 요인이 유사한 데서 기인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know the understanding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metaphor and irony. For 803 1st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 comprehension tool for metaphor and irony was used to evaluate their understanding. Metaphor and irony are common as the indirective expression, which requires 3steps of understanding procedures. At these procedures, they have a common point from the aspects in the applications of metalinguistic and context grasping abilities. However they are different from the facts that know ledge and concept are more importantly applied on metaphor, but circumstance and inferring abilities of speakers are more importantly applied on irony. Under the limited range, a temporary study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in below. The understanding for metaphor and irony increased with the age, and the understanding levels could be divided into low, mid and high elementary school grades. The understanding level of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The fallacy of metaphor interpret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be patterned as the associative interpretation, literal interpretation, and casual interpretation. They are in common from the fact that metaphor is initiated from the level of literal interpretation, which indicates quite man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at the first step of understanding Metaph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ually tend to understand more frequently contacted ironic criticisms and metaphors that used with familiar circumstances and materials. Such tendency could be suggested to show the pattern that knowledge has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of metaphor, while the learning of language usage pattern has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of irony. In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metaphor and irony, it was found to have a correlation of 0.52. The result is considered to be attributed from the similar understanding procedures of metaphors and ironies, which could be came across with similarly acting variables at the procedures.

      • KCI등재

        개방형 질문에서 분석된 고등학생의 "지역" 개념에 대한 이해

        고덕민(Deok Min Goh)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개방형 질문을 통해서 지역 개념에 대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39명)의 이해 유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교수학적 활용을 설명한 것이다. 지역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유형은 개방형 질문에서 수집한 학생들의 의미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설명하고 있는 지역 개념의 의미를 비교하여, 두 의미 사이의 일치 및 연관 여부로 판단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유형은 완전한 이해, 부분적 이해, 모호한 이해, 전환된 이해 등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두 의미 사이에 존재하는 옳은 의미의 일치 및 연관 정도는 전환된 이해, 모호한 이해, 부분적 이해, 완전한 이해로 갈수록 높았다. 이를 통해 학생에 따라 지역 개념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지역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부분적 이해, 모호한 이해, 전환된 이해 등 은 교육과정에서 설명하고 있는 지역 개념의 의미와 완전하게 일치하는 경우가 아니므로 오개념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넷째, 교사는 이러한 오개념을 의미변화를 위한 교육적 대화의 소재로 활용하여 개념변화를 달성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plain understanding types about the concept of a ``Region`` in the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39)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describe the pedagogical utilizations for this. Students`` understanding types about the concept of a ``Region`` are compared and then determined through two meaning agreement and association between meaning of students`` understanding which is collected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meaning of a ``Region`` which is described in high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Students`` understanding types about the concept of a ``Region``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ull, partial, ambiguous, and converted understanding. Second, The degree of right meaning agreement and association existing between two meanings is rising steadily by converted, ambiguous, partial, and full understanding. For this reason, This result can make sure the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concept of a ``Reg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udents. Third, Students`` partial understanding, ambiguous understanding and converted understanding on region concept could be judged as misconception not fully corresponded to region concept in the curriculum explanation. Fourth, Teachers can achieve conceptual change through this misconception as a subject matter of educational dialogue for meaning change.

      • KCI등재

        독자의 장면적 텍스트 이해 방법 고찰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4 No.-

        This study explores the reader’s text comprehension method with the scene understanding presented by Lorenzer as a psychoanalytic method. Lorenzer’s understanding of the scene was proposed by Habermas as the basis for arguing about the limitations of Gadamer’s universality of understanding. The result of the argument is that scene understanding is also included in the universality of understanding. In the scene understanding, the counselor first composes the actual scene, the infancy scene, and the transference scene through conversation with the counselee(patient). Then, through the semantic association of these scenes, the counselor understands the counselee and treat his psychosis. This scene comprehension provides the logic that can explain the reader’s method of comprehension of the text. In text comprehension, the actual scene composition allows the reader to grasp the text content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The infancy scene composition becomes the grounds scene, allowing the reader to find the basis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tex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xplorer. Transference scene composi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elf-understanding by allowing the reader to directly experience the text situ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experienced person. By allowing these three scenes to interact structurally, the reader achieves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total association of meaning. The scene text understanding method enables the reader to realize the universality of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that generates one’s own life. 이 논의에서는 로렌쩌가 정신분석 방법으로 제시한 장면적 이해를 활용해 독자의 텍스트 이해 방법을 탐구한다. 로렌쩌의 장면적 이해는 하버마스가 가다머의 이해의보편성이 갖는 제한점에 대해 논쟁하면서 그 근거로 제시한 것이다. 논쟁의 결과는 장면적 이해도 이해의 보편성에 포함된다는 것이다. 장면적 이해에서는 먼저 상담사가 내담자(환자)와의 대화를 통하여 실제 장면, 유아기 장면, 전이 장면을 구성한다. 그다음 이들 장면의 의미연관을 통하여 내담자를 이해하고, 그의 정신증을 치료하게 된다. 이 장면적 이해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의 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한다. 텍스트 이해에서 실제 장면 구성은 독자가 관찰자의 입장에서 텍스트 내용을 파악하게 한다. 유아기 장면 구성은 근거 장면이 되어 독자가 탐구자의 입장에서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 할 수 있는 근거를 찾게 한다. 전이 장면 구성은 독자가 경험(참여)자의 입장에서 텍스트 상황을 직접 경험하여 자기 이해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독자는 이들 세 가지 장면이 구조적으로 상호작용하게 함으로써 의미의 전체연관을 통하여 자기 이해를 이루게 한다. 장면적 텍스트 이해 방법은 독자가 자기 이해와 자기 삶을 생성하는 이해의 보편성을 실현하게 한다.

      •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성찰적 이해를 중심으로 -

        김미선 ( Jin Meisha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2 先淸語文 Vol.50 No.-

        This study aims to educate ethnic Korean learners to facilitate inner change and development by understanding the other and exploring the inner side of themselves. Reading poetry is to face a different kind of the other, and to discover oneself in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Learners can shape their own experience in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and facilitate new self-understanding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mselves with others. At this moment, not only the meaning of the object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 learners experience and recognize the object, but also the value and direction of the learners’ life will b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sign reflective understanding education in Korean modern poetry based on the concept of ‘reflective understanding’ of learners who grasp the object in the course of poetry comprehension, realize the true meaning of it, understand themselves, and facilitate inner growth. In this study, ‘Self-reflection poetry’ is selected as a specific medium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Self-reflection poetry” is a work representing the inner story of a poet, which well embodies the poet’s life and reflective attitude toward lif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reflections in the “self-reflection poetry” text and learners’ reflections through the poetry text are homology. is effective at drawing the learners’ reflective understanding.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ategorized aspects of the reflective understanding of ethnic Korean learners about self-reflection poetry, and suggested principles of the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as ‘recognition of the other as an object of comprehension,’ ‘reorganization of multiple experiences through engagement’ and ‘self-identif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The aspect of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was categorized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ethnic Korean learners’ poetry report. First of all, in the course of ‘recognition of the other as an object of comprehension,’ learners used the inner information of poetry text or their own background knowledge to recognize the other. Next, in the course of ‘redefinition multiple experiences through negotiation,’ learners actively sought to explore factors within their experience range that could be common denominators with others, and showed themselves redefinding their multiple experiences by awareness of a problem or sociocultural factors of poetry text. Finally, in ‘meta self-reflection through communicatio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spects as learners objectify themselves by comparing with other, or reflection in poetry text was transferred to learners and reorganize their identity by self-referral. Based on these aspects of ethnic Korean learners, deterrent factors and facilitating factors revealed in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was analyzed. The deterrent factors of reflective understanding are the fixation of thought, limitation of experience, and conventionalized reflection. Then, the facilitating factor is self-referral through interaction with fellow lear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which it sought to facilitate the growth of learners as active reading subjects and to expand the learners’ vision toward the world by experiencing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e poetry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justice such as arousing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triggering creative thinking, and so on. Furthermore, it has a significance of devising poetry education to enhance self-understanding ability of ethnic Korean learners.

      • KCI등재

        무조건적 이해와 대화: 오크쇼트 인식론의 교육학적 함의

        박주병(Park, Ju-Byung) 한국교육철학회 2016 교육철학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the role of educational philosophy through the concept of ‘unconditional understanding’ in M. Oakeshott’s On Human Conduct. Unconditional understanding is not a definitive understanding nor a complete theory but a continuous recognition of the conditionality of every understanding. In this engagement the conditions of understanding are themselves waiting to be understood and not instruments of understanding. So in every understanding there is an invitation to investigate its conditionality. Unconditional understanding has two characters, incompleteness and intimation of conversation. For the recognition and investigation of conditionality makes every understanding to be not yet understood. Furthermore it makes every conditional understanding to accept and relate other conditions without reduction or subjection, that is, in conversational encounter.

      • KCI등재

        논문 : 신의 존재의 기초로서의 신의 인식-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파리문제 1」의 신론에 관한 한 연구-

        이상섭 ( Sang Sup Lee ) 한국중세철학회 2011 중세철학 Vol.0 No.17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파리문제 1」에서 신에게는 인식이 존재에 우선하며 인식이 존재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한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 먼저 에크하르트는 존재는 원인에 의해서 야기된 것, 창조된 것 및 제약된 것으로 규정하고 ``만일 어떤 것이 참된 원인이라면 어떤 것도 원인과 원인에 의해 야기된 것 안에 모두 형상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원리에 입각해서 존재의 원인인 신에게 존재를 부정한다. 그리고 존재 없는 신을 적극적으로 지성작용으로 규정한다. 그 까닭은 에크하르트에 따르면 지성 및 지성작용은 창조됨이라는 규정을 갖지 않고 어떠한 제약성도 갖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계로부터 에크하르트는 ``신은 존재하기 때문에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인식하기 때문에 존재한다``는 주장과 함께 존재에 대한 지성의 우위를 주장한다. 그러나 이것이 신에게서 지성과 존재의 비동일성을 곧바로 함축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에크하르트는 ``신은 실제로도 개념상으로도 지성과 존재가 동일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에크하르트는 한편으로는 존재와 지성의 동일성을 다른 한편으로는 존재에 대한 지성의 우위성 및 인과성을 보여주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에크하르트는 인식과 동일한 규정성을 갖는 ``일자(unum)``의 본질적 규정성이 존재를 자기와 동일한 것으로서 포함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줌으로써 절대적인 의미에서 인식과 존재의 비구분적 동일성을 확보한다. 또한 자기에게 의존적인 것을 산출하는 유비적 인과관계와 달리 자기와 동등한 것을 산출하는 일의적 인과관계의 이론을 전개함으로써, 서로 원리와 원리에 의해 산출된 것의 관계인 인식과 존재가 산출과 산출된 것의 대립의 관점에서는 서로 구분되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근거가 되면서도, 서로의 상관관계에 근거해서 서로를 정립하고 포함하는 관계임을 보여준다. 이로써 신에게서 인식은 존재와 동일한 것이면서도 전자가 후자의 근거가 되는 것임을 주장할 수 있었다. Meister Eckhart argues in his Parisian Question I that in God understanding (intelligere) is not only prior to being(esse) but also its fundament. To show it, he firstly determines being as the caused, the created and the determined and then, based on the idea that if the cause is a true cause, nothing exists formally in both a cause and its effect, denies to God being. For God is not being but the cause of being. He further contends that God is pure understanding.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Eckhart understanding as well as intellect does not have any determination of being caused or created and is not something determined. From this he draws the famous conclusion that it`s not the case that God understands, because he exists, but that God exists, because he understands. He argues therewith for the priority of understanding over being. But this does not imply the non-identity of understanding and being in God. On the contrary Eckhart says the opposite, that is, according to him, in God understanding and being are the same both in reality and in thought. Now he is confronted with the question how understanding, which is identical with being, can nevertheless be its fundament. With regard to this problem, Eckhart secures the identity of understanding and being in God by showing that to the essential determination of the one(unum) which has the same determination with understanding, does it belong that it includes being, and therefore is not distinct from being. But on the other hand by developing the theory of the univocal causality according to which, unlike the relation of analogical causality in which a cause causes something inferior to it, a cause causes something equal to it, he shows that in God understanding and being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distinguished because of their opposition, while they reciprocally posits and includes each other on account of their relationality. In this way he argues that in God understanding is identical with being and at the same time the cause of the latter.

      • KCI등재

        Gadamer 이해의 역사성에 비추어 본 백워드 디자인의 이해 개념 고찰

        정향윤 ( Hyang-yoon J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백워드 디자인의 이해 개념을 Gadamer 이해의 역사성 개념에 비추어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백워드 디자인에서 규정하는 이해 개념과 그 이론적 근거로 인용되고 있는 Gadamer 해석학에서의 이해 개념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였다. Gadamer 해석학에서의 이해는 ‘역사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개발의 대상이 될 수 없다. 한편, 백워드 디자인은 디자인을 통해 이해를 개발할 수 있다고 보는데 이러한 관점은Gadamer의 관점과 상충된다. 따라서 백워드 디자인에서 이해 개념의 이론적 근거로 Gadamer 해석학에서의 이해 개념을 인용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문제가 있다. Gadamer 해석학에서 이해의 역사성에 비추어 백워드 디자인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adamer 해석학과 백워드 디자인의 이해 개념 모두 전통에 근거하지만 전통에 대한 의식에 차이가 있다. Gadamer 이해가 ‘영향력 있는 역사의식’을 염두에 두는 반면, 백워드 디자인은 ‘자의식’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둘째, 전통에 대한 의식의 차이는 더 높은 이해로의 고양을 가능하게 하는 ‘해석학적 순환’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백워드 디자인이 이해를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본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백워드 디자인에서 이해 개념을 정립하는데 있어 Gadamer 이해의 역사성을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for considering the understanding of backward design based on the historicity of understanding in Gadamer’s hermeneutics.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defined by backward design and by Gadamer’s hermeneutics, which is theoretical basis of backward design, were limited to the subject of study. Understanding in Gadamer’s hermeneutics is not subject to development because of its ‘historicity’. Backward design, on the other hand, seems to develop understanding through design, which is in conflict with Gadamer's view. Thus, quoting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in Gadamer hermeneutics as the theoretical basis of understanding in backward design is logically problematic. The results considered backward design in light of the historicity of understanding in Gadamer’s hermeneutics are as follows. First, both concepts of understanding are based in tradition, but they differ in their awareness of tradition. Second, difference in awareness of tradition also affects the hermeneutic circle of understanding that leads to higher understanding. However, this study concludes that, as a positive point, backward design regards understanding as an end rather than a mean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hermeneutic circle of understanding should be considered in backward design to strengthen this theory.

      • KCI등재

        사진자료를 통한 초등학생의 역사이해

        김주택 ( Kim Ju-taek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1

        사진은 문자자료와 함께 역사이해를 위한 유용한 자료이다. 사진자료는 과거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학생들의 주의집중을 유도하며 학습내용 파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사진자료에 대한 관심과는 달리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사진 자료를 통해 역사를 이해하고 있는 모습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사이해를 위한 사진이해는 시각적 이해를 바탕으로 개념적 이해 수준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고, 열 장의 사진을 이용해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들(각 12명, 총 36명)과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개념적 이해는 시간개념, 유사성과 차이, 역사적 의미, 감정이입을 통한 사진이해를 말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개념의 이해에서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사진의 시기를 ‘일반적 시간표현’에서 네 자리수로 표현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과 유사한 사진을 비교적 정확하게 이해하며, 연도를 대신한 표현도 자신보다 나이 많은 사람, 역사적 사건이나 시대구분 용어를 사용하였다. 연대개념에서 2학년 학생들은 사진의 시기에 맞게 배열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4, 6학년 학생들은 사진의 상황, 관련사실을 이용해 자신의 시간표현에 따라 사진배열을 시도하였다. 둘째, 유사성과 차이에 대한 인식에서 2, 4학년 학생들은 사진의 상황보다 단순히 사물만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6학년 학생들은 사진의 장면, 상황을 현재와 비교하여 유사성을 찾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역사적 의미의 파악에서 2학년 학생들은 부정확하고 단편적인 사실에 근거하거나 현재와 시기상 가까우면 역사적으로 의미 있다고 생각하였다. 4학년 학생들도 여전히 현재를 중시하는 생각을 지녔으나 국가적 차원에서 영향을 끼친 사건을 역사적으로 의미 있다고 생각하였다. 6학년 학생들은 최근의 일상적인 모습 대신 과거에서 교훈을 삼을 만한 일, 민주주의와 사회개혁을 위한 실천, 국가적으로 기쁜 일을 의미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넷째, 감정이입적 이해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거인의 행위의 이유로 정신적인 결함에서 찾거나, 막연한 상상이나 지어낸 이야기를 제시하였다. 나아가 상식적인 수준의 전형적인 이해를 보였다. 몇몇 학생들은 과거인의 행위가 현재와 다르다는 사실을 인정하지만 좁은 맥락에서 이해하였다. 초등학생의 역사이해에 대한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사진자료 이용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사진이해는 현재와의 차이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2학년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과 관련있는 사진의 시간과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반면 과거의 사진은 일반적 시간표현, 막연한 상상을 동원하여 이해하고 역사적 의미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의 사진을 시간적으로 동떨어진 상태로 역사이해를 시도하기보다는 현재의 모습을 담고 있는 사진과의 비교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인물의 행동이 담긴 사진은 학생들의 역사이해를 자극할 수 있다. 학생들은 부정확하지만 사진 속 인물의 행위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학생들은 상상적으로 말하거나 자신 의 역사지식을 동원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현재와 비교하면서 역사적 의미를 찾기도 하였다. 셋째, 관련자료 제시와 교사의 추가적인 질문은 학생의 사진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 사진 자료는 모든 것을 보여주는 완성된 형태의 자료가 아니며 학생들은 제한된 역사지식을 지니고 있다. 학생들의 사진이해를 자극하기 위해 교사의 물음, 관련사실 안내, 학생의 대답유도가 필요하다. 넷째, 역사이해를 위해서 사진이해는 개념적 이해로 이루어져야 한다. 개념적 이해는 역사의 핵심개념에 근거한 사진이해 단계이다. 학생들은 개념적 이해로 보다 풍부하고, 깊이 있게 역사를 이해할 수 있다. 이상 본 연구에서는 사진자료를 통해서 초등학생이 역사를 이해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는 초등학생이 역사를 어떻게 이해하며 역사학습을 위한 사진자료 활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기대한다. Photographs are useful material as like literal materials. Photographs show the vivid image of the past,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student, can help the retention of the study. Ye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photograph. In this study. Photographs understanding is divided into the two levels, visual understanding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Ten photographs were used to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the 2nd, 4th, 6th grade students(each twelve, total thirty-six). Conceptual understanding means the photograph understanding with the key concepts in history(time concept, similarity and difference, significance,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pper grade students expressed the date of the photograph with the proximate designation rather than general designation which was used by the lower grade students. And also students understood photographs correctly which are similar to their experiences, expressed the date of the photograph with the old, historical events, time vocabulary. In chronological concept, almost all 2nd grade students did not order the photograph correctly, 4th and 6th grade students tried to order the photograph with their historical knowledge about the situations and the events of the photograph. Second, in similarity and difference 2nd and 4th grade students compared the things in photographs rather than the situations. But 6th grade students compared the image, situation in the photograph with the present. Third, 2nd grade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s about the significance on the basis of the incorrect and fragmentary knowledge, regarded the photographs significant which is close to the present. 4th grade students also thought the present important but came to regard the historical events significant. 6th grade students regarded the events which have the lesson to the present, the revolutionary practices and the national festival significant. Fourth, almost all students thought that the past people had the mental defect. And they just imagined vaguely, made story to explain the reasons of the behaviour of the past people and showed stereotyped understanding. Some students knew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ut understood in restricted context. On the basis of the featur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we can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lower grad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photograph better in comparison with the past and the present. They understood the photograph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but used the general designation, vague imagination to the past photographs. Second, photographs containing the person can incite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Students tried to understand the behaviour of the people in the photograph. They used the imagination and their historical knowledge. Third, teachers can deepen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bout the photograph by presenting the related materials, asking the questions to the students. Photographs are not the perfect materials which show the everything. Students have the restricted knowledge. Teachers can incite students to understand the photograph. Fourth, conceptual understanding which is on the basis of the key concept in history is essential for the photograph understanding. Students can understand history more deeply with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researched how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history with the photograph. I hope that this study will offer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types of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use of the photograph in class.

      • KCI등재

        아렌트 ‘이해(understanding)’ 개념의 교육적 의미 고찰

        조나영 ( Cho Na-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아렌트의 ‘이해(understanding)’ 개념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아렌트 가 학계의 주목을 받고 본격적으로 자신의 사상을 펼쳤던 것은 『전체주의의 기원』(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을 통해서였다. 그녀는 이 논저에서 전체주의를 가능하게 했던 여러 요인들을 ‘이해’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사유는 아이히만의 재판을 참관하고 난 뒤 작성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Eichmann in Jerusalem)으로 이어졌다. 아렌트는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다루었던 ‘근본악(the radical evil)’으로부터 『예루 살렘의 아이히만』의 ‘평범한 악(the banality of evil)’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환하면서 무엇보다 우리가 이 세계를 ‘이해’해야만 다시금 전례없는 일이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경고한다. 본 연구는 아렌트의 이러한 주장 에 힘입어 그녀의 ‘이해’ 개념에 관한 연구가 초기 저작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아렌트적 ‘이해’ 개념의 특징적 차원들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우리의 세계가 아이들에게 ‘이해’의 과정을 단축함으로 써 세계를 진부하게 한다는 점을 교육적 문제로 제시한다. 아울러, 교육은 세계를 이해하는 지난(至難)한 활동이 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아렌트의 이해 개념에 기초하여 그것이 지닌 교육적 함의를 밝힌다. 그것은 첫째, ‘이해’를 통해 아이들이 세계를 천천히 느끼고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는 교육적 시간에 관한 것이며, 둘째, 아이들이 세계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감탄하는 능력을 기르는 일이며, 마지막으로, 아이들이 직면하게 되는 세계의 부도덕함이나 잔인함 등에 맞서 저항하도록 하는 일과 관련이 있다. 이로써 우리는 교육활동의 단축화와 일반화를 경계하고 종국에는 우리가 지니고 있던 기존의 이해 개념을 넘어서 새로운 관점에서 다시 한번 세계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열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rendt’s concept of “understanding.” It was through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that Arendt received academic attention and shared her ideas about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enabled totalitarianism. Such contemplation was thoroughly expressed in Eichmann in Jerusalem, which she wrote after witnessing Eichmann’s trial. Shifting the discussion from the radical evil in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to the “understanding” of the banality of evil in Eichmann in Jerusalem, Arendt warns that the recurrence of such unprecedented events can be avoided only when we “understand” this world. This study points out that, despite Arendt’s claims, previous studies on her concept of “understanding” have focused only on her early works and attempt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ndt’s concept of understanding.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is study argues that shorten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for children makes the world banal. While being cognizant that education is an extremely difficult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world, this study reveal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the world as suggested by Arendt. The first implication is about allowing the time required for children to slowly feel and observe the world through “understanding.” The second is about cultivating children’s ability to admire the world so as to properly “understand” it. The third is related to helping children resist the immorality and cruelty of the world. By taking these implications, we will be able to guard against shortening and generaliz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eventually create opportunities to re-expand the world with a new concept of understanding that surpasses the existing one.

      • KCI등재

        元曉 一心의 神解性 분석

        고영섭(Ko Young-seop)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20 No.-

          Bunhwang Wonhyo(芬皇 元曉, 617~686) was a philosopher in the Korean Shilla Dynasty. He was a successor to the Buddha"s wise thought and merciful life on the basis of One Mind(一心)-Reconcilement(和會)-Interfusion(無碍). His One Mind philosophy opened a new way for researching the human abyss and world essence. The breadth of his enlightenment also enabled many people to live in the vast sea of Buddha dharma, as his manner of thinking and living opened up completely new, unique, and encompassing vistas well beyond the conventional limits of his age, people, religion and philosophy.<BR>  Wohyo"s One Mind philosophy was based on the One Mind-Two Approaches(一心二門) formulation described in Awakening of Mah?y?na Faith. He was not restricted by the commonly accepted view of Awakening of Mah?y?na Faith, wherein One Mind is understood in light of dualistic opposition of the Combined Consciousness of True and False(眞妄和合識). On the contrary, he applied a different view of One Mind to Combined Consciousness, unlike the ?laya-vij??na view of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that tried to understand One Mind as True Consciousness of Great Perfect Mirror Wisdom(大圓鏡智). Therefore, his understanding of One Mind is very dynamic and elastic.<BR>  The dynamics and elasticity are also caused by the dualistic structure of Awakening of Mah?y?na Faith(大乘起信論), that divides One Mind into two characteristics such as white-clean and dirty-contaminated. Wonhyo, who investigated deeply into the suffering min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o classify the unenlightened person and Buddha as two or whether to unify them, also made One Mind open to the Ninth Consciousness(九識) without restricting the range of it to Eight Consciousnesses(八識). This ground of understanding is due to Wonhyo"s dynamics and Mystical Understanding.<BR>  Wonhyo connects One Mind to Tath?gata-garbha(如來藏), while saying that "it is called Tath?gata-garbha because the body of One Mind is defined as Original Enlightenment(本覺) and it causes phenomenon depending on ignorance." In order to explain this, he "coins" the expression of Mystical Understanding and provides expand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One Mind by adding the meaning of Mystical Understanding to the understanding of One Mind.<BR>  And he explains Mystical Understanding on the basis of the property of Nirm??a-k?ya that does not adopt inanimate objectivity, which shows that Wonhyo"s One Mind exposes the changeable meaning of an absolute aspect and the unchangeable meaning of a phenomenal aspect at the same time. Wonhyo quoted the concept of Miraculous Understanding in order to explain changeability of an absolute aspect rather than its unchangeability, and unchangeability of a phenomenal aspect rather than its changeability. And finally, Wonhyo"s Mystical Understanding of One Mind shows that the real nature of Original Enlightenment is miraculous by itself. And the meaning of Mystical Understanding belongs in the Ninth Consciousness, Amala-vij??na, rather than being restricted to the eighth consciousness, ?laya-vij??na.<BR>  In this way, Wonhyo harmonizes the Eight Consciousnesses theory of Awakening of Mah?y?na Faith and the Nine Consciousnesses theory of V?jrasam?dhi-S?tra(金剛三昧經論) through dynamics and Mystical Understanding of One Mind. As a result, Wonhyo enlarged the extension of One Mind understanding by granting the meaning of dynamics and Mystical Understanding to One Mind, which challenged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his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