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me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기법을 이용한 Coaxial Cable에서의 결함 감지 및 추정

        송은석,신용준,최덕선,육종관,박진배,Powers, Edward J. 한국항행학회 2003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7 No.1

        본 논문에서는 도선사에서 발생하는 결함 위치와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새로운 고분해능 반사측정법인 시간-주파수 영역반사측정법 (TFDR,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을 제안하였다. 고전적인 반사측정법들은 단지 시간 또는 주파수의 한 영역에서 분석되어져 왔으나, 본 논문에서 제시한 TFDR은 도선의 결함 위치와 이상 유무를 발견하기 위해 과도신호의 시간과 주파수 영역의 정보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분석기법으로 특성화하였다. TFDR의 기준신호 설계는 측정 케이블의 물리적 성질들을 고려하여 주파수 밴드를 결정하며, 도선의 결함감지와 추정은 시간-주파수 상호상관관계 함수에 의해 이루어진다. TFDR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러 결함 상태를 가진 실제 coaxial cable (RG-142, RG-400)에 대해 실험하였고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 장비와 성능은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TFDR이 TDR보다 작은 오차로 결함을 찾아냄을 나타내고 있으며, 측정된 정확도는 TFDR의 오차율이 0.5%이하로 TDR (54750A/54754A) 장비보다 성능이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a new high resolution reflectometry scheme,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TFDR), is proposed to detect and locate fault in wiring. Traditional reflectometry methods have been achieved in either the time domain or frequency domain only. However,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utilizes time and frequency information of a transient signal to detect and locate the fault. The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approach described in this paper is characterized by time-frequency reference signal design and post-processing of the reference and reflected signals to detect and locate the fault. Design of the reference signal in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is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frequency bandwidth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cable under test. The detection and estimation of the fault on the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relies on the time-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is compared with commercial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instrument. In these experiments provided in this paper, TFDR locates the fault with smaller error than TDR. Knowledge of time and frequency localized information for the reference and reflected signal gained via time-frequency analysis, allows one to detect the fault and estimate the location accurately.

      • KCI등재

        진보 없는 시대의 유토피아 - 타임루프 장르의 서사학적・기술문화적 맥락과 이데올로기 연구

        유인혁 대중서사학회 2023 대중서사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pict the cultural meaning of the time loop genre in Korea. The time loop genre has been reproduced in Korea since the 2010s. I tried to argue that this form reproduces the condition of postmodern time-space and that there is an aspect that denies the notion modern temporality. This process was carried out through three interrelated objectives. Firs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time loop genre has an anti-historic character. In other words, it was examined that the time loop genre has an aspect of disturbing chronological temporality. It emphasizes that the ‘nonlinearity’ and ‘multi-branch structure’ of the narrative of time loop genre have the effect of denying the notion of time as the progression.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the time loop genre is the narrative adopting the character of video game. Repeating reading may be recommended, but it is not an essential in written texts such as novels. However, video games presupposes a repetition of the same performance. In this contexts, the time loop genre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an adaptation of the video game's feature such as ‘restart’ or ‘save/road’. Third, this study presents what ideological connotation the time loop genre has. The disturbance of temporality is linked to the idea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have a positive outlook of the future. And video games are appropriated to utopian spaces where magical ‘restart’ is possible. At this time, the time loop genre can be understood as an narrative that shows a special perception of reality. The time loop genre is an narrative that symbolically demands prospects and opportunities to overcome unreasonable environments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have a prospect of progres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타임루프 장르의 문화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타임루프 장르는 20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이 형식이 탈근대적 조건의 시공간을 재현하고 있으며, 진보로 대표되는 근대적 시간관‧역사관을 부정하는 측면이 있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이러한 과정은 총 세 가지 상호연관적인 세부목표를 경유하여 수행되었다. 첫째, 이 연구는 타임루프 장르가 반서사학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즉 타임루프 장르가 연대기적인 시간성을 교란함으로써, 서사학적 차원을 ‘사건의 시간적 배치’에서 ‘사건의 공간적 배치’로 전환시키는 측면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때 나타나는 서사의 ‘다중분기구조’가 근대적 시간관‧역사관을 부정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조명했다. 둘째, 이 연구는 타임루프 장르가 ‘게임 형식의 서사화’의 성격을 가진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서사에서 동일한 텍스트의 다시읽기는 권장될 수는 있으나 필수적인 경험이 아니다. 그러나 놀이는 동일한 수행의 반복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맥락을 참조할 때, 타임루프 장르는 비디오 게임의 ‘재시작’이나 ‘세이브/로드’를 서사적으로 번안한 형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이 연구는 타임루프 장르의 서사학적‧기술문화적 맥락이 어떠한 이데올로기적 차원을 가지고 있는지 제시했다. 타임루프에서 시간성의 교란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갖기 어렵다는 현실인식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비디오 게임은 재시작을 통해 최소한의 기회를 제공하는 유토피아적인 세계로서 재현되고 있다. 이러한 서사는 현재 우리 사회의 증상이 ‘현실적인 플롯’으로는 적절히 다스려지지 않는 측면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언설의 의미는 타임루프 장르에 아로새겨진 욕망이 ‘비현실적’이며 따라서 현실도피적이라는 데 있지 않다. 오히려 타임루프 장르는 진보에 대한 전망을 갖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 불합리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가망성과 기회를 상징적으로 요구하는 서사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스웨덴의 시간제근로 : 유연성과 성평등의 긴장 속 공존

        김영미 ( Young Mi Kim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1 산업노동연구 Vol.17 No.1

        스웨덴 시간제근로가 주로 여성들의 일자리로 자리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화되지 않고 좋은 일자리로 자리잡게 된 데에는 다음 세가지 조건이 가장 중요하였다고 판단된다. 첫째, 스웨덴에서 시간제근로는 고용유연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기 보다는 생계부양자 모형의 전환을 목적으로 한 포괄적인 일-생활 양립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확산되었으며 보육정책, 육아휴직정책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시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단시간근로 청구권을 바탕으로 한 전환형 시간제가 많아 종사상 지위의 측면에서 볼 때 전일제와 시간제의 지위 상 경계의 구분이 쉽지 않고 부가급여, 사회급여에서 차별적 대우의 근거가 없다는 점이다. 세째 EU근로시간 지침과 노동법, 단체협약에 의해 전일제근로의 노동시간에 대한 규제가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시간제근로에 대한 수요가 크고 그와 함께 시간제근로의 초과근무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어 시간제근로가 실질적으로 안착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시간제근로가 스웨덴 여상들의 경제활동 및 생애과정에 미친 영향과 관련해서는 시간제근로가 여성 고용률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데는 연구자들 간에 큰 이견이 없다. 1970년대 이후 시간제근로의 확산 과정을 보면 시간제근로는 기존에 경제활동을 하고 있던 전일제 여성근로자들을 시간제로 전환시킨 것보다는 경제적으로 비활동적이었던 여성들을 노동시장으로 끌어들인 효과가 훨씬 컸다. 시간제근로 확산 이후 스웨덴 여성들의 생애과정의 지배적인 패턴은 양육기 이전 전일제-양육기 시간제-양육기 이후 전일제로 양육기의 경력단절이 최소화된 패턴으로 대체된 것으로 평가된다. 성평 등의 관점에서 볼 때 스웨덴의 시간제근로는 여성화의 문제, 여전히 온존하고 있는 성별직종분리의 문제 등 분리된 일자리라는 한계를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노동시장 통합도를 높이고 전일제로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긍정성을 보여주고 있다. Part-time jobs in Sweden are highly feminized yet are in fair conditions in terms of job security, earnings, and collective representation. Three point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to understand why part-time work in Sweden carries such positive characteristics. First, the part-time work in Sweden is widely spread not as a result of employers` need for labor flexibilization but as means to enhance the work-life balance, a value pursued within a broader social policy package to change the breadwinner model. Second, discrimination against part-time workers is restrained in Sweden because the boundary between part-time and full-time is not conspicuous. Most of part-time jobs are occupied by regular workers who exert the right to part-time work, hence may go back to the full-time status any time. Third, the regulation on overtime work of part-time workers as well as full-time workers is strong. It is largely agreed among researchers that part-time work contributed greatly to an increase of female employment rate in Sweden. Since the l970s, the increased availability of part-time jobs induced married women who used to be economically inactive to the labor market and maintained them to be economically active throughout the child rearing period. From the gender perspective, one may still raise issues regarding part-time work in Sweden such as persistent feminization and strong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However, the observed trend shows that the part-time work in Sweden has functioned more as a stepping stone to the full-time work for women than as a women`s trap.

      • KCI등재

        오장환의 시간 ―『병든 서울』에 나타난 시간의 중의적 의미를 중심으로

        오세나(Oh, Se-na)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9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7 No.-

        본 연구는 근대시인 오장환의 시집 『병든 서울』에 나타난 시간의 중의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병든 서울’에서 ‘병든’에 사용된 관형사형 어미 ‘-ㄴ-’은 과거형과 현재형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그 의미는 ‘병들어 있는’의 현재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고 ‘병들어 버린’의 과거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시간의 차이는 오장환의 시 의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 『병든 서울』에 수록된 시들은 1945년에 창작되었기 때문에 해방기 시간을 연구 범위로 한다. 또한 시간에 대한 이해는 하이데거의 현존재가 바라보는 존재론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기독교적 시간 이해 방법인 크로노스와 카이로스를 통해 ‘현재’적인 시간과 ‘과거’적인 시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연구 결과 『병든 서울』에는 오장환이라는 현존재가 병든 서울의 모습을 ‘현재’(크로노스)로 바라본 부정적 현실과 그것을 ‘과거’(카이로스)로 넘기고 새로운 소망의 시간, 기회의 시간을 기다리는 의식이 포착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시간의 주관적 변용에 대한 이해가 시에 투영된 시인의 의식을 파악하는데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시간연구의 지평을 넓혀 줄 것을 확신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mbiguous meanings of time shown in the poetry Sick Seoul by Oh Jang-hwan. The suffix ‘-ㄴ-’ used in 병든[Sick] in ‘Sick Seoul(병든 서울)’ can be used in both past and present forms. The meaning can be the present status ‘is getting sick’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interpreted as past as ‘caught an illness and is sick’. The difference of time presents important direction in the understanding of his poetic awareness. As poems in Sick Seoul were written in 1945, this article dealt with the time of independence. In addition, the time is understood as the ontological view of Heidegger, and it is divided into ‘current’ time and ‘past’ time through Chronos and Kairos, the Christian method to understand the tim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in Sick Seoul there is a negative reality that Oh Jang-hwan as Dasein looks at the image of sick Seoul as Present(Chronos) and the consciousness of waiting for the time of new hope so to speak the time of opportunity passing the negative reality as the Past(Kairos). Through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ive transformation of time would be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consciousness of the poet projected in poems and it will surely further expand the horizon of studies on time.

      • KCI등재

        영화적 기법을 통한 현대시의 시간과 사유

        박한라 ( Han Ra Par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5

        본고는 시를 영화적 기법으로 해석해보았을 때 두드러지는 이미지의 흐름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추적하고 그것이 어떻게 사유와 연관되는지 모색해보았다. 실례로서 김기택, 오규원, 이성복 시를 살펴보았으며 각각 근거리 쇼트, 원거리 쇼트, 몽타주를 통해 시간의 특성과 사유를 고찰하였다. 먼저 김기택 시의 창작 기법은 미세한 대상을 전체로 확대하는 근거리 쇼트와 유사 하다. 근거리 쇼트를 통해 시의 시간을 살펴보면 시제 어미가 동일하게 진행될 지라도 현실의 시간에서 대상의 시간으로 흘러가는 양상이 드러난다. 이는 작은 대상이 전체로 확대될 때 시공간이 추상화되어 대상만의 이미지로 탈영토화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근거리 쇼트를 시에 적용할 때 개별적 대상들의 외면을 통해 그것의 숨겨진 내면으로 흘러가는 시간과 사유의 흐름을 알아낼 수 있다. 오규원의 날 이미지 시는 흘러가는 시간을 바탕으로 살아있는 이미지를 묘사하기 때문에 영화적 기법 중 ``원거리 쇼트``와 유사하다. 원거리 쇼트를 통해 시를 바라볼 때에 는 ``현재진행형``인 시간의 지속성과 ``동시성``을 살펴볼 수 있다. 현재진행형의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의 구분 없이 시간의 지속성에 집중하여 본연 그대로의 대상의 속성을 펼쳐나간다. ``동시성``은 대상들이 상호주체적인 관계를 맺으며 개방적 구조에 의한 세계를 만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두 시간의 특성은 날 이미지 시가 언어로 상징 화되기 이전의 훼손되지 않은 풍경을 사유하고 두두물물의 본연성을 드러낸 결과임을 보여준다. 이성복의 시는 현재와 과거의 편린들을 재구성하므로 영화적 기법 중 몽타주와 유 사하다. 여기서 ``과거와 현재의 혼용``이 관찰되는데, 맥락의 유무에 따라 사유의 층위가 달라진다. 이러한 점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고전적인 몽타주``와 ``현대적인 몽타주``를 시에 적용해볼 수 있다. 전자는 맥락이 있는 시간의 혼용이기 때문에 ``화자의 의식`` 층 위에서 문제의식을 펼쳐나가 결과적으로 깨달음의 감흥을 얻어낸다. 그러나 후자는 맥락 없는 시간의 계열체로 등장하기 때문에 시간의 틈새가 강조되며, 이것은 ``화자의 무의식`` 층위에 머무는 진정한 문제의 존재를 향해 추리하는 방식으로 나아간다. 몽타주의 시간은 이성복 시가 자기 성찰에 대해 의식과 무의식을 모두 동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study aimed to analyze poems through cinematic expression and examine characteristics and thinking of poems by focusing on the flow of time with regard to the flow of space time that stands out the most in terms of cinematic expression. First of all, director Kim Gi-taek``s creative methods are similar to a short-distance short that expands a very minor subject to embrace all. At that time, the aspects of time can be divided into ``mixed-melting time`` and ``stationary time.`` As a minor subject is enlargedto embrace all, the time transcends to realize an exclusive world of minor subjects. At that time, the flow of time is mixed and melted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o create poetic effects of describing perception of subjects. Second of all, in the ``stationary time,`` the time halts in a certain section, and diversified meaning of an adjacent image is gradually interpreted to create dramatic significance. Oh Gyu-won``s poems are similar to a long-distance short in dramatic expression as they observe images reviving overtime. The flow of time based on a long-distance short can be divided into ``present progress`` and ``simultaneity.`` As the time flows in a present progressive way, captured subjects form fortuitous and spontaneous relationships to create an existential landscape. As a long-distance short screen is wide enough to capture diverse subjects at once, it is effective in indicating ``spontaneity,`` and these characteristics frequently appear in live image poems. In live image poems, time divides one moment into metonymic space to express simultaneity while unveiling a moment of potential wher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re integrated. As Lee Seong-bok``s poems reconstitute pieces of memory, they are similar to a composite sketch in terms of cinematic expression. The time of poems viewed from a composite sketch can be divided into ``closed time`` and ``open time.`` The former can be observed through an attraction composite sketch technique and creates present inspirations through conflict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latter can be examined through an expanded composite sketch technique and create a world of open meaning through revolution of memory. At that time, the time roams in unconsciousness, so clear identity is not defined, and this non-time and pure-time aim at the unknown in the outside instead of the known. After all, arts share the same root, so mutual relationships cannot be ignored, and poetic study based on cinematic techniques has relevant connectivity befitting the era of multimedia.

      • KCI등재후보

        시간과 욕망의 비극: 『로미오와 줄리엣』

        김문규(Kim Moon-Gyu) 신영어영문학회 2003 신영어영문학 Vol.25 No.-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desire in Romeo and Juliet. In Romeo and Juliet Shakespeare tries to prove the belief true that "love is not time's fool", by dramatizing the heroic vision of romantic love against the hostility of time. From the start Fortune and stars are blamed for the lovers' tragedy, but their malign influence is incorporate in the more palpable hostility of time. At first fateful meeting, lovers are filled with a tragic knowledge of death and death's companion, time. But once lovers are awakened to true desire for each other, they experience their own different order and rhythm of time. The lovers' meetings dissolve time, making it speed up or stop and standstill, as the present moments is transformed into the time of love. Thus, time newly means for them metamorphic principle that makes them advance to the rebirth into a higher stage of existence. Even against "untimely death", They assert that death is a transcendental form of consummation; Romeo wills his death as a means to permanent union with Juliet, and Juliet also makes her death as a heroic act of love's constancy. But after the consummation of the lovers' death, the drama again proves the belief true that "love is not time's fool" in secular, earthly sense of immortality, by displacing the lovers' desires onto a perpetual narrative of love. This ending paradoxically suggests that to accept rather than deny time is to prove that our deepest life ultimately craves growth Conclusively, Romeo and Juliet can be viewed as the tragedy of time and desire because it proves that human desire and human identity are essentially related to the metaphysics of time.

      • KCI등재

        이익구성요소의 기간귀속과 발생액 시장이상현상

        백원선 ( Won Sun Paek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학연구 Vol.39 No.1

        본 연구에서는 Francis and Smith(2005)의 방식에 따라 측정한 당기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당기 이익 관련”(time-specific) 발생액의 시장이상현상을 분석하였다. Sloan(1996)은 시장참여자들이 최종보고이익에 대한 기능적 고착화로 인하여 이익구성요소의 지속성 차이를 주가에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발생주의회계에서 당기의 이익구성요소는 전기 또는 차기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Francis and Smith(2005)은 이를 제거하고 당기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만을 포함할 경우 영업현금흐름과 발생액의 지속성 차이가 대폭 줄어든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Francis and Smith(2005)은 시장이상현상의 원인이 지속성 차이 때문이라는 Sloan(1996)의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익구성요소의 지속성 차이가 측정방식 때문에 발생하는 것인지, 시장이상현상이 지속성 차이로 야기되는 것인지, 그리고 “당기 이익 무관”(non-time-specific)이익구성요소가 지속성 차이 및 시장이 상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rancis and Smith(2005)와 유사하게 전통적 이익구성요소의 지속성 차이에 비하여 당기 이익 관련 이익구성요소의 지속성 차이가 대폭 줄어들었다. 즉, 영업현금흐름의 지속성은 전통적 방식보다 Francis and Smith(2005)방식이 더 낮은 반면에 발생액의 지속성은 전통적 방식보다 Francis and Smith(2005) 방식이 더 컸다. 둘째, 당기 이익 관련 이익구성요소의 지속성 차이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당기 이익 관련 발생액 시장이 상현상이 여전히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특히 전통적 영업현금흐름의 장이상현상은 발견되지 않은 데 대하여 당기 이익 관련 영업현금흐름이 유의하게 과대평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전통적 방식의 발생액과 Francis and Smith(2005) 방식의 발생액 간 차이를 야기하는 당기 이익 무관(non-time-specific) 발생액의 크기에 따라 구분된 집 단별분석에서는 그 크기가 작은 집단에서만 시장이 상현상이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Francis and Smith(2005) 방식에 따라 측정된 당기이익 관련 이익구성요소가 전통적 방식의 이익구성요소와 차별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이익구성요소의 지속성 차이와 시장이 상현상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또한 당기 이익 관련 영업현금흐름의 과대평가를 유발하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의 바탕에는 전기 또는 차기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가 자리 잡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정보이용자의 주의를 환기시켰다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s pricing of time-specific earnings components. Francis and Smith (2005) show that the persistence difference between operating cash flows and accruals as documented by Sloan (1996) is dramatically reduced when they measure operating cash flows and accruals as "time-specific" manner. Based on this evidence, they argue that Sloan`s (1996) accrual anomaly is likely to be driven by other factors than the differential persistence of cash flows and accruals. But they do not directly test the mispricing of time-specific earnings components.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rancis and Smith`s time-specific earnings components are priced and what is the role of non-time-specific earnings components in this context. Traditional operating cash flows and accruals include accrual-entry or deferral- entry items that affect previous-period or next-period earnings as well as current- period earnings. On the other hand, Francis and Smith`s (2005) time-specific earnings components consist of components only with current-period earnings effect by excluding such components that affect previous-period or next-period earnings. To provide more specific evidence beyond Francis and Smith (2005),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ime-specific earnings components are priced properly. According to Francis and Smith`s (2005) assumptions on time-series properties, variance and covariance of earnings components, it is expected (1) that persistence of time- specific total accruals is indistinguishable from that of time-specific operating cash flows and (2) that overpricing of time-specific accruals is mitigated to a certain degree. The final sample consists of 6,917 non-banking firm-years with December fiscal year that are listed on Korea Exchange over 1995-2011 after eliminating observations with missing data and lying outside top and bottom one percentiles of income from continuing operations, operating cash flows, or accruals. Empirical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ime-specific accruals are significantly less persistent than time-specific operating cash flows. Second, significant overpricing is observed both for time-specific accruals and time-specific operating cash flows. Third, such overpricing of time-specific earnings components is more prominent for firms with more negative non-time-specific accruals than for those with less negative or positive non-time-specific accruals. Note that non-time-specific accruals are negative when accruals related to previous-period earnings are larger than accruals affecting next- period earnings. Thus, this implies that accrual anomaly documented in prior studies is driven by accruals that affect previous-period earnings. The results in this study will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accrual basis of accounting by documenting a distinguishable nature of accounts with the current- period earnings effect from those without the current-period earnings effect.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ersistence difference between operating cash flows and accruals becomes smaller for time-specific earnings components than for traditional earnings components and that accrual anomaly is not eliminated completely by time-specific measures. Surprisingly, time-specificity causes another unintended problem that time-specific operating cash flows are significantly overpriced. Supplemental analysis suggests that this overpricing problem appears to be caused by non-time-specific earnings components, specially by those that affect previous- period earnings. A larger difference of persistence of traditional earnings components is of course caused by non-time-specific accruals consisting of accrual-entry and deferral-entry accounts that do not affect current-period earnings but affect previous-period or next-period earnings. In other words, although the accounts without current-period earnings effect do not affect current-period earnings, such accounts are more likely to deteriorate the quality of traditional operating cash flows or accruals. Information us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a distinctive nature between traditional and time-specific earnings components for their economic decisions.

      • KCI등재

        Time Travel in a World with Circular Time

        Kim, Seahwa 한국분석철학회 2016 철학적 분석 Vol.0 No.34

        According to the standard definition of time travel due to David Lewis, an object time travels if and only if the separation in time between departure and arrival does not equal the duration of its journey. After arguing that the standard definition of time travel is inadequate by discussing a world with circular time, I suggest a new definition of time travel that does not fail in situations involving circular time.

      • KCI등재

        자동 이득 조절(AGC) 기반의 Time pickoff 회로

        임한상(Hansang Lim) 大韓電子工學會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8 No.4

        시간 측정 시 신호 발생 시점의 기준 펄스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time pickoff 회로는 기준 펄스의 발생 시점이 입력 신호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 time walk로 인해 측정 오차를 겪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time walk를 감소시키기 위해 자동 이득 조절(AGC: Automatic Gain Control)을 이용한 time pickoff 방식을 제안한다. 자동 이득 조절부는 가변 증폭부와 바이어스부, 입력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크기 획득부로 구성되며, 기준 펄스를 발생하는 비교기 앞에 위치한다. 그리고, 비교기 입력 신호의 크기를 거의 일정하게 조절함으로써, time walk 발생 원인을 최소화하고 기준 펄스 발생 시점의 변화를 감소시킨다. 제안한 time pickoff 회로의 동작은 SPICE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20dB의 dynamic range와 4 ns의 상승 시 간을 가지는 입력 신호에 대해 측정된 time walk는 2 ns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leading edge discriminator에 비해 약 65%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A time-pickoff circuit used for time measurement suffers from a timing error due to the dependence of the generation time of a timing pulse on the size of the input signal, i.e., time walk. In this study, a time-pickoff method, which employs an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is proposed for reducing the timing error. The AGC circuit is added to the input of the comparator, and it renders the sizes of input signals of the comparator relatively uniform.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ime-pickoff method is analyzed using the SPICE simulation, and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confirm the analytical results. The measured time walk is reduced to 2.000 ns by 65% for input signals with a dynamic range of 20 dB as compared to a typical leading-edge discriminator.

      • KCI등재

        Time: Moving or Stationary?

        정지윤 언어과학회 2016 언어과학연구 Vol.0 No.79

        Time is definitely one of the most abstract concepts. For this reason, time is usually expressed metaphorically. However, there exists inconsistency in the conceptualization of time in English and Korea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icate how English speakers and Korean speakers conceptualize the passage of time as a motion event in two different ways: MOVING TIME and MOVING EGO. The findings are as follows: English allows the reversal of MOVING TIME and MOVING EGO in many situations. MOVING EGO is mostly found in the scheduled situations, pleasant-time situations, and the situations expected with enthusiasm. In contrast, the MOVING EGO is not possible in an unexpected or unrecognizable time, a dreadful time, and an uncontrollable time. In Korean, MOVING TIME is dominant, whereas MOVING EGO is rarely found with much restriction. MOVING EGO is possible in the cases of describing delightful, enthusiastically expected future ev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