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썸을 탄다는 것은 무엇인가?: 신조어 “썸타다”의 적용조건 분석

        이정규 한국분석철학회 2019 철학적 분석 Vol.0 No.4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philosophy by analyzing the newly-coined Korean word “썸타다”. (Roughly speaking, the meaning of the predicate “썸타다” sometimes can be conveyed (not exactly, but approximately), when we say something like, “There is something going on between a and b”.) In this paper, I analyze the application condition for the predicate “썸타다” by investigating its three aspects: In section 2, I clarify which kind of a domain is restricted by the quantity expression “썸some” in “썸타다” on its semantic level. In Section 3 and 4, I analyze inter-subjectivity and epistemic uncertainty of two persons when the pair of them is in the extension of the predicate “썸타다”. Finally, I consider two possible objections to the final analysis and reply to them. 본고의 목표는, 한국어에 독특하게 나타나는 신조어인, 술어 “썸타다”의 언어철학적, 인식론적 분석을 제공하여, 한국어 철학에 일정 부분 기여하는 것에 있다. 본고에서나는 술어 “썸타다”의 적용조건을 세 가지 측면을 통해서 분석한다: 2절에서는 “썸타다”에서 나타나는 양화 표현인 “썸some”이, 의미론적으로 영역을 어떻게 제한하는지를 분석한다. 3절에서는 썸에서 나타나는 상호주관성의 측면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4절에서는 썸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인식적 불확실성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고, 최종분석에 대한 가능한 반론들에 답변한다.

      • KCI등재

        분석철학과 비트겐슈타인

        박병철 한국분석철학회 2007 철학적 분석 Vol.0 No.15

        최근 10여년 사이에 영미철학계에서는 분석철학의 역사 및 정체성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논의되어 온 것은 분석철학에 대한 더밋의 정의였다. 그러나 분석철학의 기초를 언어철학으로 보는 더밋의 견해는 분석철학의 영역을 지나치게 협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은 분석철학의 정의 및 성격 규정에 대한 최근의 연구 사례들을 검토해 보고,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통해서 분석철학의 성견을 새롭게 규정하는 것의 가능성에 대해 모색하고 있다.

      • KCI등재

        부재 인과의 무분별한 증식의 문제와 해법들

        김성수(Sungsu Kim) 한국분석철학회 2013 철학적 분석 Vol.0 No.27

        ‘부재 인과의 무분별한 증식의 문제’는 부재 인과를 인과의 한 유형으로 받아들이면 원인이 아닌 수많은 부재마저도 원인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상식과 과학을 포괄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발견되는 부재 인과의 주장을 수용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세 가지 접근법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물리적 과정 인과론 접근법은 부재 인과 자체를 거부하면서도 부재 인과의 주장을 실제 상황과 반사실적 상황에서의 물리적 과정과 상호 작용으로 분석한다. 하지만 이 접근법은 인과관계에 대한 과학적 이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과 메커니즘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제공하지 못하며 또한 부재 인과의 주장을 무분별하게 수용해버린다. 인과 비례성 원칙을 사용한 접근법은 무분별한 증식의 문제를 어느 정도 제어할 수는 있지만 상식적 부재 인과의 경우를 수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명백히 원인이 아닌 부재 역시 원인으로 인정한다. 마지막으로 정상적 부재와 비정상적 부재의 구분에 근거한 접근법은 정상적으로 발생해야 할 사건의 부재는 원인이지만 그렇지 않은 부재는 원인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접근법은 정상이라는 불분명한 개념을 사용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상적 부재를 기능의 개념에 의거하여 이해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기능의 개념에 의거하여 부재 인과의 무분별한 증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 논의한다. We do not treat all omissions the same: Some omissions are causes, while others are not. However, our ‘standard’ theories of causation say that if some omissions are causes all omissions are causes. This is the ‘problem of the indefinite proliferation of omissions.’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hree approaches that try to solve this problem while respecting the fact that instances of omission are found in a wide range of domains from common sense to physics. Physical process approach analyses causation by omissions in terms of physical processes and their interactions in the actual and counterfactual situations. However it fails to ‘translate’ some scientific description of mechanism, and also accommodates not only some but all omissions. Proportionality approach solves the problem to some extent. Nevertheless, on this approach, some clear cases of causation by omission turn out to be noncausal, and many omissions that are not causes turn out to be causes. Finally, normality approach appeals to the concept of being normal. The basic idea is that omissions of events that normally should occur are causes and others are not. This can solve the problem but some might find it worrisome to use the concept of being normal when a causal notion is in question. I attempt to understand normal omissions in terms of function, and examine pros and cons of this function-based analysis of causation by omission.

      • KCI등재

        가치에 대한 반응 : 의존적 분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주동률(Dongryul Choo) 한국분석철학회 2008 철학적 분석 Vol.0 No.18

        가치에 관한 최근의 한 주요 이론에 따르면 한 대상이 가치를 가진다는 사실은 그 대상에 대해 특정 개인이 우호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에 다름 아니다. 흄에 대한 일부 해석과 색과 가치의 유비를 중시하는 전통을 선조로 가진 이 노선은, 가치판단의 객관성과 규범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치를 구성하는 반응과 반응 주체의 자격을 논하면서 다양한 스펙트럼의 이론적 공간을 점유하고 있다. 세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형의 입장들의 핵심적 주장은 ‘반응-의존적’ 가치분석이론이라는 명칭을 가능케 하고, 실상 이 명칭 하에 집중된 논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이 이론을 비판한다. 첫째, 이 이론의 주요 요소인 반응 주체의 자격과 적절한 반응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채우려는 과정이 자체적 어려움을 노정할 뿐 아니라(‘이상화’ 전략의 문제점 등), 그 주체의 반응이 실상 대상이 반응 이전에 혹은 반응-독립적으로 가진 패턴을 추적할 가능성과 개연성이 제기된다. 둘째로 이 입장이 가장 친화적으로 연결되는 규범적 입장이 개별주의(particularism)인데 이는 일반적 원리를 중심으로 한 대부분의 주요 규범이론들의 실패를 전제로 하는 부담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이 이론이 자신의 장점으로 내세우는 여러 규범적 현상들에 대한 설명이 반응-독립적 이론들에 의해 보다 적절한 수준에서 제시될 수 있다. On one of the recent major theories of value, the fact that an object has a value property is just the fact that a subject satisfying certain qualifications would respond to that object favorably. As a descendant of (the official interpretation of) Hume's value theory and the venerable tradition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the analogy between color and value, this view commands a wide range of theoretical possibilities. Sub-divisions within this view largely come from various ways of characterizing the nature of the relevant response and the qualifications of the responder. This paper presents three types of criticism against core theses of 'response-dependent' theories of moral value. First, we shall face a dilemma in the process of filling in the central elements of the theory, i.e., the response and the qualifications of the responder. Perfect, idealized responders and their response would be out of our (human) cognitive reach, and there is an eminent possibility that people with morally improved sensibilities around us are in fact responding to response-independent patterns exemplified by the objects of their moral judgment. Second, the most congenial normative partner of response-dependent value theory is particularism, and the latter has its own enormous normative burdens and tasks. Finally, most explanatory efficacies this theory advertises as their advantages can be offered by response-independent theories on a more adequate level.

      • KCI등재

        직설법적 조건문의 의미론 : 성향적 분석과 추론주의적 설명에 대하여

        송하석(Hasuk Song) 한국분석철학회 2008 철학적 분석 Vol.0 No.18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직설법적 조건문의 의미론으로서 성향적 분석과 추론주의적 해석이 만족스러운 이론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성향적 분석은 직설법적 조건문과 관련된 논리적인 해명에 있어서의 설득력을 갖지만,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일상적인 직관을 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추론주의적 해석은 논란 없는 원리와 이행 원리가 모두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직설법적 조건문을 질료적 조건문과 완전히 다른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추론주의적 해석을 따르면, 오히려 그 두 원리가 성립하게 되고, 직설법적 조건문은 질료적 조건문과 동치가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는 것을 논증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ispositional analysis of conditionals and the inferential account of conditionals. The former is suggested by Dr. Hojin Noh and the latter by Dr. Byeongdeok Lee. I argue that those views are not satisfactory because the dispositional analysis cannot explain our common sensical intuition of ordinary use of indicative conditionals and the inferential account has serious logical problems. That is, although the proponents of the inferential account argue that neither uncontested principle nor passage principle does not hold, I show that two principles cannot be rejected by the inferential account

      • KCI등재

        플란팅카와 악의 문제 : ‘라이프니쯔의 실책’을 중심으로

        박찬수(Chansoo Park) 한국분석철학회 2008 철학적 분석 Vol.0 No.18

        신은 전능하기에 그가 원하기만 하면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세계를 창조할 수 있었을 것이라기보다, 전능하더라도 그가 원하는 세계를 창조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해야 한다는 플란팅가의 입장을 제시하고, 인간의 자유의지에 의해 구현된 도덕적 악으로부터 제기된 무신론의 일반적 견해를 정형화하며, 신의 창조 활동과 사태를 실현시키는 활동을 구분하면서 땅, 하늘, 소크라테스 등은 신이 창조했다고 할 수 있으나, 필연적 사태와, 우연적 사태 중 거짓인 가능사태는 신이 실현시킬 수 없는 사태라는 플란팅가의 견해를 살펴볼 것이다. 플란팅가는 라이프니쯔가 잘못 생각한 명제(라이프니쯔의 실책)를 비판하기 위해, 인간이 자유롭게 행하거나 행하지 않는 사태를 분석하면서 신은 자유로운 선택지에 의해 성사된 사태들을 실현시킬 수 없다는 점을 든다. 또한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 반사실적 상황에서 자유로운 인간의 행위에 의해 이루어진 사태는 신이 실현시켰다고 볼 수 없고 인간이 성사시킨 사태라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이에 대한 비판으로 윌리암 로위, 로버트 아담스, 로버트 버치의 분석을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플란팅가의 주장은 진정한 의미의 신 존재와 악의 양립가능론이 아니라고 비판하고, 신의 섭리 또는 섭리적 결정론과 악과의 양립가능성을 개괄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An atheist argument usually goes like this. If God exists and is omnipotent as believed, He could have created any possible world as he pleased. The existence of moral evil, though, makes problematic the existence of God, or His omnipotence at least. Plantinga's answer to an atheist is: it is not that God, as omnipotent, could have created any possible world as he pleased, but rather it is that God, even though omnipotent, could not have created the world as he pleased. One important argument against theistic view is what Planting a called "Leibniz's Lapse", that 'if God is omnipotent, he could have created any possible world.' Plantinga agrees with atheists in the sense that there are possible worlds in which any moral evil is excluded. But he doesn't believe that God, even though omnipotent, could have created any possible world as he pleased. He points that it is not within God's power to actualize a world in which all evil is excluded, as far as free will is allowed. In chapter 1, I formulate an atheist's view of moral evil which resulted from the free will of human beings, and examine Plantinga's view that distinguishes between an act of creation, and an act of actualization of state of affairs. He asserts that creation of earth, heaven, or Socrates can be attributed to God, but the actualization of necessary states of affairs, and among contingent states of affairs, false possible states of affairs cannot be attributed to God. In chapter 2, I explain Plantinga's view that God cannot be held responsible for actualizing state of affairs implemented by free choice, and that human action with free will can only be attributed to human being, not to God. In chapter 3, I will explicate the critique of William Rowe, Robert Adams and Robert Burch. In chaper 4, I will criticize Plantinga's view not to be a genuine compatibilism between the existence of God and moral evil, and sketch the compatibilism between providential determinism and moral evil.

      • KCI등재

        라이프니츠의 진리론과 충족이유의 원리

        송하석 한국분석철학회 2007 철학적 분석 Vol.0 No.15

        이 논문은 라이프니츠 철학의 해석에서 논란이 되는 그의 진리론과 충족이유의 원리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논한다. 라이프니츠의 진리론은 술어포함 개념 원리로 표현되는데 이것을 참인 명제는 모두 분석명제이고, 따라서 필연적인 명제라고 해석하는 일군의 철학자들을 비판하고, 비록 라이프니츠는 참인 명제가 모두 분석적이라고 말하지만, 모든 참인 명제를 필연적으로 참이라고 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에 대한 적절한 해석은 참인 명제가 모두 분석적이라고 할 때의 의미는 참인 명제는 선험적으로 증명가능하다는 의미, 즉 확실성을 가지고 인식될 수 있다는 인식론적인 의미인 반면, 어떤 명제가 필연적으로 참이라는 것은 모든 가능세계어서 참이라는 의미, 즉 형이상학적인 의미라고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해석이 그의 신의 존재 증명, 신의 완전성 개념 등에 부합됨을 논증한다.

      • KCI등재

        선거권과 선거의무란 무엇인가?

        최성호(Choi Sungho) 한국분석철학회 2017 철학적 분석 Vol.0 No.37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는 국민을 대의할 국가기관의 형성에 국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에 의한 자기지배 혹은 자기통치라는 민주주의 이상을 구현하는 민주주의의 핵심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헌법은 국민들에게 선거권을 기본권으로 보장하는데, 선거권과 관련하여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그것이 ‘선거의무’라 불릴 수 있는, 선거와 관련된 어떤 의무를 동반한다는 생각이 비교적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선거권과 선거의무에 관한 법이론가들의 논의, 특히 의무적 선거 참여제에 관한 최근 논의에서 선거권과 선거의무 개념이 상당히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다는 반성 아래 그 개념들에 대한 한층 명료한 이해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선거권을 호펠드의 권리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이어서 선거권의 법적 정당성을 검토할 것이다. 다음으로 필자는 소위 ‘선거자유의 원칙’을 살펴볼 텐데, 필자의 핵심 논점은 선거자유의 원칙에 의하여 유권자에게 부여되는 선거자유권은 선거권과 명확히 구분될 필요가 있고, 선거권과 관련한 개념적 혼란은 많은 부분 그 둘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 데서 말미암은 바가 크다는 것이다. 한편 필자는 선거의무 개념에 대해서도 개념적 명료화를 수행할 것인데, 그 결과 광의의 선거의무와 협의의 선거의무를 구분할 수 있고 그때 선거 참여의 의무는 협의의 선거의무에 해당함을 논증할 것이다. 선거권, 선거자유권, 그리고 선거의무에 대한 필자의 이러한 개념적 분석은 그에 대한 선관위나 헌재의 입장을 한층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의무적 선거 참여제와 관련한 논란에서 논쟁점이 무엇인지 명확히 함으로써 논의의 진전을 위한 중요한 발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A free and fair election provides opportunities for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the government that is supposed to represent their wills, which is a key element of democracy that embodies the ideal of self-government. To secure such an election, the constitution endows citizens with voting rights as fundamental rights. What is interesting about voting rights is that voting rights are widely held to come together with what may be called ‘voting duty’.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concepts of voting rights and duty in the belief that a recent debate about them, in particular the one about the constitutionality of compulsory voting, has been plagued by a misunderstanding of them. To this end, I will first analyze voting rights by means of Hohfeld’s theory of rights, and then examine justifications for them. I will then turn to what is called ‘the principle of free election’ and argue that voting rights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liberty-rights of voting, which is attributed to citizens by the principle of free election. This will be followed by the claim that much of the misunderstanding regarding voting rights i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the distinction in question hasn’t been properly made and appreciated. I will then embark on clarifying the concept of voting duty, which will lead us to distinguish between voting duty in a broad sense and the duty to participate in election. This conceptual articulation of voting rights, the liberty-rights of voting, and voting duty will provide us with a conceptual tool that helps us better understand what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or Constitutional Court has said about them. What is more, it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advancing discussions about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compulsory voting system.

      • KCI등재

        감수성이론에서의 도덕적 진리

        윤화영(Hoayoung Youn)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19

        데이비드 위긴스와 존 맥도월이 제시한 감수성이론의 두드러진 특징은 도덕적 진리의 인식이 〈속성, 반응〉의 결함에서 온다는 주장이다. 이것을 무선후이론(no-priority view)이론이라고 하는데, 속성과 반응이 동시에 인식된다는 것이다. 이 무선후이론의 중요한 조건은 분석불가능성인데, 상기한 결합이 분석되지 못함을 규정함으로써 무선후이론이 지탱되는 것이다. 이 현상학적 진리가치론은 많은 예외적 상황에 부딪치게 되고, 감수성이론가들은 수렴이라든가(위긴스) 이성의(맥도웰) 개념들을 끌어들여 도덕적 진리를 설명하려고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는 수렴이나 이성의 개념으로 도덕적 진리를 설명하려는 시도는 무선후이론에서 말하는 분석불가능성과 서로 충돌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주요 부분들이 서로 충돌하게 되면, 감수성이론이 갖는 이론적 독특성과 그 이론이 제시한 인지론이 모두 그 정당성을 잃게 된다고 필자는 또한 주장한다. A unique feature of the sensibility theory proposed by David Wiggins and John McDowell is their claim that moral truth is ascertained in the combination of 〈property, response〉. This is called the no-priority view which means that moral property of external objects and response in sensibility come simultaneously. One of the key conditions for the combination is unanalyzability, without which the no-priority view cannot be sustained. This phenomenological view of moral truth encounters many exceptions, so that the sensibility theorists try to defend their view by incorporating additional theoretical tools like convergence (Wiggins) or practical reason (McDowell) into their theory. The author argues that these additional tools come to collide with the notion of unanalyzability. The author further argues that the sensibility theory's uniqueness and cognitivism would lose its ground, due to the collision.

      • KCI등재

        ‘우리 마누라’와 험티덤티 문제

        최성호(Choi Sungho) 한국분석철학회 2016 철학적 분석 Vol.0 No.36

        일부일처제가 비교적 엄격한 혼인제도로 자리잡은 한국사회에서 복수 일인칭 대명사를 포함하는 ‘우리 마누라’라는 한국어 표현이 폭넓게 사용된다는 사실은 상당히 흥미로운 언어현상임이 분명하다. 어떻게 한국어를 사용하는 유부남들이 ‘우리 마누라’를 사용하여 자신의 부인을 가리킬 수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이 요구된다 하겠다. 정대현은 최근 한정기술구에 대한 도널렌의 속성적/지칭적 용법의 구분을 통하여 그러한 설명을 시도하지만, 그것은 곧 강진호의 반대논변에 직면한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우리 마누라’에 대한 정대현의 설명, 그리고 그에 대한 강진호의 반대 논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필자는 정대현에 대한 강진호의 반대논변이 충분히 견고하지 못하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우리 마누라’에 대한 정대현의 설명이 틀렸다는 강진호의 생각에 동의하고, 이에 정대현에 대한 한층 견고한 반대논변을 제시할 것이다. Monogamy has been a strict social norm for Koreans for centuries. Curiously enough, however, the expression, ‘Uri manura’, whose wordfor-word English translation is ‘Our wife’, has wide currency among Korean speakers. How is it possible that a Korean-speaking husband can refer to his wife by using ‘Uri manura’? This cries out for a systematic theoretical explanation, semantic and/or pragmatic. Professor Daehyun Chung gives a shot at such an explanation by relying on Donnellan’s famous distinction between the referential/attributive uses of definite descriptions. But this has come in for Professor Jinho Kang’s severe criticism. Against this backdrop,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bring under scrutiny Chung’s explanation of how ‘Uri manura’ works and Kang’s criticism of it. Keeping this in mind, I will first find faults with Kang’s criticism and pronounce that it doesn’t hold water. But this doesn’t mean that I find Chung’s explanation agreeable. On the contrary, I will present what I take to be decisive criticisms of it, which is hoped to demonstrate, once and for all, that Chung’s explanation is a mist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