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만식 『탁류(濁流)』의 "장소(場所)"에 관한 일 고찰

        임명진 ( Myung Jin L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9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채만식의 대표작 『濁流』(1939)에 나타난 ‘장소’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는, 그의 다른 작품에서도 그러하듯이 극적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 있다. 주로 소설의 서두에서 공간적 배경을 통해 극적 요소를 강화한다. 이런극적 요소는 공간적 배경을 부각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소설 안에서 공간적 배경은 차츰 ‘장소’로 그 성격이 변화되어간다. 이 작품에서 중요한 장소는 ‘금강 하구’, ‘정주사의 집’, 그리고 ‘군산미두장’이다. ‘금강 하구’는 독자를 텍스트 소통상황으로 안내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 그러면서 ‘행동적내부성behavioral insideness’이나 ‘부수적 외부성incidental outsideness’의 장소 정체성을 지닌다. ‘정주사의 집’은 그 가족 간의 진정성과 정서적 교감이 결여된 장소이다. 그래서 그곳은 ‘객관적 외부성(objective outsideness)의 정체성을 갖는다. 한편 ’군산미두장’은 당시 식민 자본의 왜곡상과 부정성을 표상하면서, ‘행동적 내부성(behavioralinsideness)’ 또는 ‘감정이입적 내부성(empathetic insideness)’의 장소 정체성을 지닌다.『濁流』의 여러 장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곳은 ‘미두장’이다. 미두장은 매우 선명한‘장소감(sense of place)’을 통해 식민지 자본주의의 부정성과 왜곡상을 부각하기 위한장소로 기능한다. 이 작품의 주요 인물(정주사·고태수·장형보·박제호)들은 모두 식민자본의 하수인이 되어 도덕·양심을 내팽개쳐 버린 사람들이다. 그들을 통해 당시 황금만능사상이라는 모순된 가치관이 이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濁流』의 장소들은 각기 독특한 장소 정체성을 갖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미두장’이란 장소는 가장 선명한 ‘장소감’을 보여준다. 이런 선명성은 일제강점기 식민자본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이 작품의 주제를 부각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places’ in Tark-ryu(A Muddy Flow- 濁流, 1939), the representative work of Chae, Man-sik. The dramatic elements are revealed strongly in Tark-ryu. In the beginning of this novel, the writer bring into relief a spacial setting. By the way the setting functions as a ‘place’, not a ‘space’. The important places of this novel are ‘the mouth of Keum-river’, ‘the Mr. Joung´s home’, and ‘the exchange market of rice ticket(Midoojang) in Kunsan’. ‘The mouth of Keum-river’ is the place of a gateway that invites the readers into the text communication condition. The place identity of it is a ‘behavioral insideness’ or ‘incidental outsideness’. ‘The Mr. Joung´s home’ is the place that a authenticity and a emotional rapport among the Joung’s family are lacked. Then the place identity of it is ‘objective outsideness’. ‘Midoojang in Kunsan’ is the place that represent the distortion of the colonial capital. And it present the place identity of ‘behavioral insideness’ or ‘empathetic insideness’ ‘Midoojang in Kunsan’ is the most important place. That place roles a functions that emphasize the injustice and distortion of the colonial capitalism in 1930’. The main characters in this novel(Mr. Joung, Ko Tae-soo, Jang Hyung-bo, and Park Jae-ho) are the perpetraters of the colonial capital. Therefore, All of them intertain a contradictory perspective To sum up, the places in Tark-ryu each has a unique place identity. In specialty, ‘Midoojang in Kunsan’, the most important place represent the vividest sense of place. This vividness strengthen the theme of this work that criticize the problem of capitalism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장소성의 정량적·정성적 평가를 위한 접근방법 및 구성요소

        이석환 경성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2003 공학기술연구지 Vol.S2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integrated methods between the quantitative approach and the qualitative approa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nse of place and at the same time explain it at the same time. For this, it dealt with the observation methods which is proper in researching the sense of place, and then discuss the four domains, fifteen scales and their items contributing to sense of place.

      • 현대시에 나타난 속리산의 장소성 의미

        김덕근 개신어문학회 2012 개신어문연구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ense of location in Songnisan poetry has been presented in Korean literature. The sense of location in the field of literary geography does not fix it only on the emotional aspect, but present the emotional image along with the inner feelings. In order to find out this inner aspe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basic scenery and locational experience of Songnisan as a geographical place which has been shown in classical and modern poetr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ed as follows; First, Songnisan as a locational experience was likely to be presented as a mental place to find peace or a paradise of fairyland in the classical poetry. Here, it showed the sense of location which had been assimilated into the scene of the mountain, presenting the atmosphere of spiritualization. Second,the sense of location presented in the modern poetry has been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non-genuine and genuine. The genuine sense of location was likely to be exposed as the identical with the genuine attitude, concertizing the ethics of community. Also, it can be said that poets were likely to be free from the material world and mundane affairs. Third, it seems to emphasize Songnisan as its non-genuine sense when people got into and out of the mountain, and were out of their karma;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sense of location was distinguishable. Sometimes, the sense of location was maximized when the place was transformed into an intimate place, and its dramatic twist was not observed.

      • KCI등재

        염상섭 소설의 장소성과 여성인물형 연구: ‘하숙집’과 ‘하숙집 여주인’을 중심으로

        이선영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9

        In Yeom Sang-seop’s novels, love is not psychological but always connected with the specific life of reality, and money and love are inextricably linked. The typical space and figure that reveals the love view and novel composition of Yeom Sang-seop’s novel is the boarding house and landlady. The landlady can easily meet men compared to other housewives, but even if she goes out of the order of patriarchy, she should use ‘body’ instead of ‘house’ as material. It is a borderline female type. ‘Borderline’ is a property that shows the sence of place of the boarding house. The boarding house, which appeared with the modern individual who left the house, is a place where public and private spaces, economic and intimate areas, modern values and pre-modern values are mixed together without being completely integrated. It also plays a role in visualizing the sence of place and gender bias. This hybrid and borderline character of the landlady and the boarding house also reads this character and place as a representation of the chaos and rift of the liberation perio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lthough the authority of men generally fell due to war, unemployment, and poverty, the idea of the feudal patriarchal did not completely disappear. Even if the husband dies, the wife must remain in the patriarchal order so that the wife can only benefit from the patriarchal inheritance. The heritage of husband means not only the house on the physical basis but also the values and order of the men who purchase and own such a house. However, these novels do not end with Kee Hyun’s mother being taken the house by her husband’s brother, but they even suggest that the house will disappear with business funds. This reveals the power and logic of capitalism, which is rising more powerfully than the feudal patriarchal inheritance. Thus, the fall of Ki-hyun’s mother can be seen not only as her ethical corruption or its social punishment, but also as the process of the collapse of the order of the feudal patriarch, symbolized by her husband. This does not mean that Ki hyun’s mother is completely free from the ideology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In addition to Ki-hyun’s mother, it is an institutional device that no one can easily escape, and the logic of capital and patriarchal, which was somewhat secretly confined in the pre-modern period, acts as a more explicit “patriarchal capitalism” after liberation, managing and commercializing women’s sexuality. Outdoor women, now unprotected from patriarchy, must face naked with the more wicked and bloody realities of reality. The affection of the landlady, who is not a new woman and unstable in her material foundation, is horribly insulted and trampled under secular realities. However, Yeom Sang-seop’s depiction of this world cannot be seen as “supporting the greatness of patriarchy from the beginning” or “to accept and totalize patriarchal capitalist ideology”. This is because female characters as ‘modern individuals’ appear behind the narrative of failure. 염상섭 소설에서 사랑은 현실의 구체적 생활과 결부되어 있으며, 돈과 사랑은 분리불가능한 관계로 얽혀있다. 염상섭 소설의 이러한 애정관과 소설적 구도를 전형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공간과 인물이 바로 돈으로 거래되는 사적 공간인 ‘하숙집’이며, ‘하숙집 여주인’이라는 인물형이다. 이 장소성과 인물형을 압축적으로 드러내는 속성은 ‘경계성’이다. 하숙집 여주인은 신여성은 아니지만 경제활동을 하는 일종의 직업여성으로, 일반 가정부인들보다는 쉽게 남자들을 접할 수 있으나 조금만 가부장제의 질서 바깥으로 나가도 집 대신 몸을 물적 토대로 삼아야 하는 경계적 여성형이다. ‘하숙집’은,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 경제활동 영역과 친밀성의 영역, 근대적 가치와 전근대적 가치가 완전히 통합되지 않은 채 혼재하고 있는 곳으로, 그동안 은폐되어 있던 집의 중층적인 장소성과 젠더 편향성을 가시화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하숙집 여주인’과 ‘하숙집’의 혼종적이고 경계적인 성격은 이 인물형과 장소성을 해방기의 혼란과 균열을 드러내는 표상으로도 읽게 한다. 「일대의 유업」은 기현 모가 남편의 동생에게 집을 빼앗기는 것으로만 끝내지 않고 집이 장사 밑천으로 사라지게 될 것까지 암시함으로써, 봉건적 가부장의 유업보다 막강하게 부상하고 있는 자본의 힘과 논리를 함께 드러낸다. 따라서 기현 모가 지주부 동생에게 집을 빼앗기고 몰락하는 과정은 단순히 기현 모의 윤리적 타락이나 그에 따른 사회적 처벌만이 아니라 지주부로 상징되는 봉건적 가부장의 질서 자체가 붕괴되는 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 그렇다고 기현 모가 자본과 가부장의 논리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전근대 시기에는 다소 은밀하게 결탁되어 있던 자본과 가부장의 논리는 해방 후 훨씬 노골적인 ‘가부장적 자본주의’로 작동하며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관리하고 상품화한다. 신여성도 아니고 물적 토대도 불안한 ‘하숙집 여주인’의 애정은 이 세속적인 현실 속에서 처참하게 모욕당하고 짓밟힌다. 그러나 염상섭이 이러한 세계를 그려낸 것이 “가부장적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수용하고 이를 전면화”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는 없다. 표면적으로 드러난 실패의 서사 이면에는 이 완강한 사회-장에 균열을 내는 ‘근대적 개인’으로서의 여성인물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집’의 장소성과 젠더

        홍혜원(Hong Hye-weon)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8 No.-

        장소와 젠더에 대해 사고하고 재현하는 방식은 서로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며 이것은 유동적이고 불확실한 경계를 지닌다. 또한 장소와 젠더는 당대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권력 관계를 재현하거나 사회공간적 실천을 통해 경계를 가로지르기도 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이논문은‘집’의장소성과여성/남성의젠더가 상호작용하는양상을 염상섭의단편집 [일대의 유업]을 대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삶을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는 일대의 유업은 ‘집’이라는 장소를 배경으로 여성 주체가 자아를 인지하는 과정과 남성성의 약화 양상을 서사화하였다는 점, 또 세속의 가혹한논리에의해여성들의삶이좌절될수밖에없었다는점을드러냄으로써가부장이념의 해체와 재응집을 보여 주고 있다. <일대의 유업> 연작에서는 폐쇄되었던 집의 장소성이 개방되면서 공/사적 영역이 서로 혼재되고 여성적 젠더의 속성 역시 유동적 양상을 보인다. 나아가 공간의 이동에 따라 새롭게 구성된 장소성은 여성의 잠재된 욕망을 표출하게 한다. 이는 곧 장소와 젠더의 상호규정성에 의해 여성 욕망의 발견이 장소의 의미망을 확장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러나 가부장적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는 그 속성상 젠더의 경계를 끊임없이 확정짓고 내부의 질서를 규범화한다. 이에 따라여성적 젠더는 다시 가부장의 이념에, 또 자본의 논리에 속박당한다. 또한 <굴레>와 <절곡>에서처럼 집의 장소성이 부정적으로 형상화될 때 남성성의 혼란과 약화가 나타나는데, 이는 남성 젠더 역시 경계가 모호하며 다층적 의미망이 충돌하는 불확정적 속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순정의저변> 등일대의유업에속한일군의단편들은대부분불행한결말이거나문제가전혀해결되지않고갈등이반복되는상태로마무리되고있다. 특히여성인물이불구적사랑의양태를보일때더욱그러하다. 이때‘집’의장소성은주로‘부재’로서기표화되고있으며 완강한 내구성을 지닌 자본과 가부장의 논리 속에 여성 인물은 비극적 상황으로 내몰린다. 한국전쟁 직전과 1950년대 염상섭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장소와 젠더의 유동적 양상은 여성인물의 정체성 구성에 있어 다양한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는 동시기 다른 작가에 비해 염상섭의 젠더 인식이 상대적으로 진보적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을 향한냉정한시각을보유하였던작가의태도는결국당대사회를지배한가부장적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수용하고 이를 전면화한다. 그렇기에 [일대의 유업]에 실린 작품들에서경제적인 자립을 시도하거나, 적극적으로 사랑을 찾아 나선 여성들은 ‘집’과 ‘돈’을 잃어버리고 사랑에서조차 실패하는 것이다. How to thinking and reflection about place and gender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has the fluid and uncertain boundaries. And the place and gender representation and reflects the ideology and power relations in society. And it crosses the border into parameters of the social-spatial practice.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paper will argure the aspects that interact about sence of place and female/male gender. Target i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of Yeom Sang-seop.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selects the lives of women as the main material, and was the home of a place in the background. And the author was describing a process of self - conscious women-subject and aspects masculinity weakened into a novel. It also shows the aspect of women's lives are frustrated by the capitalist patriarchal domination. After all the work shows the reunion and dismantling of patriarchal ideology. When I analyzed a series of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a sense of place in the home that was closed was ope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 public experience and private experience, gender characteristics of women will have a flexible nature, women have also been found to self-identity. However, the dominant ideology is inherently continue to build fixed the boundaries of gender, it attempts to standardize the order of the interior. The female gender is thus redeemed back to the ideology of patriarchy. In addition, as in “Bondage" and “Fasting", when the spatial sense of the home is to be shaped in the negative, features of men are weakened. This shows that the male gender also implies uncertainty so that multiple layers of meaning networks are in conflict with one another. The short story that belongs to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are mostly unhappy ending or the problem is finished in a state where there is repeated conflict is not resolved at all. Especially when the person is female commit adultery, and when there is no house, and she is a figure of tragedy in the logic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The fluid aspects of place and gender appeared in the 1950 short story of Yeom Sang-seop implies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identity construction of female characters. This shows that gender awareness of Yeom Sang-seop is relatively advanced compared with other writers. But Yeom Sang-seop maintain an objective attitude when describing reality. So he accept the ideology of capitalist patriarchy of contemporary society, and it shows in the work. Therefore, in the novel published in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women should try for economic self-reliance or actively trying to get the love, but the girls are losing their homes and economic power, it fails in love.

      • 월산대종사 부도탑 및 행적비 설계

        홍광표,서동목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6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2 No.2

        This design is an outcome of efforts to build the stupa and tombstone to pay tribute to great buddhist monk, Wolsan after his passing away at Bulkuksa-temple. A hillside located east of Sacheonwang Gate of Bulkuksa-temple was selected as a venue. The design purpose of the stupa and tombstone was to seek new aesthetic value of sculpture of 21st century that combines tradition with modernism, that best represents the image of great buddhist monk, Wolsan and Bulkuksa-temple, and lastly, encourages emotional connection from the public. The design concept was based on theories and motives related to Buddhism and the whole space was built with strategies based on such design concept. The stupa reflects horizontal and vertical mandala. Exterior of the stupa is based on Buddhist idea of a connected space without blockage(圓融无涯) and represents principles of the universe through a sphere with three open sides. Inside, a bell shaped stupa is placed so that outside and inside are consisted of one rock. Surface of the stupa is covered with embossed engravings describing images of great buddhist monk, Wolsan and natural elements of Toham-mountain, Also, the tombstone is consisted of 3 traditional parts, Gwibu(龜趺), Bisin(碑身) and Isu(螭首), but has been designed horizontally, instead of vertical, to better accommodate modern sentiment. This design suggests new concept by meaningful placeness through a possible suggestions of physical form for the stupa and tombstone and connection with Toham-mountain within the space. The stupa and tombstone of great buddhist monk, Wolsan opened a new horizon to stupa designs of Buddhism which were mostly bell shaped or octagonal-circle type. Furthermore, horizontal monument of this design allowed more convenient reading experience thus it is evaluated to be more public friendly. 본 설계는 경주 불국사에 주석하시던 월산대종사 입적 후 부도탑과 행적비를 조성하기 위해서 진행된 결과이다. 계획대상지는 불국사 경내 사천왕문 동측부 구릉중턱으로 선정되었다. 부도탑과 행적비의 설계는 형태적으로 전통과 현대의 이중적 결합을 추구하면서 월산대종사의 이미지와 불국사의 이미지에 부합하면서 대중에게 교감을이끌어 낼 수 있는 21C의 새로운 조형미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설계는 불교와 관련된 이론과 모티브를 중심으로디자인컨셉을 찾아내고, 그것을 설계전략으로 삼아 형태를 디자인하고, 전체적인 공간을 구성하였다. 부도탑은 수평과 수직적 만다라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외부형태는 원융무애(圓融无涯)라는 불교적 내용을바탕으로 하여 삼면이 뚫린 구체를 통해 우주의 원리를 표현하였고, 그 내부에는 석종형 부도를 안치시켰는데, 외부와 내부가 한 덩어리의 돌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부도의 겉면에는 월산대종사의 이미지와 자연적 요소인토함산의 이미지가 형상화 될 수 있도록 형태를 창안하여 양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행적비는 전통적인 형태인귀부, 비신, 이수의 3부분으로 나누어지되, 현대인의 정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수직의 개념을 수평의 개념으로변화시켜 설계하였다. 본 설계를 통하여 부도탑과 행적비에 대한 새로운 형태적 가능성을 제시하고 또한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서토함산과의 상관성이 공간의 질서로 용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장소성을 부여하여 새로운 개념의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었다. 월산대종사의 사리탑 및 행적비는 지금까지 석종형이나 팔각원당형 일색이었던불교계의 사리탑 디자인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으며, 행적비를 가로로 눕혀서 조성함으로써 그 내용을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여 대중친화적인 결과를 낳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KCI등재

        1970년대 한승원의 소설에 나타난 바다의 생태론적 의미

        정연희(Yeon Hee Jeo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현대소설연구 Vol.- No.33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Sea`s meaning in the Works of Han, Seung-Won, 1970s. In the Works, the Sea is ``vivid nature``, to be understood the nearly original figure. And to be understood the ecological meaning and value. Exactly speaking, from the character that live in the Sea and the Sea that live in the character`s mind, we can find the ecological susceptibility. If we speak of the ecological susceptibility or the ecological thought, the first is non-humancentrism, the second is the sence of place, the third is the value of women that recognize ``the smooth border`` between the human and the nature. These the ecological susceptibility or the ecological thought is the characteristic to be foresighted in Han, Seung-Won`s Novel, it shows that the character who has lived and contacted directly with the Sea and who has endured the history of the dark death depending on the these life attitude. It`s difficult to say that his novel has a self-consciousness as the ecological literature. But we find that his deep concern about the Sea connect to ecological susceptibility and consciousness. This means that the ecological literature and concept doesn`t move only by artificial intention, in addition to that, it show that the ecological literature is made from the sense of ecology naturally.

      • KCI등재

        에드먼드 드 발의 작품에 관한 연구

        원경환(Won, Kyung-hwan),이영희(Lee, Young-hee)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4

        도예는 ‘용도’를 전제로 하는 공예의 한 분야에서 20세기 이후에는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대미술에서 사물은 인지적 상상력과 주관적 해석이 적용되어 본연의 기능, 의미,이데올로기로부터 해방되었다. 이러한 현대미술의 관점에서 도자기의 용도나 기능을 배제하고 특정 공간의 오브제로 재해석한 영국출신의 도예가이자 작가인 에드먼드 드 발(Edmund de Waal)의 작품은 주목받을 만하다. 대형설치작가로 알려진 드 발은 자기질 태토가 가지는 순백색의 특성과 물레성형이라는 전통적 제작 기법을 이용해 단순한 실린더 형태의 용기를 대량 제작한다. 그러나 용기는 용도를 전제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유닛의 최소단위로 존재하게 되며 다양한 설치방법을 통해 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그가 제작한 단순한 형태와 소지의 흰색은 중세 해상실크로드의 주요 교역품 중 하나였던 ‘중국 도자기’와 바우하우스의 간결한 선을 모티브로 한 것인데, 이것은 동∙서양의 문화 교류를 작품을 통해 드러내려는 그의 의도가 담겨있다. 공간구성방법에도 그만의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음악적 요소를 가미하기 위해 실린더 형태를 음표로 상정하여 공간을 구성하거나, 인식하지 못 하는 어두운 공간에 작품을 설치하여 날씨나 계절과의 연계성을 표현하는 등 관객과 소통 할 수있는 공간을 연출한다. 이러한 설치방법은 오브제와 건축공간의 교류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한편 도자기가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조형언어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드 발의 작품에 나타나는 간결한 색과 형태 그리고 유닛 구성이라는 시각적 요소와 특정 공간에 설치하는 공간적 요소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도자예술의 영역확장 및 동시대적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Pottery is establishing itself as a genre of modern art since the 20th century from a field of crafts based on the premise of ‘usage.’ Objects in modern art became free from their original function, meaning, and ideology by application of cognitive imagination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art, works by Edmund de Waal, a potter and writer from England who excluded the usage and function of pottery and reinterpreted them into an objet of a specific space, are particularly noteworthy. De Waal, known as a large installation artist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ure white in porcelain and wheel-thrown of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is producing works that a large number of simple cylinder type containers. However, vessels are not made for the purpose of usage, but exist as the smallest substance of unit and comprises in the space by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His simple form and white of vessels is produced with motifs that the simple line of Bauhaus and ‘Chinese porcelain’ which was the major trading good of medieval Maritime Silk Road. This is his intention to symbolize cultural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through his works. It is the special point of his works in the space composition method. He composes a space where interact with the spectators. For example, cylinder shape vessels assume the form of a note to add musical elements, or is installed in a dark space where is not recognized to express the connection with the weather and seasons. In the installation method, the function of exhibition space was assigned on space of building to suggest possibility of architectural exchange of a sculpture. In addition, ceramics are interpreted as a formative language of various meaning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area and to find a new possibility of contemporary expression as modern art by looking at visual elements of simple colors, shapes and unit construction and the spatial elements that are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 KCI등재

        항만도시 인터페이스 공간특성에 의한 항만배후단지 활용방안

        황선아,김종구,홍지수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1

        The spaces of port and urban in a Port City have different space characteristics substantially, but those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interdependently. Degradation and loss of the sense of place in the existing spaces caused by decline of natural function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revival of local economy as well as make worse image of the entire city. In some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many researches on the port spaces lagging behind the times due to changes of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port spaces have been conducted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This study aims at seeking a device how the domestic hinterland could be utilized as efficient space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outskirts space and port city interfa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ace space of port city, capable of playing a role as buffer zone between the port space and the city space. 항구도시에서 항만과 도시공간은 상이한 공간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상호의존적으로 발전되어 나가야 한다. 기능쇠퇴로 인한 기존 공간의장소성 상실과 기능 저하는 도시 전체의 이미지를 나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나아가 지역 경제부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일부선진국에서는 시대변화에 따른 항만공간 특성 및 기능의 변화로 인해 낙후되어가는 항만공간에 대한 연구를 오래전부터 지속적으로 진행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배후단지에 항만과 도시공간 사이의 완충지 역할을 할 수 있는 항만도시 인터페이스 공간의 특성 적용하여 향후 국내 항만배후단지가 주변 공간특성과 항만도시 인터페이스 특성이 부여된 효율적인 공간으로 활용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