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의준(Jeong, Steve),유승호(Ryu, Seung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3

        행복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물질주의적 가치관도 결정요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사회에 만연한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한국인의 행복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의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그러나 최근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대항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효리네 민박’, ‘숲속의 작은 집’ 등 현실세계의 물질 추구적 삶과 대비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동조하는 콘텐츠의 인기에서도 확인된다. 이렇듯 (탈)물질주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나 아직까지 물질주의 가치관과 소득, 그리고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논문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객관적 소득과 주관적 계층감과 함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복과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관련된 심리적, 관계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여, 총 1,405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주관적 계층감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낮은 그룹은 높은 쪽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행복도를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저소득층과 낮은 연령층, 그리고 여성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물질주의 가치관과 관련하여 문화콘텐츠의 정책적 활용과 사행성 콘텐츠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Materialism is related to individual"s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ndividual"s income influences one"s class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ularly, Korean TV drama has been regarded as accelerator of materialistic value by rags-to-riches story and luxurious scenes.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reseach existing about how people"s materialism,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one"s materialism,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nd also examin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e"s subjective well-being. Total of 1,405 subjec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Controlling for subjectives well-bing, materialism and other psychological factors, we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showed that materialism was strongly related to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The interaction among thos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particular, in the low income group with low level of materialis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scores. This tendency was revealed in relatively young group and female group. 행복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물질주의적 가치관도 결정요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사회에 만연한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한국인의 행복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 의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어 왔다. 그러나 최근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대항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효리네 민박’, ‘숲속의 작은 집’ 등 현실세계의 물질 추구적 삶과 대비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동조하는 콘텐츠의 인기에서도 확인된다. 이렇듯 (탈)물질주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나 아직까지 물질주의 가치관과 소득, 그리고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논문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객관적 소득과 주관적 계층감과 함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복과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관련된 심리적, 관계적 요인들을 통제하고,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여, 총 1,405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주관적 계층감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관적 계층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낮은 그룹은 높은 쪽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행복도를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저소득층과 낮은 연령층, 그리고 여성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물질주의 가치관과 관련하여 문화콘텐츠의 정책적 활용과 사행성 콘텐츠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Materialism is related to individual"s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ndividual"s income influences one"s class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ularly, Korean TV drama has been regarded as accelerator of materialistic value by rags-to-riches story and luxurious scenes.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reseach existing about how people"s materialism,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one"s materialism,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and also examin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e"s subjective well-being. Total of 1,405 subjec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Controlling for subjectives well-bing, materialism and other psychological factors, we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showed that materialism was strongly related to actual income and class consciousness. The interaction among thos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particular, in the low income group with low level of materialis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scores. This tendency was revealed in relatively young group and female group.

      • KCI등재

        김호연재 시의 주체의식 연구 - 소외, 욕망, 환상을 중심으로 -

        박은선 ( Park Eun-se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3

        본고는 김호연재의 시에 나타난 주체의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주체의식을 구성하는 요소인 `소외`, `욕망`, `환상`을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을 원용하여 살펴보았다. 그런데 김호연재 시인이 남성 중심의 지배 문화에 의해 억압된 채 살던 여성이라는 점을 전제로 할 때 그 주체의식은 곧 여성의식이기 때문에 여성주의(Feminism) 관점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먼저 김호연재 시 작품에서 주체의 고립은 타자(상징계) 안에서 주체가 형성되는 소외의 과정이다. 시에서 보여주는 `방(房)`은 그 폐쇄성이 있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포위된 `여성의 삶`을 상징한다. 오랫동안 품었던 꿈을 포기하는 상실의 기제가 주체의 고립을 작동시킨다. 또한 시인의 시는 `나`를 미치광이로 제시함으로써 시대에 대해 분노를 표출하는 주체의식을 엿보게 한다. 김호연재 시 작품에서 `복숭아꽃`, `배꽃`은 여성 섹슈얼리티(Sexuality)를 표상한다. “복숭아꽃이 어지러이 떨어지고 배꽃이 향기로”운 것은 충만한 성 욕망의 발현이다. 그러나 시는 적막이 감도는 깊은 산 속의 꽃 만발한 봄을 그리면서 현실 속에서 재현 불가능한 여성적 욕망(Sexuality)을 은밀히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시대적 억압에 대한 저항의 주체를 보여준다. 시는 “석 자의 칼”을 통해 남근/이성중심주의의 이분법적 위계질서에 정면으로 저항하는 `여성`의 주체의식을 보여준다. 한편 시는 산꼭대기에서 발원한 물과 높은 산에서 출발하는 구름의 이동으로 시적 주체의 `떠남`에 대한 갈망을 드러낸다. 시인의 시는 `분신`이라는 환상을 통해 가부장적인 `집`과 남성중심의 사회 체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을 표현한다. 시적 주체는 바다와 바닷가가 온통 핏빛 노을빛으로 변할 때 환상의 무대를 펼친다. 자연에 신화적 환상을 부여하는 이 이미지에는 고향에 가고 싶은 시인의 간절한 욕망이 들어있다. 시에서 `여성`으로서의 주체의식은 `여성`에 숨겨진 무의식적 좌절과 `여성`이 결핍하고 있는 것들(존재의 결여)을 드러내고, `남성`적 가치의 부정적인 요소들을 세상에 폭로하여 가부장적 사회 체계에 대한 주체의 저항적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ubject consciousness which appeared in the poems of Kim Hoyeonjae. Specifically, this approach is focused on the elements of the subject consciousness, which are `alienation`, `desire`, and `fantasy` on the basis of the concepts elaborated by Jacques Lacan`s Psychoanalysis. In the discussion of the subject,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et`s subject consciousness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assuming that Kim Hoyeonjae was a woman oppressed by the male dominant culture. First, the isolation of the subject, seen in the poems of Kim Hoyeonjae, is the process of alienation in which the subject is formed in the Other (of the Symbolic). The `room` in the poem symbolizes the `life of woman` who is besieged by the patriarchal ideology in terms of its closing nature. The mechanism of loss that she gave up her dreams that had been long under pressure of the patriarchal society activates the isolation of the subject. The poem presents the subject consciousness to express the anger about the age by identifying `I` with a lunatic. `Peach blossoms` and `pear blossoms` in the poem of Kim Hoyeonjae represent female sexuality. The clause that "The peach blossoms fall, and the flower scent is fragrant" is the manifestation of the fullness of sexual desire. However, the poem reveals the resistance to the oppression of the times in that it secretly expresses the feminine desire that can not be expressed in reality while describing the spring of the flower in the deep and desolate mountain. In the poem, "the three-ja (the Korean foot) sword" stands for the consciousness of the `woman` who fiercely resists the dichotomous hierarchy of phallocentrism/rationalism. Meanwhile, the movement of water and cloud originating from the top of the high mountain implies a desire for `leaving` of the poetic subject. It expresses the desire to escape from the patriarchal `house` and the male-dominated society through the fantasy of `alter ego` produced in the poems. The poetic subject creates the stage of fantasy when the sea and the beach all turn into bloody red. The images that gives mythical fantasy to nature contain the earnest desire of the poet who wants to go home. The subject consciousness as a `woman` in the poems reveals the hidden frustration in the unconsciousness and the loss (the lack of being) of `woman` and exposes negative elements of `male` value to the world, and it shows the strong will of resistance to the patriarchal system.

      • KCI등재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윤정(Youn-Jeong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우울이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기존의 개인적 차원 요인 뿐 아니라 사회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위치인 주관적 계층의식에 대해 논의해 봄으로써 노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 삶의 만족도,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 연구패널 5차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22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우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노인 우울 역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고 삶의 만족도는 높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을 높이고 우울 수준을 낮추거나 예방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주거 지원 정책과 여가활용지원을 통한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고 강화할 수 있어야한다. 둘째,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노인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o see how depression affects this relationship. This includes a new way of thinking about the causes of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not only for individual factors, but also for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For this aim, we examine the degree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verify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between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tilized data obtained from the 5th version of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n Aging 2014, and considered data from 4,222 elderly aged 65 and over. As a means of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may influence life satisfac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also affected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When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was high, depression was low and life satisfaction was high. When depression was low, life satisfaction was high. Second, depression had the mediation effect in which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ffects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author suggests practical and political issues concerning social welfare to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through improving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First, policy measures should enhance social capital through housing support policies and leisure use support to enhance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Second, the provision of services for the elderl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based network to reduce depression should be promoted.

      • KCI등재

        주관적 계층의식과 지역 간 격차의 결정요인

        이은우(Eun Woo Lee) 한국경제통상학회 2016 경제연구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으로 조사된 계층의식 자료를 가지고 계층의식 결정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2015 사회조사(The 2015 Social Survey)’ 원시자료에는 각자가 생각하고 있는 계층을 상상, 상하, 중상, 중하, 하상, 하하 등 6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하고 있다. 이 계층의식을 종속변수, 사회경제적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순서로짓(ordered logit) 모형을 사용하여 주관적 계층의식 결정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계층의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면 직업 중에서는 농어업에 종사하고, 도시보다는 농촌에 거주하는 사람의 계층의식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계층의식을 제일 낮은 단계(하하)부터 제일 높은 단계(상상)까지 1부터 6까지의 기수값으로 변환하여 도시와 농촌의 계층의식 정도를 6점 만점으로 계산하면 도시는 2.71, 농촌은 2.60으로 도시가 농촌보다 0.11 높다. 이것은 계층의식 결정함수의 추정결과와는 반대인데, 이런 현상이 발생한 이유는 계층의식 결정함수에서는 사회경제적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였 는데, 도시거주자가 농촌거주자보다 학력이나 소득이 높은데 기인하는 것이다. Oaxaca요인분해법을 이용하여 계층의식 정도 격차의 요인분해를 하면 도시와 농촌 간 주관적 계층의식 격차의 대부분은 가구소득의 격차에 의한 것이고, 다음으로 교육수준의 격차에 의한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class consciousness by using the survey data based on subjective definition of class. ‘The 2015 Social Survey’ gives 6 choices of class (Upper High, Lower High, Upper Middle, Lower Middle, Upper Low, Bottom Low). By using this class choices and the other socioeconomic variables, a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function, based on the ordered logit model, is estimated. The results of estimation show that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lass consciousness. In addition, other things being equal, house ownership (compared with rental), married status (compared with unmarried, widowed, and divorced), agricultural and fishery sector (rather than the other sectors), and rural (rather than urban) residents showed higher class consciousness. If we transform the degree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nto cardinal numbers from 1 (the lowest level) to 6 (the highest level), average score for the urban residents, 2.71 is greater than that of rural residents, 2.60. This is result is not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estimation results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function, The inconsistency between two results comes from the differences in explanatory variables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function, Urban residents usually have higher values in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income and education levels than rural residents. Oaxaca factor decomposition shows that the differences in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are mainly from household income differences and differences in education comes next.

      • KCI등재

        전문계고 학생의 전문교과이해도 및 학교시설인식도에 따른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직업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함승연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전문계고 학생의 전문교과이해도 및 학교시설인식도에 따른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직업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전문계고 학생 1393명을 대상으로 하여 전문교과이해도, 학교시설인식도, 직업의식,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고 학생의 직업의식 요인은 전문교과이해도와 학교시설인식도 요인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서 전문교과이해도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시설인식도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직업의식 요인은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전문교과이해도와 직업의식은 학업성취도와 상호 관련성이 있으며, 전문교과이해도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직업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전문교과이해도가 높을수록, 직업의식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나 전문교과이해도와 직업의식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학교시설인식도 요인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relationship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n subject intelligibility and school fac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vestigated mediation effect of vocational consciousness on academic achievement in subject intelligibility and school facilities.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including four sections: relationship consciou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n subject intelligibility and school fac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mportant elements that percep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subject intelligibility and school facilities. Female students thought school facilities were more important elements than male students. But vocational consciousness made no difference female students or male students. The more students have high subject intelligibility and the more students have high school facilities, students had high vocational consciousness. The more students have high school facilities, students had high academic achievement. The more students have high subject intelligibility and students had high vocational consciousness, students had high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단군신화의 주체의식 검토

        이화형 ( Hwa Hyung Lee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7 No.-

        <단군신화>는 한국인의 심성이나 한국문화의 특질을 간파하기 위해 필요한 문화적 원형일 뿐만 아니라 <단군신화>는 한국을 대표하는 신화답게 해외에서 한국의 역사, 문학, 민속 등 한국학을 공부하는 이들이 꼭 접하는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이에 <단군신화>의 연구가 지나치게 신화 기록 자체에 빠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단군신화> 나아가서는 고조선을 포함하는 우리나라 고대사 연구에 있어서는 신중하게 접근하고 올바로 인식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국인의 근원신화를 분석해 봄으로써 우리 민족의 문화적 전통과 정신적 가치를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문화 배경적 차원에서 <단군신화>는 민족 주체의식의 발로이자 이와 함께 민족이 지향했던 강렬한 휴머니즘적 산물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에서 비롯되는 민족 고유사상의 표출을 간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군신화>의 핵심사상을 3가지의 주체의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주체의식이 융합적 성격을 띤다는 데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 중심적이라는 것은 타국(타집단)과 공존하면서 자국(자집단)의 자주적 입지를 강화하고자 하는 각성이 돋보이는 데 따른 것이고, 둘째, 휴머니즘(인간중심)적인 것은 타인 또는 자연(동물)과 함께 살려는 올바른 인간사회를 지향하는 개방적인 사고의 발로에 따른 것이며, 셋째, 사상적인 것은 진보적인 성향으로 지나치기 쉬운 의식에 비해 치우침 없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갈 수 있는 강건한 토착적 의식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와 같이 본고에서의 주체개념에는 주객의 요소 간에 상호보완적인 성격이 강함을 알 수있다. 더욱이 세 가지 주체의식은 상호관계 속에서도 융합적 성격을 보인다. Tan-gun mythology is the original form of Korean culture to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ure and culture. And it is also the cultural inheritance as representative Korean myth for the persons to study Korean history, literature and folklore in abroad. So it is undesirable to attach great importance to a document itself in studying Tan-gun mythology. It is needed to be careful and right consciousness in studying ancient history of Korea including Kojoson era and Tan-gun mythology. We can find the cultural tradition and mental values of our people by analyzing the origin mythology. Especially in the background of culture, Tan-gun mythology is the expression of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people and the result of the strong humanism. And we can find the expression of the original ideas in people. It can be explained by 3 the subject consciousness the main thoughts in Tan-gun mythology. There is a characteristics of fusion in the subject consciousness. First, the ethnocentric characteristic comes from awakening to reinforce the independency of own country to live together other country. Second, the humanism comes from the liberal thoughts to intent to right society to live with other people and animals together. Third, the thought is focused on the strong homegrown consciousness to go the right direction without distorted view. There is a characteristics to complement each other in the subject consciousness in this study. And the three subject consciousness als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fusion in inter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原泉 洪祐健 산문론의 주체적 상상력 - 이조 후기 산문론에서 ‘悟’의 문제와 관련하여

        김철범(Kim Cheol Beo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19세기 산문작가인 홍우건의 산문론을 고찰한 것이다. 홍우건은 당대 이름난 문인이었던 홍길주의 아들로 태어나, 19세기 중ㆍ후반기를 살다간 인물이다. 그는 관직에 나아가 벼슬을 살았지만, 憲宗대에 의욕을 보인 것 외에는 정치활동에 그렇게 적극적이지 않았으며, 반면 일생을 독서와 함께 文人으로 살려고 노력했다. 그는 부친 홍길주의 영향을 크게 받아 문학에서도 부친의 문학론을 승계하여 발전시켰다. 특히 사물인식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독서와 관찰을 중시했으며, 창작에서는 ‘悟解’를 강조했다. 본고는 이 ‘悟’의 문제를 중점으로 그의 문학론을 설명코자 했다.   문학론에서 ‘悟’의 문제는 고려 말기부터 간간히 거론되었지만, 본격적으로 산문론에서 거론된 것은 김창협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는 개성주의로서 ‘妙悟’를 강조하였다. 그 이후 조귀명 등에 의해서 ‘解悟’가 주장되었는데, 그것은 문학이 道나 義理로부터 분리되어 작가 주체의 것으로 자리를 잡는 것이었다. 다시 그 이후 홍길주에게서 다시 ‘悟’의 문제가 다루어진 것인데, 그는 작가의 주체적 각성이라는 의미에서 ‘悟’를 강조했던 것이다. 이를 홍우건이 계승하여 발전시켜 역시 ‘悟解’를 강조했던 것인데, 그에게서 이 ‘悟’는 바로 작가의 주체적 상상력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는 18세기 실학과 함께 주체적 반성이 개개 인간의 주체의 발견으로 발전되고, 이러한 주체적 각성이 다시 산문창작과 이론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후 김창희나 이건창 등의 문인들에게서도 계승된 면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thesis considers Hong U-Keon"s prose theory, who was a prose writer in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His father, Hong Gil-Ju, was a famous literary man of those days, and Hong U-Keon, himself also lived as a writer in the middle and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lthough he was in the government service, he did not try to be positive about political activities except that he expressed his political desires in King Heon-Jong days. Rather he tried to live as a literary man reading books for his all lifetime.   He was greatly influenced with his father, so later he inherited and developed his father"s literature. Especially, he laid much emphasis on reading and observation for extending knowledge and experience that cognize things and valued ‘Consciousness and Resolution’(悟解) in the part of creative writing. This thesis tries to explain his literature theory by treating the matter, Consciousness, in detail.   There had been some discuss on the matter of ‘consciousness’(悟) in literature theories from the end of Goryeo, we can find, however, that the real issue for prose theory was earnestly considered by Kim Chang-Hyeop, who laid emphasis on "Exquisite consciousness"(妙悟) as Personalism.   After that time, ‘Resolution and Consciousness’(解悟) was claimed by other literary men like Jo Gwi-Myeon. It represented that at last literature was separated with ‘Morality’(道) or ‘Justice’(義理) and was set as writer" subjective thing. Then, ‘consciousness’(悟) was treated by Hong Gil-Ju, who took and emphasized it as writer"s subjective disillusion. And Hong U-Keon also succeeded and developed it, ‘Consciousness and Resolution.’ For him, this ‘Consciousness’ was just to mean writer"s subjective imagination. With the 18th Realism, subjective introspection was developed into each individual" subjective discovery and the subjective disillusion was shown as prose writing and theory once again. Since then, we can find that it was succeeded to writers such as Kim Chang-Hui or Lee Geon-Chang.

      • KCI등재후보

        김종삼 시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

        정슬아(Chung, Seul-A) 돈암어문학회 2013 돈암어문학 Vol.26 No.-

        이 논문은 1950년대 모더니즘의 발전 양상으로서 김종삼을 고찰하여 ‘새로운 언어’로서의 이미지에 천착하면서 현실의 문제를 조율해나간 면모를 확인하고 이후 탄생하는 주체의 자리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김종삼에게 있어 언어적 직조 아래 새로운 시적 주체를 탄생시키는 과정은 주관적이고 상상적인 시간 속에서 미적 거리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발견되는 서정성은 김종삼 시가 새롭게 탐색하고 있는 모더니티와 맞닿아 있다. 김종삼 시에서 사건으로서의 죽음이 주체의 변환을 일으키는 과정은 ‘아우슈비츠’를 호명하는 방식으로 드러나며, 이 같은 초월적 상황을 통해 궁극적으로 다다르고자 했던 변화된 주체의 자리는 곧 ‘책임’을 지닌 윤리적 주체임을 확인할 수 있다. 김종삼 시가 갖는 미학의 근간에는 전쟁 체험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사회의 불화’를 감지하는 시선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6·25 전쟁’과 세계사적 사건인 ‘아우슈비츠’를 제재로 한 시편들을 분석하여 죽음의 의미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유한한 존재로서의 인간이 겪는 근심과 불안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타자가 타자로서 경험되는 장소로 호명된 ‘아우슈비츠’는 불편함으로 다가오는 타자의 얼굴과 마주하는 곳이다. 이러한 장소에서 경험되는 타자의 얼굴은 동일성에 머물러 있는 주체 자신으로부터 벗어나 타자를 배려하는 양심 있는 존재로서 거듭나기를 요구한다. 이때 ‘얼굴’은 레비나스가 언급한 바, 나의 힘을 무력화시키고 나의 윤리적행동을 촉구하는 타자성의 제유이기도 하다. 즉, 타자가 겪게 되는 잔혹하고 무자비한 폭력, 전쟁과 죽음이라는 사건 속에서 이를 바라보는 주체에게 요구되는 것은 ‘책임’의 윤리이다. 여기서 책임이란 주체를 주체이게 하는 조건으로서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을 열어 보이는 핵심 기제가 된다. 김종삼이 ‘시 쓰는 자신’으로서의 충분한 자의식을 지니고 쓴 메타시에서 이러한 단초를 엿볼 수 있으며 이같이 타인의 고통과 부름에 응답하는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을 형상화한 면모는 이후로 한국시에 등장하는 주체의 깊이를 선취해 보이는 것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Jong-sam Kim as an appearance of modernity in 1950s, verify the aspect of adjusting practical problems while digging into an image of ‘new language’, and then find a place of the created subject. In the poems of Jong-sam Kim, the process of creating new poetic subject under verbal weave appears in a way obtaining esthetic distance in the subjective and imaginative time. And lyricism found in the process meets the modernity refreshingly explored by the poems of Jong-sam Kim.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subject by death as an accident is appeared in way of calling ‘Auschwitz’ in the Kim’s poems; the place of transformed subject ultimately reached through a transcendental situation is identified as the ethical subject having ‘responsibility’. The esthetic foundation of Kim’s poems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war, and it is extended to the perspective of detecting ‘social disharmony’. Thus, the poems based on ‘the Korean war" and ‘Auschwitz’, which is the world history affair, a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aspect of concern and anxiety of limited human being in the way of extracting the meaning of death. ‘Auschwitz’ called as the place of experiencing the others by the others is where to encounter the face of others approaching as inconvenience. The experienced faces of the others in this place urge the subject stayed in sameness to escape from oneself to become a human being considering others with a conscience. Here, the ‘face’ is a synecdoche of otherness neutralizing my power and encouraging my ethical behavior, as referred by Levinas. That is,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is demanded to the subject who sees the others experiencing the affairs of brutal and ruthless violence, war, and death. Here, the responsibility becomes main mechanism that opens the possibility of ‘ethical subject’ as the condition for a subject to be a subject. The evidences are found in the meta-poetry written by Jong-sam Kim with sufficient sense of identity as ‘oneself who writes poems’, and it preempts the depth of subject that appears in Korean poetry afterward through shaping the possibility of ‘ethical subject’ responding to the suffering and calling of others.

      • KCI등재

        Effect of eco-friendly clothing knowledge and consciousness on ecological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Kyung-Sook Kwon,Kyu-Hye Lee 복식문화학회 2018 服飾文化硏究 Vol.26 No.6

        Consumers’ interests in the environment have been growing; hence, their consciousness about the environment has changed and affected their clothing shopping behavior. Prior study indicated attitude-behavior inconsistency in eco-friendly consumer behavior. It was because consumers’ consciousness or attitude was often measured at an abstract level, not at a product specific level. This study investigated eco-friendly clothing knowledge, eco-friendly clothing consciousness, and ecological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The effects of consumers’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and subjective norms in this process were also investigated. For the empirical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responses from 480 women in their 20s to 50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interest and fashion consciousness dimensions of clothing involve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cofriendly clothing knowledge, which thereb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hree factors of eco-friendly clothing consciousness: social responsibility, health orientation, and clothing resource-saving consciousness. Such factors had different roles in the clothing consumption process. Soci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ntire process of clothing consumption: shopping, purchasing, using, and disposing behaviors. Health orientation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hopping and purchasing behaviors, whereas resource-saving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ly on shopping behavior. Subjective norm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aspects of the clothing consumption process. Influence on disposing behavior was relatively weaker than other aspects of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 KCI등재

        <오페라의 유령>에 나타난 주체의 의식적/무의식적 양상

        김은경 ( Kim Yeun Kyong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8 현대영어영문학 Vol.62 No.2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two main characters, Christine and the Phantom, of The Phantom of the Opera from Lacanian theory of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Christine’s mental world is split between the subject of the unconscious and the subject controlled by unconscious thought. However, during the story unconscious thought increasingly plays a major role in controlling Christine. Finally, Christine chooses Raoul over the Phantom who guarantees worldly security, which proves that unconscious thought governs her. The Phantom is also split between the conscious subject as false being and the subject of unconscious thought. The Phantom has been frustrated by not being able to win the Other’s recognition of his existence. Thus, he defies the Other and decides to create his own dream world. He manipulates situations to bring Christine into his dream world. However, after unexpectedly receiving passionate kisses from Christine, the Phantom turns into a good man as if by magic, and stops attacking Christine and Raoul but instead helps them to leave in safety. To sum up, both Christine and the Phantom ultimately remain as subordinate subjects to the order of the signifier; namely unconscious thought. (Daeshin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