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인의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 대처양식, 알코올 및 도박문제

        차진경,오희,강현임 한국중독범죄학회 2017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7 No.3

        본 연구는 성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 대처방식, 음주문제 그리고 도박문제에 대한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터넷 URL로 배포된 불특정 다수 1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7년 08월 10일∼08월 20일까지이고, 조사 도구는 AUDIT-K, Stress Response Inventory, The Way of coping checklist,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CPGI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 통계, t-test,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에서 미혼의 경우 신체화 증상(p<.05)과 좌절증상(p<.05)이 높게 나타났다. 첫 음주는 18세경에 시작을 하였고, 음주상황에서 사회에 모임이있을 때가 117명(68.0%)으로 가장 많았으며, AUDIT 측정 결과 성별(p<.05)과 직업(p<.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박 양상에서 도박을 알게 된 시기는 초등학교가로 나타났고, 재미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도박의 종류로는 로또 복권을 가장 선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박양상에는 차이가없었다(p>.05). 각 변수 간 상관관계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변수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스트레스 반응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변수 중 능동적 대처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를나타내고 있다. AUDIT 결과 스트레스 반응의 공격성, 피로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능동적인 변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GPGI 결과의 경우 스트레스 반응의 분노와 스트레스대처방식에서의 수동적 신비적변수와 음의 상관관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미혼과직업이 없을 때가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음주의 경우 여성의 음주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는 점을 통해 여성음주문제에 대한 개입과 도박문제에 있어서는 조기접근에 따른 적극적인 개입과 스트레스 상황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에서는 능동적인 방식 즉, 문제해결의 적극적인 방식의 전략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stress response, stress coping style, drinking problem and gambling proble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ul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1 unspecified persons distributed through the internet URLs. The survey period was between August 10 and August 20, 2017, and the survey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Stress Response Inventory, the Way of Coping Checklist,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AUDIT‐K, and CPGI. This study performed data analysis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stress respons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omatization symptom (p<.05) and frustration symptom (p<.05)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unmarried group. The first drinking of the respondents began around the age of 18 were the most likely to drink when they were meeting in the community in a drinking situation, and it was found that in the AUDIT-K measurement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sex (p<.05) and occupation (p<.05). And in the period of recognizing gambling, were found to recognize gambling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play gambling for fun. In terms of the gambling type, Lotto lottery was the most preferred type of gambling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information in the GPGI test resul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05). In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of the stress response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response and the active coping style of stres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tive variables in the AUDIT-K results and aggression of the stress response, and the fatigu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GPGI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ger of stress response, and stress passive, mysterious coping strategi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ases of unmarried and unemployed affected stress response. And,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guidelines of the AUDIT-K, women's estimates of alcohol use disorders were very high, suggesting that intervention is needed for women's drinking problems in the future. In addition, early access to gambling problems is urgent in the gambling problem. In the case of a program that manages stress situations, searching for active copings, that is to say, positive strategies for solving the stress problems is needed.

      • KCI등재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조아인,홍상황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ess vulnerability and response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relationship. 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IESS) was given to 560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collect data. Method: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response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nd ag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correlation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variables that explain stress respons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vulnerability variable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response. Second, stress vulnerability and response were higher in female teachers than in male teache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response according to the level of vulnerability; the higher level of vulnerability represents higher stress response. Fourth, cluster analysis showed the four profiles named high risk type, stable type, sensitive type, and normal type. The difference in stress respons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high-risk type and, conversely, the lowest in the stable type.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investigated the stress vulnerability and response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llowing study is needed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and response.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및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560명을 대상으로 통합스트레스검사(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 IESS)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상관과 성별과 나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스트레스 취약성 변인들이 어떻게 상호 관련되어 스트레스 반응을 설명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트레스 취약성은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은 스트레스 지각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남자 교사보다 여자 교사가 높았으나 나이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취약성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취약성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의 대표적인 스트레스 취약성 유형과 그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 고위험형, 안정형, 민감형, 평범형이라는 4가지 군집 프로파일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프로파일 간에 스트레스 반응 차이는 고위험 유형에서 가장 높고 반대로 안정 유형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을 종합적으로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이후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인과관계를 가정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엘리트 운동선수의 실수에 대한 반추적 반응과 스트레스 반응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윤서진,이소진 한국사회체육학회 202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9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ve response to mistakes and stress response in elite athletes. Method: A total of 26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Macro Process 4.1. The analysis method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earch model 1, ruminative response had a negative effect on stress coping. In the research Model 2, ruminative response had a positive effect on stress response, and stress coping had a negative effect on stress response. Second, stress coping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ve responses to mistakes and stress responses. Conclusion: In summa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ve response and stress response, stress coping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alleviate negative emotions in athletes.

      • KCI등재

        노인 스트레스 반응에 관한 연구

        하양숙,서현미,유수정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정신간호학회지 Vol.9 No.4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e the stress response and so 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stress manag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ly. The subjects were 350 elders over 65 years old who lives in Seoul. Kwang-Ju. Yang-Ju Gun Kyung-ki Do, Ui-Jung Bu, and Young-Am Kun, Jeun-Ra Nam Do. And the data of 331 elders(94%) were analyzed. Symptoms of stress(SOS) scale which used to measure the stress response for elderly and cronbach's α of the scale is .9495 o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and March in 1996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8.o.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total mean of the stress response for elderly was 1.04 which is higher than other adult groups. The range of means on 10 subscales of stress response were .77-.1.45, which the subscale of central nervous system was the highest and peripheral symptoms was the lowest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response among sex, age, pocket money, living with spouse or son, disease or not, perceived health status. The above findings indicated the stress response in higher tan adult group and plausibility of the adopting stress managing nursing intervention for elderly.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developing the stress response scal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tress for elderly. In addition, considering results of this study family is very important factor as managing of stress response, so it is needed to consider family in implementar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manage stress response.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스트레스 반응, 휴학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김미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ife stress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nursing students on stress response and intention of a leave of absence from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0 students from two nursing departments in C and I regions, and data on life stress, stress response, and coping strategies were collected from May 1, 2018 to May 30. 464 respons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ver. 22.0 to perform one-way ANOV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61.2% had an intention to take a break from school, and the hightest reasons was academic stress(40.1%). The degree of total stress (F=5.799, p=.001), academic stress (F=8.114, p<.001), future stress (F=13.046, p<.001), relationship with professor (F=6.504, p<.0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years, and the stress of the senior was the highest. The score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ffected the stress response. The avoidance strategy score (β=.25, p<.000) increased the stress response(β=.25, p<.000), and the problem-solving strategy was significant in reducing the stress response (β=-10, p=0.20). In the impact of the coping strategies scores on whether students want to take a leave of absence from school, the avoidance strategy showed 2.1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to reduce the avoidance strategy and guide them to use appropriate stress strategies.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스트레스 반응과 휴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는 C지역과 I지역에 소재하는 2개 간호학과 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1일부터 2018년 5월 30일까지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반응, 스트레스대처전략 설문을 시행하여 495부를 회수하여 464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ver. 22.0을 사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61.2%가 휴학의도가 있다고 하였으며, 휴학을 희망하는 이유에는 학업부담이 40.1%로 가장 많았다. 스트레스 요인은 학업스트레스(2.90±.88), 장래(2.39±.79), 가치관(2.22±.98) 순으로 높았으며, 학년에 따라 총 평균(F=5.799, p=.001), 학업(F=8.114, p<.001), 장래(F=13.046, p<.001), 교수와의 관계(F=6.504, p<.001)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모두 4학년이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반응에 스트레스정도가 영향을 미칠 때 회피전략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β=.25, p<.000), 문제해결전략은 스트레스 반응을 낮추는데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β=-.10, p=.020). 휴학의도는 스트레스 정도가 2.5배, 회피전략이 2.1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년에 따른 스트레스는 총점, 가치관, 학업, 교수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4학년이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회피전략은 스트레스 반응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또한 휴학의도를 증가시키는 영향을 주고 있음으로 학생지도 시 학년을 고려하고, 학생들의 스트레스대처 전략을 확인하여 회피전략은 줄이고 적절한 스트레스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 반응 유형과 심박변이도의 관련성

        장은혜,김아영,유한영 한국감성과학회 2018 감성과학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 반응 요인과 인지 스트레스원에 의해 유발된 심박변이도의 변화와의 관계를확인하고자 하였다. 33명의 실험참여자는 지난 2주 동안 경험한 스트레스에 대하여 정신적 신체적 증상들을 스트레스반응 척도 상에 평가하였다. 또한 실험참여자가 인지 스트레스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심전도 신호가 기록되었다. 심박변이도 지표로서, R-R간격의 표준편차(SDNN), 연속한 R-R 간격 차이 값의 평균제곱근(RMSSD)과 심박변이도의저주파 성분(LF)과 고주파 성분(HF)의 비율이 추출되었다. 스트레스 반응은 회복기 동안의 평균에서 기저선의 평균을뺀 차이값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 요인과 심박변이도 지표들과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스트레스에 대한 공격 반응의 증가는 모든 심박변이도 지표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 모든 심박변이도 지표의증가는 자율신경계가 동시에 활성화됨을 의미한다. 즉, 공격 반응의 증가는 교감 및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의 증가와관련이 있다. 또한 긴장, 우울, 피로와 좌절은 RMSSD와의 정적 상관이 있었다. RMSSD의 증가는 부교감신경계 활성의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긴장, 우울, 피로, 좌절의 증가와 부교감 신경의 활성도의 증가가 연관이 있었다. 이러한자율신경의 공동 활성화는 주의 집중을 요하는 인지 스트레스원에 대한 통합된 반응으로 여겨진다. Stress involves changes in behavior, autonomic function and the secretion of hormones.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contributes to physiological adaptive process in short durations. In particular,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alysis is commonly used as a quantitative marker depicting the ANS activity related to mental str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responses to stress and HRV indices induced by the cognitive stressor. Thirty-three participants rated their mental and physical symptoms occurred during the past two weeks on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which is composed of seven stress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status of mental stress levels. Then, they underwent the psychophysiological procedures, which are collected electrocardiogram (ECG) signals during a cognitive stress task. HRV indices, the standard deviation of R-R interval (SDNN), root mean square of successive R-R interval difference (RMSSD) and low frequency (LF)/high frequency (HF) ratio were extracted from ECG signals.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calculated stress responses by subtracting mean of the baseline from the mean of recovery. Stress factors such as tension, aggression, depression, fatigue, and frustr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HRV indices. In particular, aggress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o SDNN, RMSSD and LF/HF ratio. Increased aggressive responses to stress correlated with the increases of all HRV indices. This means the increased autonomic coactivation. Additionally, tension, depression, fatigue, and frustr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MSSD reflecting increases in parasympathetic activation. The autonomic coactivation may represent an integrated response to specific cognitive reactions such as the orienting response.

      • 노인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스트레스반응

        성명옥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9 임상사회사업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노인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스트레스반응을 분석한 실증적 연구로서, 서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수준을 각 인자별로 보면, 문제중심대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긍정적 정서중심대처, 사회지원형 대처, 회피적 정서중심대처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처법 선택의 유연성을 보면, 선택의 유연성이 선택의 불변성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반응을 보면, 상황인지 스트레스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심리적 스트레스반응, 신체적 스트레스반응의 순이었다.둘째, 노인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스트레스반응간의 상관관계를 전체적으로 볼 때 회피적 정서중심대처와 긍정적 정서중심대처가 모든 스트레스 반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의 유연성은 상황인지 스트레스반응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스트레스의 전체 반응(신체적, 심리적, 상황인지 스트레스를 포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보면, 건강, 연령, 학력, 회피적 정서중심대처, 자녀수, 대처법 선택의 유연성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스트레스 대처행동 중 회피적 정서중심대처와 대처법 선택의 유연성이 스트레스반응을 촉진시키는 요인임을 나타낸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는 건강할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가 많을수록 스트레스반응이 낮게 나타나고, 연령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반응이 높게 나타나게 됨을 고찰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ping Style and Stress Response of the Elderl. For this study, surveyed 300 old peoples living in Seoul, using self diagnostic checklist on the stress and stress re-sponse checklist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For coping style, problem-forced coping were very high and positive emotion-forced coping,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evasive emotion-forced coping were to be followed. And flexibility on choosing coping style was little higher than inflexibility. For stress response, situation recognition responses was the highest, and psychological responses, somatic responses were to be followed.2.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ping style and stress response, evasive emotion-forced coping and pos-itive emotion-forced coping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all stress response. And flexibility on choosing coping style showed correlation with situation recognition responses3. In the multipul regression analysis, evasive emotion-forced coping and flexibility on choosing coping style had significantly an effect on the stress response.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 취약성과 보호요인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

        김건태,이수정,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4 초등상담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보호요인에 따른 프로파일 유형을 도출하 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스트레스검사 아동청소년용(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Adolescents, IESS-A)을 전국 초중고 등학생 2,923명에게 실시한 자료를 분석하여,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보호요인 및 스트레 스 반응 간의 상관을 도출하고,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보호요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설명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간에는 .21~.64 범위의 정적 상관 (중앙치 .33), 스트레스 보호요인과 스트레스 반응 간에는 -.36~-.16 범위의 부적 상관(중앙치 -.25)이 있었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5개의 잠재프로파일(미분화, 평범, 저 보호적, 고 취약적, 고 보호적)이 도출되었고, 도출된 잠재프로파일 간에 스트레스 취약성 수준과 스트레스 보호요인 수준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개의 잠재프로파일 간에 스트레스 반응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 반응 수준은 미분화>고 보호적>평범>저 보호적>고 취약적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척도(신체화, 우울, 불안, 분노, 공격행동) 수 준도 동일한 순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file types according to the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tress responses according to them.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ata obtained by conducting the 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Adolescents(IESS-A) for 2,92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 derived correlations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and stress responses, and perform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o see how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interact to explain stress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and stress response in the range of .21~.64 (median value .33),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protective factors and stress response in the range of -.36~-.16 (median value -.25). Second, we performed latent profile analysis. As a result, 5 latent profiles (undifferentiated, ordinary, low-protective, high-vulnerable, high-protective) were deriv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among the derived latent profiles. Third,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tress response among the 5 latent profiles, we performed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hoc verifica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tress response among each latent profile. The level of stress response was highest in undifferentiated>high-protective>ordinary>low-protective>high-vulnerable order, and the level of sub-scales of stress response also showed the same order. As a final poi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escribed.

      • KCI등재후보

        음주 문제가 스트레스 반응 및 분노 대응에 미치는 영향

        차진경 한국중독범죄학회 2016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6 No.2

        본 연구는 일반인들의 음주문제가 스트레스 반응과 분노 대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고자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터넷 URL로 배포된 불특정 다수 남성과 여성 각 100명씩 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6년 11월 15일부터 30일까지이고, 조사 도구는 AUDIT-K, Stress Response Inventory, Anger Cop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 23.0 version으로 기술 통계,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음주 계기는 ‘사회에 모임이 있을 때’가 가장 많았고, 음주 양상은 위험 음주군 64명(32.0%), 알코올 사용 장애 추정군 47명(23.5%)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문제에 따른 전반적인 스트레스 반응은 알코올 문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3.267, p<.05), 전반적인 분노 대응은 알코올 문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730, p<.05).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서는 언어적 공격성(=.502, p<.05), 긴장 완화적 대응(=-.327, p<.05), 분노 억압(=.234, p<.05)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주 양상과는 관련이 없었으며, 분노 대응에 미치는 요인에서 알코올 문제(=.153, p<.05)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은 사회적 인간관계에서 음주를 가장 많이 하였고, 대상의 55%가 위험 음주군 이상이었다. 그리고 알코올 사용 장애 추정군은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성이 높았고, 위험 음주군은 분노 대응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lcohol drinking on stress response and anger respon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00 people of non‐specific 100 men and 100 women respectively, distributed through internet URLs. The survey period was from November 15, 2016 to November 30, and research tools such as AUDIT-K, Stress Response Inventory and Anger Coping Scale were us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win 23.0 versio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rinking status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the most ‘when there was a meeting in the society,’ and the drinking pattern appeared with 64 people (32.0%) in the risk drinking group and 47 people (23.5%) in the alcohol use impairment group. 2.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stress response to alcohol problems differed according to the alcohol problem (F=3.267, p<.05), and that the overall anger coping differed according to the alcohol problem (F=5.730, p<.05). 3. As for factors affecting stress response, stress response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verbal aggression (β=.502, p<.05), stress relaxation response (β=.327, p<.05), and anger suppression (β=.234, p<.05), but it was not related to the drinking pattern. As for factors affecting the anger coping, the anger coping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the alcohol problem (β=.153, p<.0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y subjects were shown to have the most drinking in the social relationship, 55% of the subjects were more than the risk drinking group, and the risk drinking group and the alcohol use impairment estimation group affected the stress response and anger coping.

      • KCI등재

        행동억제기질이 성인기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영향: 성장기 가정폭력노출경험과 지각된 불안통제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윤재진,박기환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behavioral inhibition on early adulthoods’ stress response and if the perceived anxiety control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adulthood stress response. In addition to this mediated model,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impact of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through perceived anxiety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stress response. For this study, 512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dminist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Sensitivity to Punishment Questionnaire, Scal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Korean version of the Anxiety Control Questionnaire, an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with stress scenarios. Stress scenarios were developed through a pilot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suppor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nxiety control on relations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adulthood stress response. Second,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moderated the mediating impact of behavioral inhibition on stress response through perceived anxiety control and also had main impact on perceived anxiety contro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행동억제기질이 성인기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성장기 가정폭력노출경험과 지각된 불안통제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5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처벌민감성척도(SPQ), 가정폭력노출척도, 개정된 한국판 불안통제질문지(K-ACQ), 스트레스 시나리오, 스트레스반응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스트레스 시나리오는 예비 연구를 통해 개발되었으며, 연구대상자들이 동일한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내는 스트레스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연구 분석 결과, 행동억제기질은 지각된 불안통제감을 통해 스트레스반응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가정폭력노출경험은 행동억제기질을 통제한 후에도 지각된 불안통제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가정폭력노출에 대한 경험이 많은 경우 행동억제기질이 지각된 불안통제감을 통해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심리적 부적응을 유발하는 낮은 지각된 불안통제감에 대한 통합적 발달모형을 제안하여 기질과 환경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