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자아핸디캡전략의 매개효과

        이현주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but also the function of self-handicapping strategy on two variables. Total of 280 high school students(male: 166, female: 114) on the basis of the data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Correlation,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nd differences among variables and the mediated effect of self-handicapping strategy.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self-handicapping strategy associated positively with career indecision,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positively with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too. This result meaned that the more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he higher career indeci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hat is to say, participants perceived mor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had more career indecision and self-handicapping strategy than comparative group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elf-handicapping strategy tot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indecision. The results supported that self-handicapping strategy reacted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as a negative motivational strategy. The results suggested tha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endorsed negative career development.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handicapping strategy was confirmed.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자신의 완벽주의 성향(자기지향적, 타인지향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과 자아핸디캡전략,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분석하면서, 자아핸디캡전략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완벽주의 성향 중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이 많을수록 자아핸디캡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진로미결정 수준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완벽주의 성향 수준에 따른 자아핸디캡전략과 진로미결정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진로미결정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수준 간 자아핸디캡전략 및 진로미결정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진로미결정 간 관계에서 자아핸디캡전략을 매개로 하였을 때 고등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은 진로미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이 사라지고, 자아핸디캡전략의 영향력은 상당히 증가함으로써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역기능적 인성 특성과 인지적 특성의 구체화 작업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학습동기 요인들과 학습전략 또는 자기핸디캡경향 사이의 인과구조

        고영춘,장래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were used to assess a model of science learning strategy (or self-handicapping tendency) based on goal orientation. Data were collected during science lessons from two middle schools. In the optimal model Ⅱ-2 of this research, the learning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use of self-efficacy, achievement need, and learning strategy. The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need.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was negatively related to self-efficacy but present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self-handicapping tendency and entity theory of intelligence. The achievement need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fficacy. The entity theory was negatively related to achievement need but represent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self-handicapping tendency. The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learning strategy Aside from indirectly affecting the learning strategy through self-efficacy. the learning goal 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strategy.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affected the learning strategy directly but was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e entity theory. The learning goal,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achievement need were positive predictors of self-efficacy, but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was a negative predictor. The learning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were positive predictors of achievement need, but the entity theory was a negative predictor.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was a negative predictor of entity theory. The learning goal and self-efficacy were positive predictors of learning strategy.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entity theory were positive predictors of self-handicapping tendenc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learning strategy or self-handicapping tendency in science are discussed. Alth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causal relationships of the motivations to learn and learning strategies in science education are established as mentioned above, a more systematic study to improve learning strategies and to lower self-handicapping tendency in different courses may be needed. 본 연구에서는 학습전략 또는 자기핸디캡경향에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인과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각 관계된 변인들 간의 경로모형을 연구모형 I과 연구모형 II의 기본모형으로 설정했다. 이 연구모형의 관점에서 과학교과를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정밀한 분석을 통해 학습전략 또는 자기핸디캡 경향에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모형 I과 연구모형 II 중에서 연구모형 II가 채택되었고 이 모형의 주요한 통계적 적합도 지수들을 확인하여 분석하면서 경로를 추가했고 1차 수정한 결과, 연구모형 II-1의 구조방정식모형이 본 연구의 완전모형으로 선택되었으나, 이 모형을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p≤.05의 경계값인 |±1.96| 보다 작은 값인 12개의 경로들이 제거됨으로써 연구모형 II-2의 구조방정식모형이 본 연구에서 최종적인 최적 연구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즉 목표지향성의 변인이 ‘자기효능감, 성취욕구 및 지능신념’의 변인을 매개로 하여 ‘학습전략 혹은 자기핸디캡경향’으로 향하는 연구모형 II-2의 구조방정식모형이 본 연구에서 최종적인 최적 연구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이 채택된 모형은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및 성취욕구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효과를 주었으나 수행회피목표는 자기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고, 숙달목표와 자기효능감은 학습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수행회피목표와 지능신념이 자기핸디캡경향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아울러 학습전략은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지능신념과 성취욕구’의 변인에 의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자기효능감 및 직접적인 숙달목표에 의해 영향을 받았고, 자기핸디캡 경향은 수행회피목표의 변인에 의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지능신념 및 직접적인 수행회피목표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았다.

      • KCI등재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업지연을 예측하는 요인 분석

        송윤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2 평생학습사회 Vol.8 No.1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업지연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을 규명하 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습동기 변인 중에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 학습 전략 변인 중에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자기손상전략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이 러닝 수업을 듣는 121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몰입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숙달접근목표이었으며, 학업지연 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수행회피목표과 자기손상전략,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전략이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은 학업적 자기효능 감과 학습몰입 사이를, 자기손상전략은 수행회피목표와 학업지연 사이를 매개하였다. 이 에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숙달접근목 표 수준을, 학업지연을 낮추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행회피목표, 자기조절학습 전략, 자기손상전략 수준을 고려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dicting variables of the learning flow and the procrastination in the university e-learn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 were used as variables of learning motivation, and also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were used as a variable of learning strategies to see the relationship with learning flow and procrastination. Participants were 121 students taking an e-learning course for undergraduates at K Universit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he following two way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listed below: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predicted the learning flow positively. Second,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the self-handicapping strategies predicted the procrastination positively but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predicted the procrastination negatively. Third,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mediated betwee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learning flow. Fourth, the self-handicapping strategies mediated between the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the procrastination.

      • KCI등재

        자기개념 명확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조절초점과 자기구실전략의 역할

        문지혜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8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indirect effect of regulatory focus by self-concept clarity on college adjustment through self-handicapping strategy.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 from 140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as analysed by correlation, moderation regression, and mediated moderation model by SPSS and SPSS macro, PROCESS (Hayes, 2013).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On moderation regression analysis, moderating effects of promotion focus on self-concept clarity learning adjustment and self-concept clarity and self-handicapping strategy were significant. On the analysis of mediated moderation, the indirect effect of promotion focus by self-concept clarity on learning adjustment through self-handicapping strateg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zero. Finally, Implications for studying the interplay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regulatory focus a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적응(학업적응, 전공만족, 대인관계 만족)에 대한 자기개념 명확성의 영향이 조절초점에 따라 다르며 이 상호효과가 자기구실전략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로 수집한 대학생 140명(남 76, 여 51, 무응답 13)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절차는 상관분석과 조절회귀분석, 매개된 조절분석 순으로 이루어졌다. 중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응에 대해 자기개념 명확성의 영향은 향상초점 수준에 따라 달랐다. 둘째, 자기구실전략에 대해 자기개념 명확성의 영향이 향상초점의 수준에 따라 달라졌다. 셋째, 학업적응에 대해 자기개념 명확성과 향상초점의 상호작용 효과는 자기구실전략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개념 명확성이 높고 향상초점수준이 높은 사람이 자기개념 명확성이 높고 향상초점이 낮은 사람에 비해 자기구실전략을 덜 사용함으로써 학업적응 수준이 높았다. 끝으로 본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점과 논문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완벽주의와 학습지연전략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 자아핸디캡전략을 중심으로

        이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ink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as a academic procrastination by examining the role of self-efficac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from 280 students in high schools. For the analyses of the mediating effects, we used Baron and Kenny steps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with hi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rocrastinated more than othe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ub-dimensions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f self-efficacy fully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self-oriented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완벽주의 성향의 고등학생이 채택할 수 있는 자아핸디캡전략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자아효능감에 주목하여,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자기지향적, 타인지향적, 사회부과적)와 학습지연전략으로서의 자아핸디캡전략간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고등학생 280명(남:166명, 여:11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분석, 다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만 자아핸디캡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집단 간 차이검증 결과, 자기지향완벽주의는 자기조절효능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아효능감과 자아핸디캡전략 모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타인지향적 완벽주의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아핸디캡전략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자아효능감(자신감)을 매개로 하였을 때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직접효과는 사라지고 매개변인인 자신감의 직접효과가 증대됨으로써 자신감은 자아핸디캡전략에 대한 완전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자아효능감(자기조절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였을 때 자아효능감을 매개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직접효과가 감소함으로써 자기조절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학업수행지연을 완화하기 위하여 자아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자아핸디캡전략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남녀 차이

        이현주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1 人文論叢 Vol.28 No.-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the relationship among self-handicapping strategy,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indecision but also the function of career motiv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the higher self-handicapping strategy the lower career motivation and the higher career indecision. And the higher career motivation the lower career indeci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ndecis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handicapping strategy(p<.001) in men. And the other par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ndecis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career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in women. Also, career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in men. The results supported that career motivation reacted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as a positive motivational strategy, but suggested that self-handicapping strategy endorsed negative career development.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otivation was confirmed.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교사-동료의 자율성지지가 중학생의 학습동기화전략 및 자기핸디캡에 미치는 영향

        남인수(Nam In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이 연구는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교사-동료의 자율성지지가 중학생의 학습동기화 전략 및 자기핸디캡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료 수집은 2016년 4월 1일부터 4월29일까지였으며, G시와 K시에 소재한 중학교 2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해당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할당표집방법에 의해 360명(남학생 180명, 여학생 180명)의 추출한 표본 중에서 339명의 자료를 최종 실제분석에 이용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교사와 동료의 자율성지지와 학습동기화전략 그리고 자기핸디캡을 측정하는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동료의 자율성지지는 학습동기화전략의 자기효능감, 내적가치, 인지전략의 사용, 자기조절에 정적 영향을 준다. 둘째,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자기핸디캡에 부적 영향을 준다. 셋째, 학습동기화전략의 평가불안은 자기핸디캡에 정적영향을 주는 반면에, 내적가치와 자기조절은 자기핸디캡에 부적 영향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and peers on learning motivated strategies and self-handicapp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60 middle school students in G and K city from April 1 to 29, 2016. But, among of subjects, it consisted of 339 middle school students except 21 students. The used instruments were the Park, Kim, & Kim(2010) for measuri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the Jung & Park(2013) for measuring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scale, and the Hwang & Park(2010) for measuring self-handicapping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s a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 First, the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and peers positively influenced to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the use of cognitive strategy, and self-regulation in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Second, the autonomy support from teacher negatively influenced to self-handicapping. Third, evaluation anxiety positively influenced to self-handicapping but, intrinsic value and self-regulation negatively influenced to self-handicapping.

      • KCI등재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완벽주의, 우울, 시험불안, 자기손상전략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

        송윤희(Song Y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지연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을 규명하고 자 문헌연구를 통해 학습자 성격 변인으로 완벽주의, 학업정서 변인으로 우울과 시험불안, 학습과정 변인으로 자기손상전략을 선정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 명하였다. 완벽주의는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 의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이러닝 수업을 듣는 K대학 116명이며 변인 간의 관계는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지연 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우울과 자기손상전략이었으며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자기지향 완벽주의였다. 또한 자기손상전략은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 업지연, 우울과 학업지연, 그리고 시험불안과 학업지연 사이를 매개하였다. 이에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지연을 낮추기 위해서는 자기지향 완벽주의 수준을 높이고 우울, 시험불안, 자기손상전략 수준을 낮추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diction variables of the procrastination in a university e-learning course. Based on literature reviews, perfectionism, depression, test anxiety, self-handicapping strategies were used as predicting variables of the procrastination. The participants were 116 students taking an e-learning course for undergraduates at K Universit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he following two way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self-handicap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predicted procrastination positively but self-oriented perfectionism predicted procrastination negatively. Seco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medicated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procrastination as well as depression and procrastination. In addition, self-handicapping strategies medicated between test anxiety and procrastination.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procrastination level in university e-learning courses, above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 KCI등재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이지연(Ji Yeon Lee)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실성과 완벽성이 목표추구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와 목표추구 지향성을 통해 학습참여와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에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생 185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성실성은 성장추구 지향성을 통해 학습참여에는 정적 영향을,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완벽성은 확인추구 지향성을 통해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학습참여를 증진하는 동기과정(성장추구 지향성)과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증진하는 동기과정(확인추구 지향성)에 영향을 주는 핵심적 성격특질(성실성과 완벽성)이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rsonality, goal orientation, academic engagement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One-hundred and eighty five college students completed instruments assessing personality(conscientiousness, perfectionism,), goal-seeking orientation(growth-seeking, validation-seeking), academic engagement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Tests for mediation showed that growth-seeking mediated the direct effect conscientiousness had on academic engagement; while validation-seeking mediated direct effect perfectionism had on self-handicapping strategies. These results explain how key personality constructs such as conscientiousness and perfectionism effect academic engagement(growth-seeking)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validation-seeking) fostering motivational process.

      • KCI등재

        저성취 학생의 자기손상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기대와 능력신념에 대한 영향 분석 : 고성취 학생과의 차이 검증

        정윤희,임선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부모의 기대와 학생의 능력신념이 저성취 학생들의 자기손상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모의 성취기대와 능력신념(고정/변화신념)이 자기손상전략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저성취 학생들의 경로값과 고성취 학생들의 경로값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성취 학생 집단과 고성취 학생 집단 모두에서 부모의 성취기대는 능력의 변화신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성취 학생들의 경우에는 부모의 성취기대가 고정신념을 낮추는 데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성취 집단과 고성취 집단 모두에서 능력의 고정신념은 자기손상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신념이 자기손상전략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저성취 집단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성취 집단과 달리 저성취 집단에서는 부모의 성취기대가 자기손상전략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능력신념이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and the theory of intelligence on underachiever's self-handicapping strategies.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the theory of intelligence,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that occurred between lower-achievers and higher-achievers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had an influence on the incremental theory of intelligence in both lower-achievers and higher. However, the effects of parent's expectation on the entity theory of intelligence were not found in the lower-achievers unlike the significant effect found in higher-achievers. Second, the influence of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on handicapping strategies through the theory of intelligence showed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students’ level of achievement. For the lower achieving group, specifically, the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influence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theory of intelligence. On the contrary, such effects for the lower-achieving group were not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