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 중소도시로의 게이티드 커뮤니티 확산 - 진주시 아파트 단지의 전자출입문을 사례로 -

        정태호,이성호 국토지리학회 2022 국토지리학회지 Vol.56 No.4

        This study examines the residential differentiation and the diffusion of gated communities in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y with the case of the installation of electronic door systems outside apartment complexes in Jinju. The rise in real estate prices nationwide in recent years has affected to strengthen internal differentiation of Jinju through Innovative City project, so former homogeneous area began to be divided into several areas with hierarchies.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onic door system can be seen as revealing this stra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Electronic doors are installed in six complexes, which are mainly the complexes where prices have risen significantly since 2019. In other words, electronic doors can be seen as part of a strategic choice to consolidate its superior position in the real estate market, which in some cases leads to conflicts between the complex and surrounding residents. 본 연구는 진주시의 아파트 단지 외부 전자출입문 설치를 사례로 지방 중소도시에서 지역 특성 변화에 따른 거주공간의 분화와 게이티드 커뮤니티의 확산 양상을 살펴본다. 진주시의 경우 최근 몇 년간의 전국적 부동산 가격 상승이 혁신도시라는 대규모 개발사업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면서 내부 지역 간 부동산 가격의 차이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때문에 비교적 균질한 특성을 가졌던 거주공간이 위계를 가진 몇 개 지역으로 구분되기 시작하는데, 전자출입문을 통한 단지 내・외부의 분리는 이러한 계층화와 차별화의 양상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진주시에는 6개 단지에서 전자출입문을 설치・운용하고 있는데, 부동산 가격 상승이 시작된 2019년 이후 가격 상승이 컸던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설치되는 양상을 보인다. 즉 전자출입문의 설치는 주변과 차별성 강화를 통해 부동산 시장에서의 우월적 지위를 공고히 하려는 전략적 선택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부에서는 해당 단지와 주변 주민과의 갈등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 KCI등재

        고급주택의 주거특성 및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오윤경(Oh,Yun Kyung),강정규(Kang,Jeong Gyu) 한국부동산학회 2016 不動産學報 Vol.64 No.-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중심으로 고급주택의 주거특성 및 분포현황을 살펴보고, 고급주택의 가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 분석을 통한 분화된 지역적 특성 및 주거 공간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심층분석을 위해 고급주택을 ‘6억초과 ~ 9억이하’와 ‘9억초과’로 구성하여 비교·검토한 분석결과, ‘6억초과 ~ 9억이하’와 ‘9억초과’의 거래금액에 따른 주거특성은 차별화를 보인다. 고급주택의 가격에 따른 선택확률을 추정해 본 결과, 건물의 최고층수 높고, 일반·중심상업지역에 입지하며, 해운대구에 분포된 고급주택일수록 거래금액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급주택의 가격결정 회귀 모형을 통해 가격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검토할 수 있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is to identify the housing needs of the consumer are diversified by looking at the status and distribution of luxury housing residential properties in Busan. (2) RESEARCH METHOD The fir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environment after separate the luxury housing of the house price. In addition, the pricing factors of luxury housing was analyzed by a regression analysis. (3) RESEARCH FINDINGS Residential property has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value of luxury housing and this distinction appears choices about the decision and move residences The more assets or income earners are much wider. Futhermore the results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selection according to the price of luxury housing, high building, and located in the commercial area, luxury housing in Haeundae is likely higher housing prices. Through regression pricing model of luxury homes, the broad and high-rise residential area, closer to the beach impact on prices was found to be positive. 2. RESULTS The residential area of luxury housing appears strongly differentiated residential properties, based on the value of the house it could be seen that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the different residential areas.

      • KCI등재

        거주지 분리와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성남시 수정구 어머니들의 경험과 인식

        김미숙,상종열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교육사회학연구 Vol.24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ial differentiation of residential areas by social class and educational difference. To realize this aim, we employ a qualitative case study focusing on lower class mothers who live in Sujeong-Gu, Seongnam city. These mothers do not have much concern about their children's “studying”, rather about thei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y see residents in Bundang-gu, a middle class residential area, as others who are different from them or who are narrow minded elites to exclude others. Some Sujeong parents, especially who have higher achieved children, want their children to attend higher quality of schools in Bundang. At the same time, they worry about that their children might have poor grades and lose confidence after moving in Bundang. Unlike these parents, many Sujeong parents criticize that Bundang parents so strongly push their children to study that their children feel lots of stress and frustration. They perceive a good school as one that children are happy rather than as one that they receive lots of study stress. 이 연구는 계층에 의한 거주지 분리와 이웃효과가 자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이를 위해서 성남시 수정구지역 중3 학생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정구는 경제적으로 열악한 가구가 많지만, 동일한 방식이 아닌 자신들의 삶의 여정과 조건에 따라서 자녀 교육에 달리 대응했다. 성적 좋은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수정구 학생들과 다른 길을 가는 사람들로 인식하고, 더 나은 교육여건을 가진 분당으로 이주하고 싶어 하면서도 적응실패의 두려움을 보였다. 그 외 다수 학부모들은 “공부”보다는 사회성이나 정서발달에 더 관심을 보였다. 이들은 힘들 때 서로 돕는 이웃들을 좋은 사람들 그리고 수정구를 “사람냄새가 나는” 곳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인접한 중산층 분당주민들을 자신과는 다른 사람들 또는 자신들을 배척하는 “지도층”으로 생각했고, 이들의 과도한 자녀 통제와 교육투자에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교육관과 양육과정은 계층 재생산의 가능성과 교육에 대한 보편적 통찰력을 갖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한국계 중국인 밀집주거지의 분화에 관한 연구

        방성훈(Seong Hoon Bhang),김수현(Soo Hyun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2 한국사회정책 Vol.19 No.2

        우리나라는 급속한 외국인 증가와 함께 외국인 밀집주거지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계 중국인들은 그 숫자도 많을 뿐 아니라, 밀집주거지 역시 서울에서만 8개나 형성되어 있다. 이 논문은 이들 한국계 중국인의 밀집주거지들 간에 서로 다른 특성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가리봉동``과 ``자양동``을 대상으로 주민의 내부 구성과 주거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가리봉동은 한국계 중국인들의 초기 정착지로서 주로 단신으로 단기 체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자양동은 한국 생활에 비교적 적응한 사람들의 2차 정착지로서 주류 사회에 보다 동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계 중국인들의 밀집주거지간에 성격 분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향후 외국인 노동자 유입이 계속되는 한, 이 같은 외국인 밀집주거지 분화 경향은 심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선진국의 경험을 감안할 때 주거지 분리와 주류 사회와의 동화, 그리고 밀집주거지 간 분화의 다양한 양상들을 이해하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As foreign immigrants increase dramatically, the number of ethnic residential areas also grow rapidly in Korea, Of those foreign workers, the majority is Korean Chinese who can speak Korean language fluently and share common culture as the same ethnicity, As of now they are concentrated on 8 areas in Seoul forming their own community with networks for living and finding job.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Korean Chine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In order to do that the authors researched two typical areas of Garibong-dong and Jayang-dong. The former is bigger and established earlier, became the symbol of Korean Chinese community. The latter area is relatively small and formed recently. Those staying in Garibong-dong are characterized as; single, moved from main land China directly, small sized residing unit and lower income. The place is mainly for the first incoming people to provide convenient environment for adapting in Seoul. On the other hand those staying in Jayang-dong are characterized as; with families, moved from other parts of Seoul, relatively good residence and higher income. Therefore this place is the second residential area for those who became familiar with living in Seoul.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in Korean Chinese communities. This process would be continued as far as foreign immigration continues. Therefore further researches required on more detail process of differentiation for various ethnic groups.

      • KCI등재

        주거지 분화에 기반한 서울시의 공간 불평등 실태 분석

        김종성,김걸 한국도시지리학회 202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7 No.1

        다양한 매체에서 서울시의 불평등을 지적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소득 분배의 불평등에만 집중하고 있는실정이다. 불평등을 논할 때 반드시 공간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이 고려된 개념인 공간 불평등에 대해 정의하고, 지표를 통해 서울시의 공간 불평등 실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주거지를 도출하였고, 공간 불평등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후 도출된 주거지별 2km 반경의 아이소 에어리어(iso-area)에 공간 불평등 지표를 중첩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는 의료, 교육, 문화, 교통 분야에서 공간 불평등이 나타났다. 나아가 인구와 주거지 측면에서의 주거지 분화가 규명되었다. 고소득층 주거지는 공간 군집과 인구 분산 패턴의 특징을 보였고, 저소득층 주거지는 공간 분산과 인구 밀집 패턴을 보였다. 이를 종합했을 때, 저소득층 주거지의 주민은 향유할 수 있는 공간에 제약이 있으며, 인구 규모에 비해 기반시설이 열악하였다. 서울시의 공간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주거지 분화의 실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포용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Various media are now pointing about the inequality in Seoul, but in most cases, they are only focusing on the inequality in income distribution. Space must be considered when discussing in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patial inequality, a concept that takes space into account, and to analyze the reality of spatial inequality in Seoul through spatial inequality indicators. For this purpose, residences for high-income and lowincome classes in Seoul were derived, and spatial inequality indicators were selected. Spatial inequality indicators were then overlaid on the elicited iso-areas with a radius of 2km for each residenc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patial inequality appears in the fields of medical service, education, culture, and transportation in Seoul. Furthermore, residential differentiation in terms of population and residences were identified. High-income residences showed characteristics of spatial clustering and population dispersion patterns, while low-income residences showed spatial dispersion and population agglomeration patterns. In summary,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space that residents living in low-income residences could use. Additionally, infrastructure was poor compared to the population. In order to alleviate spatial inequality in Seoul,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residential differentiation should be identified above all, and based on this, a plan to move towards an inclusive city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도시 주택 및 거주지 분리에 관한 이론적 고찰

        류연택 ( Yeon Taek Ryu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6 No.3

        This paper theoretically explores urban housing and residential segregation in terms of (1) spatial patterns of residential structure, (2) utility maximization and consumer choice, (3) household choices and preferences, (4) power groupings and conflict, (5) social gatekeepers and housing constraints, and (6) public policy, local government, and urban housing markets. The ecological approach to urban housing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spatial patterns of residential structure. The neo-classical approach is very largely concerned with the analysis of utility maximization on the part of individual consumers in an atomistic housing market. The focus on individual households is apt to underestimate the effects of a number of diverse agents involved in the housing market. Households are not autonomous decision-making units; housing decisions are made in an environment created by interaction between a number of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which we can term ‘agents’. The locational conflict and urban managerialist approaches are valuable in incorporating new themes such as the role and effects of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involved in the supply and allocation of hous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power and access in the housing marke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