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 주얼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소라(Kim, So Ra),김귀옥(Kim, Gwi Ok),배채수(Bae, Chai Soo) 한국공공정책학회 2020 공공정책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주얼리 구매에 적용시켜 주얼리 구매 소비자들은 어떠한 의사결정과정을 통해서 구매하는지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여 파악함으로써 주얼리 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생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얼리 산업이 확대되고 있는 현 상황을 반영해 주얼리 소비자들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감, 사전지식 그리고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4개의 독립변수가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파악하고자 계획행동이론을 확장 및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명확한 내용타당성을 확보하고자 경기도 권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주얼리 소비자 180명을 조사 대상으로 169부를 유효 표본으로 선정해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 IBM SPSS Statistics 24를 사용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규범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행동 통제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지식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가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는 사전지식, 주관적 규범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해보면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은 구매의도에 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태도요인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주얼리 구매의도에 관한 영향 관계는 구매의도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의지가 중요하다는 결과이다. 둘째, 주관적 규범이 주얼리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 관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거인인 가족, 친구, 회사 동료 등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여 구매하는 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지각된 행동 통제감은 주얼리 구매의도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지각된 행동 통제감이 본인의 구매의지와 경제력만으로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주얼리 구매자들의 인식전환을 위해 목표이익을 낮추거나 인지도를 높이며 자연스럽게 접하게 한다면 긍정적인 인식전환에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넷째, 사전지식이라는 변수를 추가하여 주얼리 구매 시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접근한다면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점진적인 확대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과 주얼리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설명하는 주요지표로 설정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주얼리 시장의 성장에 비하여 구매의도와 행동을 예측한 연구가 저조하기에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며, 다양한 확장요인을 추가하여 연구할 노력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supporting data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empirically identifying what kind of decision-making processes jewelry consumers went through by applying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jewelry purchas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 control, prior knowledge, and purchase intention by reflecting that the jewelry industry had been expanding. This study analyzed by expanding and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four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jewelry consumers. This study handed out questionnaires to 180 subjects who were 20 years or older to secure content validity for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selected 169 copies as valid samples and used these copies for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and carried out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hypothesis about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Second, subjective norm positive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Third, perceived behavior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ourth, prior knowledge affecte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Attitud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followed by prior knowledge and subjective norm in the order of magnitud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partially. First, the attitude factor of the expandabl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ffecte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ttitude and will of an individual’s purchase intention were important in the influence relation about jewelry purchase intention. Second, subjective norm positive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and many people intended to purchase goods by paying attention to family members, friends, coworkers, and acquaintances. Thir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behavior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 which indicated that it was too much to say that perceived behavior control direc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solely using willingness and economic power. It is believed that lowering the target profit or making purchasers access to it naturally with raising awareness would contribute to changing their perception positively. Fourth, if purchaser are accessed with receiving accurate and detailed information while purchasing jewelry by addind a new variable prior knowledge a gradual may be considered by giving a positive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could be a key index explain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jewelry consumers. Since there are not many studies predicting purchase intention and behavior compared to the growth of the jewelry market, more studies are needed. It is also needed to add and study more diverse expansion factors.

      • KCI등재

        패션명품브랜드 구매빈도에 따른 위험지각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

        정재훈,김일,황선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패션명품브랜드의 새로운 소비주체로 떠오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매빈도에 따른 위험지각과 구매행동을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먼저, 구매빈도별 위험지각에서는 심리적 위험지각에 대해서는 구매빈도 높은 집단, 구매빈도 낮은 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에서 낮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경제적 위험지각에 대해서는 구매한적 없는 집단, 구매빈도 낮은 집단 순으로 각각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구매빈도별 구매행동에 대한 결과에서는 과시적 구매행동, 실용적 구매행동, 구매만족도 모두에서 구매빈도 높은 집단, 구매빈도 낮은 집단, 구매한 적 없는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과시적 구매행동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구매만족도를 가장 높게 평가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구매빈도별 위험지각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구매한적 없는 집단과 구매빈도 낮은 집단 모두에서 심리적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과시적 구매행동과 실용적 구매행동, 구매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위험지각이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패션명품브랜드 구매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urchase frequency of fashion luxury brands to risk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 among those in their 20s who have been emerging as a new major consumer group of the brand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ollege students across the nation,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As for risk perception by purchase frequency, the high-frequency group perceived the most psychological risk, followed by the low-frequency one. They put a low value on psychological risk overall. Economic risk was most perceived in the group with no purchase experience, followed by the low-frequency group. As to purchase behavior by purchase frequency, the most conspicuous purchase behavior, the most practical purchase behavior and the most purchase satisfaction were all found in the high-frequency group, followed by the low-frequency group and the group with no purchase experience. They placed a relatively lower value on conspicuous purchase behavior and set the highest value on purchase satisfaction. Finally, how risk perception by purchase frequency affected purchase behavior was analyzed, and more psychological risk perception led to more conspicuous purchase behavior, more practical purchase behavior and more purchase satisfaction in the group with no purchase experience and the low- frequency group. Concerning the impact of risk perception on purchase satisfaction, more risk perception was followed by more purchase satisfaction with fashion luxury brands.

      • KCI등재

        프랜차이즈이미지가 기업평판과 소비자구매행동 미치는 영향

        박정열(Park Chung-Yeol) 한국물류학회 2018 물류학회지 Vol.28 No.1

        최근 기업의 점포 확산의 일환으로 편의점, 베이커리, 커피, 일반식당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프랜차이즈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SNS로 소비자의 구매행동도 변화하여 이것이 기업에 대한 이미지, 기업평판 등에 관여를 함으로써, 소비자 구매행동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를 대상으로 조직문화 이미지, 대표자이미지, 지각된 품질이 기업평판과 소비자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프랜차이즈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7년 12월 1일부터 25일까지 소비자구매행동을 묻는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설문은 최종 250부가 실증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성별은 남자 76.4%, 연령은 20대 50.8%, 직업은 서비스업 71.2%, 지역은 서울 46.8%, 월 외식비는 10만 원 이하 48.6%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프랜차이즈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프랜차이즈 이미지와 기업평판을 물은 후 소비자 구매행동을 분석하였다. 첫째, 프랜차이즈 이미지 중 조직문화, 지각된 품질은 프랜차이즈의 기업평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대표자이미지는 기업평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프랜차이즈 이미지의 조직문화, 지각된 품질은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대표자이미지는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프랜차이즈 이미지에 의한 기업평판은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프랜차이즈 이미지는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서 기업평판의 매개 효과는 조직문화와 소비자 구매 행동 간에 완전 매개 효과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대표자이미지와 소비자 구매행동 간에 부분 매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지각된 품질과 소비자 구매행동 간에 부분 매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요약하면, 프랜차이즈 이미지의 조직문화와 대표자의 이미지는 기업평판과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으며, 기업평판은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프랜차이즈 기업의 이미지와 기업평판은 서로 영향을 주고 매개작용을 하므로 기업평판에 대한 관리가 중요시 된다고 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franchises have increased in various forms such as convenience stores, bakeries, coffee shops, and general restaurants as part of the proliferation of businesses.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and computers,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has also changed with SNS, which has shown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by engaging in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put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image, representative image, and perceived quality on corporate reputation and consumer purchase behavior in franchise. To do this, a survey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 to December 25, 2017 on the franchise consumers. The survey was used for the final 250 empirical analyzes. The subjects survey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76.4% males, 50.8% of whom were in their 20’s, 71.2% are in services occupations, 46.8% are in monthly occupation in Seoul, and 48.6% spending less than 100,000 won on food expenses. After listening to franchise images and corporate reputation for these franchise buyers,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was analyz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perceived quality in the franchise image influence the reputation of the franchise enterprise.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representative image does not affect the reputation of the company. Secondly, the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quality of the franchise image has been found to affect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representative image does not affect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Third, the reputation of companies by franchise images has been found to affect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The image of the agent affects the image of the agent and the purchase decision of the consumer. The image of the franchise, the imag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image of the company mean that the equality of the enterprise and the purchase behavior of the consumer affect the purchase behavior of the company. Moreover, The equal image management of companies is important for the image of the company and the equality of the company.

      • KCI등재

        배드민턴 라켓 구매 소비자 특성에 따른 소비행동이 구매행동과 브랜드 반복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승현 ( Seung Hyun Lim ),남경완 ( Kyung Wan Na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6 No.4

        이 연구는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라켓 소비특성에 따른 소비행동을 분석하고, 소비행동이 구매행동과 브랜드 반복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배드민턴 라켓용품 소비자들의 소비행동과 구매행동 방향을 제시하여 배드민턴 용품산업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D광역시와 G도에 소재한 15개 배드민턴 클럽에 소속되어 규칙적인 활동을 하는 동호인으로 선정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을 이용하여 최종 709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방법으로는 SPSS Ver.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배드민턴 라켓에 대한 재구매 소비행동은 연령이 낮고, 배드민턴 경력이 1-5년 미만은 헤드브랜드를 선호하지 않고 구입비용이 15만원 이상인 남자 동호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드민턴 동호인이 구매한 라켓 브랜드의 소비행동 중 타인추천 행동은 41-50세 연령 배드민턴 주당 참여횟수가 많고, 라켓구입주기가 길고, 구입비용이 15만원 이상인 남자의 추천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행동과 브랜드 반복구매행동, 구매행동 간에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호인이 사용하는 라켓 브랜드에 대한 적극적 소비행동은 매체의존구매와 합리적 구매, 브랜드 반복구매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동호인이 사용하는 라켓 브랜드에 대한 타인추천 소비행동은 매체의존구매행동과 브랜드 반복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드민턴 라켓 용품 관련 업체들은 용품에 대한 적극적인 소비행동과 타인에게 추천하고 싶은 브랜드를 만들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여야 소비자들의 매체에 의존된 구매와 반복된 구매를 통한 소비를 유발시켜 기업의 경영 합리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badminton club members` consumption behavior in relation to racket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s well as to investigate how consumption behavior will affect purchase behavior and brand-specific repetitive purchase behavior, which is expected to give guidelines on the consumption behavior and purchase behavior of badminton rackets, and moreover to provide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to invigorate the badminton goods industry. The study was conducted on members at 15 badminton clubs located in D-City in G-Province who had done regular club activities, and the data, collected from finally selected 70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non-probability sampling. The program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version15.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t-test,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level of racket-repurchasing behavior was higher in the members who were relatively young, had played badminton for 1 to 5 years, did not like head brands, and had the financial means to pay 150 dollars and over for the racket. Second, the level of recommendation-dependent racket-purchasing behavior was higher in the members who were aged between 41 and 50, had played badminton very often, had a long purchasing cycle, and had the financial means to pay 150 dollars and over for the racket. Third, consumption behavior, brand-specific purchasing behavior and purchasing behavi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Fourth, brands-related aggressive consumption behavior exerted positive influence on media-dependent purchasing behavior, rational purchasing behavior and brand-specific purchasing behavior all. Fifth, brands-related recommendation-dependent consumption behavior exerted positive influence on media-dependent purchasing behavior and brand-specific purchasing behavior. Taken altogether, badminton goods producers or traders have need to build up brand power enough to induce consumers to purchase their products and to recommend them to others. Then, it is expected to promote media-dependent purchase and repurchase, by extension, to facilitate the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 KCI등재

        비건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신태현,신동화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11

        비건 화장품이 뚜렷한 성장을 이루면서 새로운 유형의 화장품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건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82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도, 도덕적 규범, 과거 구매경험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태도가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 도덕적 규범, 과거 구매경험이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과거 구매경험이 구매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의도는 구매행동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비건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는 비건 화장품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많은 비건 화장품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 한 종류의 비건 화장품을 선보여 폭넓은 선택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Vegan cosmetics has established itself as a new type of cosmetics as it has achieved significant growth.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tended planned behavior theory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behavior of vegan cosmetics consum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8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moral norms, and past purchase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it was found that attitud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Second,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moral norms, and past purchas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past purchasing experienc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urchasing behavior. Third, purchase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purchasing inten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vegan cosmetics consumers, attitude towards vegan cosmetics should be positively developed, and various types of vegan cosmetics should be introduced to satisfy many vegan cosmetics consumers to enable a wide selection.

      • KCI등재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한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 분석

        한상린,문지효,송학준 韓國商品學會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저가 와인을 대상으로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설계 및 방법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속변수인 구매횟수(지난 6개월간 와인 구매 횟수, 지난 1년간 와인 구매 횟수)의 자료특성에 따라 적절한 모형으로 절단된 포아송(TPOIS)모형과 절단된 음이항(TNB)모형을 설정하고, 구매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모형 추정결과, 총 4개 모형 간 추정된 계수값은 아주 큰 차이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종속변수를 '지난 6개월간 와인 구매횟수'로 선정한 TPOIS모형, TNB모형의 설명변수가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론적으로 더 타당한 모형인 TNB모형을 중심으로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 중에서는 결혼여부, 직업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는데 미혼일수록, 직업이 전문직에 종사할수록 중저가 와인 구매횟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심리적 특성으로는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감이 중저가 와인 구매 횟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관련 특성인 사전지식, 그리고 즐거움 동기가 중저가 와인 구매횟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경영관리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토의하였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이 연구결과는 와인 소비자의 의사결정, 구매행동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이해를 도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기존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설명변수, 연구모델을 더욱 확장했다는 것에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중저가 와인만을 대상으로 했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에는 더욱 다양한 가격대의 와인과 다양한 종류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와인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헌점: 이 연구는 중저가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만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모델로 구매횟수(6개월, 1년)에 따른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는 특히 다양한 가격대의 와인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중저가 와인 구매행동만을 분석하여 와인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urchasing behavior of wine consumers using the count data model.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the Truncated Poisson(TPOIS) Model and Truncated Negative Binomial(TNB) Model were used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zero-truncated count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ine purchasing behavior, the construc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prior knowledge and motivation were also includ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odel. Furthermore, the time periods of the dependent variable(frequency of purchasing wine) were specified with two categories(past 6 months and one year) because previous studies using the count data model only measured the dependent variable in a single period. Results/fin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NB Model having the dependent variable with 'the frequency of purchasing wine in the past six months' was preferred over other model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single, profession,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ior knowledge and motivation of pleasur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wine.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flect the increased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decision-making of consumer behavior for wine in Korea. This study may be one of the forerunner studies that describe the decision-making of consumer behavior for wine by applying the count data model. Future work/research: Comparing each segment with different wine consumers by various market characteristics is likely to strengthen the current model(TPOIS & TNB). Originality/value: This research framework of the TPOIS & TNB models provides practical insights into the wine industry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academics.

      • KCI등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 of Vietnamese Consumer’s Green Purchase Behavior

        Thanh Huyen,Park, Ju-Sik 대한경영정보학회 2016 경영과 정보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베트남 소비자의 그린구매행동에 관한 구조적 모형과 구매능력이 가지는 조절효과를 중점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베트남의 중산층 인구는 2012년 12백만 명에서 2020년에는 33백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른 소비패턴 변화가 예상되고 있으며, 최근 산업화와 내구재 소비증가로 인해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Koning et al., 2016). 이에 따라 그린 제품구매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베트남 소비자들의 그린 구매행동 관련 가설 및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 자료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전에 측정문항의 신뢰성과 타당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변수간 선․후행 관계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고 구매능력의 조절효과검증은 개별모수 차이검증을 통해 실시되었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태적 관심과 집단주의는 그린구매행동에 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태적 지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그린구매행동에 대한 태도는 그린구매행동의도에, 그린구매행동의도는 그린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계층적 효과모형과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구매능력은 구매의도와 실제 구매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suggests a structural model of green purchase behavior,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ffordability. Affordability means buying power or ability to buy product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research model of behavior of buying green products was proposed and tested empirically using the field study. To examin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s on measurement items were carried out and th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applied to test the model. Lastly,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affordability, a two-group model(using Amos program) was used subsequently so that it could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uctural parameters between the high affordability group and the low affordability group.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 Firstly, green purchase attitude is influenced by ecological concern and collectivism, then green purchase attitude has an impact on green purchase intention, and in turn, green purchase intention affects green purchase behavior. Secondly, affordability significant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purchase intention and green purchase behavior.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ast researches and based on them,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are given.

      • KCI등재

        한국 여성의 명품 구매행동을 설명하는 통합 모형

        박희랑,한덕웅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7 No.2

        한국 여성들의 명품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행동을 설명하는 국내외 최근 연구들(참조: 한덕웅, 2005)을 토대로 한국 여성의 명품 구매행동을 설명하는데 모형을 제안하고, 조사연구를 통해서 타당성이 높은 통합모형을 제안하였다. 특히 조사연구를 통해서 여성 명품 구매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과 아울러 명품의 구매를 실행하는데 기여하는 심리요인들을 함께 반영하여 명품의 구매행동에 대한 태도, 명품의 구매에 대한 주관적 규범, 명품 구매 행동의 통제력 지각, 과거 명품의 구매행동, 명품을 구매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당위성, 명품 구매의 행동의도, 명품 구매에 관한 자기주의, 그리고 명품구매의 시도를 중심으로 명품의 구매행동을 설명하는 통합모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on Korean women's purchasing behavior of luxury brands based on the recent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ref., Doug-Woong Hahn, 2005) to explain Korean women's purchasing behavior of luxury brands.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hrough survey research found out the important factors of explaining purchasing behaviors of luxury brands and proposed an integrated model of Korean women's purchasing behavior of luxury brands including the intention of purchasing luxury brands and purchasing behavior.

      • KCI등재

        복권구매행동의도의 선행요인구조 분석

        박종민(Park, Jongmin),박진홍(Park, Jinho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광고연구 Vol.0 No.105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 이론을 근거로 하여 최근 우리나라 복권구매자들의 복권 구매 행동과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체적인 본 연구 결과 복권의 구매 행동 의도에 복권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지각된 행동 통제감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권의 구매 행동을 설명할 때 계획된 행동이론보다는 합리적 행위 이론이 더 적합한 모형이라는 설명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복권 구매자 집단과 비구매자 집단을 나누어 두 집단의 복권 구매 과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구매자 집단만의 복권 구매 행위 모델은 계획된 행동이론이 적절함을 보여 주는 결과였다. 반면 비구매자 집단은 복권에 대한 태도만이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양한 연구결과의 실용적이고 학문적인 함의가 토론되었다. This study is try to identify variables precedent of the lottery ticket purchasing behavior by appling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ttitude toward the lottery ticket purchasing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ttitude toward the lottery ticket purchasing behavior and subjective norm had an effect on the lottery ticket purchasing behavior whil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no effect on it. It means that theory of reasoned action is more explicable model than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understanding the lottery ticket purchasing behavior. However, the results of additional analysis of only main lottery ticket purchasers after excluding non lottery ticket purchasers are not supporting theory of reasoned action but theory of planned behavior because all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ttitude toward the lottery ticket purchasing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d an effect on the lottery ticket purchasing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d an effect on the lottery ticket purchasing behavior. Analyses on non lottery ticket purchasers’ behavioral pattern revealed that their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is only effective variable for their lottery ticket purchasing behavior. Diverse practical and academ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have beed discussed.

      • KCI등재

        직장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순희(Lee, Soon Hee),김은실(Kim, Eun Sil),주영주(Joo, Young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이 연구에서는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외모관리행동을 분석하고 그 요인에 따른 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직장여성의 화장품 소비성향을 이해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돕고, 직장여성을 목표 고객으로 하는 화장품 관련업계의 상품 기획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 방법은 설문지 응답방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10∼50대의 성인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배포된 201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20.0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일반적 특성은 20대가 81명, 30대가 67명으로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미혼, 최종학력은 전문대학/졸업, 직업은 사무직, 월 소득은 200만원 이상, 평균 화장품 구입횟수는 2∼3개월에 1회, 화장품 구입 시 평균 구입가격은 10만원 이상∼15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직장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은 의복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 신체보정관리행동, 몸매관리행동으로 분류되었고, 화장품 쇼핑성향은 쾌락추구, 유행추구, 경제추구로 분류되었으며, 화장품 구매만족도는 제품만족도, 가격만족도로 분류되었다. 셋째,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쾌락추구’는 ‘신체보정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쾌락추구’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고, ‘유행추구’는 ‘몸매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유행추구’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경제추구’는 ‘몸매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경제추구’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넷째,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품만족도’는 ‘몸매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제품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고, ‘가격만족도’는 ‘몸매관리행동’, ‘신체보정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가격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화장품 쇼핑성향이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품만족도’는 ‘경제추구’와 ‘유행추구’가 증가할수록 ‘제품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격만족도’는 ‘쾌락추구’, ‘유행추구’, ‘경제추구’가 증가할수록 ‘가격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직장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외적 표현에 따라 화장품 구매 욕구에 관여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화장품의 기능, 유행, 가격등에 대한 만족도 파악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한 마케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직장여성들은 사회적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 이미지를 위해 자신의 외모관리를 노력하는 것과 유행경향 및 합리적인 가격을 고려하여 화장품 구매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에 발생되는 직장여성들의 화장품에 대한 필요 욕구와 만족감 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적이고 실용성 있는 제품을 기획하고 다양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지속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한다면 화장품 시장 활성화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I analyze career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cosmetics shopping trends & the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due to certain factors. In addition to this, I want to provide empirical data needed for product planning of cosmetics related industry having career women as targeting customers. The research method is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subjects are career women in 10s to 50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ource of final analysis data is 201 questionnaires from April 1 to April 30 in 2017. The analysis method is SPSS 20.0, and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is are implemented. In summary of this study result, first of all, 81 persons in 20s and 67 persons in 30s are indicated as the general feature, and the average purchase price is 100,000 ~ 150,000 won, the frequency is once in 2~months, the subjects are single, office workers, educational backgrounds over Associate of Arts, and monthly incomes over two million won as the highest. Secondly, as the analysis result of factors, career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re classified as clothing, beauty, body correction, and body line management behaviors; the shopping trends are classified as pursuing pleasure, vogue, and economy; the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are classified as product and price satisfactions. Thirdly,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osmetics shopping trends, ‘pursuing pleasure’ is increased as ‘body correction’, ‘clothing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pursuing vogue’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beauty management’, and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pursuing economy’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clothing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Fourthly,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osmetics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product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beauty management’, and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price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body line management’, and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Fifthly,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cosmetics shopping trends on cosmetics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product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pursuing economy’ and ‘pursuing vogue’ are increased; ‘price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pursuing pleasure’, ‘pursuing vogue’, and ‘pursuing economy’ are increased. From the above study result, as career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fluence cosmetics shopping trends and cosmetics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appearance expressions act important variables related to cosmetics purchase needs and confirmed as explainable variables to understand satisfaction degrees regarding function, vogue, and price of cosmetics. Therefore, the marketing implication b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s career women try to manage appearances for positive images to improve social competences and they purchase cosmetics as considering the vogue trend and affordable price, if functional and practical products are planned to satisfy their needs and satisfactions and continuous marketing strategies are established a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various products, market vitalization progress of cosmetics might be more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