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공공철학

        성현창(Seong, Hyun-Chang)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1 No.1

        마이클 샌델의 주된 관심은 공공철학이다. 최단기 100만부 돌파라는『정의란 무엇인가』의 발매부수를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공공철학은 이미 우리 일상에 스며들어 있다. 그리고 최근 서울시를 비롯해서 경기도에서는 마을 만들기 운동을 펼치고 있고, 정치권에서는 한결같이 공공복지를 회치는 등 공공성의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이는 공공성을 향한 갈망의 표출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공공철학과 서울시”라는 아젠다는 상징적이다. 그러나 정작 학계에서 공공철학은 아직 익숙한 말이 아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미국의 공공철학의 원형으로 불리는 월터 리프만의 자연법적 공공철학에서 로버트 벨라의 통합학문으로서의 공공철학을 거쳐 마이클 샌델의 공화주의의 공공철학으로 이어지는 미국의 공공철학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특히 월터 리프만의 자연법적 공공철학을 그가 인용한 儒敎의 天命과 서양의 자연법을 비교하거나 공공심(public mind)의 의미를 朱熹의 公해석을 통해서 확인하는 등의 새로운 방법을 시도한다. 그리고 마이클 샌델이 비판하는 자유주의의 공공철학을 일본의 공공철학이 반대하는 滅私奉公과 滅公奉私의 공사이원론으로 재해석한다. 또한 活私開公을 지향하는 일본의 공공철학과 마이클 샌델의 공화주의의 공공철학에는 일맥상통한 점이 있음을 지적한다. 본 연구가 공공성의 개화를 지향하는 공공철학의 개념을 이해하는 단초가 되길 기한다. The main interest of Michael J. Sandel is public philosophy. If we think on the basis of circulation of a million of 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 public philosophy has already soaked into our daily life. Recently,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are spreading a citizen-based town planning campaign. And political arena are shouting uniformly public welfare and are taking an issue with publicness. This can be interpreted as expressing the longing towards publicness. In this sense, the agenda called “Public Philosophy and Seoul City” is symbolic. But in academia, public philosophy still not a familiar word. I, in this article, first,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American public philosophy: from natural law public philosophy of Walter Lippmann said to be a model of the American public philosophy, and through public philosophy as the integrated study of Robert N. Bellah, to public philosophy of republicanism of Michael J. Sandel. Second, I tried a new method to compare Western natural law with Confucian 天命(mandate of heaven) and made clear that public philosophy of Lippmann was natural law public philosophy. And I confirmed a meaning of public mind through 公(public) interpretation of 朱熹(Zhu Xi). Third, I reinterpreted liberal public philosophy that Michael J. Sandel criticized using 滅私奉公(selfless devotion to one’s country) and 滅公奉私(a virtue of out of selfishness) that Japanese public philosophy objected to. Lastly I also pointed out that Japanese public philosophy making toward 活私開公(empowering the public by animating the individuals) have much in common with public philosophy of republicanism of Michael J. Sandel. I expect that this study becomes the first step to understand concept of public philosophy aiming at flowering of publicness.

      • KCI등재

        공공성(公共性)의 역사철학 -칸트 역사철학에 대한 하나의 해석

        나종석 ( Jong Seok Na ) 한국칸트학회 2010 칸트연구 Vol.26 No.-

        In the article the author attempts to develop an interpretation of Kant`s philosophy of history as a ``philosophy of history of publicity``. The philosophy of history of publicity is a philosophy of history that considers public reason and public sphere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process of mankind`s historical development. Through his work, the author makes a plausible argument that the concept of Kant`s practical reason can be interpreted as public reason or inter-subjective reason. Furthermore, the author clarifies the reasons why we should consider the concept of public reason as cornerstone of Kant`s moral philosophy and his philosophy of history. It is thoroughly emphasized that Kant believed the critical and emancipatory power of the public sphere can play a crucial role in creating a cosmopolitan society which enables permanent peace in this world.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the author proposes some plausible arguments to support a theory of Kant`s philosophy of history, to validate that Kant`s moral philosophy is compatible with his philosophy of history. The author asserts that Kant`s philosophy of history must be understood as the philosophy of history of publicity.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Kant`s philosophy of morality and philosophy of history are compatible. Finally, one of primary goals of this article is to develop a theory of Kant`s philosophy of history as a philosophy of history of publicity which is able to overcome the limits of modern teleological metaphysics of history.

      • KCI등재후보

        제4장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정치철학을 통해 본 공직윤리 연구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정희태 한국민족사상학회 2010 민족사상 Vol.4 No.2

        본 연구는 다산 정약용의 정치철학에 바탕을 둔 그의 공직윤리에 관한 글이다. 다산의 공직윤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직윤리와 관련하여 다산이 저술한 다양한 저서들에 대한 검토와 분석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산의 저서들 중 공직윤리의 전반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해 놓은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그의 공직윤리에 대한 관점과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산이 살았던 조선 후기는 국가적 차원에서 볼 때, 말기적 증세가 분출하던 대혼돈의 시기였다. 국가 질서와 권위의 붕괴는 공직의 기강을 약화시켜 관리들은 탐욕을 추구하고 백성을 수탈하였다. 공직 경험을 통해 백성의 고통을 목격한 다산은 그의 정치철학에 토대하여 목민관의 윤리를 담은 [목민심서]를 저술하였다. 이러한 [목민심서]는 목민관이 부임해서 해관하기까지 공직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세와 처신 그리고 마음가짐에 대한 상세한 매뉴얼이다. 사실 공직자의 임무와 자세는 과거나 현재에도 크게 달라질 것이 없다. 그러기에 [목민심서]의 내용은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수용해야할 가치를 지닌다. In this thesis, I investigated Dasan's political philosophy and Public servant ethic discussed in his Mokminsimseo. Dasan's views of public servant ethic developed on the bases of his political philosophy. The public servant ethic mean public servants must keep ethical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in his government affairs. According to Dasan's view, public servants always should service devotedly for the people. And then, This study deals with three problems in relation to public servant ethic of Dasan. First, What characters exist in various background of Dasan's age, relating public servant ethic of Dasan? Second, What kind of Books exist related to governing the people in the past and Dasan' age? Third, What is the point of public servant ethic show up Dasan's Mokminsimseo? As a result of study, Dasan's opinion may be summed up in the following few words. First, public servants should know their own capacity and lot. Second, public servants should be incorruptible and integrity and uprightness. Third, in all cases, public servants must love the people. In conclusion, Dasan insisted that public servants should do ethical conduct and love the people at all times. Accordingly, the public servant ethic of Dasan keep an ideal image that transcend the times.

      • KCI등재

        동서양 공공성 연구와 한국적 공공성 탐구─교토포럼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야규마코토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0

        Kyoto Forum is a private academic society that has held debates from around the world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its formation in 1989. This Institute discussed very diverse theme. thought, society, politics, economics,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environment, future generations, religion, literature, art, women, and persons. President Ph.D. Kim Tae-chang and 2,000 other scholars and experts from each field will gather together for a basic discussion on a topic for three days. The contents were published in "Public Philosophy Series" 20 volumes at the Tokyo University Press, and it is widely publicized. Kyoto Forum also studied not only the public philosophy of the West but also public, private and public ideas in China, Japan, and Islam. Especially since the late 2000s, we have focused on Korean publicness. We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the Kyoto Forum, at first, look at ideas of public and private of the Western and the Eastern (China, Japan, and Islam). Next, we identify "Doing public-common philosophy(공공하는 철학)" that it is reached by Kyoto Forum. it’s different from Western public philosophy. Finally, I think about Korean publicness and its possibility.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HAN(ᄒᆞᆫ)" philosophy which is the basis of traditional publicness and new thought of the new religion's it. 1989년 일본에서 발족한 교토포럼 공공철학공동연구소(公共哲學共働硏究所)는 지금까지 무려 2,000명을 넘는 세계의 석학들과 실천자들이 모여서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연구발표와 토론, 대화를 계속해 왔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교토포럼에서 논의된 서양과 동양의 중국, 일본, 이슬람의 공/사/공공 개념을 개관해 본다. 다음으로 교토포럼의 문제의식과 연구와 논의를 통해 확인되고 공유된 “공공하는 철학”의 이념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한국적 공공의 개념과 특색, 그리고 그 바탕을 이르는 “ᄒᆞᆫ”의 사상・철학, 그리고 한국 신종교의 후천개벽 사상과 그 공공적 의의를 살펴본다. 서구 공공성은 고대 그리스・로마의 시민들이 광장에 모여서 정치적 문제를 논의하는 도시국가의 모습이 원형이 되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고대만이 아니라 중세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다양한 “공”(또는 공공)과 “사”의 개념들이 중첩되어 있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동양을 보면 중국의 “공”과 “사”는 지배자(공)와 그에 속하는 농민(사)의 관계로부터 출발했다. 그러나 뒤에 공/사가 각각 “공평・공정”과 “사곡(私曲)・사사(私邪)”라는 윤리적/비윤리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또 “공”은 천(天)의 개념과 결부되면서 백성은 하늘이 낳은 것이라는 시각에서 볼 때에는 오히려 “공”이 되고 그들을 괴롭히는 정권・지배자는 “사”가 되는 역동성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도(道)・자연(自然)의 작용이 “공” 개념과 결부되면서 그것을 따르는 것이 “공”이고 어긋나는 것이 “사”라는 관념도 생겼다. 또한 중국에서는 일찍이 전한(前漢) 때 《사기》에서 “공”과 “사”와 다른 “공공”의 개념도 나타났다는 점은 중요하다. 한편 일본의 “오오야케(公)”와 “와타쿠시(私)”는 오오야케 안에 와타쿠시가 내포되고, 그 와타구시도 그 안에 있는 작은 와타쿠시에서 보면 “오오야카”가 되는 상대적이고 연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믐”(공)과 “하쓰”(사)의 개념을 두 축으로 삼는 이슬람의 공/사 개념에서 국가・정부의 역할은 부수적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하나님과 꾸란, 샤리아를 축으로 하는 이슬람 공동체와 개인의 관계가 기본이 된다. 김태창 전 공공철학공동연구소 교토포럼 소장은 “공”과 “사”의 2원론이 결국 “멸사봉공”이냐 “멸공봉사”이냐 라는 비생산적인 대립 구도에 빠지고 만다고 지적하면서 “공”과 “사”와 그 양자 사이를 매개하는 “공공”의 3원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역사상 “공공(公共)”의 초출이기도 한 《사기》 열전 중의 장석지와 황제의 대화에 착안하고 서구적인 공공성과 다른 “공공하다”라는 동사적 공공 개념을 도출했다. 장석지와 황제의 대화는 바로 “공공하기”의 구체적인 내용인 “대화(對話)・공동(共働)・개신(開新)”이 드러나고 있는 원형인 것이다. 교토포럼에서는 2008년경부터 “한국적 공공성”을 해명하는 데에 주력했다. 그 결과 조선의 왕과 선비들은 실제로 군신 또는 군민(君民) 대화에 노력했고 권력자에 의한 자원・부의 독점에 반대하고 학문적 대화를 통해 더불어 새로운 차원을 여는(즉 공공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 근대 한국의 여러 신종교들은 후천개벽사상을 내세우면서 후천시대의 이상세계를 제시했다. 그들은 인간의 평등과 존엄성의 강조하면서도 인간지상주의・인간중 ...

      • KCI우수등재

        공공철학으로서의 행정학: 한국 행정개혁의 사상적 빈곤과 편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교훈

        권향원 ( Hyang-won Kwon ),공동성 ( Dong Sung Kong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2

        행정학을 다른 사회과학과 구분 짓는 고유의 논리는 국가가 지향해야 하는 바르고 정당한 가치에 대한 철학적이고 사상적인 사유 즉 ‘공공철학’에 있다. 이는 행정학에게 선명한 정체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공적 의사결정에 대하여서도 고도의 실용성을 안겨준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오늘날의 행정담론은 이러한 사유의 의미를 일정부분 망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단순히 학술적 공백으로서 뿐 아니라, (i) 행정과 정책이 장기적 비전과 전략이 아닌 단기적인 지표와 순위에 연연하는 상황, (ii) 정책이 지지와 여론에 따라 일관성 없게 변동하는 상황, 그리고 (iii) 다원적 가치, 이익, 권력의 사이에서 어느 것을 우선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의 논거를 잃고 있는 상황 등 현실의 문제상황과도 맞닿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철학으로서의 행정학’의 의미와 필요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더하여 ‘공적인 것’을 둘러싼 관점의 다원적 ‘다양성과 불일치’의 중요성을 Luhmann, Waltzer, Berlin, Taylor 등 다양한 사상가들의 논리를 포괄적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주창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이제까지의 한국 행정개혁 담론의 기반에 자리 잡은 철학적 사상적 논리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실적인 교훈과 제언을 아울러 모색하였다. 한편 공공철학은 매우 다양한 주제들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논의의 초점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국가권력의 행사와 선택이 윤리적이고 합리적인 것인지에 대하여 그 판단과 평가의 기준이 되는 이론적 개념인 ‘정당성’(legitimacy)을 중심축에 두었다. This study argues that public administration in South Korea should be founded on public philosophy in order to secure its particular identity, and that it has nevertheless not been properly putting public philosophy on the table of scholarly argument due to prevalent positivistic orientations. As a result, today’s public administration may not be effectively responding to value-laden questions such as which value or norm should be considered the best for establishing a stable and relevant directionality around which policy decisions and management practices are systematically built. This is represented well in the situation where the tenets and practice of neoliberalism, in the form of New Public Management, have long been enjoying dominant status. Public philosophy is a system of thought that deals directly with such questions in terms of which value or norm more appropriately corresponds to publicness. To promote the idea that long-forgotten public philosophy should be repositioned back into the core of public administration scholarship, and to promote the idea that alternative philosophies need also to be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to maintain balance, this study examined a comprehensive set of theorists whose ideas dealt with the subject of publicness and legitimacy of governmental power. The theoris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Luhmann, Taylor, Waltzer, Berlin, Polanyi, Sen, Hayek, Habermas, Bourdieu, and Dworkin. Their arguments were reviewed and systematized into a comprehensive framework (Table 4). This was appli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form movements with regard to which value or norm has been counted as most important in the reform movement and how it has been changed over time.

      • KCI등재

        주희철학에 있어서의 公共의 의미

        성현창(Seong, Hyun-Cha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5 No.1

        최근 공공성은 보이지 않는 손이 되어 사회 각 영역에서 분출하는 현상을 파악하는 키워드가 되어 부상하고 있다. 이 공공성의 지평 확대를 지향하는 것이 공공철학이다. 미국의 공공철학을 계승 발전시킨 일본의 공공철학자 중에는 공공철학의 지혜를 동양의 고전에서 발견하면서 그 연구의 영역을 『조선왕조실록』?으로 확대하여 연구 성과의 일부를 발표하고 있다. 그리고 주희의 원저에 보이는 공공과 조선시대와 에도시대의 공공의 의미의 차별화를 시도하는 연구가 보이는 데, 부자연스러움이 있음을 감출 수 없다. 주자학은 조선시대와 에도시대를 지배한 철학이지만 그것은 광의의 주자학이다. 본고에서는 협의의 주자학인 주희철학에서 공공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주희사상체계의 중심 개념인 도, 성, 리, 기 등과 연동해서 나타난 공공의 용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희철학에 있어서의 공공은 의식의 문제뿐만 아니라 개인적 도덕적 레벨에서 사회적 정치적 레벨까지를 포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었다. 특히 공공이 자연법과 관련해서 사용되고 있고, 人定法인 법도 천하의 공공으로 규정되어 그 내용에 있어서 철저히 도덕적이어야 함을 암시하고 있었다. 이는 주희의 권설을 통해서도 확인할수 있었다. 거기에관과 민의 협동에 의한 공공성을엿볼수 있었던 주희의 원저의용례에 대한 연구를 더하여 주자학적 공공철학을 창출할 터전이 된다. 최근 학계에서는 한국적 공공성은 어떻게 표출되어야 할까를 고민하면서 한국에 있어서의 공공철학을 구축하기 위한 모색을 탐색하는 모임을 곳곳에서 갖고 있다. 주자학적 공공철학을 창출하기 위한 출발의 성격이 강한 본고가 이러한 동향에 미력하지만 일조가 되었으면 한다. Recently, the publicness becomes the keyword to catch erupting phenomena in all social sphere and is emerging. It is public philosophy to point to expansion of the horizon of the publicness. The Japanese public philosophers who were going to find wisdom of public philosophy from Chinese classic have expanded its focus to THE ANNALS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is a study trying the differentiation of public meaning between Joseon Dynasty or Edo Period and Zhuxi’s text. But there is unnaturalness in it. This paper searched what does public mean in Zhuxi’s philosophy-focus on the example which appeared in conjunction with Way(Dao 道), Principle(Li 理), Material Force(Qi 氣), Nature(Xing 性)-. As a result, public in Zhuxi’s philosophy was able to assume usability as a concept including from individual and moral level to social and political level as well as problem of the consciousness. Specifically, public is used in conjunction with Natural Law. And the law as the positive law was prescribed as public in the World and suggested that it should be moral thoroughly in the contents. It was able to confirm through Zhuxi’s the Expedient(權Quan). Add study for the example of the original works of Zhuxi which can guess the publicness according cooperation of official and people, it becomes the ground to create public philosophy of Zhuxi’s thought. In the field of academia, thinking to how the publicness in Korea should be expressed, seeking to build public philosophy in Korea is studied in many places. I hope this paper will be able to help in the trend of academia.

      • KCI등재

        칸트철학에서 철학과 대중- 철학의 대중화 방향 모색과 관련하여 -

        김석수 ( Suk Soo Kim ) 한국칸트학회 2014 칸트연구 Vol.34 No.-

        이 글은 칸트철학에서 철학과 대중의 관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그의 철학을 한국적 현실에서 대중화하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칸트는 기본적으로 철학적 탐구의 엄밀성을 포기한 채 철학의 대중화에만 몰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당시 대중철학자들은, 가령 가르베, 페더, 멘델스죤 등은 그의 글이 비대중적인 점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하였다. 그래서 그는 이런 비판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철학과 대중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학문적 엄밀성을 기본적으로 견지하면서, 동시에 대중을 계몽하는 것에도 깊이 관여하려고 하였다. 그는 단순한 학문주의도 거부하였지만, 대중에 편승하는 것도 거부하였다. 그는 “숙달”을 가르치는 “학교 개념으로서의 철학”을 중시하되 이를 넘어 “지혜”를 가르치는 “세계 개념으로서의 철학”으로 나아가려고 하였다. 그래서 그는 “이성의 기술자”를 넘어 “실천적 철학자”의 길로 나아가려고 하였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그의 철학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거나 소개하는 데 치중하였지, 이를 생활인들의 삶 속에 뿌리내리게 하는 데는 제대로 노력을 하지 못했다. 실제로 칸트철학이 우리 한국에서는 철학자 중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교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인들의 삶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는 칸트 원전에 대한 좀 더 친절한 번역 및 해설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차적으로는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도 그의 철학을 우리의 현실에 적용하고 재창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의 철학이 한국 현실에서 “학문으로서의 철학”을 넘어 “생활로서의 철학”이 되기 위해서는 이를 단순히 소개하는 차원을 넘어, 그가 강조하듯이, 그야말로 “철학하기”가 우리 일상인들의 삶 속에 뿌리내리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 public in Kant`s philosophy, and seeking the way to popularize his philosophy. Kant refuses to his being immersed only in the popularization of philosophy without pursuing the strictness of philosophical investigation. He was criticized by the popular philosophers, C. Garve, J. G. H. Feder, M. Mendelsohn, owing to the readability problem of his writings. But Kant couldn`t neglect their criticisms. He also had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 public. He tried to take part in enlightening the public with keeping the strict scientific attitude. Of course, he didn`t accept not only the academism(scholasticism) without considering the public, but also jumping on the public without considering the scientific strictness. He tried to set importance on the “philosophy as Schulbegriffe” teaching proficiency(Geschicklichkeit). But he was not satisfied only with this philosophy. He advanced toward the “philosophy as Weltbegriffe” teaching “wisdom”. He was also never satisfied with “a technician of reason(Vernunftkunstler)”. He tried to advance toward the way of “the practical philosopher”. But unfortunately, we have concentrated on studying and introducing his philosophy scientifically. We have not made many efforts to implanting his philosophy in our ordinary life. In fact, Kant`s philosophy has been most studied and taught in Korea of philosophers. Nevertheless, his philosophy didn`t have so many influences on the ordinary life of us. Firstly, we have to do the more kind translation and commentation for the read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econdly, we have to do the work applying to his philosophy to our ordinary life and recreating it in our study and education field. We have to transcend the level introducing and explaining his philosophy, if we proceed from “philosophy as a science” to “philosophy as a life”. As he always lays emphasis on “philosophizing”, we also have to implant the “philosophizing” with his philosophy in our ordinary life.

      • KCI등재

        최한기의 기학적 정치철학과 공공성에 관한 일고찰

        신현승(Shin, Hyun-Se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이 논문은 공공성(公共性)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최한기(崔漢綺)의 기학적 세계관과 공사관(公私觀)을 검토하고, 그의 정치철학이 갖는 의미가 어떠한 것인지를 재인식하고자 기획한 것이다. 따라서 본론의 첫 번째 장에서는 ‘實學{’으로서 최한기의 ‘氣學{的 世界觀’이 어떠한 양상이었는지 검토해 보았다. 최한기의 경우 그 자신의 말을 빌리면 ‘종허입실(從虛入實)’의 실학적 입장을 표명하였다. 그것은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사회의 제반 제도와 학문, 도덕, 그리고 풍습까지도 변화해야 된다는 논리이며, 이러한 근원적 사유구조가 최한기 자신이 갖고 있던 기학적 세계관이자 ‘실학적 기학’이었다. 그 다음으로 최한기의 ‘公’에 관한 논의를 검토했는데, 그의 ‘公’ 개념은 ‘氣의 움직임’에 순순히 따르는 것이었다. 즉 최한기가 말하는 공(公)이란 ‘기화(氣化)’, 즉 기(氣)의 활동운화(活動運化)였고, 그것이 곧 ‘백성들의 눈과 귀’로 표현된 중인(衆人)의 자연스러운 여론이 될 때 ‘公論’이 된다는 논리이다. 이러한 최한기의 ‘公’ 개념은 그 자신의 독특한 기학 체계가 낳은 기학적(氣學{的) ‘公論’이었다. 본론의 두 번째 장에서는 그의 정치철학과 공공성 논의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선 그 자신의 기학(氣學{) 체계와 ‘운화(運化)’라는 개념 및 그 안에 담긴 정치철학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최한기의 경우 인간과 사회, 우주와 자연의 운동 변화는 모두 기(氣)가 ‘활동운화(活動運化)’하는 양상이다. 따라서 사회 안에서 불협화음과 대립, 갈등이 발생할 때는 자연스러운 합의 상태로서 ‘운화(運化)’[=운동?변화]에 따를 것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사회구성원 전체를 통합하여 조화와 화해의 세상으로 이끄는 원리도 ‘운화’임을 표명한다. 이어서 최한기의 정치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통민운화(統民運化)’와 유교적 공공성(公共性)에 관해 논의했는데, 그의 정치철학을 관통하는 핵심적 코드는 ‘운화’이고, 다시 그 ‘운화’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통민 운화’였다. 최한기에 의하면 ‘통민운화’의 의미는 인간의 사적 영역과 우주?자연의 공적 영역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인간 사회의 공적 영역과 공공성으로서 작용하는 보편적 원리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quire into Choi Han-ki"s views on the world and publicness/privateness of Chihak (study of Chi (or Qi, energy)) through the keyword ‘publicness’ and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his political philosophy. Thus, Chapter I looked into the aspects of his ‘world view of Chihak’ as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Choi Han-ki expressed an opinion of practical science of ‘Jongheoipsil’ as he said himself. This is logic that various institutions of society, science, morality and customs should change in step with the times, and this fundamental structure of thinking was his world view of Chihak and ‘Chihak of Silhak.’ Next, his discussion about ‘publicness’ was examined, and his concept of ‘publicness’ was obedience to ‘the movement of Chi.’ In other words, publicness he talks about referred to ‘Chihwa (transformation),’ that is, Hwaldongwunhwa (activities, movements and changes) of Chi, and it is logic that when something becomes a natural public opinion of the masses, expressed by ‘people’s eyes and ears,’ it becomes a ‘public opinion.’ His concept of ‘publicness’ like this was a ‘public opinion’ of Chihak produced by his own special Chihak system. Chapter II focused on his political philosophy and discussion on publicness. First, it explored his Chihak system, concept of ‘Wunhwa’ and its political philosophical meaning. To Choi Han-ki, all changes in the movements of men, societies, the universe and nature are aspects of ‘Hwaldongwunhwa’ of Chi. Therefore, it emphasizes that when discords,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occur in a society, men should follow ‘Wunhwa’ (movements and changes) as a natural state of agreement. Furthermore, it states that ‘Wunhwa’ is also the principle that unites all members of the society and leads them to a world of harmony and reconciliation. It discussed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Choi Han-ki’s political philosophy, ‘Tongminwunhwa (taking care of people, movements and changes)’ and Confucian publicness, and showed that the key code that penetrated his political philosophy was ‘Wunhwa’ and what was located at its center was ‘Tongminwunhwa.’ According to Choi Han-ki, ‘Tongminwunhwa’ meant the universal principles that were located in between private spheres of humans and public spheres of the universe and nature, acting as the public sphere and publicness of human society.

      • KCI등재

        한국의 공공철학, 그 발견과 모색 -다산·세종·동학을 중심으로

        조성환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2

        Until nineteenth century in East Asia, 'public-common(공공)' has meant not'government' nor 'people' nor 'open' as a noun or adverb, but 'co-act with'as a verb. Kim Tae-chang has constructed 'Public-Common Philosophy' by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public-common(公共)' as 'dialogue with others'. This article tries to approach the thought of Dasan, Sejong and Donghak fromthe Public-Common Philosophy of Kim Tae-chang. Dasan interprests 'Ren(仁)'as ' co-acting with others'(人人相與) and 'Shu'(恕) sympathy with others, andsuggests Public-common Ethics. On the other hand, King Sejong aims atPublic-Common Politics. His invention of Hanguel was a kind of pursuing cohappinesswith people. Lastly, Donghak proposes Co-acting of Heaven andMan, aiming at the Public-common World which nourishing and respecting alllife in the universe. This implies that the moral responsibility and active role ofman in the universe become emphasized. The Public-common Philosophy of Kim Tae-Chang emphasizes dialoguingwith others instead of canon of sages or reason of individual, and this has anenormous significance in modern East Asia which has enjoyed Confucianism forabout two thousand years and accepted European philosophy during the lasttwo hundred years. It is a kind of new philosophy which can give some cluesof today's lots of social problems in Korea. 최근 들어 한국사회에서는 ‘공공성’이라는 말이 화두가 되고 있다. 학계는물론이고 사회 각 분야에서 ‘공공성’을 주제로 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사회가 ‘공공성의 위기’에 직면해 있음을 반증할뿐만 아니라 한국의 현실에 맞는 공공철학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여기에서 출발한다. 원래 19세기까지의 동아시아 문헌에서 ‘공공(公共)’이란 말은, ‘정부’나 ‘대중’또는 ‘공개된’을 의미하는 명사나 형용사가 아니라, 보편적 원리를 ‘모두가 공유한다’ 또는 ‘누구나 함께한다’는 의미의 동사로 쓰였다. 이 개념을 “타자와 대화하고 협력한다”고 하는 현대적인 의미로 재해석하여, 동아시아 전통에뿌리를 둔 ‘공공철학’으로 발전시킨 것은 공공철학공동연구소의 김태창 소장이다. 따라서 김태창이 말하는 ‘공공한다’에는 전통적인 ‘공공(公共)’ 개념에 ‘타자와 함께한다’고 하는 ‘상여(相與)’의 의미를 집어넣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타자와의 대화”를 핵심으로 하는 공공철학은 ‘성인의 가르침’을 중심으로하는 전통시대의 동아시아사상이나, ‘개인의 이성’을 중심으로 하는 근대 서양철학과는 다른 형태의 철학으로, 특히 ‘공공함’이라는 실천적 행위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불고 있는 ‘공공성’ 담론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또한 서양의 공공철학이 주로 정치철학자들에 의해서 사회적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데 반해서, 김태창의 공공철학은동아시아의 사상전통에 뿌리를 둔 인간관의 영역까지도 범위에 넣고 있다는점에서(가령『 공공하는 인간』 시리즈와 같이) 보다 본질적이면서, 동시에 동아시아문맥에 훨씬 근접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내가 생각하기에, 동아시아의 전통사상에 대한 기존의 접근법은 대개 ‘서양식 해석’이나 ‘서양과의 비교’ 내지는 ‘유학의 현대적 해석’과 같은 소극적인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해 김태창의 공공철학은 중국이나 서양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나름대로 전통과 현대를 이으면서우리 현실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철학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생산적이고, 그런 만큼 훨씬 미래지향적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김태창의 공공철학 개념을 활용하여 한국사상에서의 공공철학 전통을 재발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재발견을 통해서 오늘날 윤리와 정치와 종교에서의 공공성 문제를 생각하는데 있어 하나의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논문에서 고찰의 대상으로 삼은 사상은 다산의 윤리사상과 세종의 정치사상 그리고 동학의 종교사상이다. 이 세 사상은 모두 ‘(相)與’를 주요 가치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공공철학적 요소를 풍부하게 담고 있다. 가령 다산은 상호의존적 존재라고 하는 인간관을 바탕으로 “人人相與”로서의 ‘仁’(타자와 함께함)과 그것의 실천방법으로서의 ‘恕’(타자와의 공감)를 통해서 타자와의 만남과 공감을 핵심으로 하는 ‘공공윤리’를 제창하였고, 세종은 이러한 공공윤리를 실제 정치영역에 적용하여 백성과의 공감을 바탕으로 한 ‘여민정치’를 지향하였다. 그의 한글창제는 ‘공향(共享)’, 즉 ‘공공행복’이라고 하는정치적 이념을 실현시키기 위...

      • 유교의 공과 사

        배병삼(Bae, Byung-Sam)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3 동서사상 Vol.14 No.-

        나는 여기서 동아시아의 사상인 유교 속에 나타난 공(公)과 사(私)의 특징 몇 가지를 살펴본다. 서양 근대적 공공성의 핵심적 특징은 공공영역과 사적 영역을 구분하는데 있다. 즉 서구에서 공과 사는 영역적으로 정확하게 구분되어야하고 공적 영역은 사적 영역을 보호해야만 한다. 이런 공과 사의 영역적 특성이 일제 식민지 시대에 한국으로 들어왔다. 오늘날까지 널리 쓰이는 공립학교(公立學校), 공공도서관(公共圖書館), 관공서(官公署), 공무원(公務員) 등은 조선시대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말들이다. 한자(漢字)로 public(또는 official)은 公(gong)으로, pirvate(또는 civil)은 私(sa)로 썼다. 한자는 상형문자(pictograph)이다. 그 회화적 특성 때문에 본래의 의미가 오래 지속된다. 어원적으로 볼 때 公과 ム(私)는 한 뿌리에서 나왔다. 동아시아의 公-私는 서양근대처럼 영역적으로 구분되고, 대립하는 것은 아니었다. 어원적으로 公은 ‘사유물’을 분배하는 공정한 방식을 뜻했던 듯하다. 유교에서 사용하는 공-사 개념의 첫 번째 특징은 가치적(valuable)이라는 점이다. 공과 사는 장소적으로 섞여있지만, 다만 가치적 측면에서 서로 다르다. 유교에서는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일상적인 삶들이 사(私)이고, 일상적 삶 속에 존재하는 정당성 또는 합당성이 공(公)이다. 그러므로 공은 사 속에 존재하며, 사는 공을 통해 그 의미를 얻는다. 공과 사의 관계는 상호적이며, 보완적이다. 두 번째로 유교의 공공성은 차등적이라는 점이다. 예컨대 자식이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공적 행위이다. 또 군주로서 나라를 잘 다스리는 것 역시 공적 행위다. 그런데 이 두 개의 공공성 가운데 어떤 것이 우선하는가. 유교에서는 부모에 대한 효도를 나라를 잘 다스리는 것보다 더 중요한 가치로 본다. 이것이 유교의 공공성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세 번째 특징은 공공성의 기원에 대한 것이다. 유교는, 특히 맹자는 공공성의 기원을 사람의 마음(心) 속에서 찾는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하늘(天)로 부터 공공성의 씨앗을 평등하게 부여받아 똑같이 갖추고 있다. 우리는 일상적 삶 속에서 행동할 때 마다 자기 마음을 돌이켜 반성함으로서 공공성을 체현할 수 있다. 지난 100년 동안 한국에서는 서구화, 근대화의 물결로 인해 유교적 가치는 무시되거나 왜곡되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가 위기에 처한 오늘날, 유교의 공공적 가치는 되새길만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discussing several features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in Confucianism, a traditional philosophy in East Asia. The essential feature of publicness in Modern Europe lies in drawing the lin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 In other words, the line between them is clearly distinctive. This concept of public and private sphere was introduced to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 popular terms such as public school, public library, public office, official, etc today did not exist in Chosun Dynasty. ‘Public(or Official)’ in English corresponds to 公(gong) in Chinese character; Private(or Civil) 私(sa). Chinese characters consist of hieroglyph. The etymological meaning has been held out for a long time due to the pictorial characteristic. Etymologically, public and private affairs have the same root. Unlike Modern Europe, the concept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in East Asia is neither divided in terms of sphere nor opposed to each other. The etymological meaning of 公(gong) indicated fair means of dividing private possessions. The first feature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in Confucianism is value-oriented. Public and private affairs coexists in situations, bur they are quite distinctive In terms of value. Public sphere and private sphere do not exist separately in Confucianism. Common lives mean 私(sa), and justice or properness in common lives means 公(gong). Therefore gong exists within sa; sa gains its meaning through gong. That means gong and sa are complementary. The second feature of publicness in Confucianism is differential. For instance, serving one’s parents with devotion is a proper action. In addition, governing his country carefully as a ruler is a proper action as well. The problem is which proper action should take precedence. The former is regarded as more important value than the latter in Confucianism. This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publicness in Confucianism. The third feature is about the origin of publicness. Confucianism, especially Mencius, seeks the origin of publicness in mind and heart. Nature has endowed people with seeds of publicness equally. We can embody publicness by introspection whenever we act in common lives. During the last 100 years(1910~2012), Korean society has been forced into a greater orientation to westernization or modernization while Confucian values have been ignored and distorted. However, the public value of Confucianism deserves to pondering these days when nee-liberalistic capitalism is on a razor’s 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