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원 범죄예방을 위한 CPTED 인증평가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김강일(Kang Il Kim),조준택(Joon Tag Cho),박현호(Hyeon Ho Park) 한국셉테드학회 2018 한국셉테드학회지 Vol.9 No.1

        도시지역에서의 공원이란 시민들의 건강과 휴양 그리고 정서생활에 도움을 주고 녹지를 확보하여 환경에 도움을 주는 공간이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는 도시 공원의 특성상 공간의 안전을 위협하는 소수의 위협들은 다수의 이용자인 시민들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위협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각종 선행 연구들은 공원에서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시민들의 휴식공간이라는 공원의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특히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공원의 설계 관리가 중요함을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CPTED의 기본이론을 토대로 도시공원의 범죄예방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도시공원에 적합한 CPTED 요소를 추출하고 도시공원의 방범환경 인증평가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크기별, 종류별 공원 5곳을 선정하여 실제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안전요소를 분석하여 최종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이 체크리스트의 최종평가분야는 관리운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활동성 지원 CPTED요소를 기반으로 하고 이에 더하여 안내표지, 방범 및 안전시설, 가점항목으로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세부평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체크리스트의 평가기준은 모든 공원에 대한 범죄예방 인증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체크리스트로 이러한 평가기준은 다양한 규모와 형태를 가진 공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와 인정의 기본원칙에 의거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범죄위험을 예방하는데 있어 중요한 분야의 핵심 항목들에 대해서는 높게 배점하고 정성적인 평가에 의해 배점을 차등적으로 주도록 하였다. 또한 신규 공원뿐만 아니라 기존에 있던 공원들도 적극적 개선을 통해 인정을 받게 하고자 하는 취지로 만들어 전체적인 공원 안전개선을 위한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본 체크리스트는 경찰청이 범죄예방진단팀(CPO)을 통해 시행 중인 도시공원의 범죄예방우수시설 인증사업에 활용하고 있다. Urban public parks are supposed to be the places for citizens’ rest, healing and public health. However, as public parks are usually open for 24 hours almost every day they are often exposed to criminal attacks within the realm of the space. The crime problem therefore threatens the public safety and security. Previous studies on public parks and crime safety continuously indicate that urban parks are vulnerable to crime and disorder and became the cause of fear of crime due to poor environmental design and planning in terms of CPTED.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checklist for accreditation/certification of urban public parks for crime prevention by analyzing the examples applying the CPTED principles in public parks and reflecting the field survey results in South Korea. In regard to the item and point, the crucial points for public parks rated highly and the grading was differentiated by qualitative evaluation. In addition, basic principles for certification of Secure/Safe Public Parks Awards were suggested, including operating a rating system to certify public parks so as to promote efforts for improvement, not awarding the certification to parks if any relevant regulations are violated, applying the evaluation items or point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context. The assessment checklist can be revised and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gional circumstances and can contribute to the security and safety of public parks. The Police Crime Prevention Officers (CPO) are to utilize this checklist for the Secure Public Parks Certification Awards program 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of security for public parks in major cities in South Korea.

      • KCI등재

        A Study on the Design Proposal of a Public Toilets in Eungam District 10 Children's Park

        손주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6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number of urban park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public toilets, an essential amenity within park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pose improved public toilet design. However, public toilets in parks are still treated as undesirable facilities by park users and residents due to concerns about hygiene and crim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improved public toilet design in an urban park that can change the perception of residents and park users.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is the schematic design of a public restroom in Eungam District 10 Children's Park in Eunpyeong-gu, Seoul. In the method of design, first, previous research on public toilet design is reviewed. Second, outstanding cases of public toilets at domestic and overseas a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design principles for public toilets in parks. Third, through analysis of site, the appropriate the public toilet location within the park is selected. Finally, a schematic plan for the design of public toilets is proposed. (Results) Through a survey of previous studies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he public restroom design is derived. First, a design that incorporates the character of the surrounding area, blending in with the park and providing appropriate visibility. A homogeneous design that can be seen everywhere or a public toilet that is completely alien to the surrounding city can be unacceptable to residents. Second, a public restroom design that incorporates park amenities such as benches, drinking fountains, and bicycle racks, allows the public toilet to be friendly to residents. Third, natural and mechanical surveillance is possible by plann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visitors around the restroom and installing CCTV. In addition, a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is applied by securing bright illumination and minimizing concealment. Fourth, accessible restrooms, family restrooms, and children's hygiene devices are installed to make the public toilet accessible to everyone. Fifth, sustainable design is applied to save energy by recycling cleaning water, greening rooftops, water-saving sanitary ware, and LED lighting fixtures. Finally, the toilet is designed to be hygienic with interior finishes and designs that are easy to clean and maintain. (Conclusions) There will be an increasing need for future public toilets to be safe, eco-friendly and hygienic spaces as well as designs that well blended in to the site context. The design derived from this study is expected to change people's perception of public toilets and serve as an example and guide for planning future public toilets.

      • KCI등재

        도시공원에 대한 유산 가치 특성 - 세계유산 도시공원의 등재 기준 분석을 바탕으로 -

        김순기 한국경관학회 2023 한국경관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lue of urban public park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omination criteria statements of World Heritage-listed urban public parks, and to find directions for preserving the heritage value of urban public parks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Language Network Analysi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The study identified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heritage value of urban parks: (1) absolute excellence, both artistic and technical; (2) historical significance (for landscape architects, urban planners, and other related fields); and (3) cultural landscape value (showing evidence of nteraction-based development and evolu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ummarizes the implications of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ublic park heritage values as follows. First, in the preservation of urban public park heritag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current park space and its valu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and function in the urban spatial context, and to establish the object of prototype preserv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the current form and function as an evolutionary process. Second, urban parks, like other works of art, may have artistic and technical values attributable to the genius of the designer; thu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rinciple of prototype preservation to preserve these elements. Third, heritage recognition of urban public parks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m as cultural landscapes. Based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historic urban public park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heritage value of urban public parks in Korea and to establish a preserv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ublic parks.

      • KCI등재후보

        고인돌, 용, 엄지손가락, 세종대왕: 올림픽 조각공원 형성과정을 통해서 본 ‘미술과 공공장소’의 관계

        양은희 현대미술학회 2008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 No.12

        This essay examines the Olympic Sculpture Park in Seoul as a public space, or heterotopia, a concept formulated by Michel Foucault. As a site consisted of heterogeneous functions and roles, the Park has been transformed from a political production to promote Seoul Olympics to a cultural arena for increasing middle classes in the south-eastern Seoul for the last twenty years. Over the years, it had to embrace diverse roles imposed or demanded by the public whose concerns and interests vary as time goes by.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s of the public space and its relation to public sculptures. The two compete and reconcile as the society becomes affected by diverse ideologies. To illustrate these points, the thesis reads the Park's formative period between 1987 and 1988 when it was conceived and established to celebrate Seoul Olympics in 1988. By uncovering the archival materials and letters from the period, written by Pierre Restany, the French art critic, and others, this essay examines the Park's initial role as a forum to host the international artists' works semi-permanently and to become a landmark of Seoul. Yet, the role was difficult to accomplish even at that time. The various interests unprecedently expressed by many artists' groups and organizations in Korea made the process harder than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first imagined. Compromises were made but the success of the park for outdoor sculptures was to face more challenges as the park become frequented by the increased number of people to attend concerts, meetings, and festivals. The thesis concludes with the idea that the roles of public sculpture in the public space are threatened and overshadowed by other social roles of the park as Foucault suggested. In the process, the dignity and autonomy of art is often forgotten and concedes to those other social roles. This essay examines the Olympic Sculpture Park in Seoul as a public space, or heterotopia, a concept formulated by Michel Foucault. As a site consisted of heterogeneous functions and roles, the Park has been transformed from a political production to promote Seoul Olympics to a cultural arena for increasing middle classes in the south-eastern Seoul for the last twenty years. Over the years, it had to embrace diverse roles imposed or demanded by the public whose concerns and interests vary as time goes by.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s of the public space and its relation to public sculptures. The two compete and reconcile as the society becomes affected by diverse ideologies. To illustrate these points, the thesis reads the Park's formative period between 1987 and 1988 when it was conceived and established to celebrate Seoul Olympics in 1988. By uncovering the archival materials and letters from the period, written by Pierre Restany, the French art critic, and others, this essay examines the Park's initial role as a forum to host the international artists' works semi-permanently and to become a landmark of Seoul. Yet, the role was difficult to accomplish even at that time. The various interests unprecedently expressed by many artists' groups and organizations in Korea made the process harder than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first imagined. Compromises were made but the success of the park for outdoor sculptures was to face more challenges as the park become frequented by the increased number of people to attend concerts, meetings, and festivals. The thesis concludes with the idea that the roles of public sculpture in the public space are threatened and overshadowed by other social roles of the park as Foucault suggested. In the process, the dignity and autonomy of art is often forgotten and concedes to those other social roles.

      • KCI등재

        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공공 공간디자인 평가 기준 연구 - 중국 도심 피트니스 공원을 중심으로 -

        손설도,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20세기 후반부터 가속화된 도시화와 산업화의 변화 속에서 도시인구 밀집화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수많은 도시 운동 관련 전문가들은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는 도시환경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공공 공간이 도시환경 구축의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코로나의 영향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도시 거주자들은 자연환경의 입지 요소를 중요시 여겨 도시 공공 공간의 피트니스 공원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도시 공공 피트니스 공원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공공 공간 평가 기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공디자인의 평가 순위를 재설정할 필요가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를 통한 AHP 기법을 통해 피트니스 공공 공간의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공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도시 피트니스 공원 평가에 미치는 영향 요소에 관한 중요도 순위를 파악하여 공공 공간의 평가 기준과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 고찰과 예비조사를 통해 관련 변수의 개념을 파악하고, AHP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의 전문성을 위해 공간디자인 전문가를 초청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AHP 분석 기법을 통해 도시 공공 공간 평가 항목 순위와 도시 피트니스 공원 평가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피트니스 공원 사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AHP 분석 결과의 일관성을 검증했다. (결과) 도시공원 평가항목인 접근성, 사용성, 안전성, 심미성, 쾌적성, 다양성 등은 피트니스 사용자의 공공 공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변성, 지속가능성, 공유성, 영역성 등은 사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AHP 분석 기법을 통한 평가항목의 중요도 순위는 안전성> 쾌적성> 접근성> 다양성> 심미성> 사용성> 지속가능성> 가변성> 공유성> 영역성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AHP 기법을 통해 피트니스 공공 공간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으며 또한 공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도시 피트니스 공원 평가에 미치는 영향 요소에 관한 중요도 순위를 파악하여 공공 공간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연구결과로 도출된 도시 피트니스 공원의 중요도 순위 상위 평가항목을 공공 공간디자인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를 보다 잘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시공원 사용자들의 공공공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phenomenon of urban population density continued amid accelerate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from the late 20th century, numerous experts related to urban movement began to seek ways to sustainably develop the urban environment. Among them, public spaces have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building an urban environment. As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due to COVID-19, urban resident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fitness parks in urban public spaces as they value the loc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ublic space evaluation criteria and reset the evaluation ranking of public design to reflect the needs of urban public fitness park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valuation criteria and design principles of public spaces by deriving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fitness public space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experts, and identifying the importance ranking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evaluation of urban fitness parks.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 of related variabl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liminary surveys and established an AHP model. For the professionalism of the study, spatial design experts were invited to conduct a survey, and the ranking of urban public space evaluation items and urban fitness park evaluation criteria were presented through the AHP analysis technique. (Result) Accessibility, usability, safety, aesthetics, comfort, and diversity, which are the evaluation items of urban parks, greatly affect the public space of fitness users, while variability, sustainability, sharing, and locality do not affect us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importance ranking of the evaluation items through the AHP analysis technique was in the order of safety> comfort> accessibility> aesthetics> usability> variability> commonality> sharing> domain. (Conclusion) Through the AHP technique, this study and experts of public design derived evaluation items for fitness public spaces, and presented evaluation criteria for public spaces by identifying the importance ranking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evaluation of urban fitness parks. Therefore, by using the top evaluation items,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meet user needs, thereby, enhancing the positive evaluation of public spaces of urban park users.

      • KCI등재

        도시공원 이용자 행태에 따른 공공안전성 분석

        원열 ( Won Yeol ),정영동 ( Jung Young-d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1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안전성 확보, 공원화 계획을 위한 객관적인 기초 자료와 도시 공원에 대한 설계에 있어서의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어린이 공원, 근린공원에 있어서 법적 체계의 공공안전의 개념을 검토하고 공원의 실제적인 조건과 공공안전 수준에 대한 공원 이용자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긍정적인 접근 방법은 여러 공원들의 공공 안전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특성들로 분석되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특성들은 광주시에 위치한 4개의 공원 즉, 어린이 공원으로 분류된 어린이 대공원, 차돌 공원 그리고 근린 공원인 염주공원, 시민 공원에 대해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공공안전에 대한 인식, 반사회적 행위에 대한 경험 유무, 범죄 활동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대처 방향 그리고 범죄 예방 프로그램이 그것이다. 공원에 있어서 공공안전과 관련하여 응답자의 91%가 공공안전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공원 이용자의 약 21.1%는 반사회적 행위와 관련되는 경험을 하였다고 응답하고 있다. 또한 반사회적 행위가 발생했을 때 질문을 받은 81.6%의 공원 이용자중 59.4%는 경찰서(파출소)에 의존하는 반면 나머지 2.2%는 공원 관리소에 의존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공원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의 의견과 경험을 듣는 것은 새로 운 도시공원시설의 건축을 계획하고 설계할 때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즉, 안전사고와 범죄로부터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공원 및 단지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시공단계에 이르기까지 세밀한 집행은 물론 기존의 방범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체계의 강구 등이 이루어질 때 도시환경은 안전성과 건강성이 확보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rable criteria for the guarantee of public safety and objective basic data for park planning and design in urban park. The principle contents of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children park, neighborhood park find public safety in legal system, investigates cognition of park users about the actual condition and public safety level in park. The positive approach is analysed by main variable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public safety of parks. These variables are analyzed using a questionnaire regarding four parks located in Kwangju city. These are composed of the following: the cognition of public safety, experience of anti-social behavior, the users` attribute on criminal activity, and the program of criminal prevention. Regarding public safety in parks, 91.0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public safety is importance. About 21.2 percent of the park users had an experience concerning anti-social behavior. When anti-social behavior occurs, 59.4 percent, out of 81.6 percent of park users questioned, depend upon the police while the other 22.2 percent rely on a superintendent. The opinions and experiences of frequent park users are an essential resource when planning and designing the construction of a new urban park facilities.

      • KCI등재

        사회인구학(Socio-Demographics) 특성별 선형공원 내 공공시설물 디자인 사용성 분석

        김수경,윤재성,박현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2

        Background Public facilities in city parks are mostly public facilities that are not suitable for the socially weak, such as the elderly because they use prefabricated public facilities. In addition, when designing an urban park, the characteristics of park users are not investigated in advance, and the design is carried out unilater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overnment/concessionaire. The method of public faciliti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an opinion survey of actual users of urban parks. Therefore, unlike other studies, this study mix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o analyze users' perceptions of public facilities in the park and propose detailed improvement plans. Methods First, we derive the problem variables for each public facility through the responses from the field. After creating questions using the derived variables, proceed with IDI (In-depth interview). Second, creates a questionnaire by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responses obtained after IDI. Then, after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 we will grasp which public facilities are vulnerable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Result We have completed the grasp of preferences for each public facilit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Linear Park.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design preferences for public facilities in linear parks differ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installation form and maintenance of supply facilities were remarkably low, women felt inconvenienced in using public facilities compared to men, and the elderly felt inconvenienced in using public facilities due to physical aging. I found out. On the other hand, using materials that are highly harmonious with sidewalk wrapping materials around the manhole installation, additional LED lighting, indirect lighting and streetlights on the dark sidewalks, direction guide signs with enlarged character size, and bench materials. 연구배경 도시공원 내 공공시설물은 기 제작된 공공시설물을 사용하여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공공시설물이 대부분이다. 또한 도시공원 설계 시, 공원 이용자들에 관한 특성을 선(先)조사 하지 않고 관·시행사 입장에서 일방적인 디자인이 진행된다. 실질적인 도시공원 이용자들의 의견 조사를 통해 공공시설물 디자인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타 연구와 달리, 정성 및 정량연구를 혼합하여 공원 내 이용자들의 공공시설물 인식을 분석하여 세부적인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현장 답사를 통해 공공시설물 별 문제점 변수를 도출한다. 도출한 변수를 활용하여 질문을 제작한 후 IDI(In-depth interview)를 진행한다. 둘째, IDI 이후 획득한 답변에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설문지를 제작한다. 이후 설문지를 배포한 후 통계 분석을 통해 어떤 공공시설물이 취약한지 파악한다. 연구결과 광주광역시 선형공원 내에서 공공시설물 별 선호도 파악을 완료하였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선형공원 내 공공시설물 디자인 선호도가 상이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 공급시설물 설치 형태와 유지관리 상태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공공시설물 이용에 불편함을 느끼고 노년층은 신체적인 노화로 인해 이용에 불편함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맨홀 설치 주변 보도 포장재와 조화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고, LED 조명의 추가 설치, 어두운 보행로에 간접조명과 가로등 설치, 글자 크기를 확대한 방향유도사인 설치, 벤치의 재질 개선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선유도공원의 공공시설물 색채분석 - 정보·서비스시설물을 중심으로 -

        여화선 ( Yeo Hwa-sun ),서주환 ( Suh Joo-hwan ),임교아 ( Lim Kyo-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4 No.-

        현대사회에서 공원은 단순한 휴식공간을 넘어 도시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공원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에는 건축, 가로디자인, 공공시설물, 주변 공간 등이 있다. 이를 통합적 이미지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요소는 색채라고 할 수 있다. 과거의 공공시설물은 단순히 인간의 편의를 위한 것이었지만 최근의 공공시설물은 기능적인 필요에서 더 나아가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유도공원의 환경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설물인 공공시설물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유도공원의 쾌적한 환경을 만들고 다른 공원과의 차별성과 고유성을 나타내며 선유도공원의 이미지를 더욱 더 아름답게 하는 공공시설물의 색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공간적 범위로는 선유도공원으로 한정하였고 내용적 범위로는 공원 내 설치되어있는 공공시설물 중 다른 공원과 차별성과 고유성을 나타내는 시설물의 색채를 연구하기 위해 정보·서비스 시설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선유도공원의 공공시설물의 현황 파악과 색채 조사를 위해 현황 조사를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현황조사는 선유도공원의 공공시설물에 대한 정보수집과 사진촬영, 측색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측색기를 통하여 프로그램으로 색채 분석을 한 후 이용자들의 실제적인 시설물의 이용 느낌을 파악하기 위해 `I.R.I 형용사 image scale`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선유도공원의 공공시설물이 재료와 색채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다른 공원과는 차별성을 가지며 느낌의 다양성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도출해내었다. 공공디자인의 영역을 재료와 색채에 한정시키지 않고 확대시키기 위해 본 연구가 의미 있기를 희망한다. Nowadays, parks are not just an area for resting, but has become an cultural area to represent the city. To form an image of a park, construction, street design, public faciliti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needs to be considered. Thus, to integrate such image, the key component is the colors. In the past, public facilities were just to provide comfort to the users. However, recently, public facilities focus on functional requirements and further more to satisfy sensibility.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major facilities that form the environment of Sunyudo Park, design a new environment of the park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analyze the colors of the public facilities to enhance the image of the park with differential and uniqueness among other parks. The research scope for this paper as follows by; Sunyudo Park for area scope and for content scope, information·service facilities in Sunyudo Park to research the color that shows differential and uniqueness among facilities of other parks. For research method, we conducted site investigation of the park two times to examine and observe the current state of the facilities of Sunyudo Park and the colors of it. For investigation, we gathered information, took photographs and observed colorimetrics. Also, we analyzed the colors through spectrophotometer and made “I.R.I Adjective image scale” to check how users really feel using the facility. The result in this paper, we have driven that despite of the limitation of material and color, the public facilities of Sunyudo Park has differential among other parks and provide various feelings towards it. This paper will be the basis of expanding the study of public design that is limited to material and color.

      • KCI등재

        공공 공간에 대한 사적 개입과 전환 - 도쿄 공공 공원의 사유화와 공원 홈리스의 공간 실천을 중심으로 -

        신지은,조정민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硏究 Vol.- No.67

        This paper reconsiders public spaces through concepts such as ‘right to the city,’ ‘right of residence,’ and ‘publicness.’ The logic of publicness, which defines public spaces, is modelled on ‘normal citizens.’ Resultingly, it ignores the values of the minorities and also precludes the minorities from publicly expressing their needs. Such circumstances prove that publicness is but a mechanism for excluding and monitoring the minorities. The minorities have always been subjected to exclusion and expulsion on grounds that they are just a small number of interest group to ‘typical normal citizens’ or ‘the majority regarded as normal,’ and that the autonomy they are asserting can damage public values. Consequently, publicness as a substance partially assumes exclusive publicness of groups and is used as a basis for the exclusion of minorities. In this paper, the situation in which the needs of the minority homeless demanding the reorganization or expansion of publicness of the modern majorities is examined through a case study of Tokyo public parks. The spatial practice demonstrated in these parks calls for an overall reflection not only on the structure of modern social order, which is based on the concepts of nation-state and normal society, but also on modern values and common sense. 본 논문은 공공 공간을 ‘도시에 대한 권리’, ‘거주권’, ‘공공성’ 등의 개념을 통해 재고한 것이다. 공공 공간을 규정하는 공공성의 논리는 ‘정상 시민’을 모델로 삼은 것으로 결과적으로 소수자적 가치들을 무시하고, 또한 소수자의 욕망이 공적으로 표출될 수 없도록 만든다. 소수자란 단지 소수의 이해 집단일 뿐, 이들이 주장하는 자율성은 공공의 가치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언제나 배제와 추방의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실체로서의 공공성은 부분적이나마 집단의 폐쇄적인 공공성을 가정하고 소수자를 배제하는 근거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홈리스들의 소수자적 욕망이 근대의 다수자적 공공성을 재편 혹은 확장할 것을 요청하고 있는 국면을 도쿄의 공공 공원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들의 공간적 실천은 국민국가와 정상 사회 개념에 바탕을 둔 근대 사회질서 구조뿐만 아니라 근대의 가치와 상식에 관해서도 전면적인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일본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의 적용을 통한 노후 도시공원 정비사업 시뮬레이션 및 타당성 분석

        김용국,김영현,김민서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5

        도시공원은 시민들의 건강, 삶의 질, 그리고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는 사회적 기반시설이다. 조성된 후 20년 이상이 지난 도시공원 비중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노후 도시공원의 물리적 공간환경 개선과 기능 제고를 위한 정비사업 추진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관 주도의 노후 도시공원 정비는 재원 확보와 공원 매력 증진 측면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민․관 협력을 통한 추진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 앞서 노후 도시공원 문제를 겪은 일본은 2017년 「도시공원법」 개정을 통해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를 도입하여 다수의 공원 정비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민․관 협력을 통해 국내 노후 도시공원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고, 지속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일본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검토․분석하고, 이를 국내 노후 도시공원에 시범 적용한 후, Park-PFI 적용을 통한 노후 도시공원 재정비사업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는 노후 도시공원의 서비스 질 향상과 기능 다양화를 위한 민․관 협력 수단으로 국내 여건에 맞춰 도입하는 것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겠다. Park-PFI의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민간 자본 및 수익시설 설치에 따른 도시공원의 공공성 저하와 장소성 훼손, 공원녹지법 및 공유재산법 등 관련 규제 개선 등에 관한 사회적 논의와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둘째, 노후 도시공원의 정비 필요도가 높고, 사업을 추진하기에 적합한 입지라는 전제하에 Park-PFI 사업은 시민, 지자체, 민간 사업자 모두의 편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 대안이라고 판단된다.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노후 도시공원인 세영공원에 Park-PFI 사업을 시범 적용한 결과, 수익성지수(PI), 순현재가치(FNPV), 내부수익률(FIRR) 등의 측면에서 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민간 부문의 사업 참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자체 차원에서도 민간 자본을 활용하여 노후 도시공원의 물리적 공간환경을 정비하는 것은 물론 민간 사업자의 시설 사용료와 수익의 일부(연매출의 0.5%)를 환원받음으로써 발생하는 재원을 활용하여 해당 도시공원의 유지관리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rban parks are social infrastructure supporting citizens' health, quality of life, and community formation. As the proportion of urban parks that have been established for more than 20 years is increasing, the need for refurbishment to improve the physical space environment and enhance the functions of aging urban parks is increasing. Since the government's refurbishment of aging urban parks has limitations in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and promoting attractiveness, they must be promoted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s. Japan, which suffered from the problem of aging urban parks, has successfully promoted several park refurbishment projects by introducing the Park-PFI through the revision of the「Urban Park Act」in 2017.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 Park-PFI as an alternativ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aging domestic urban park services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the validity of the aging urban park refurbishment projects through Park-PFI.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art discussions on introducing Japan's Park-PFI according to the domestic conditions as a mean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nd diversify the functions of aging urban parks. In order to introduce Park-PFI social discussions and follow-up studies on the deterioration of urban parks. Must be conducted. The installation of private capital and profit facilities and improvements of related regulations, such as the 「Parks and Green Spaces Act」 and the 「Public Property Act」, is required. Second, it is judged that the Park-PFI project is a policy alternative that can enhance the benefits to citizens,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perators under the premise that the need to refurbish aging urban parks is high and the location is suitable for promoting the project. As a result of a pilot application of the Park-PFI project to Seyeong Park, an aging urban park located in Bupyeong-gu, Incheon, it was analyzed to be profitable in terms of the profitability index (PI), net present value (FNPV), and internal rate of return (FIRR). It is considered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business sector.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private capital is used to improve the physical space environment of aging urban parks, as well as the refurbishment of the urban parks by utilizing financial resources generated by returning a portion of the facility usage fees and profits (0.5% of annual sales) of private operators. It was found that management budgets could be sec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