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推案及鞫案』 소재 讖謠 관련 자료 연구

        김승우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This paper sough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phetic songs(讖謠) mentioned in Chuan and Gukan(推案及鞫案), interrogation and trial records of fel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rophetic song is generally defined as a folk song with a sense of criticism and a prospect of future work. These examples are also shown in Chuan and Gukan, but there are more cases that deviate from the definition of “voluntary songs among the peopl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treat them in the same way as ordinary prophetic songs, the act of arbitrarily distributing songs by individuals or groups with specific purposes can be an important discussion topic. In fact, the intention to use the prophetic song is based on a clear perception of its utility. By tracking what the reason for trying to utilize the prophetic songs was, it is possible to obtain a clue to retrospectively look back on the people’s view of prophetic songs.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are roughly three categories in the character of the prophetic songs in Chuan and Gukan. First, there is a case that aims to spread the prophetic song with blurred words to suggest the purpose or direction of rebellion. They also have intentions to distinguish friendly and enemy parties while enhancing the cohesiveness of their own. The second category is songs to inspire public opinion. These songs have the purpose of spreading the rhetoric and hypocrisy to stir the people’s mind and to lead public opinion to their advantage. Finally, there are songs that accuse unreasonable politics or raise lamentations about reality. The criticism of the people, which has been discussed as the most basic characteristic of the prophetic songs, can be clearly cited in this category. These songs tend to be spreading rapidly among the people much faster than other categories. Thus, in analyzing the prophetic so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only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song as a natural manifestation of the people’s mind, but also the case of spreading the song to achieve some kind of intention. As can be seen in this paper, the latter, as well as the former, were phenomena that actually and frequently happen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onclusion, the multifaceted appearances associated with the prophetic song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both explaining the problems of power in literature and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research in the late Joseon period. 본고에서는 중죄인에 대한 조선후기의 심문 조서인 『推案及鞫案』에 수록된 참요 관련 자료의 분포를 정리하고, 이들을 세 가지 부류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참요는 세태에 대한 비판의식과 미래의 일에 대한 전망이 녹아 있는 민요라고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추안급국안』에 소재한 참요 관련 자료에서도 이러한 사례들이 물론 나타나지만,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불린 노래’라는 규정에서는 벗어나는 경우가 오히려 더 많다. 이들을 통상적 의미의 참요와 동궤에서 다루기는 어려우나, 특정 목적을 지닌 개인 또는 집단이 참요로 인식될 만한 노래들을 작위적으로 지어 유포하였다는 행위는 그것대로 중요한 논의거리가 될 수 있다. 참요를 활용하겠다는 의도란 참요의 효용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굳이 참요에 착목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추적함으로써 참요에 대한 당대인들의 시각을 역으로 되짚어 볼 수 있는 단서가 확보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추안급국안』에 소재한 참요 관련 자료의 성격을 대별해 보면 대략 세 가지 부류가 나타난다. 먼저 은어적 성격의 참요로서, 은어가 섞인 노래를 퍼뜨려 거사의 목적이나 방향을 암시하기 위한 목적을 띠는 부류이다. 거사를 일으키려는 당사자들 사이의 결속력을 높이는 한편 피아를 구분 짓기 위한 의도까지도 지니는 노래들이다. 두 번째 부류는 여론을 선동하기 위한 노래들이다. 이 경우에는 풍문 내지 낭설을 퍼뜨려 민심을 동요케 함으로써 시국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이끌어 가려는 목적이 앞세워진다. 세 번째 부류는 세태의 불합리를 고발하거나 현실에 대한 울분을 토로하는 노래들이다. 참요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으로 논의되어 왔던 ‘민중의 비판 의식’이 간취될 수 있는 사례들이다. 이 부류는 특정한 목적을 지닌 노래가 아니기 때문에 노래 속 비판의식에 동조하는 백성들의 호응만 있다면 항간에 급속하게 전파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참요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는 민심의 자연스러운 발로로서 참요가 지니고 있는 본래적 요건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모종의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참요를 빙자하여 노래를 유포한 경우들에 대해서까지도 폭넓게 살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추안급국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전자는 물론 후자 역시도 조선후기에 참요를 둘러싸고 실제로 빈번하게 일어났던 현상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참요를 지어낸 경위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당대인들이 참요에 대해 지니고 있었던 인식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나 보이기도 하였다. 이렇듯 참요와 관련된 다단한 현상들은 문학 속 권력의 문제를 해명하는 데에도, 조선후기 문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에도 모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민요’의 개념사적 검토

        배인교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3 No.-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forming the modern conceptual word 'folk song' from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conceptual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1920s emphasized the primacy, local color, or localism of Korean folk songs. In contrast, the intellectuals of the colonial Joseon added patriotism, ethnicity, and folkness over the transplanted concept. Since then, folk songs have been categorized and systemized. Howeve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folk songs mad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mained in the early stage and the categorization process was not systematic. Since the 1920s,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 has made prophetic song more recognizable.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resistance and ethnicity of folk songs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is clear that folksong is one of the many modern conceptual words transplanted into Japanese colonies by Japanese intellectual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colonized Koreans added to the concept of transplanted folk songs the particularity of the Korean people and resisting folkness. 이 글에서는 20세기 이후 일제강점기에 근대적 개념어로 ‘민요’가 형성되는 과정을 개념사적 연구방법론으로 살펴보았다. 1920년대 일본지식인들은 조선민요의 원시성, 지방색 또는 향토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비해 식민지조선의 지식인들은 이식된 개념 위에 애국심과 민족성, 그리고 민중성을 더하였다. 이후 민요는 범주화와 분류․체계화의 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민요의 분류체계는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범주화 과정은 체계적이지 못하였다. 1920년대 이후 전래동요의 연구는 요참, 혹은 참요를 인식하게 하였다. 이것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민요가 가지고 있었던 저항의식, 민족성의 결과물로 보인다. 민요는 일본 지식인들에 의해 식민지 조선에 이식된 수많은 근대적 개념어들 중의 하나임은 명백하다. 그러나 식민지 조선인들은 이식된 민요 개념에 조선민족의 특수성과 항거하는 민중성을 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참요, 감성적 근대성의 한 징후-조선후기 공감장의 형성과 투쟁을 중심으로-

        조태성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sympathetic field and its constitutional requirements. so this article noted the revolt of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and its prophetic song. There is no doubt that the role of sympathy is great in the formation of the sympathetic field. But it can not be overlooked that such sympathy is constituted by specific public opinions. Above all, I tried to reveal through the song that the way of revealing such public opinions can be more effective than text. In particular, I paid attention to what kind of purpose it was intended to use rather than the content of the song. In other words, I wanted to talk about the formation of community and the way of forming sympathy through the prophetic song. Also, based in this, I tried to reveal what the desires of the contemporaries wanted to form this movement. In conclusion, they became aware of 'people' through Donghak, wanted to reveal it, and tried to live 'humanly' through it. Such desires have singed songs, and they have formed their own communities through singing. The community has struggled with the existing communities and eventually failed, but the emotional experience of forming a community or a sympathy field has not disappeared. 이 글은 참요를 대상으로 공감장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과 그 구성 요건들을 통해 농학농민혁명이라는 봉기를 다시 보고자 하였다. 공감장의 형성에 있어 공감의 역할이 지대하는 점은 두말 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공감이 특정 공론들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으며, 무엇보다도 그런 공론들을 드러내는 방식은 문자라기보다는 노래가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참요를 통해 밝혀보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참요의 문학사회학적 의의를 찾는 것도 이 글의 주요 목적이었다. 특히 노래의 내용보다는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어떠한 목적으로 이용하고자 했는가를 살피는 일에도 주목하였다. 즉, 참요를 통한 공동체의 형성과 나아가 공감장의 형성 방식 등을 말하고자 했던 것이며, 이런 움직임을 형성시키고자 했던 당대인들의 욕망은 무엇이었는지를 밝히는 일이었다. 결론적으로 그들은 동학을 통해 ‘사람[人]’임을 자각했고, 그것을 드러내고 싶어 했으며, 그것을 통해 ‘사람답게’ 살고자 했다. 그런 욕망이 노래를 부르게 했고, 노래를 통해 자신들만의 공동체를 결성하였으며, 그 공동체는 기존 공동체들과의 투쟁을 벌였고, 결국은 실패했지만, 공동체 형성 혹은 공감장의 형성이라는 감성적 경험만큼은 사라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런 경험들이 결국 감성적 근대성의 한 징후라고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징후가 곧 민중에 의한 공감장의 체현과 그 발현에 다름 아니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 몽옥쌍봉연록 >에 나타난 왕조교체의 의미

        장곤 ( Kun Zang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1 No.-

        본고는 왕조교체의 관점으로 <몽옥쌍봉연록>(이하 <몽옥>)의 서사 실현방식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몽옥>은 주인공 장홍이 자신의 나라(안남)에서 왕이 된다는 점에서 여타 왕조교체형 영웅소설과 변별성을 가진다. 그러나 작가는 정치한 서사 방식을 통해 역모로 볼 수 있는 이 왕조교체과정을 ‘세탁’하였으며 왕조교체를 성공시켰다. 첫째, 작가는 주인공 장홍이 천명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설정을 하였고, 둘째,참요에 숨어 있는 트릭을 활용하였으며, 셋째, 임금이 될 수 있는 조건은 민족이나 혈통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정과 왕도의 실현에 있다고 주장한 왕통의 철학사상을 수용하였다. <몽옥>은 비록 안남의 외피를 입고 서사를 전개하였으나 조선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작품임을 고려하면, 결국은 조선을 빗댄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몽옥>은 조선 사람의 왕조 교체의 열망을 담고 있으며 왕조교체의 구체적인 방법까지 제시한 과감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심재의 유민의식은 일제에 대한 제주무장항쟁의 실패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이런 유민의식으로 심재는 조선의 성대했던 기억을 돌아보았다. 제주에 관한 저술은 기존의 시각을 전환하면서 제주에 대한 애정을 담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의 저술은 몇 구절을 제외하고는 조선시대에 국한되어 있는데, 이는 심재저술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narrative ways and the means of <Mongokssanbongeyonrok> on the view of dynasty replacement. <Mongokssanbongeyonrok> is different from the other dynasty replacement hero story, bacause Janghong, the protagonist of this story bacame a king on his Native country. but the write used some thoroughgoing narrative ways to launder the dynasty replacement process that can be viewed as a conspiracy. In the first, the write made an set that Janghong was born with Heaven`s Order. second, took advantage of the tricks that were hiding in the Prophetic Song. third, acceptted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wangtong who assertted the Conditions that could be the king is not in ethnic or bloodline but ``the rule of right``. Although the narrative of <Mongokssanbongeyonrok> was beside in a coat of annam, when we consider the truth that the reader of this novel is joseon dynasty people, we can got some conclusion that this novel is allude to an story of the joseon dynasty. On that account, <Mongokssanbongeyonrok> is a daring novel that included the aspirations of dynasty replacement from Joseon Dynasty people, and presented some ways about how to changing the dynasty.

      • KCI등재

        애니메이션에 사용된 전통문양 연구

        조현지(Joe, Hyun-Je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3

        문양이란 비어있는 표면을 단독적으로, 혹은 반복되어 장식하는 형상을 말한다. 문양은 회화, 건축, 공예 등 시각예술이 쓰이는 영역이라면 어디든 사용 될 수 있다. 현대에도 문양은 전통 문양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현대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한다. 또한 문양은 단순히 여백을 채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는데, 특정 지역권의 문화나 사상 등이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문양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특정한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애니메이션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애니메이션에서 문양은 배경이나 캐릭터의 의상, 소품 등의 표면을 꾸미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캐릭터와 배경, 이야기의 시대적, 공간적 배경 등의 환경을 설명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아일랜드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Cartoon Saloon>에 소속된 애니메이션 감독 톰 무어(Tomm Moore)는 주로 전통설화나 신화를 토대로 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는데, 그 소재와 연관된 문화, 예술적 요소를 작품 연출에 활용한다. 그 중 한 예로 문양을 들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서사와 배경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문양은 배경과 소품에 삽입되어 이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화면이 탄생한다. 톰 무어는 <켈스의 비밀>(Secret of Kells, 2009)과 <바다의 노래>(Song of Sea, 2014)에서는 아일랜드 켈트 문양을,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Kahlil Gibran"s The Prophet, 2014)에 삽입된 단편 애니메이션 <사랑에 대하여>(On Love)에는 이슬람의 기하문양과 식물 문양을 사용했다. 본 논문에서는 톰 무어가 감독 및 연출로 참여한 두 편의 애니메이션 <바다의 노래>(Song of Sea, 2014), 그리고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사랑에 대하여>(Kahlil Gibran"s The Prophet- On Love, 2014) 의 서사와 그 바탕에 깔린 역사, 문화적 배경을 파악하고 그것과 맞물리는 전통문양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이런 전통문양들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분석하고 있다. Pattern refers to singular or repetitive decorative form in a blank surface, Also pattern is not just something to simply fill in the blanks, and has more meanings. Pattern reflects the specific culture or regional feature. So Depending on which pattern to use, creator can give particular of identity. which is generally utilized in visual arts such as painting, architecture, craft, as well as animation. Pattern in animation plays a role of decorating background or surfaces of characters’ outfits or props. And Parttern is effective way to describe the story of the times and space environment of the background. Tomm Moore, an animation director in 〈Cartoon Saloon〉 in Ireland mainly produces animations based on traditional folk stories or myths. He usually utilizes cultural and artistic factors related to the themes in his work production. One example is the insertion of patter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narratives and backgrounds of animations to create profound scenes. Tomm Moore used the Irish Celt pattern in Secret of Kells (2009) and Song of Sea (2014) and Islam geometric pattern and plant pattern in a short nimation named On Love from Kahlil Gibran"s The Prophe (2014).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narratives of these two animations, Song of Sea(2014) and Kahlil Gibran"s The Prophet: On Love (2014) in which Tomm Moore participated as the director and producer, exploring their relevant traditional patterns. Moreover, it also attempts to analyze how these traditional patterns are utilized in the animations.

      • KCI등재

        이조년 시조 작품의 분석과 해석

        임주탁(Yim, Ju-tak)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5 No.-

        이 연구는 14세기 시조의 하나인 이조년 시조 <다정가>의 창작 맥락을 추론하고, 그 맥락에서 함축된 의미를 해석해 보이고자 한 것이다. 특히 모순어법의 사용 의도와 ‘자규’의 관습적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맥락을 추론하였다. 그 결과 ‘다정가’는 작가가 은퇴 후 처음 맞은 봄날 배꽃이 달빛을 받으며 밝게 피어 있던 밤에 절규하는 듯이 울어대는 자규가 군주의 안위와 미래에 대한 불길한 예감을 촉발했던 정서 체험을 바탕으로 창작되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그 맥락에서 한편으로는 중립적인 정치적 입장을 드러내고 다른 한편으로는 군주의 안위와 미래에 대한 불길한 예감과 불길한 상황을 조장할지도 모르는 정치세력에 대한 우호적 · 관용적 태도를 표명한 것이 ‘다정가’라고 해석하였다. 충혜왕이 직면할지 모를 비극적 상황이 초래되지 않기를 바라는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는 점에서 ‘다정가’는 가참(歌讖)으로 수용되었을 가능성도 있어 보였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interpretations of sijo ‘Dajeong-ga’ (多情歌, Song of Warm Heart without Any Worldly Desire) written by Yi Jo-nyeon (李兆年, 1269-1343) and to suggest alternative interpretations. The previous explanation of Dajeong-ga was based on intuitive interpretations or faulty analysis of the materials which were used to identify unified meanings of the context in the text and the meanings of vocabulary which are composed of lingual text. In addition, there existed a misunderstanding of the previous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an interpretation based on the repeated misconceptions have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which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public acceptance.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unified meanings of lingual text which was written by heung (興, one of the three traditional writing methods in the East; describing the situation which aroused poetic inspiration by foregrounding first, and, in sequence, expressing poetic feelings by figurative or bald statements) can only be achieved when creative contexts are restorable, I made external contexts corresponding to internal contexts. The oxymoron in “dajeong do byeong in yang hayeo jam mot deureo hanora ” (phonetic transcription) can reasonably be explained and creative contexts can be induced in order to reveal the conventional meanings of ‘jagyu’ (子規, lesser cuckoo). As a result, it can now be interpreted that at a night with flowers of pears blowing on the first spring after his retirement, Yi Jo-nyeon wrote Dajeong-ga based on his emotional experience, inspired by cries of a lesser cuckoo which triggered a gloomy foreboding for the safety of the King and the future. In the context, the lingual text can have the unified meanings for sure. Additionally, by utilizing oxymoron, on the one hand the writer of Dajeong-ga showed his inner personality and political position. On the other hand, he expressed amicable and tolerant attitudes toward certain political force which might have encouraged ominous presentiment and gloomy situations about the King’s safety and the future. It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reflection of the writer’s intention to wish not to cause tragic situations which the King Chunghae (忠惠王) might confront. From that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hat Dajeong-ga might have been regarded as a prophetic song. I believe that this thesi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writer Yi Jo-nyeon and his Dajeong-ga through the critical altern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towards the previous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 KCI등재후보

        참요(讖謠)의 원의(原義)에 대한 고찰

        김승우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4 No.-

        The meaning of Korean prophetic songs(讖謠)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one is the primary and original meaning among the populace without concern of any historical events while the other is the secondary and ex post facto meaning added by the aristocracy after a certain occurrence usually related to a serious political matter. This paper is aimed at looking into the former - the primary meaning that has been paid less attention to. Several lyrics of Korean prophetic songs were translated and recorded in classical Chinese, but much more were transcribed with Chinese characters borrowed in both their sound and meaning. Therefore, I tried in this paper to confirm the literal significance of each prophetic song by exactly recomposing the original Korean vernacular lyric from its transcriptions or translations and to analyze what features of each song the aristocracy concentrated their attention on. Ayamayo, which has been told to imply the commonality’s prediction of their atrocious king Chunghye’s miserable death on his way to China, can be construed in fact as a short love song expressing the wrench of parting. Namsanyo seems to have had concern with the complaint of the people who were mobilized to build the protective walls of Seoul in the reign of King Taejo rather than with the forecast for influential politicians Jeong Dojeon and Nam Eun’s sudden downfall. Similarly, Sumukmukyo looks like a simple children’s song calling a hawk and mimicking its voice without any political outlooks. Considering its context,Makjwaripyeongyo can be interpreted as a song reflecting Korean common people’s constant desire for a hero of humble birth who is able to emancipate them from the state of slavery instead of their longing for a Chinese general Li Rusong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 Hallym University 참요(讖謠)의 원의(原義)에 대한 고찰 37Besides, Mangmadayo, Usodayo, Chapaljayo, and Hwarojangsayo also seems to have been mere brief folk songs irrelevant to any predictions. In conclusion, when studying the features of prophetic songs, we firstly need to examine their primary and original meaning because only after such a careful examina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asonably review the aristocracy’s interpretations of them. 참요의 의미는, 특정한 역사적 계기와는 관계없이 민중들 사이에서 떠돌던 때의 일차적.본래적 의미와 사건이 발생한 후 식자층에 의해 부여된 이차적.사후적 의미로 분리하여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종래의 연구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졌던 전자의 의미를 해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차자표기 또는 한역의 방식으로 전하는 노래들의 원 형태를 재구함으로써 그 본래 의미를 추정하고, 해당 노래의어떠한 특질이 식자들에 의해 참요적 성격으로 규정되었는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충혜왕에 대한 백성들의 조롱과 저주가 묻어나는 작품으로 일컬어져 온 <아야마요>의 경우, 떠나는 이를 향한 서러운 마음과 하염없는 기약이 원래 가사의 뜻이라 풀이되며, 따라서 <가시리>.<서경별곡>류의 속요와 그 정조가 잇닿아 있다고 논의하였다. 정도전과 남은의 비극적 종말을 예언한 노래로 지목되어 온 <남산요>는 도성 축조에동원된 백성들의 세태비판요이었을 가능성이 높고, 중종의 등극을 선견하였다는 <수묵묵요> 역시 차자표기를 다시 풀어 보면 매를 부르면서 장난을 거는 단순한 유희요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명 제독 이여송의 도하를 예언한 노래로 해석된 <막좌리평요>의 경우, 아기장수설화와 연계되는 특징들이 문면에서 여럿 발견되는 만큼 본래는평민영웅의 출현을 염원한 노래이었으리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그밖에 <망마다요>,<우소다요>, <차팔자요>, <화로장사요> 등도 단순한 신세한탄이나 일상적 사건에 대한 푸념이 담긴 짤막한 노래이었을 것이다. 참요는 대개 백성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불리어 온 노래이자 미래에 대한 선견을나타내는 노래라는 두 가지 의의를 지니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그러한 시각이 언제나적확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때로 참요란 백성들의 노래이기보다는 그것에 의미를부여한 위정자들의 노래에 가깝기도 하고, 민의의 자연스러운 발현이기보다는 민의가* 한림대학교 / e-mail : nakimsw@hanmail.net 6 Journal of Korean Culture 24재해석되거나 과장 또는 훼절된 결과물일 수 있으며, 미래를 선견하기보다는 사건이발생된 이후의 시점에서 그 사건을 추인하는 성격의 노래로 파악해야 할 필요성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참요의 의미를 일차적.본래적 의미와 이차적.사후적 의미로 분리하여 다루어야한다는 본고의 당초 방침은 바로 이 같은 소견에 입각하여 설정된 것이거니와, 전자의의미, 즉 참요의 민요적 원의가 정교하게 분석되지 않고서는 참요의 생성이나 소통과직접 잇닿아 있는 후자의 의미 역시도 온전히 해명되기 어렵다는 점에 유념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바로 그러한 입론을 실제 작품에 적용해 보고자 한 한가지 시도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동요 연구

        김영주(Young-Ju Kim)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2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뿐만 아니라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개인문집, 구비문학 형태로 전승되었던 조선시대 동요를 새롭게 발굴ㆍ해설하는 한편, 기존 동요에 대한 해석의 적합성 여부를 점검하는 데 이차적 목적이 있다. 동요의 이론적 연구는 이은상(1932)이 효시였다. 그러나, 해방 이후 임동권(1961)이 동요를 민요의 특수형태인 참요(예언요)로 정리함으로써 후학들에게 절대적 영향을 끼쳤다. 후속연구자들은 1960년대 초반부터 45년 동안 10여 편의 동요를 새로 발굴하는데 그쳤다. 2006년 한문학자 심경호가 32편, 필자(2011)가 20편의 동요를 새롭게 발굴하였다. 이렇게 발굴된 동요 94편 가운데, 고종조(15건)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정조조(12건), 영조조ㆍ선조조(각11건), 숙종조(10건)의 순이었다. 조선 초기인 성종조까지 거의 없다가, 연산조ㆍ중종조부터 약간 늘어났고 선조조ㆍ광해조ㆍ숙종조에 크게 늘어나 고종조까지 그 기조를 유지했다. 부정적 동요(82편; 88.2%)가 긍정적 동요(11편; 11.8%)를 압도하는 가운데. 군주에 대한 신하들의 반란 관련 동요(23.7%)와 주요인물 평가동요(19.4%)가 44%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정치ㆍ경제제도 등(과거제, 균역법, 부역, 형정 등)에 대한 비판동요, 나라 간의 전란 관련동요, 군주비판 및 궁중암투 비판동요, 신하간의 정쟁 관련동요, 왕위등극ㆍ왕자탄생 관련 동요의 순이었다. 우리나라 한문문헌에는 재이에 관해선 상세히 기록했지만 동요를 적극적으로 채록하진 않았다. 그것은 아마 동요가 특정 지역ㆍ시기에 유행하여 채록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민감한 사안이나 인물에 대해 확인되지 않는 풍문[유언]과 다를 바 없다는 인식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The study attempted to find and comprehend Chosun dynasty’s children’s songs(prophetic ballads) which were handed down in various forms of literature such as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cholar’s personal collections, oral literature, etc. Also, the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songs have been validly interpreted. Lee Eunsang, poet and historian, was the first one to study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academic terms. Lim Dongkweon took the genre into prophetic ballad, which influenced the scholarly body greatly. Since 1961 until 2005, only 10 songs were recovered. Sim Gyungho found 32 songs in 2006, and this work introduced 20 songs more. As result of content analysis, among total 94, 82 songs(88.2%) were negative; 11 songs(11.8%) positive. Negatives included disloyal/demagogy, figure criticism, social criticism, war propaganda, power struggle, fractional strife, etc. The study also discussed several other findings and how the songs could be validly comprehended.

      • KCI등재

        밥 딜런과 미국문학 : `폐허의 거리`에서 떠도는 자의 노래

        정은귀 ( Chung Eun-gwi ) 영미문학연구회 2017 안과 밖 Vol.0 No.42

        As the winner of the 2016 Nobel Prize in Literature, Bob Dylan became a myth that arrived belatedly amid rumors. Revisiting Dylan`s lyrics within the tradition of American poetry, this essay argues that Dylan is a poet who weaved the 1960s American cultural and political issues with poetic languages born in the American grain. How to posit Dylan in the landscape of American poetry is closely connected to the question of reinterpreting the 1960s American cultural ethos. Dylan`s lyrics, as a form of transformation floating on the desolation row, the street where American democracy stumbled, invite readers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ongs and poetry,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His lyrics, at once embracing features of modern poetics in terms of ambiguity, repetition, and fragmentation, echo the voices of American low modernism and counter-culture rooted in Walt Whitman. Above all, the artful authenticity in Dylan`s lyrics highlights his importance as a poet and makes it small wonder why his name is called here and now.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