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와 종교성 그리고 정치적 태도 불교, 개신교, 천주교를 중심으로

        이수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3 동향과 전망 Vol.- No.88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differences of religious affiliation and factors of religiosity influence political attitudes focused on Buddhists, Protestants and Catholics. Believers have more conservative attitudes than non- believers. Buddhists and Protestants are more conservative than Catholics. These results confirm religious affiliation is related with political attitudes. In the case of same religious affiliation, the effects of religiosity on political attitudes have the discrepancies among three religions. The effects of religiosity variables are apparent in Protestants and Catholics and the effects of them are comparatively weak in Buddhists. The religiosity variable in Buddhists is linked to conservative political attitudes. This suggests that the conflicts between Buddhists and Lee government came into view only in the level of the leaders’ tactics for more government’s support. Religiosity variables in Protestants are almost related to conservative attitudes. Especially, ritual activities linked to influence of the clergymen on believers are consistently involved in conservative attitudes. Religiosity variables in Catholics show contradictory effects on political attitudes. Those phenomenon make Catholics keep appropriate distance for political critics. 본 논문은 불교, 개신교, 천주교를 중심으로 종교유형과 종교성의 차이가 정치적 태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종교인들이 비종교인들보다 보수적인 정치태도를 보이고, 불교와 개신교가 천주교와 무종교집단에 비해 더 보수적인 정치태도를 보여 종교 소속이 정치적 태도와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종교적 소속이 동일한 경우, 다른 종교성 변수들의 정치적 태도에 대한 영향에서 종교 간 차이가 존재했다. 의례적 종교 활동, 비의례적 종교 활동, 종교적 신념, 종교적 몰입의 네 가지 종교성 변수들의 정치적 태도에 대한 효과가 개신교와 천주교에서 뚜렷했고 불교에서 가장 약했다. 불교 집단의 종교성 요인들은 보수적 정치태도와 연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명박 정부시기에 두드러졌던 불교와 정부의 충돌은 종교간 경쟁에서 정부를 견인하고자 하는 불교 상층부 차원에 국한된 정치적 태도 변화임을 시사한다. 개신교 집단의 종교성 요인들은 주로 보수적 정치태도에 효력을 보였다. 특히 성직자들의 영향을 반영하는 의례 참여의 보수적 효과가 두드러졌다. 천주교 집단은 의례 참여와 비의례적 활동, 종교적 신념이 정치적 태도에 양면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온건 비판의 정치적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시대의 청소년: 온라인 참여활동이 청소년의 정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손진희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4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10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에서의 활동 참여와 청소년들의 정치효능감, 정치관심 및 정치참여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론/접근: 본 연구는 C도 청소년의 정치참여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요인별 관계는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수가 정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온라인 참여활동이 정치효능감, 정치관심,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결론: 온라인 참여는 청소년들의 정치적 태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별, 연령, 학업 성취도, 주관적 가정 경제 상태, 정치 성향 등의 인구통계적 요인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특히, 여성 청소년, 학업 성취도가 높은 청소년, 진보적 정치 성향을 가진 청소년들이 더 높은 정치적 효능감과 참여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치 교육 및 참여 촉진 프로그램 설계 시 이러한 인구통계적 변수를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며, 온라인 플랫폼과 소셜 미디어가 청소년들이 정치적으로 참여하고 정보를 얻으며 의견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들의 민주적 정치 태도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다양한 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support for the theoretical assumption that engagement in online environments may increase adolescents’ political efficacy,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Methodology: This study utilized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status and activation plans of adolescents in C-do.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e impa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political attitudes was analyzed using t-tests and one-way ANOVA. The influence of online activity participation on political efficacy,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This suggests that online environm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adolescents’ political attitudes. Furthermore, the findings indicate that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grade, socioeconomic status, and political orientation play important roles in shaping adolescents’ political attitudes. Therefore, these variabl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designing political education and engagement programs for adolescents. In addition, online platforms and social media serve as crucial means for adolescents to participate politically, obtain information, and express opinions. Therefore, adolescents’ online engagement should involve recognizing and respecting differences perspective and fostering responsible participation.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s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ducation and various activities to foster democratic political attitudes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Political Attitudes of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and the Task of Social Studies Education

        박정서 ( Jung Suh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1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political attitude of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and discuss the task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on 173 adolescent defectors to identify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trust and factors which may affect their political attitudes. The results found that North Korean migrants show high level of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trust. It indicates that they have ``allegiant`` political orientation where both political efficacy and trust are high. Rather than the initial impact from political socialization in North Korea, political socialization experiences and residence in the South a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political attitudes of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Therefore,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can be well-performed for democratic citizenship i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attitude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 KCI등재후보

        정치적 태도가 정치적 신뢰와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인희,정경희,이호영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0 No.-

        This dissertation is aimed at experiential researches into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political consciousness is a mental operation such as an opinion, criticism, recognition, and sense which leads people to a selection of political behavior as well as a generic term of consciousness, evaluation, and attitude which people have about political phenomena and problems. Because the political consciousness is defined as a feeling to politics, a way of thinking or a viewpoint of objects and symbolic matters can be a background of political behavior, it can be an important measure of watching the development of politics. In this point, the study of the political consciousness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particular, we can watch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of Korea by the study in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by far more important.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this study aims at parts. This study is focused on understanding how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is. For this study, subordinate factors such as political attitude, political trust, participation, democratic civil consciousness and attitude. 본 논문은 한국 대학생들의 정치의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실시한 것이다. 정치의식은 정치적 사상과 정치문제에 대하여 사람들이 가지게 되는 인식, 평가, 태도의 총칭이자, 정치적 행동의 선택으로 인도하는 의견, 비판, 인식, 감각 등의 정신작용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정치의식을 정치에 대한 느낌, 사고방식 또는 정치활동의 배경이 되는 사물이나 상징물에 대한 관점으로 볼 때 그 나라 국민의 정치의식은 그 나라의 정치발전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정치의식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특히 본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대학생의 정치의식은 향우 우리나라 민주정치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본 논문은 정치적으로 무관심하며, 정치의식이 낮다고 평가되어지는 현 한국 대학생들의 정치의식이 어떠한지, 정치의식을 결정하는 하위요소인 정치적 관심도, 정치적 성향, 정치적 효능감, 정치적 신뢰도, 민주시민 의식 및 태도를 가지고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학급 자치활동과 학급풍토에 따른 정치 태도 형성

        황미영 ( Mi Young Hwang ),박성혁 ( Sung Hyeok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3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in the student government activities and classroom climate on the formation of students`` political attitudes. In exploring these questions, I conducted a survey of 357 middle school seniors and verified the result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first, serving as a class officer and participating in a class meeting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political confidence, political trust, and political interest. Second, an open classroom climate fosters students`` political confidence, political trust, and political interest. And the result shows that classroom climate is the most powerful factor in the formation of students`` political attitudes. Third, classroom climate has a modifying effect on the participation in class meetings and class events. In other words, even the same participation in class meetings or class events it has a stronger impact on students`` political attitude in an closed classroom climate than an open classroom climate.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participating experience is essential for citizenship education and creating an open classroom climate is of the utmost significance where students can express their opinions freely and a wide variety of views are respected.

      • KCI등재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홍기(Lee, Hong Gi),박영준(Park, Young Jo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8

        본 연구는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사회에서 경제적 수준에 따라 복지인식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원인을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8차 데이터의 복지인식 부가조사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연구모형의 변인에 대한 결측값이 없는 3,378명이다. 분석방법은 구조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로는 가구의 경제적 수준, 매개변수로는 정치태도와 교육수준, 종속변수로는 복지인식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의 경제적 수준은 복지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가구의 경제적 수준은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구의 경제적 수준과 복지인식 간의 관계에서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은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상의 결과는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복지인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과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을 통해 복지인식이 높다는 점,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을 통해 복지인식이 낮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복지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몇 가지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conomic level of the household impact on the well-being attitudes. And it tried to verify the political attitudes and educational level of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Unlike other countries, depending on the cause economic levels in Korea are being recognized not clearly identified to evaluate through a political attitude and education levels. In this study, being aware of the 8th Korea Welfare Panel data were utilized for additional research questions are analyzed are 3378 people with no missing values for the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ructural model. Economic level of the househol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 parameter is a political attitude and level of education, welfare dependent variable was used to recogniz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level of the household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welfare attitudes. Second, the economic level of househol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olitical attitudes and level of educa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attitudes and levels of education and household welfare level of economic attitudes has had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 is more than the economic level of households do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welfare recognized as being recognized that the higher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through the political attitudes and educational level, the lower level of economic well-being through a political attitude and level of education This recognition can be seen that the low point. Measures to increase attitudes of the Korean welfar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few suggestions.

      • KCI등재

        부산·울산·경남지역 빈곤층의 정치태도와 투표행태

        박병철(Park Byoung-Chul) 21세기정치학회 2006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6 No.2

        This study, base on the result of political consciousness among the poor in 2004 social survey, attempts to identify political attitudes and voting behaviors of the poor in Busan, Ulsan, and South Gyoungnam Province with 2004-2005 interview result. In case of the political consciousness result from 2004 social survey, the level of political interest, efficacy, and trust were comparatively low compare with that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indicate that why the poor has these levels of political attitudes: the poor show political distrust since they still severely suffer from economic strain in the every day life and corruption of politics negatively influences on political disbelief of the poor when current economic situation was not recover yet. The poor show not positive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s such as political donation, and active involvements to political campaigns but passive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s. According to voting behaviors analysis of the poor, we might say that regionalism is still important impact of voting behaviors even though we could find other major influences such as generation and ideology variabl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voting behaviors of the poor is mainly based on irrational and apolitical motivation. Moreover, supporting political party, candidate, and policy were not involved in cognitive or evaluative orientation but affective orientation such as distrust of current government. Final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se types of political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f the poor are reponses of the their economic strain and distrusts of current politics. Therefore, in order to integrate the poor as one of social members, our society need to focus on policy that covers realistic interest for the poor and reform of current political environment.

      • KCI등재

        집단 간 갈등 인지 결정요인 분석

        류재성(Jaesung Ryu) 한국정당학회 2016 한국정당학회보 Vol.15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갈등을 누가, 어느 정도로 심각하게 인지(혹은 평가)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집단 간 갈등의 ‘실체’가 아닌 그에 대한 ‘인지’와 ‘평가’를 중심으로 분석과 논의를 전개한다. 이를 위해 정치적 대상에 대한 인지와 평가에 있어 기본적이며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지적 스키마(schema)로서의 정치이념에 주목한다. 정치이념은 정치행태 및 선거 연구에서 주요 변수로 기능하는 것으로 연구되어왔지만, 그 본성(nature)과 기원(origin)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정치이념은 일종의 ‘자기확신’이며, 개인들은 이러한 자기확신의 과잉과 결핍 사이에서 이념에 ‘대한’ 개인적 태도, 즉 일정한 ‘이념태도’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이념태도는 자기측정(self-placement)으로서의 정치이념과 정책선호의 종합 혹은 요약 간의 ‘관계’로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본 연구는, 과잉적 이념태도를 가진 개인들은 정치엘리트의 이념적 프레임 혹은 정치적 신호에 ‘과도하게’ 이념적으로 반응하며, 더불어 집단 간 갈등에 대해서도 예민하게 인지하고 따라서 갈등 정도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과잉적’ 이념태도를 가진 개인들은 ‘조응적’ 및 ‘중도수렴적’ 이념태도를 가진 개인들에 비해 우리사회의 갈등이 심화된 것으로 인지,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집단 간 갈등에 대한 정치이념의 영향력을 이념태도라는 새로운 개념의 조작화에의해 검증했다는 의미가 있으며, 정치이념의 개인적 ․ 구성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ho recognizes group conflicts more or less seriously in Korea. This research takes the concept of political ideology as a vital scope which is considered cognitive schema that plays pivotal roles in the perceptions and evaluations about political figures and events. Political ideology has been known for a primary variable in the filed of political behavior and election studies. However its nature and origins are barely known. I argue that political ideology is a sort of self-confidence which varies/ranges from vague self-confidence to overt self-confidence. I call this ‘ideological attitudes,’ which are measured by the consistency/inconsistency between ideological self-placement measure and summarized measure of policy preferences. In this research I hypothesize that individuals with overt ideological selfconfidence are likely to ideologically framed respond to political elites’ issue frames or cues and thus they are likely to evaluate group conflicts more seriously and negatively. My analysis shows that individuals with overt ideological attitudes are more than those with moderate-oriented ideological attitudes and those with vague ideological attitudes to evaluate group conflicts more seriously and negatively.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approach to better understand the nature and origins of political ideology through the concept of ideological attitudes.

      • KCI등재

        소비자의 정치적 소비행동과 관련된 영향요인 연구

        박미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2

        정치적 소비는 주로 서구 민주국가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최근 연구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정치적 소비의 척도구성이나 실증적인 연구에 한계점을 가지며, 국내에서도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치적 소비의 수준을 파악하고 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와 영향력 정도를 규 명하는 연구목적을 갖는다. 광범위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독립변수는 인구통계적 특성, 동기(내적동기, 이슈관 심, 소비효능감), 가치(글로벌 친사회성, 보편주의), 정치적 태도(정치적 관심, 정치적 신뢰), 정보활동(정보습 득, 커뮤니케이션, 온라인콘텐츠생산) 변수로 구성하였다. 정치적 소비는 바이콧, 보이콧, 담론적 정치적 소비, 라이프스타일 정치로 분류하여 한국실정에 맞도록 개발된 국내척도를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전국적인 할 당표집 방식의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소비의 전반적 수준은 전체 평균이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소비의 영역별 평균점수는 보이콧, 바이콧, 담론적 정치적 소비, 라이프스타일 정치의 순이었다. 둘째, 인 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정치적 소비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면, 바이콧, 보이콧은 모든 변수들이 집단 간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였다. 담론적 정치적 소비는 학력, 직업이, 라이프스타일 정치에는 결혼여부, 학력, 직업이 유의미 한 평균차이를 보였다. 셋째, 정치적 소비의 각 영역들은 어떤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영향력은 어떠 한지를 알아보았다. 전체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 요인은 영향력이 높지 않았고 동기, 가치, 정치적 태도, 정보활 동 관련변수들에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모든 정치적 소비 영역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사회적 동일시 동기, 온라인콘텐츠 생산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글로벌 사회에서 소비문제 인식 감수 성을 높이고 소비자주권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분석에서 유의한 영향변수로 나타난 동기의 활성화와 가치 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상호간의 연결과 유대를 중시하는 사회적 동일시 동기와 온라인콘텐츠 생산이 정치적 소비의 전 영역에 유의한 영향변수로 나타난 결과는 SNS가 성장하는 최근의 추세에서 이의 활용 이 정치적 소비의 성장에 주는 함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개인화된 책임수용으로도 언급되는 정치적 소비는 정 치의 대체라기보다 보완적인 측면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가버넌스가 필요하다. 끝으로 정부, 기업, 시민사회, 소비자등의 이해당사자에 대한 제언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The political consumption is mainly found in Western democracies, and recentl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its study. However, prior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e scale of the political consumption and empirical research, and there's little research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and identifying the related variable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political consumption. Based on the extensive previous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nsisted of demographic factors, motivations (intrinsic motivation, issue concerns, consumption efficacy), values(global prosociality, universalism), political attitudes(political interest, political trust), and information activities(information acquisition, communication, online content production). The political consumption was based on the existing scale which was categorized into buycott, boycott,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nd lifestyle politics. As a research method,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nationwide quota sampling, and data was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was above average. The average scores for each area of political consumption were high in the order of boycott, buycott,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nd lifestyle politics.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l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buycott and boycott. The variables of education and occupation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dditionally, variables of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occupation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lifestyle politics. Thir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political consumption and their effect on it were examined. Overall, the demographic variables did not appear to be highly influential, but the related variables of motivation, value, political attitude, and information activity were highly influential. Both social-identification motivation and online content production wer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areas of political consump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consumption problem in the global society, and to strengthen consumer sovereignty and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motivations and cultivate the values, whic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analysis. In particular, if it is considered that social-identification motivation which is focused on mutual connection and online content production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areas of political consumption, the utilization of SNS have a big implication to the growth of political consumption with the recent trend of SNS growth. Political consumption, also referred to as individualized responsibilitytaking can be viewed as a complementary aspect rather than a substitute for politics, and various governances are required for political consumption. Finally, it suggested the proposals for stakeholders such as the government, business, civil society, and consumers,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that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정치이념과 친환경 태도: 정치이념의 다차원성을 중심으로

        이서영,박영득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4 현대정치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한국인의 친환경 태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정치이념의 다차원성을 중심으로 분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이 세계 전 지역에서 나타나고 그로 인한 환경재난과 사회경제적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정책 을 확대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효과적인 정책집행을 위해서는 어떤 요인들이 시민들의 친환경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정치적으로 진보적인 사람이 보수적인 사람보다 환경친화적이라는 주장이 다수 존재하는데, 본 연구는 한국의 분단 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보수주의 정치이념을 경제와 북한에 대한 태도로 구체화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진보와 보수의 단일한 이념적 스펙트럼으로 정의된 정치이념과 경제에 대한 태도는 친환경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주지 않고, 북한을 위협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협력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사람보다 환경문제를 위해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plores the factors determining the green attitud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multidimensionality of political ideology.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heatwaves, floods, and droughts due to climate change are occurring worldwide, leading to environmental disasters and increasing socio-economic damage, the government needs to expand and implement policies to address climate change.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citizens’ green attitudes. This research analyzes the conservative political ideology by specifying it in terms of attitudes towards the economy and North Korea, taking into account the uniqueness of division of Korea. We find that attitudes towards the economy and political ideology defined along a single ideological spectrum of progressivism and conservatism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green attitudes. Instead, our finding reveals that people who perceive North Korea as a threat are less willing to pay for environmental issues than those who perceive it as a partner for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