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획된 우연 역량의 개념화와 진로상담으로의 도입을 위한 델파이 연구

        장진이,천영민,홍원경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nceptualize planned happenstance competency and to present content domain of career counseling that enables to promote planned happenstance competencies. For these purpose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4 experts on career counseling were interviewed. The Delphi method was used three times to drive a consensus among 29 delphi panels composed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and counseling professors. The importance and validity of the final competencies and content domains were obtained after three times delphi and the practice of content domains of promoting planned happenstance were obtained after third delphi. In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goodness of fit test, in the third session goodness of fit test,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examined and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Lawsh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planned happenstance competency consisted of 19 elements including ‘openness to experience’, ‘meaning-making to experience and self-integration’, ‘accept possibility of failure’, ‘ability to introspection’, ‘ability to emotion-regulation’, ‘endless challenge’. The content domain of promoting planned happenstance competency consisted of 14 elements included ‘meaning-making to experience related to career’, ‘making career choices and adapting to career in trial and error’, ‘positive attitude towards happenstance’, ‘seeking object for modeling and empowering themselv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 of following research and the ways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the method in actual counseling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 계획된 우연 역량을 개념화하고 계획된 우연 역량을 촉진할 수 있는 진로상담의 내용영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계획된 우연 역량의 하위요소를 탐색하고 진로상담에서 포괄해야 하는 내용영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델파이 방법(Delphi-method)을 사용하였다. 계획된 우연과 진로상담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직 진로진학상담교사와 상담심리전문가 각각 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을 토대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진로진학상담교사와 상담심리전문가 등 총 29명의 델파이 연구 참여자를 구성하여 3차에 걸쳐 설문조사한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1차와 2차에서 적합도, 3차에서는 적합도와 중요도, 실행도를 조사하고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 CVR값을 산출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계획된 우연 역량의 하위요소로 경험의 개방성, 경험의 의미화와 자기통합, 실패가능성의 수용, 자기성찰 능력, 정서조절 능력, 끝없는 도전의식 등 총 19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계획된 우연 역량을 촉진할 수 있는 진로상담의 내용영역으로는 진로 관련 경험의 의미화, 진로 선택과 적응에서의 시행착오 격려, 우연적 사건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 모델링 대상 및 긍정적지지 대상 찾기 등 총 14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에 대한 함의와 상담 장면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결정에 있어서 메타인지, 정서조절곤란과 계획된 우연기술과의 관계 분석

        이영미(YoungMi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우연기술과 메타인지 및 정서조절곤란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46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계획된 우연기술, 메타인지, 정서조절 곤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진로결정과 관련된 계획된 우연기술과 메타인지 및 정서조절곤란과 각 변인의 하위요소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이 계획된 우연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메타인지와 정서조절곤란 모두 계획된 우연기술을 의미 있게 예측하고 있었으며 메타인지 하위요인 중 정교화, 비판적 사고, 시연 전략이 계획된 우연기술을 유의한 수준으로 예측하였으며,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에서는 정서에 대한 주의와 자각의 부족,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접근제한,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이 계획된 우연기술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은 계획된 우연기술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생들의 합리적인 진로결정을 목적으로 계획된 우연기술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메타인지전략과 정서적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진로정보 조절, 관리 및 활용에 대한 메타인지 전략 학습법 제공과 진로 불안감 해소를 위한 지속적인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 지원체제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metacogniti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lanned happenstance. 460 student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s consists of metacognition scale(MSLQ), emotional dysregulation scale(DERS) and planned happenstance scal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cluding sub domain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lanned happenstance. Second, in the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tacogni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had a meaningful positive/negative relationship to the planned happenstance. Specially in the aspect of the sub domains of the metacognition, e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rehearsal strategies had greater effects on their planned happenstance. Also, lack of emotional awareness,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nonacceptance of emotional responses, the sub-domains of emotional dysregulation, had greater effects on their planned happenstance. The study showed the important of the metacognition strategies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planned happenstance for the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lanned happenstance should be applied to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by using the metacognition strategies and emotional stability. Also,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counselling systems which are included control, management, application the career information and career counselling for the career anxiety reduction are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직업상담사의 직업선택과정에서 ‘계획된 우연’의 역할

        안윤정,오현주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4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planned happencetance’ in the process of choosing vocational counselor by qualitative research. This was intended to overcome the limit of traditional career counselling theories which have placed emphasis on rational choice and look into the context through the happenstance learning theory. Because vocational counselor has not shown the vision and information, the role of happencetance might be huge. Fifteen vocational counselors who entered the field in the beginning were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 ‘Planned happenstance’ affected their career in choosing the job and the patterns were unexpected information collection, accidental training through media and significant others, unexpected condition and personal change. In the process of changing planned happencetance to chance, many kinds of skills such as curiosity, persistence, flexibility, optimism, risk-taking were found. Some participants interpreted the planned happenstance as positive or negative aspec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empirically shows the important role of planned happencetance in choosing the new job. 본 연구는 직업상담사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계획된 우연’의 역할을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합리적이고 이성적 선택을 강조하는 진로상담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진로결정과정에서의 요인을 우연 학습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직업상담사 제도가 도입되면서 직업에 대한 정보와 비전 등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계획된 우연’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상담사라는 자격증이 신설되고 비슷한 직무가 생성되는 초기에 진입했던 직업상담사 15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우연적 사건으로 직업상담사를 선택하였고 그 요인은 사람과 매체를 통한 우연한 정보수집, 계획하지 않았던 교육, 예상치 못한 환경과 개인상황 변화 등으로 분석되었다. 그 과정에서 우연을 기회로 활용하는 데 유용한 기술인 낙관성, 유연성, 호기심, 위험감수, 인내심 등이 직업선택과정에서 나타났다. 또한, 우연을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의미화하는 맥락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진로선택과정에서 ‘계획된 우연’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부모 진로지지, 진로미결정 군집 유형에 따른 계획된 우연 역량

        장진이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natural groupings of people in term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parent's career supports and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and their differences in undergraduate's planned happenstance. 337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cluster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parent's career supports and career indecision divided students into such sub-groups as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very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decision and very well enduring uncertainty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d indecision and very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tudent’s planned happenstance among these groups. Particularly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decision and very well enduring uncertainty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very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indecision and very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d there’s difference between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d indecision and very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Post-hoc testing showed that the level of planned happenstance was highest in decision and very well enduring uncertainty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This results suggested that it's important to inquiry planned happenstance associated with diverse career-related variables. Implication for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and vocation counseling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부모 진로지지, 진로미결정 수준에 따라 어떠한 자연발생적인 하위집단이 형성되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하위집단별로 계획된 우연 역량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 33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높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못견디는’집단, ‘매우 낮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못견디는’집단, ‘높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잘 견디는 결정’집단, ‘낮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매우 못견디는 미결정’집단 등 총 4개의 하위집단이 형성되었다. 또한 각 집단별로 계획된 우연 역량에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높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잘 견디는 결정’집단에서 계획된 우연 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못견디는’집단과‘낮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매우 못견디는 미결정’집단 간에도 계획된 우연 역량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부모 진로지지, 진로미결정 등 진로 관련 변인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하위집단이 존재하며, 이러한 집단에 따라 계획된 우연 역량에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계획된 우연’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 -심리·신체적 건강문제를 경험한 2030대를 중심으로 한 상담코칭적 접근

        김해찬(Hea Chan Kim),유영은(Young Eun Yoo),이지성(Ji Soeng Lee),김유천(Yu Cheon Kim)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1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3 No.1

        본 연구는 커리어 탐색에 있어 중요한 시기임에도 심리 신체적 문제로 인해 원활한 커리어 탐색에 어려움을 겪는 20,30세대를 대상으로 개발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으로, 계획된 우연 이론을 기반으로 상담과 코칭을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은 총 6회기로 구성하였다.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계획된 우연 이론을 참가자로 하여금 이해하고 앞으로의 우연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한 태도를 만드는 과정이다. 둘째,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이지만 상담적 요소를 추가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일반적인 교수 체제 설계의 ADDIE 모형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으며, 코칭의 GROW 모델을 이용한 일련의 과정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은 심리 신체적 건강 문제를 이겨내고 새로운 커리어를 만들어가는 대상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개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효과성 검증에 대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통해서 20,30세대의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고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향후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career coaching program developed for the 20th and 30th generations who have difficulty in smooth career exploration due to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blems, even though it is an important time for career search. The program was composed by combining counseling and coaching based on the planned happenstance theory. The career coaching program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6 session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e process of creating an attitude for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planned happenstance theory and actively accept future coincidences. Second, a counseling element was added to the career coaching program. Third,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focused on the ADDIE model of general teaching system design, and it has a series of processes that use the GROW model. In this study, the career coaching program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targets who overcom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and create a new career. However, the program of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verifying effectiveness. Therefore, if this program establishes the theoretical basis for career coaching programs for the 20s and 30, and in-depth research is conducted, it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career coaching programs in the future.

      • KCI등재

        고숙련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일터에서의 성장과 학습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재순,강예지,장원섭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5

        이 연구는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일하는 고숙련 개발자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그들이 어떻게 일터에서 진입하며, 실력을 쌓고, 배우고 가르치는지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숙련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계획된 우연’에 의해 일터에 진입한 후, 자기주도적 학습과 철저한 자기 관리를 통해 일의 내적 확장을 도모하였다. 고숙련 개발자의 학습은 주로 독학 또는 동료 개발자와 형성되는 느슨한 학습 관계망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들은 서적이나 웹사이트에 공개된 자료를 통해 학습하기도 했지만, 주로 일하는 과정 속에서 다른 개발자들이 개발해놓은 여러 원자료를 쓰임새 있게 가공하여 자신만의 방법으로 발전시키는 방식을 통해 학습하였다. 이러한 학습은 재미와 희열이라는 강한 내적 동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이는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느끼는 안정된 감정을 경계하면서 늘 새로운 긴장감을 가지기 위한 자기노력이기도 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의 지위가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개발자’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고숙련자로서 그들은 일의 전 과정을 인지하는 직관과 통찰력을 가졌고, 자신의 기술을 습득할 후학 양성에 힘쓰며, 더불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 전체에 기여하고 싶다는 국가관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특징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사례를 통해 그들이 일터에 입문하여 고숙련자로 성장하고, 배우고, 가르치는 현상과 과정을 드러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how highly-skilled software developers enter workplace, learn skills, and build developmental network. As the results, highly-skilled software developers enter the workplace by ‘planned happenstance’, then do self-directed learning, and grow under rigorous self-management. Such internal expansion was fulfilled by self-study and loose networking with other developers. They sometimes study with books or manuals on websites, but mostly they developed skills in the workplace by manipulating raw data on the web to make programming codes they ne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was performed by strong internal motivation such as ‘fun’. This is the efforts to keep tensions, getting away from feeling stable on the current work. As time goes, even when they are promoted to senior manager or CEO, they still want to keep the identity as IT developers. As highly-skilled workers, they also have insight and intuition about the entire process of the works, want to help the juniors grow, and hop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oftware industry.

      • KCI등재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박완성(Park, wan-sung),김미숙(Kim, mi-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 진로탄력성이 어떤 상관이 있는지,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대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부터 5월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각 변인들의 상호관련성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계획된 우연,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 진로신념, 진로탄력성의 세 변인간의 모두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계획된 우연이 진로신념보다 진로탄력성을 예측하는데 더 큰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 변인들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계획된 우연에서는 낙관성과 인내심이 진로신념에서는 내적가치와 명확성이 진로탄력성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에서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을 합리적으로 전환하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the career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belief of university students, and how the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belief affect career resili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5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based four-year universities from April to May 2019.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nd effects of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belief on career resilience for the inter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The study found that, first, all three variations of planned happenstance, career myth and career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static correlation Second, the mid-to-long-circulation analysis shows that planned happenstance have greater influence in predicting career resilience than career belief. Third, looking at each of the sub components of the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myth variation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resilience, it was found that optimism and patience in planned Happenstance were variables that predicted the intrinsic value and clarity of career resilience significantly in career belief.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flexi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career path, they need to help them rationally transform their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beliefs from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 KCI등재

        후기 청소년의 인지양식 및 진로정체감 지위와 계획된 우연기술과의 관계

        주은미 ( Eun Mi Joo ),한상철 ( Sang Chul Han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 대학생의 인지양식 및 진로정체감 지위와 계획된 우연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후기 청소년의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과 VISA 모형에 근거한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계획된 우연기술의 차이를 검증하고, 그리고 인지양식과 진로정체감 지위 간 상호작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K광역자치단체 소재 4년제 대학생 210명이며, 자료처리 대상은 193명이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도구의 신뢰도 검증과 빈도분석, 군집분석,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우연기술은 인지양식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다. 즉, 계획된 우연기술은 인지양식 충동성과 효율성 집단이 사려성 집단보다 의미있게 더 높다. 둘째,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정체감 지위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다. 즉, 성취, 탐색유예, 미분화 지위 집단은 유예, 유실, 혼미 지위 집단보다 계획된 우연기술이 의미있게 더 높다. 셋째, 계획된 우연기술은 인지양식과 진로정체감 지위 간에 상호작용 경향성이 있다. 즉, 유예 지위에서는 사려성이 충동성보다 더 높고, 성취, 탐색유예, 유실, 혼미 지위에서는 충동성이 사려성보다 더 높은 경향성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후기 청소년의 인지양식과 진로정체감 지위가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인지양식과 진로정체감 지위의 개인차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후기 청소년의 진로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인지양식과 정체감 지위와 같은 개인차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gnitive style,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f late adolescents. In particular, it aims to examine how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 can be affected by different cognitive styles of reflectivity and impulsivity and 6 types of vocational identity status based on the VISA model. and also look 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gnitive styles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The subjects are total 210 late adolescents of the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sangbuk-do and data of 193 late adolescents are analysed. The measurement tools are the MFFT (Matching Familar Figures Test) developed by Kagan(1965), the VISA(Vocation Identity Status Assessment) developed and revised by Porfeli, et als (2011), the PHCI(Planned Happenstance Career Inventory) developed by Kim et als (2014). For data analysis, the two-way ANOVA are appli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reflectivity and impulsivity of cognitive styles. It is shown that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re higher in impulsivity and efficiency groups than the reflectivity group. Secon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differ between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In the moratorium status, the reflectivity is higher than the impulsivity whereas in the achievement, search moratorium, foreclose, and diffuse statuses, the impulsivity is higher than the reflectivity. Thir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ve a tendency of interaction between cognitive style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 The impulsivity is higher than reflectivity in the achievement and search moratorium statuses while the reflectivity is higher than impulsivity in the moratorium, foreclose, and diffuse status. The aforesaid results suggest that the cognitive style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 of late adolescents have an influence o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addition, individual differences should be reflected actively when programs are designed, considering that each individual has a different cognitive style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

      • KCI등재

        비서전공 대학생의 소명의식이 진로적응성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심

        한주원 한국비서학회 201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career adapt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r college students in secretarial majo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alling o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adapt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rough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e examined whether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professors had a moderating effec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secretary major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and 190 cop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validated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ll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adapt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career adaptability and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lling an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controlled by the professor's support.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high teaching support had a greater effect o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an the low group. Based on the above findings, educational strategies to promote career calling and to develop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o cope with uncertain future situations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successful college life adjustment and career adaptation to the future work world. 본 연구에서는 비서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적응성 및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고자 한다. 대학생의 소명의식이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적응성,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소명의식이 계획된 우연기술을 매개하여 진로적응성과 대학생활적응에 연결되는 관계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소명의식과 계획된 우연기술의 관계에서 사회적 변인인 부모나 교수의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수도권 지역의 비서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19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변인간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변인간 관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이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적응성, 대학생활적응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명의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명의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명의식과 계획된 우연기술의 관계를 교수지지가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교수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소명의식이 계획된 우연기술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전략을 모색하고 불확실한 미래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계획된 우연기술을 개발시킨다면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은 물론 미래 직업세계에 대한 진로적응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한민영,오은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the mediation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edness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social suppor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validation analysis of the model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ng model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the research model was more appropriate than the competing model.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ediated effect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completely mediate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d a dual mediating effect in mediat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