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명수행 의식, 삶의 의미, 일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

        장진이,이지연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a multi-dimensional hypothetical model which the mediating role of living a calling, life meaning, work meaning and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 of perceiving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dult workers. The respondents were 128 male and female adult workers(out of 150)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In accordance with previous research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examined the hypotheses. As the result, the second alternative model was selected. This study found that perceiving a call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work meaning, life meaning, living a calling. Also, perceiving a calling indirectly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through living a calling, work meaning and ultimately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indirectly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life meaning. These result have implication for working with adults who feel able to increase their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living out a calling in the work domain so that enhanced job satisfaction, work meaning, life meaning and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might result. The current finding provide important empirical contributions that might guide continued research and improved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and vocation counseling. 본 연구는 일반 성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소명수행 의식, 삶의 의미, 일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총 150부를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128부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모형과 경쟁 모형 2개를 비교 검증한 결과, 경쟁모형 2가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이에 따르면 소명의식은 삶의 의미, 일의 의미, 소명수행 의식 모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소명수행 의식과 일의 의미를 통해 직업 만족에 영향을 미쳤고,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 밖에 소명의식은 삶의 의미를 통해서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성인 직장인이 자신의 소명을 의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뿐 아니라 자신의 현재 일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직업 만족 수준을 높이고, 소명을 기반으로 삶의 의미를 구축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소명을 의식하고 적극적으로 삶과 일에 의미를 부여하고 소명수행 수준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다양한 상담 전략의 모색과 이를 경험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진로낙관성, 외적 진로장벽에 따른 군집 유형별 진로준비행동

        장진이(張眞伊)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진로낙관성, 외적 진로장벽 수준의 조합에 따라 어떠한 하위 집단이 형성되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집단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 지역 4년제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2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정성에 대한 신뢰형, 진로에 대한 낙관형, 진로장벽을 경험하는 불신형, 진로장벽을 경험하는 비관형 등 총 4개의 하위 유형이 형성되었다. 각 하위 유형별로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핀 결과, 공정성에 대한 신뢰형과 진로에 대한 낙관형이 진로장벽을 경험하는 불신형과 진로장벽을 경험하는 비관형보다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았다. 이는 정당한 세상에 대한 신뢰 여부뿐 아니라 개인의 내적 변인으로서 진로에 대한 낙관성 수준, 사회환경적 요인으로서 외적 진로장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하위 유형을 평가하고,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상담적 개입을 해나가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불황과 불공정 이슈등 사회환경적 제약 속에서 진로를 개척해 나가야 하는 대학생의 진로상담에서 진로준비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초점화해야 할 변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강조하고,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atural groupings in terms of undergraduate’s belief in a just world, career optimism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and their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220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in Daegu and Gyeongsang province area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 cluster divided participants into such sub-groups as type of trust in fairness, type of optimistic, type of distrust in fairness with career barriers and type of pessimistic with career barrie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these sub-types. Post-hoc testing showed that type of trust in fairness and type of optimistic were higher in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type of distrust in fairnes with career barriers and type of pessimistic with career barri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n the case conceptualiza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cusing on belief in a just world, career optimism, extern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undergraduat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장진이,안현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2

        If human beings have experienced repeatedly psychological trauma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ross their life span, their basic self-system could be disrupted.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leads to significant disruption in individual's self-system,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caused by simple trauma or single event interpersonal trauma. The Traumatized Self-System Scale(TSS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e first study. In the following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airments of self-consistency, self-integration,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were found between participants experiencing repetitive interpersonal trauma and those experiencing other trauma. Such results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assess and adopt distinct intervention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terpersonal trauma in order to recover a self-system effective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中級日本語学習者の推敲作文における結束性の分析

        張珍華(장진화) 동아시아일본학회 2012 일본문화연구 Vol.42 No.-

        본 논문은 중급레벨의 ‘종합활동형 일본어교육’의 교실활동을 대상으로 일본어 학습자의 작문을 ‘결속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종합활동형 일본어교육’은 교사에 의한 첨삭이나 일본어 학습자가 작성한 문장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보다는 작문의 내용을 읽는 사람과 쓴 사람이 함께 이해하기 위한 인터엑션이 중심이 되는 교육활동이다. 본고는 이러한 교육활동이 일본어 학습자의 문장 표현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특히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문장의 이해를 돕는 ‘결속성’에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를 보기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장의 ‘결속성’은 독자가 이해하기 쉬운 문장을 쓰기 위한 문법적, 어휘적 조건 중의 하나이며,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도 일본어 학습자에게 ‘결속성’을 의식하게 하는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완성된 작문에 대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학습자 Y의 세 번에 걸친 퇴고 작문을 대상으로 ‘결속성’을 구성하는 요소인 ‘지시’, ‘치환 또는 생략’, ‘동일어구의 반복’, ‘유의어, 상하 위어 등의 관련어구’, ‘접속사 또는 부사’의 사용률과 그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결속성’을 높이는 표현이 많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동일어구의 반복’의 사용률이 줄어든 반면에 ‘치환 또는 생략’과 ‘관련어구’, ‘지시’표현이 늘어 난 것을 알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문장표현에 관한 연구가 아직 미흡한 ‘종합활동형 일본어교육’의 유효성과 더불어, 작문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인터엑션의 중요성을 일본어 교육활동에 시사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부모진로지지, 특성불안, 계획된우연역량에 따른 군집 유형별 진로결정 수준의 차이

        장진이(張眞伊),이지연(李之連)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 진로지지, 특성불안, 계획된 우연 역량 수준에 따라 어떠한 자연발생적인 하위집단이 형성되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하위집단별로 진로결정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 33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기회 확신’ 집단, ‘안정’ 집단, ‘불안’ 집단, ‘의지할 데 없는 불안’ 집단 등 총 4개의 하위집단이 형성되었다. 또한 각 하위집단별로 진로결정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안정’ 집단에서 진로결정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지할 데 없는 불안’ 집단에서 진로결정 수준이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 진로 지지 외에 특성불안, 계획된 우연 역량 등 개인의 내적 특성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하위집단이 존재하며, 이러한 집단에 따라 진로결정 수준이 다름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 대상의 진로상담에서 어느 하위집단에 속하는지에 대한 평가와 이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natural groupings of people in terms of parent"s career supports, trait anxiety and planned happenstance, and their differences in undergraduate"s level of career decision. 400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and 333 were analyzed. The cluster of parent"s career supports, trait anxiety and planned happenstance divided students into such sub-groups as a planned happenstance with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high level of planned happenstance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xious and low level of planned happenstance with parent supports group, and very anxious with very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tudent’s level of career decision among these groups. Particularily there were big differences between high level of planned happenstance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d very anxious with very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Post-hoc testing showed that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was highest in high level of planned happenstance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This results suggested that it"s important to identify these groups and try to seek the intervention to experdite undergraduate"s career decision. Implication for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and vocation counse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 정서조절 어려움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장진이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interven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with career indecision. For tha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400 undergraduate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and data from 337 students analyz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rogram SPSS PROCESS Macro and AMOS 21.0.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experiential avoidanc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career indecision. Results also reveale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er indecision an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However, experiential avoidance sup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It is possible that experiential avoidance can reduce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career indecision. Implication for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and vocation counseling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진로미결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 변인들 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337명의 자료가 SPSS PROCESS Macro와 Amos를 통해 분석되었다. 모든 변인들 사이에 정적 관련성이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회피와 정서조절 어려움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 어려움은 부분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단, 경험회피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억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이는 경험회피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축소시키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및 직업 상담에서의 효과적인 개입 전략과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インターアクションによる「書くべき內容」への気付きと推敲過程の実際

        張珍華(장진화) 동아시아일본학회 2010 일본문화연구 Vol.35 No.-

        인터액션을 중시하는 커뮤니커티브 어프로치는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도 넓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동시에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작문교육 분야에 있어서, 학습자간의 인터액션을 통해 작문을 고쳐나가는 교실활동(Peer Response)이 도입되면서, 교사의 힘에 치중되어 온 작문교육의 방식이 크게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중급레벨 학습자의 경우, 작문의 내용보다는 어휘나 문법을 중심으로 한 인터액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어떻게 하면 내용을 중심으로 한 학습자간의 인터액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가가 중급레벨의 일본어 작문교육의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교실활동의 참가자들간의 인터액션이 학습자의 작문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인터액션이 학습자가 어휘나 문법보다 내용에 치중한 작문수정을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해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대상은 와세다대학에서 실시한 중급 일본어 학습자의 교실활동이며, 학습자가 제출한 작문과 작문을 검토한 토론 기록을 녹음 후 문자화한 것이다. 분석 결과, 교실활동중의 인터액션은, 학습자가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고, 또한 구체화 하기위한 것임을 알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인터액션을 거듭해 감으로써 학습자는 어휘나 문법보다 작문의 전체적 내용에 촛점을 둘 수 있다는 것도 명확히 보여졌다.

      • KCI등재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부모 진로지지, 진로미결정 군집 유형에 따른 계획된 우연 역량

        장진이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natural groupings of people in term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parent's career supports and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and their differences in undergraduate's planned happenstance. 337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cluster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parent's career supports and career indecision divided students into such sub-groups as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very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decision and very well enduring uncertainty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d indecision and very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tudent’s planned happenstance among these groups. Particularly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decision and very well enduring uncertainty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very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indecision and very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d there’s difference between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and indecision and very not enduring uncertainty with low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Post-hoc testing showed that the level of planned happenstance was highest in decision and very well enduring uncertainty with high level of parent supports group. This results suggested that it's important to inquiry planned happenstance associated with diverse career-related variables. Implication for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and vocation counseling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부모 진로지지, 진로미결정 수준에 따라 어떠한 자연발생적인 하위집단이 형성되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하위집단별로 계획된 우연 역량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 33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높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못견디는’집단, ‘매우 낮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못견디는’집단, ‘높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잘 견디는 결정’집단, ‘낮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매우 못견디는 미결정’집단 등 총 4개의 하위집단이 형성되었다. 또한 각 집단별로 계획된 우연 역량에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높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잘 견디는 결정’집단에서 계획된 우연 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못견디는’집단과‘낮은 지지 속 불확실성을 매우 못견디는 미결정’집단 간에도 계획된 우연 역량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부모 진로지지, 진로미결정 등 진로 관련 변인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하위집단이 존재하며, 이러한 집단에 따라 계획된 우연 역량에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