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평화·통일교육의 방향과 인천시의 역할

        오기성 (재) 인천연구원 2019 도시연구 Vol.- No.16

        이 논문은 통일환경 변화에 따라 평화·통일교육의 방향 및 핵심역량을 정립하고 교육의 발전을 위한 인천시의 역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첫째, 최근 형성되고 있는 통일환경과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제시된 평화·통일교육의 개념 및 방향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평화·통일교육은 평화에 기반하여 통일을 이루고 통일 이후 평화로운 삶을일구어가기 위해 필요한 지식, 가치관 및 태도, 실천능력을 기르는 교육으로 규정하고 그 특징을 규명하였다. 둘째, 평화·통일교육이 추구해야 할핵심역량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는 핵심역량으로 평화·통일 감수성 역량, 평화문화 형성 역량, 북한·통일 탐구 역량, 통일평화 구축 역량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평화·통일교육에 대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인천시가 지역의 학교 평화·통일교육 진흥을 위해 해야 할 역할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삶 속에서 관계맺음을 위한 평화·통일교육, 평화·통일감수성 증진을 위한 체험학습의 장 조성, 인천시 차원의 평화·통일교육에 대한 사회적 합의, 평화문화 형성역량 및 통일평화 구축 역량 증진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core competencies of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and consider the rol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The paper first sought to explore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s defined as education for developing knowledge, values, attitudes, and practical abilities to achieve unification based on peace, enabling one to lead a strife-free life thereafter. First, this paper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Second, it presents key competencies, such as peace and unification sensitivity, competency to form a peace culture, competency to explore North Korea and unification, and competency to achieve unification and peace.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role that Incheon City should play in promoting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s in the region.

      • KCI등재

        평화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의 탐색

        박보영(Park, Bo-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1

        본 연구는 전지구적인 비평화의 시기에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의 삶을 살리기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서 평화교육을 실천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화교육은 ‘인간 삶의 중층적인 관계에서 서로를 살리는 관계를 형성하는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으로 정의되었다. 평화역량은 ‘인간이 삶을 경험하는 네 가지 차원에서 서로를 살리는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평화를 창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연구자는 평화역량의 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을 평화에 대한 교육, 평화를 통한 교육, 교육의 본질 회복을 통한 평화역량의 강화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평화에 대한 교육이란 평화와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를 가르치는 교육을 의미하며, 평화를 통한 교육이란 교육의 방법, 교육적 관계 등 교육의 잠재적인 측면을 통해 평화를 가르치는 것이다. 교육의 본질 회복을 통한 평화역량의 강화는 평화를 의식하지 않더라도 교육을 그 본질에 합당하게 실현함으로써 심층적인 평화역량의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 to build peace competency as an educational solution to the problem of global violence era. In this article, peace education was defined as “the educational practice to build competencies to help the life activity through the various levels of relationship.” Peace competency was defined as the ability to create peace through the four levels of our daily life relationship. The researcher suggested three ways of building peace competency, and those were education about peace, education through peace, and peace education through pursuing the essence of education itself. Education about peace is the peace education in which we teach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related with peace. Education through peace is the peace education in which we build peace competency through the latent aspects of education such as educational methods, relationship, and climates. Peace education through pursuing the essence of education itself is the indirect peace education through reflecting our educational practice in the perspectives of peace although we don’t emphasize peace apparently.

      • KCI등재

        세계평화의 섬 제주의 미래 비전: 평화문화 확산의 관점에서

        변종헌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7 평화학연구 Vol.18 No.3

        이 글은 제주의 세계평화의 섬 추진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기반으로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평화문화 확산의 관점에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주의 세계평화의 섬 추진 계획은 제주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한반도와 동북아 역내의 평화와 번영을 증진하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05년 세계평화의 섬 지정 이후 제주 사회는 평화의 의미와 ‘세계평화의 섬’의 실체를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개진되면서 갈등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평화의 섬의 추진 과정을 되돌아보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전향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세계평화의 섬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평화를 위한 외적 조건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 제주민의 평화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거대담론으로서의 세계평화의 섬 프로그램은 제주인과 제주 사회 내의 평화문화 창출과 확산에 보다 진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계평화의 섬 제주의 바람직한 미래를 위해서는 지구적, 생태학적, 평화적 의식과 태도를 지닌 제주 사람들의 평화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Jeju local government’s peace establishment program, referred to as ‘Island of World Peace’, and suggest tasks to activate it in terms of the spread of peace culture. In general, it is regarded that the goal of ‘Island of World Peace’ is to upgrade the life of Jeju people and to contribute to peace and prosperity in the region of North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differing interpretations of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Island of World Peace’, it is significant to find some ways to activate the project. For the realization of Jeju ‘Island of World Peace’, it is necessary to make a paradigmshift from the external conditions for peace into the cultivation of peaceful mind of Jeju people. In this vein, the grand project of ‘Island of World Peace’ should try to focus on the establishment and spread of peace culture in Jeju society. The future of ‘Island of World Peace’ will depend on the educational practice for peace competency of the Jeju people with the global, peaceful, ecological mind and attitude.

      • KCI등재

        평화역량 함양을 위한 게임 활용 도덕과 수업

        이미식(lee mi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 development of peace compet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Peace competence is a key value for realizing a moral life. Peace competence is an attitude that maintains independent, internal peace and peaceful sensitivity, peaceful life However, time and space are changing, which affects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eace competence. The game world is a media space directly related to peace compet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reflect on the game world from a peace competence of view and foster peace competence. In this regard, we considered the world of the game from a peace competence of view. we examined the morality and class practice using game production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평화를 중요한 가치로 가르치고 있다. 그런데 학생들의 평화역량 함양에 영향을 주는 일상적 시ㆍ공간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게임세계는 가상세계일 뿐만 아니라 현실 보다 더 현실적인 실제 세계(real world)이다. 게임에 접속하는 순간 학생들은 게임세계로 진입한다. 게임세계는 마법이 있는 신비로운 세계이자, 신체적 감각을 통해 경험할 수 있다. 학생들은 게임접속을 선택하고, 승리를 목표로 한다. 게임 규칙은 정교한 시스템으로 체계화되어 있다. 학생들은 게임세계에서 성공과 인정, 실패의 감정을 느낀다. 게임세계는 전쟁과 갈등에서 승리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반평화적 행위도 용인된다. 게임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행위는 학생들의 평화역량의 의식ㆍ무의식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평화역량을 성장시키려면 게임세계를 분석하고, 이것의 영향력을 자각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게임세계 특징과 평화역량을 연계할 수 있는 도덕과 수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우리는 평화와 평화역량의 의미는 무엇인지? 평화역량의 관점에서 게임세계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고찰하고, 게임을 활용한 도덕과 수업 방향과 실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A Study on Unification Education for Peace Building in Moral Education

        김국현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0 No.1

        This paper discusses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building up peace competency as a common disciplinary framework for the reunification, and the approache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strengthening peace competency. Therefore, this paper also searches for the new approache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young generation who is difficult to be taught the meaning of the division based upon the principle of proximity and who does not have emotional involvement about the problem of the division because of the long-standing social conflicts over the unification in the prolonged separation. The proposal delivered by this paper can be a theoretical foundation preparing a educational plan which leads the unification education not to be a purely ornamental and rhetorical modifier in the nation unification process while indifference about the reunification and the unification education pervades in the society, and the policy and the education for the unification keep producing

      • KCI등재

        A Study on Unification Education for Peace Building in Moral Education

        ( Kim Kuk-hyeon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0 No.1

        This paper discusses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building up peace competency as a common disciplinary framework for the reunification, and the approache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strengthening peace competency. Therefore, this paper also searches for the new approache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young generation who is difficult to be taught the meaning of the division based upon the principle of proximity and who does not have emotional involvement about the problem of the division because of the long-standing social conflicts over the unification in the prolonged separation. The proposal delivered by this paper can be a theoretical foundation preparing a educational plan which leads the unification education not to be a purely ornamental and rhetorical modifier in the nation unification process while indifference about the reunification and the unification education pervades in the society, and the policy and the education for the unification keep producing

      • KCI등재

        한반도 평화시대를 위한 초등 통일교육의 방향

        노희정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2

        This paper explores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suitable for elementary moral subject in the era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I will discuss the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enhancement of peace sensitivity. Based on the analysis of ele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I derive the personal unification competences required for the process of peaceful unification and the post unification period. And I propose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moral subject in order to enhance such unification competences.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elementary moral subject needs to carry out in the direction to promote critical, caring thinking, to stimulate communication, empathy, sympathy, and to strengthen practical ability. For this purpose, elementary student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ought and necessity of peaceful unification, to form a consensus on peaceful unification, and to find out concrete materials so that they can practice in daily life. 본 글은 한반도 평화시대를 맞이하여 초등학교 도덕 교과에 적합한 미래지향적 통일교육의 방향을 탐색한 것이다. 필자는 먼저 평화감수성 신장을 위한 통일교육에 대해 논의하고, 2015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일교육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평화통일의 과정 및 통일 이후의 시대에 요구되는 개인의 통일역량들을 도출한다. 그리고 필자는 이러한 통일역량을 신장하기 위해 초등 도덕 교과에서 추진해야 할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안한다. 초등학교 도덕 교과의 통일교육은 비판적, 배려적 사고를 촉진하고, 소통, 공감, 그리고 동감의 감성을 자극하며, 실천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에서 실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는 학생들이 평화통일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고, 평화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생활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소재를 발굴하여 가르쳐야 한다.

      • KCI등재

        『통합사회』 에서 평화지향 통일교육 모색

        문경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In this article, we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ourse of the 2015 curriculum, and searched for the foundation of the peace - oriented unification education, and proposed improved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tent elements for effective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2015 curriculum,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has been equipped with a certain degree of external conditions that allow for fusion and three-dimensional unification education, but "peace" and "unification" are not selected as core concepts and core values. And content elements also have a somewhat unsatisfactory point in terms of the integration of school classes and subjec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ore complementary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that can clarify the point of unification education emphasizing peace and apply it to the school site. Accordingly, we complemented the relevant content elements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ourse and proposed improved achievement standards. 이 글에서는 2015 교육과정 『통합사회』과목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평화지향 통일교육의 구성 기반을 모색하는 동시에, 평화지향 통일교육을 위한 개선된 성취기준과 내용요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5 교육과정에서에서는『통합사회』의 신설로 인하여 융합적이고 입체적인 통일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외형적 조건을 일정 정도 갖추었지만, ‘평화’ 나 ‘통일’이 핵심 개념, 핵심 가치로 선정되지 못하였고, 내용요소 역시 학교급별 계열성과 과목별 통합성 측면에서 다소 아쉬운 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평화의 가치를 기저에 담고 있는 통일교육으로의 지향점을 보다 분명히 하고, 통합사회 신설 취지에 맞도록 융합적 통일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보다 보완된 내용 체계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통합사회』의 내용 체계를 보완하고 개선된 성취기준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

        김형숙,송다원 한국미술교육학회 2022 美術敎育論叢 Vol.36 No.4

        본 연구는 평화·통일교육에서 미술이 교과 통합의 역할로 제한되어 있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미술교육 분야에서 평화·통일교육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 및 현장 실천 방향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평화·통일 미술교육의 개념과 핵심역량을 델파이조사를 통해 도출하였으며,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평화 감수성 역량, 남북한 문화 이해 역량, 창의적 한반도 소통 역량, 자기 주도적 평화 표현 역량’의 네 가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평화·통일 미술교육의 적용을 위해 네 가지 핵심역량이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쟁점을 분석함으로써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실천 방향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

        Core Values and Key Competencies of Peace Oriented Unification Education

        김국현 한국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2 No.1

        This paper discusses core values and competencies for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to cultivate peace citizenship needs to be focused on values, competencies and skills for peace building. Starting poi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at cultivates peace citizenship are society members’ shared viewpoint of unification vision and core values on unification problem. Peace building as an aim of unification education calls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narrative of cultural beliefs, hostility, and the correction of social structural origins of violence. Key competencies of unification education presented here are composed of four categories. These are categories of knowledge, skills, ability, and reflection that are important for successful conflict management. And they include understanding and analyzing conflict, ability to understand and construct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ability to search, evaluate, use, and contribute knowledge related to research based on research, ability to position conflict management areas.The aim of education that fosters peace competencies is not to convey knowledge about the meaning, type and actual condition of conflict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conflict properly but to understand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skillsby exploring various examples of historical conflicts and exploring cases of peaceful conflicts at home and abroad and to practice such skills in school and real life as a democratic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