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네시아의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공고화

        윤성이,이동윤 세종연구소 2002 국가전략 Vol.8 No.4

        Indonesia has been on the track of building a new democracy since the collapse of the Suharto regime in 1998, and party politics has emerged a critical factor which determines success/failure of democratic consolidation. This study analyzes a relationship between Indonesian party politics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For theoretical and systematic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s this study uses two variables of “competitiveness” and “stability” of party politics. The competitiveness of party politics means that institutions should be arranged for free establishments, political activities and election campaigns, which guarantees real and practical competition among political parties. Stability means durability and steadiness of party politics which can be measured by effective number of political parties, ideological spectrum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size of political parties. After analyzing party politics in Indonesia, we find that competitiveness and stability of party politics is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democracy. In the Parliamentary Democracy period(1949~1957) party politics had relatively been competitive but too much unstable, so Indonesian democracy had been very unstable. In the period of Guided Democracy(1957~1965) under despotic rule of Sukarno, competitiveness of party politics abruptly descended and stability of party politics was very low because of the wide ideological spectrum of political parties. Under Suharto's authoritarian rule(1965~1998) Indonesian party politics had undergone manipulated stability and very limited competitiveness. After democratic transition in 1998, party politics has recovered its competitiveness. But stability of party politics is still relatively low, which interrupts democratic consolidation in Indonesia. When Indonesian party politics ensures its competitiveness and stability, a successful consolidation of democracy can also be expected. 1998년 수하르또의 권위주의체제 붕괴 이후 인도네시아의 정당정치는 새롭게 부활된 민주주의체제를 공고화시키기 위한 중요한 한 가지 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의 정당정치와 민주주의의 발전경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정당정치의 ‘경쟁성(competitiveness)’과 ‘안정성(stability)’ 개념을 도입하고, 그 제도화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인도네시아의 각 시기별 정치체제 유형과 민주주의 수준을 유형화하고 민주주의 발전경로를 고찰하였다. 여기서 정당정치의 ‘경쟁성’이란 정당의 설립 및 정치활동, 선거경쟁 등에 대한 제도적 환경과 그 제도의 실질적 운영에 있어서 자유로운 정치참여의 보장을 의미한다. 정당정치의 ‘안정성’이란 유효정당수, 정당 이념, 정당 규모와 조직 등을 통하여 평가되는 정당정치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향을 의미한다. 분석결과 인도네시아는 1949년부터 1957년 사이 초기 의회민주주의 시기에 있어서 정당정치의 경쟁성 수준은 높으나 안정성 수준이 낮은 불안정한 민주주의체제를 경험하였으며, 1957년부터 1965년 사이 수까르노의 교도민주주의 시기에는 정당정치의 경쟁성과 안정성이 모두 낮은 비민주적 권위주의체제를 겪었고, 1965년부터 1998년 사이 수하르또에 의해 추구된 신질서체제 시기에는 정당정치의 경쟁성을 제한하는 가운데 인위적으로 골까르 우위의 패권적 3당체계를 형성하여 정당정치의 안정성을 높이는 의사민주주의체제를 경험하였다. 또한 민주화 이후 인도네시아는 다시금 정당정치의 자유로운 경쟁성을 회복하였으나, 여전히 그 안정성 수준이 낮게 나타남으로써 새롭게 태동된 민주주의체제를 공고화시키기 위하여 정당정치의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동남아의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공고화

        이동윤(Dong-Yoon Lee) 한국정당학회 2006 한국정당학회보 Vol.5 No.1

        본 연구는 동남아 국가들의 민주화 이후 정당정치 전개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이들 국가들의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공고화 사이의 연관관계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동남아 지역에서 이미 민주화가 이루어진 필리핀과 태국의 정당정치 전개과정을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인‘경쟁성’과‘안정성’개념을 통해 분석하고, 이것이 각 국가의 민주주의 공고화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정치적 함의를 살펴 보았다. 여기서 정당정치의 민주적 속성을 규정하는 정당정치의 경쟁성은 정당의 설립 및 정치참여, 선거경쟁 등과 같은 제도적 환경과 그것의 실질적인 운영과정에서 표출되는 선거과정의 공정성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정당정치의 안정성은 정당체계의 유효정당수와 선거진동성 변화, 그리고 개별 정당의 규모와 조직구조, 당내 민주화 수준 등 정당정치의 대중화 정도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연구 결과, 필리핀과 태국의 민주화 이후 정당정치는 공통적으로 헌법과 선거법, 정당법 등의 민주적 개정과 선거과정의 제도적·절차적 공정성 확보를 통해 그 경쟁성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나, 정당정치의 안정성은 민주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새롭게 출범한 민주주의체제를 공고화시키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이들 국가들은 민주화 이후 정당정치의 경쟁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제도적 개선과 변혁을 추진하였으나, 그 결과는 서로 비슷한 양상을 표출함으로써 단순히 제도적 개선이나 단기적 노력만으로 정당정치의 제도화나 민주주의 공고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행위주체들의 지속적인 변화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rty politics in the philippines and Thailand after democratization an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y politics and democratic consolidation in each country. For theoreticaland empirical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s this study uses two variables of“competitiveness” and “stability” of party politics. The competitiveness of party politics means that institutions should be arranged for free establishments, political activities and election campaigns, which guarantees real and practical competition among political parties. The stability of party politics means durability and steadiness of party politics which can be measured by effective number of political parties, electoral volatility, size of political parties, and party structure, etc.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we can be aware that two countries similarly tried to elevate the competitiveness of party politics by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and electoral reform after democratization. The contexts and method of electoral reform were somewhat different in each country, but it resulted in same outcome. The stability of party politics in two countries was similarly low and this unstability interrupted their party institutionalization anddemocratic consolidation. For stable party politics and successful consolida-tion of democracy, therefore, its must be ensured the stability as well as the competitiveness of party politics.

      • KCI등재

        독일 지방정치의 ‘탈정당정치화’ 경향

        주인석(In Suck Joo) 21세기정치학회 201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5 No.1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nalyse some aspects in changing local politics in Germany. The paper deals with the ongoing discussion regarding the traditional role of the parties, namely ‘party politicization’ and a new tendency to the ‘de-party politicization(Ent-parteipolitisierung)’. Since the 1990s when political malaise was on top of the public agenda, the local politics has witnessed a trend, which has been characterized by the de-party politicization. This trend has to do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direct election of mayors and some direct democratic instruments, the increasing polling rate of ‘free voter groups,’ and the decreasing voter mobilization of the established parties etc. However, the trend show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each state(Land), especially between NRW and Baden-W?rttemberg, due to the state-specific features such as the size of city(Stadt, Gemeinde) and the organizational strength of political parties. In spite of changes in local politics, the political parties have played significant role in nominating candidates, recruiting political elite, and forming the local parliament. What about further reforms in Korean local politics: first, political parties have to try to strengthen their organizations from national to local level. Second, the activation of local parties is needed to curb the excessive interference of the national politics in local politics, one of chronic problems in Korean democracy. Therefore, further debate on political reform in Korea, including political party and electoral system, has to direct at strengthening, not weakening the local party politics.

      • KCI등재

        핀터의 도난당한 정치성과 성정치성 : 『생일파티』

        정문영(Chung Moonyoung)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09 현대영미드라마 Vol.22 No.2

        This essay sets up a birthday party for Pinter’s becoming-good ghost by performing a retroactive reading of The Birthday Party to reveal his purloined politics and sexual politics. His ambivalent politics and sexual politics have been always sources of debates. But he will be remembered as one of the greatest modern dramatists, an activist citizen, and as a cryptic feminist who celebrated women’s strength and vitality. From this perspective on his final stage, by looking back upon his early stage of The Birthday Party(1957) again, we can expose his displacement of politics into Oedipal power games and his exploitation of misogynist sexual politics in order to hide his politics. The former readings of Pinter’s politics argue that The Birthday Party ends in a futile resistance without any possibility of change and it does not move beyond pessimistic analyses of the abuse of political power. And the readings of Pinter’s sexual politics confirm the structural gulf between politics and sexual politics in Pinter’s work as his dilemma. But this reading will move beyond Stanley’s silence which connotes utter powerlessness by using the subversive power generated from the gulf “between” politics and sexual politics. That is, The Birthday Party may go beyond Stanley’s descent into silence, by appropriating the subversive power of purloined, i.e., oppressed sexual politics, through Meg, “the belle of the ball.” From the ending with Meg who are ready for another party for Stanley’s new becoming against the final descent, we may anticipate Pinter’s strongest woman, Rebecca in another Holocaust play, Ashes to Ashes(1996) who can resist against Devlin’s exploitation of sexual politics and induce him into new becomings.

      • 대통령제와 정당정치

        김욱 ( Wook Kim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서석사회과학논총 Vol.1 No.2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presidentialism and party politics in theoretical terms. Does presidentialism (as opposed to parliamentarism) tend to weaken political parties, thus undermining party politics? If so, what are the reasons? If there exists such a tendency, does it mean that party politics based on strong political parties is not so important in presidentialism as in parliamentarism? To take the argument one step further, would the existence of strong political parties under presidentialism impede the working of the political system? Or despite the tendency, is party politics still important under presidentialism, thus implying that presidentialism needs special measures to overcome the tendency and strengthen party politics? If so, what are such measures? The basic position of this paper on these questions is that party politics tends to be weakened under presidentialsim, but that nevertheless strong and active party politics is critical for the working of the system.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take special measures to strengthen political parties and party politics under presidentialism. As one of such measures, the reform of electoral system (in the direction of a greater emphasis on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s suggested. Finally, the paper briefly discusses the future of party politics under the current Lee Myung-bak government. 본 논문은 이론적인 측면에서 대통령제와 정당정치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과연 대통령제 하에서는 정당정치가 약화되는 경향이 있는가? 그렇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이러한 경향이 존재한다면, 과연 대통령제에서는 정당정치가 별로 필요하지 않은 것인가? 혹은 한발 더 나아가 대통령제 하에서 강력한 정당정치는 정치체제의 원활한 작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아니면, 이러한 경향에도 불구하고 정당정치는 대통령제 하에서도 중요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서 더욱 적극적으로 정당정치를 강화해야 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러한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본 논문의 기본적인 입장은 대통령제 하에서 정당정치가 약화되는 경향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제 하에서도 정당정치는 여전히 중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통령제를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서 정당정치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그러한 방안의 하나로서 비례대표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선거제도 개혁을 제시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명박 정부에서 정당정치를 간략하게 전망해 보고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정당공천제와 지방의 정당정치발전: 기초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이상묵 ( Sang Mook Lee ),박신영 ( Shin Young Park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0 글로벌정치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지난 1991년, 지방선거 부활 이후, 찬반양론이 분분한 정당공천제에 대하여 제도의 존폐에 대한 소모적 논쟁을 지양하고 지방정치의 시대에 정당의 역할과 기능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정당공천제가 과연 지방의 정당정치발전에 도움이 되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기초지방선거에 초점을 두고 정당의 순기능적인 측면(정치엘리트의 충원, 정치참여의 매개체, 이익의 집약과 표출, 사회통합)에서 정당공천제의 도입으로 인해 지방의 정당정치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방정치엘리트의 충원에서는 정당공천제로 인해 전문성과 책임성이 제고되었고, 정치참여에 있어서는 유권자의 후보자선택에 필요한 정보제공의 측면은 있으나 주민의 선거참여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익의 집약과 표출기능에 있어서 정당공천제의 영향은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충분한 비교분석이 어렵기는 했지만 정당공천제와 유급제의 도입으로 유능한 인재의 충원이 이루어지고 정당의 책임성이 제고되면서 의원들의 의정활동에 있어서 과거보다는 향상된 모습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한다. 끝으로 사회통합기능에 있어서의 정당공천제의 효과는 여성 대표성의 신장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절대적인 수치에 있어서 적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정당공천제의 도입으로 지역구에서와 비례대표를 통해서 보다 많은 여성 후보자들이 지방정치에 입문할 수 있었다. 2010년 6월 2일 제5회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도 여전히 정당공천제에 대한 찬반양론은 학계와 시민단체, 정계 및 여론에서 까지 대립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정당정치의 순기능들이 정당공천제라는 제도를 통해 지방정치에까지 발현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더 필요한 작업이지 제도의 존폐만을 논박하는 것은 다소 소모적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정당공천제 시행 이후 실질적인 변화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이를 통한 개선노력에 약간의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ty nomination system on the development of local party politics. Since 1991 when the local election was resurrected, there have been debates about whether the party nomination system is necessary in local elections. However, it is unnecessary to continuously debate about whether this institution is maintained or abolished without exploring the effects of the party nomination system on local party politics. Based on the fact that the parties nee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local politic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arty nomination system influences local party politics by focusing on the 4 good effects of parties(local elite recruit, political participation, integration and expression of interests, social integration) in terms of the district council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party nomination system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speciality and responsibility of local political elites. Due to the party nomination system, local voters can have information necessary to make their decisions to select candidates in local elections. However, it did not influence the increase of voter turnout.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ion and expression of local interests through the active parliamentary politics performed by the members of district councils will be enhanced due to recruits of competent politicians derived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party nomination system. Finally, the effect of the party nomination system on the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was apperred in the increse of women politicians elected for local councils. Although the absolute number of women politicians is still insufficient, it is expected that the more women politicians will be advanced in local politics when institutional reforms like the increase of seat ratio derived from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have been effected.

      • KCI등재

        필리핀 방사모로 이슬람 정당의 장래: 라나오 델 수르의 옴피아당이 남긴 교훈을 중심으로

        김동엽 ( Dong Yeob Kim ) 한국동남아학회 2014 동남아시아연구 Vol.24 No.4

        This study assessed the future of the newly emerging Bangsamoro Islam political party as an outcome of the Comprehensive Agreement on Bangsamoro (CAB) signed by the Philippine Government and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The CAB will create a semi-independent Bangsamoro government under the principle of one-state-two-systems. The Bangsamoro government will be the parliamentary system where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 becomes particularly important. Upon the backdrop of the political change, this article tried to draw a lesson from the experience of the Ompia party, which was established earlier to reform the corrupt traditional local politics in Lanao Del Sur. Upon studying, it was observed that the Ompia party failed to reform the local politics. Instead it simply followed the step of the traditional local politics by relying on the personality rather than ideology and seeking the patronage of the central politicians rather than the grass-root support. The Ulama, the leading group of the Ompia party, failed to exhibit its political capacity to deal with the secular conflict of interests. It was mainly due to the centralized political system of the Philippines, the exclusiveness of party membership structure, and the socioeconomic condition of the constituencies. Despite the failure of the Ompia party, it is undeniable that the Ulama is the only democratic alternative to the corrupted traditional local politics in the newly emerging Bangasamoro politics. The CAB would provide a different political environment that the Ompia party should have adjusted. Based on the lesson from the case of Ompia party, the newly emerging Bangsamoro Islam political party should capitalize this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mass based democratic party structure, and to promote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constituencies.

      • KCI등재후보

        3김정치 전후 한국정치의 비판적 검토: 정치적 효과와 왜곡

        정태일 ( Chung Tae Il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19 한국과 국제사회 Vol.3 No.1

        1987년 민주화운동 이후 한국정치는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에 의한 3김정치로 전환기를 맞았다. 한국정치는 3김정치 이전에는 1인에 의한 장기집권에 지속되었으나 3김정치에서는 정당통합과 정당연합을 통해 평화적인 정권교체가 가능하게 하였다. 3김정치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3김정치에 대한 정치적 효과는 정당구도의 다양화와 정권교체의 안정화이다. 3김정치는 한국의 정당구도를 양당체제에서 다당체제로 변화시켰으며, 3당합당과 DJP연합 등 후보단일화를 통해 평화적 정권교체를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3김정치에 대한 정치적 왜곡은 정당의 단명화와 정치이념의 편중화이다. 3김정치는 3김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정당해체, 재창당, 정당통합 등으로 정당의 수명이 매우 짧았으며, 보수성향과 진보성향이 3김정치와 결부되어 지역적으로 정치이념의 편중화 현상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3김정치가 한국정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에 3김정치로 인한 정치적 왜곡은 한국정치를 위해 극복해야 한다. Afte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7, korean politics was transformed into three kim’s politics by y Kim Yeong-sam, Kim Dae-jung and Kim Jong-pil. Before the time of three kim’s politics, korean politics lasted for one long term, but three kim’s politics made possible the peaceful regime change through political party integration and party coalition. The evaluation of three kim’s politics coexist both positive and negative. The Positive political effects are diversification of political party composition and stabilization of regime change. Three kim’s politics transformed the political party composition of Korea from a two-party system to a multi-party system, made possible a peaceful regime change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ree parties and the DJP coalition. However, the negative political distortions of three kim’s politics are the shortening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concentration of political ideology. In three kim’s politics, political party in Korea has a very short life due to the creation of political parties,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the reorganiza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integration of political parties. Conservatism and progressive tendencies related three kim’s politics were stabilized through Yeongnam region and Honam region. Therefore, three kim’s politics means that the proportion of Korean politics is very high. Political effects and distortions derived from three kim’s politics have become a challenge for Korean politics to overcome.

      • KCI등재

        지방정치의 위기와 지역민주주의

        나종만(Na, Jong-Ma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6 No.-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의 정치 현실을 분석해 그 문제점들을 밝혀내고, 그 문제 해결의 방향을 정당정치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민주주의의 발전에서 찾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방정치 및 관련 개념들(지방자치, 분권, 지방화 등)과 그 관계를 분명히 규정하고, 그에 근거해서 부산의 정치를 평가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해서, 그것으로 부산 지방정치의 현실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 분석 결과에 의하면 첫째, 부산의 정치는 지역주의에 의한 일당독점의 정당체제로 해서 정당정치가 실종된 상태에 있으며, 이로 해서 정치적 대표성을 상실했다는 것이다. 둘째, 부산의 정치는 중앙집권주의에 의한 분권의 지체, 수도권 집중에 의한 불균형발전 및 민주적 지방화의 한계로 해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치적 선택과 지역민주주의 발전에 구조적 제약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산 지방정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정당정치의 활성화임을 강조했다. 정당정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일차적인 행위자인 각 정당들의, 중앙당 차원의 전면적 혁신과 당내민주화가 필요하다. 이 전면적 혁신과 당내민주화에 입각해서 민주적 분권정당, 민주적 경선 등과 같은 정당 혁신이 추진되고, 중선거구제 도입, 비례대표 비율의 확대 등과 같은 제도적 개혁이 병행될 때, 부산에서도 상이한 이념과 정책을 가진 정당 간의 경쟁적 정당체제의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이러한 정당정치의 활성화는 정당의 지역시민사회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더 나아가 부산 시민의 참여를 촉발시킬 것이다. 둘째, 정당정치와 시민참여의 활성화에 근거한 지역민주주의 동력을 통해 분권, 균형발전 및 민주적 지방화를 실현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부산의 지역민주주의를 더욱 공고화해가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analyze the reality of Busan politics,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to find the way of solution by the vitalization of party politics and the development of regional democracy. For this study, this research definds the local politics, the related concepts(local autonomy, decentralization, localization and so on) and the relations and as suggesting the framework for analysis being based on it, tries to analyze the reality of Busan politics and the problem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ly, politics disappeared on account of party system of one-party monopoly by regionalism in local politics of Busan. Secondly, political choi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s structurally restricted by delayed decentralization on the part of centralism, unbalanced development on the part of centralization of the capital region and the limitation of democratic localization. This research first of all emphasizes the vitalization of party politics for overcoming the crisis of Busan politics. For the vitalization of party politics innovation, overall innovation and the intraparty democracy of level of each central party as the primary actor has been needed. The vitalization of competitive party system among parties that have the different ideologies and policies, can be worked in Busan when by overall innovation and the intraparty democracy, innovations such as democratic decentralization party, democratic election and so on is driven and institutional innovations such as introduction of the medium electorate system, expansion of ratio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tc. are paired with them. The vitalization of party politics is able to communicate with local civil society, and furthermore spark the participation of Busan citizen. Secondly by the local democratic power grounding on party politics and the vitalization of the participation of citizen, decentralization, balanced development, democratic localization should be realized, and furthermore local democracy should be more consolidated.

      • KCI등재

        진보정치의 위기와 진보의 재구성

        조현연(Hyun-Yun Cho),김정훈(Jung-Hoon Kim)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5

        이 논문은 이른바 ‘2012년 통합진보당 사태’를 대상으로 진보정치의 위기와 진보의 재구성을 분석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통합진보당 사태는 19대 총선 경쟁부문 비례대표 후보 부정 경선 및 조사결과의 발표, 중앙위원회 폭력사태, 당 지도체제의 무력화 및 이석기·김재연 의원 제명 부결 등 크게 세 가지 사건을 계기로 구성되었으며, 결국 끝없는 혼돈의 늪으로 빠져들게 되었다. 한국 정당의 위기극복사를 볼 때 ‘사태’가 꼭 자멸 또는 파국으로까지 치달을 이유는 없었다. 사태를 잘 극복했다면 ‘사태’는 진보의 혁신 혹은 재구성의 원인이 될 수도 있었다. 사태가 증폭된 원인은 민주주의를 둘러싼 과거 관습의 차이와 음모론에 기초한 당권파의 현실인식이지만, 전자는 역으로 혁신의 계기가 될 수 있는 것이었다면, 후자는 파국으로 이르는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통합진보당 사태는 대중적 진보정당의 길이 통합진보당이라는 틀 속에서는 실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합진보당 사태를 전후해 진보정치세력 내부에서는 대체로 세 가지 대안, 즉 혁신재창당론, 새정당 건설론, 해체론이 나타나고 있지만, 진보정치의 재구성을 위해 보다 중요한 것은 당장 어떤 대안을 택하기 이전에 새로운 출발을 위한 반성이다. 과연 무엇이 잘못되었기에 현재와 같은 상황에 이르게 되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이 없이는 새로운 대안창출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논문에서 살펴본 반성의 지점은 패권주의와 1980년대식의 낡은 혁명문법에 기초한 정파주의 등 잘못된 정치관행, 선거와 정당과 노동을 둘러싼 낡은 관점과 가치 등이었다. 이 논문은 진보정치의 새로운 시작은, 탈당과 분당, 창조적 파괴와 당 해산 등 그 구체적인 방향이 무엇이든 ‘통합진보당의 해체’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으로 결론을 맺고 있다.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crisis and reconstruction of progressive politics in the wake of the so-called “UPP incidence” of 2012. The UPP incidence denotes a series of events that not only dragged the party into a catastrophic abyss but also led to a derailment of progressive politics as a whole. It started from the suspicion of malpractice in the ballot for party’s proportional representative candidates for the 2012 general election. It led to an internal investigation, open disputes between factions regarding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an outbreak of violence at the central committee meeting, and, eventually, the collapse of the party leadership as a direct effect of the voting down of the expulsion of two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Lee Seok-ki and Kim Jae-yeon. History of Korean political parties suggests that crises are not necessarily the harbinger of doom. Depending on how to deal with it, a crisis could work as an opportunity for reform and rejuvenation of the party or even politics. In the case of the UPP incidence, there were two main factors that created the catastrophe: first, the differences in party political practice between different factions, and, second, the conspiracist view of the dominant faction in dealing with the crisis. Whereas the first could have been used for the benefit of progressive politics, the second removed any chance of turning the crisis into an opportunity. The “UPP incidence” signifies a failed attempt at building a popular progressive party within the framework of UPP. After the incidence, there are three proposals in debate regarding the strategic alternatives for progressive party politics: re-formation of the progressive party, establishment of a new party, and dissolution of the progressive party. Before thinking about the future, however, we need to focus on the present, and the most pressing task at this juncture for reconstruction of progressive politics is self-reflection. Without questioning why things have gone so wrong, it would be impossible to create a genuine alternative. In this paper, we reflected on wrong political practices such as hegemonism and cliquism based on anachronistic revolutionary dogma; and old views and values regarding election, party and labor. This paper argues that the start of new progressive politics should be dissolution of UPP regardless of whether it takes the form of secession of its members, split of the party, creative destruction or disband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